KR20050009169A - 릴리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릴리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169A
KR20050009169A KR1020040053975A KR20040053975A KR20050009169A KR 20050009169 A KR20050009169 A KR 20050009169A KR 1020040053975 A KR1020040053975 A KR 1020040053975A KR 20040053975 A KR20040053975 A KR 20040053975A KR 20050009169 A KR20050009169 A KR 20050009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lutch
release system
base plate
groove fl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살바도르 맨개노네토
Original Assignee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34619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0916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filed Critical 룩라멜렌운트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카게
Publication of KR20050009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16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 F16D23/143Arrangements or details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lease bearing and the diaphragm
    • F16D23/144With a disengaging thrust-ring distinct from the release bearing, and secured to the diaphragm
    • F16D23/146Arrangements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rust-ring and the release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 F16D23/143Arrangements or details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lease bearing and the diaphragm
    • F16D23/144With a disengaging thrust-ring distinct from the release bearing, and secured to the diaphragm
    • F16D23/145Arrangements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rust-ring and the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Cyclon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작동 엘리먼트를 가진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작동 엘리먼트는 클러치 엘리먼트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 장치와 커플링될 수 있고, 제 1 그루우브 플랭크(groove flank) 및 제 2 그루우브 플랭크를 포함하는 원주(circumferential) 그루우브(groove)를 가지며, 상기 그루우브의 제 1 그루우브 플랭크는 상기 클러치 엘리먼트를 상기 작동 엘리먼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엘리먼트를 위한 축방향 스토퍼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2 그루우브 플랭크가 상기 제 1 그루우브 플랭크의 외측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스프링 핑거를 포함하는 스프링 장치를 위한 축방향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릴리스 시스템{RELEASE SYSTEM}
본 발명은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작동 엘리먼트를 가진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작동 엘리먼트는 클러치 엘리먼트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 장치와 커플링될 수 있고, 제 1 그루우브 플랭크(groove flank) 및 제 2 그루우브 플랭크를 포함하는 원주 순환형(circumferential) 그루우브(groove)를 가지며, 상기 그루우브의 제 1 그루우브 플랭크는 클러치 엘리먼트를 작동 엘리먼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엘리먼트를 위한 축방향 스토퍼를 형성한다.
종래의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은 복잡한 설계로 인해 제조 비용이 높고 조립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가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되며 조립하기가 쉬운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릴리스 시스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릴리스 시스템에 스프링 장치만 올려진(slide on)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릴리스 시스템에 스프링 장치가 반대방향으로 놓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릴리스 시스템의 작동 장치만 단독으로 종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센터링 링을 구비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면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센터링 캠을 구비한 스프링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프링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센터링 돌출부를 구비한 스프링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스프링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센터링 캠을 구비한 스프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스프링 장치를 반대로 뒤집어 놓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센터링 돌출부를 구비한 스프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스프링 장치를 반대로 뒤집어 놓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단면도에 압축 스프링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단면도에 대체로 원추형인 압축 스프링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단면도에 스프링 섀클(spring shackle) 디스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스프링 섀클 디스크의 평면도이다.
상기 목적은 클러치 엘리먼트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 장치와 커플링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그루우브 플랭크를 포함하는 원주 순환형 그루우브를 가지며,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작동 엘리먼트를 구비한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에서, 상기 그루우브의 제 1 그루우브 플랭크는 클러치 엘리먼트를 작동 엘리먼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엘리먼트를 위한 축방향 스토퍼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그루우브 플랭크는 상기 제 1 그루우브 플랭크의 외측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스프링 핑거를 포함하는 스프링 장치를 위한 축방향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스프링 장치는 상기 클러치 엘리먼트가 다이어프램 스프링 장치에 밀착되도록 제 2 그루우브 플랭크와 클러치 엘리먼트 사이에서 조여진다. 스프링 핑거의 자유 단부가 바람직하게 클러치 엘리먼트에 접할뿐만 아니라 작동 엘리먼트에도 접할 수 있다. 스프링 핑거가 제 1 그루우브 플랭크의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조립시 스프링 장치가 상기 제 1 그루우브 플랭크 위로 간편하게(손쉽게) 슬라이딩된다.
릴리스 시스템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프링 장치가 대체로 원환 디스크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스프링 핑거가 형성되어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핑거가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릴리스 시스템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프링 핑거의 자유 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프링 핑거의 자유 단부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에 의해 스프링 장치의 스프링 트래블(spring travel)이 정해진다.
릴리스 시스템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프링 핑거가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구부러지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로 인해 반경방향의 설치 공간이 제한된다.
릴리스 시스템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프링 핑거의 반경방향 만곡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만곡부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프링 핑거는 평면도로 관찰해보면 대체로 베이스 플레이트와 동심으로 배치된 원호(circular arc)의 형상을 갖고 있다.
릴리스 시스템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프링 핑거가 축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축방향 만곡부에 의해 스프링 핑거에탄성이 부여된다.
릴리스 시스템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 직경이 제 1 그루우브 플랭크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조립시 스프링 장치가 손쉽게 제 1 그루우브 플랭크 위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보증된다. 스프링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작동 엘리먼트에 형성되어 있는 쇼울더(shoulder)에 접하게 된다.
릴리스 시스템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연장되는 3개 이상의 센터링 돌출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 직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터링 돌출부들은 작동 엘리먼트에 대해 스프링 장치의 중심을 맞추는데 사용된다.
릴리스 시스템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연장되는 센터링 캠(centering cam)이 각각 스프링 핑거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터링 캠은 작동 엘리먼트에 대해 스프링 장치의 중심을 맞추는데 사용된다.
릴리스 시스템의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스프링 핑거들에 센터링 링(centering rin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터링 링은 작동 엘리먼트에 대해 스프링 장치의 중심을 맞추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 특징들 그리고 세부사항들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기술되는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된다. 청구항 및 명세서에 언급된 특징들은 각각 그 자체로 또는 임의의 형태로 본 발명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도 1에는 작동 엘리먼트(2)를 가진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1)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1)의 구조와 기능은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작동 엘리먼트(2)는 쇼울더(3)를 가지며, 상기 쇼울더(3)로부터 중심 저널(central journal)(4)이 형성되어 나온다. 상기 저널(4)은 점점 좁아지는 자유 단부(5)를 갖고 있다. 저널(4)은 상기 단부(5)의 바로 뒤에 일정한 외부 직경을 가진 축 섹션(6)을 갖는다. 그 뒤에는 제 1 그루우브 플랭크(8) 및 제 2 그루우브 플랭크(9)를 포함하는 그루우브(groove, 7)가 따른다. 제 1 그루우브 플랭크(8)는 상기 저널(4)의 축 섹션(6)으로부터 형성된다. 제 2 그루우브 플랭크(9)는 작동 엘리먼트(2)의 쇼울더(3)의 단부면으로부터 형성된다.
고정 엘리먼트(10)는 조립을 위해 슬릿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링 바디와 함께 제 1 그루우브 플랭크(8)에 접해 있다. 고정 엘리먼트(10)는 다이어프램 스프링 장치(15)의 핑거가 접해 있는 클러치 엘리먼트(14)를 위한 축방향 스토퍼를 형성한다. 리테이닝 링(retaining ring, 16)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 장치(15)와 클러치 엘리먼트(14) 사이의 유격없는 축방향 커플링이 보증된다.
클러치 엘리먼트(14)에는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진, 대체로 원형 디스크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형성되어 나오는 스프링 핑거(17, 18, 19)가 접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와 스프링 핑거(17∼19)가 스프링 장치(21)를 형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쇼울더(3)로부터 형성되는 제 2 그루우브 플랭크(9)에 접한다. 즉, 스프링 장치(21)가 제 2 그루우브 플랭크(9)와 클러치 엘리먼트(14) 사이에 고정된다. 그 결과, 클러치 엘리먼트(14)가 고정 엘리먼트(10)에 의해 그루우브(7)의 제 1 그루우브 플랭크(8)에 접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2에는 도 1의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스프링 장치(21)만 저널(4) 위에 올려져 있다. 이 도면에는 고정 엘리먼트(10), 클러치 엘리먼트(14), 리테이닝 링(16) 및 다이어프램 스프링 장치(15)가 빠져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스프링 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20)가 그루우브(7)의 제 2 그루우브 플랭크(9)에 접해 있다. 스프링 핑거(17∼19)는 축방향으로 그루우브(7)를 지나 저널(4)의 점점 좁아지는 자유 단부(5)까지 연장된다. 도 2에서는 스프링 핑거(17∼19)가 이완된 상태에 있다. 클러치 엘리먼트(14)가 장착되면 스프링 핑거(17∼19)가 축방향으로 함께 눌린다.
도 3에서, 스프링 장치(21)가 반대방향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프링 핑거(17∼19)의 자유 단부가 그루우브(7)의 제 2 그루우브 플랭크(9)에 접해 있다. 스프링 장치(21)의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저널(4)의 자유 단부(5) 영역 내에 팽창된 상태로 배치된다.
도 4는 작동 엘리먼트(2)의 종단면만 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작동 엘리먼트(2)는 관통 보어(24)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작동 엘리먼트는 대체로 쇼울더(3)가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의 형태를 갖는다.
도 5는 도 1의 한 섹션을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스프링 핑거들(도 5에서는 이들 중 "19"만 볼 수 있음) 외에 센터링 링(26)이 추가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센터링 링(26)에 의해 스프링 장치(21)가 그루우브(7)의 베이스에 대해 센터링된다.
도 6 및 도 7에는 스프링 장치(21)가 또 다른 실시예예 따라 평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3개의 스프링 핑거(17∼19)뿐만 아니라 제 4 스프링 핑거(28)가 추가로 장착된다. 스프링 핑거(17∼19, 28)의 자유 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연장되는 센터링 캠(30∼33)이 제공된다. 상기 센터링 캠(30∼33)은 그루우브(도 1의 "7")의 그루우브 베이스에 대해 스프링 장치(21)의 중심을 맞추는데 사용된다. 추가로 도 6에서는 스프링 장치(21)의 베이스 플레이트(20)가 그의 내부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포지셔닝 리세스(50∼53)를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포지셔닝 리세스들(50∼53)은 조립시 및/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스프링 장치(21)를 원주방향으로 위치시키는데 사용된다.
도 8 및 도 9에는 스프링 장치(21)가 또 다른 실시예예 따라 평면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20)에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연장되는 센터링 돌출부(40∼43)가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돌출부들(40∼43)은 그루우브(도 1의 "7")의 베이스에 대해 스프링 장치(21)의 중심을 맞추는데 사용된다. 상기 센터링 돌출부들(40∼43) 외에 포지셔닝 리세스(50∼53)도 제공되며, 상기 포지셔닝 리세스들(50∼53)은 조립시 및/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스프링 장치(21)를 원주방향으로 위치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포지셔닝 리세스(50∼53)에 바로 이어서 스프링 핑거(17, 18, 19, 28)가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형성되어 나온다.
도 10 및 도 11에는 스프링 장치(21)를 위 및 아래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센터링 캠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상응하며, 이 때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스프링장치(21)는 4개의 스프링 핑거에 추가로 센터링 캠(49)을 가진 제 5의 스프링 핑거(48)를 구비하고 있다. 그 외의 것은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실시예가 동일하다.
도 12 및 도 13에는 스프링 장치(21)를 위 및 아래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또 다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센터링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실시예에 상응하며, 이 때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4개의 스프링 핑거에 추가로 제 5 스프링 핑거(48) 및 제 5 센터링 돌출부(44)를 구비하고 있다. 그 외에는 상기 두 실시예가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도 14는 도 1의 한 섹션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는 스프링 장치(21)가 압축 스프링(60)으로 대체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60)은 제 2 그루우브 플랭크(9)와 클러치 엘리먼트(14)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도 14의 상부에는, 도 15와 도 16의 상부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정 엘리먼트의 링 바디(11)가 그루우브(7)의 제 1 그루우브 플랭크(8)에 접해 있다. 도 14의 하부에는, 링 바디(11)가 그의 직경과 관련하여 확장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4의 하부에서는 링 바디(11)가, 도 15 및 도 16의 하부에서와 마찬가지로, 핀(4)의 축 섹션(6)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링 바디(11)가 축 섹션(6) 위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스프링 장치(21)가 도 1과 달리 대체로 원추형인 압축 스프링(65)으로 대체되어 있다. 원추형 압축 스프링(65)은 제 2 그루우브 플랭크(9)와 클러치 엘리먼트(14)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그루우브 플랭크(9)의 영역 내에 상기 압축 스프링(65)이 반경방향으로 리테이닝 링(6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16에서는 섀클 디스크 형태의 스프링 엘리먼트(21)가 제 2 그루우브 플랭크(9)와 클러치 엘리먼트(14)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도 17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20)로부터 대체로 원호 형태로 형성된 4개의 스프링 핑거(17, 18, 19 및 28)가 형성되어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하우징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그러나 축방향으로 제한적으로 변위될 수 있게 배치되는 압력판을 포함하고, 엔진과 트랜스미션간의 토크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클러치,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로서, 상기 하우징과 압력판 사이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이 작용하고,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에 의해 압력판이 상기 압력판과 카운터 압력판 사이에서 조여질 수 있는, 마찰 라이닝을 구비한 클러치 디스크의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는 클러치에서, 앞서 기술한 릴리스 시스템을 통해 전술한 목적이 달성된다.

Claims (11)

  1.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작동 엘리먼트를 가진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작동 엘리먼트는 클러치 엘리먼트에 의해 다이어프램 스프링 장치와 커플링될 수 있고, 제 1 그루우브 플랭크(groove flank) 및 제 2 그루우브 플랭크를 포함하는 원주 순환형(circumferential) 그루우브(groove)를 가지며, 상기 그루우브의 제 1 그루우브 플랭크는 상기 클러치 엘리먼트를 상기 작동 엘리먼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엘리먼트를 위한 축방향 스토퍼를 형성하는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루우브 플랭크는 상기 제 1 그루우브 플랭크의 외측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스프링 핑거를 포함하는 스프링 장치를 위한 축방향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는 대체로 원형 디스크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스프링 핑거들이 형성되어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핑거의 자유 단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핑거가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구부러진 상기 스프링 핑거의 만곡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만곡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핑거가 축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경이 상기 제 1 그루우브 플랭크의 외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3개의 센터링 돌출부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해 연장되는 센터링 캠이 상기 스프링 핑거들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상기 스프링 핑거에 센터링 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릴리스 시스템.
  11. 엔진과 트랜스미션간의 토크 전달을 위해 사용되고, 하우징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그러나 축방향으로 제한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압력 플레이트를 구비한 클러치, 특히 자동차용 클러치로서, 상기 하우징과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다이어프램 스프링이 작용하고, 상기 다이어프램 스프링에 의해 상기 압력 플레이트가 상기 압력 플레이트와 대응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조여질 수 있는, 마찰 라이닝을 가진 클러치 디스크의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릴리스 시스템을 구비한 클러치.
KR1020040053975A 2003-07-16 2004-07-12 릴리스 시스템 KR200500091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2261.2 2003-07-16
DE10332261 2003-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169A true KR20050009169A (ko) 2005-01-24

Family

ID=3346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975A KR20050009169A (ko) 2003-07-16 2004-07-12 릴리스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498629B2 (ko)
KR (1) KR20050009169A (ko)
CN (1) CN100447013C (ko)
AT (1) ATE414856T1 (ko)
BR (1) BRPI0402724B1 (ko)
DE (2) DE10200403148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63876B1 (fr) * 1984-05-07 1986-10-31 Automotive Products Plc Mecanisme d'accouplement de butee d'embrayage, notamment pour un embrayage du type a friction
CN2145279Y (zh) * 1991-09-28 1993-11-03 刘明安 杠杆弹簧式离合器
FR2692949B1 (fr) 1992-06-26 1998-06-26 Valeo Montage de butee de de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4304964C2 (de) * 1992-02-28 2001-11-22 Valeo Kupplungsausrücklag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4211477C2 (de) 1992-04-06 2001-05-10 Mannesmann Sachs Ag Reibungskupplung mit verspannter Schnappverbindung
DE4303489A1 (de) 1992-04-06 1993-10-07 Fichtel & Sachs Ag Reibungskupplung mit verspannter Schnappverbindung
CN2161524Y (zh) * 1993-01-06 1994-04-13 胡金学 离合控制惯性驱动刹车装置
CN1103140A (zh) * 1993-09-13 1995-05-31 卢克摩擦片和离合器有限公司 分离装置
FR2742200B1 (fr) * 1997-02-03 1998-03-13 Valeo Montage de butee de de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N2531230Y (zh) * 2002-02-28 2003-01-15 关士昌 可控联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31483A1 (de) 2005-02-03
EP1498629B2 (de) 2013-10-16
BRPI0402724B1 (pt) 2016-05-17
CN1576084A (zh) 2005-02-09
EP1498629A1 (de) 2005-01-19
DE502004008472D1 (de) 2009-01-02
EP1498629B1 (de) 2008-11-19
BRPI0402724A (pt) 2005-05-24
ATE414856T1 (de) 2008-12-15
CN100447013C (zh)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6982A (en) Centered fastener assembly
US10145458B2 (en) Torque converter drive assembly including bias spring and axially movable turbine
KR20040094742A (ko) 베이스에 샤프트를 장착하기 위한 디커플링 장치 및레이디얼 웨이브 와셔
KR101558768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JP6328658B2 (ja) メカニカルシール
JP2018536121A (ja) 摩擦クラッチを操作する液圧式のレリーズシステム用のスレーブシリンダ
KR20050095858A (ko) 스냅 링 고정 장치
CN107420549B (zh) 具有偏置构件保持凹部的密封组件
JP2013036530A (ja) 回転変動吸収クランクプーリ
US20040104086A1 (en) Disk brake assemblies having springs for biasing friction pads
KR101545107B1 (ko) 슬라이드 툴과 브레이크 디스크
CN110206888B (zh) 用于轴向周密封件的保持器装置
KR20050009169A (ko) 릴리스 시스템
US9951857B2 (en) Torque transmitting assembly including a sprocket assembly displaceable along a shaft and method thereof
KR970006963A (ko) 스프링의 방사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프링 결합수단을 가지는 댐퍼 디스크 어셈블리
KR101898785B1 (ko) 더블 클러치 조립체
SU1009285A3 (ru) Автомобильное сцепление
US5836432A (en) Friction clutch with a captive pre-load spring and a captive pre-load spring for a friction clutch
JPS61223334A (ja) 心合せ軸受集成体
EP1120582B1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s
US4919246A (en) Assembly of two generally annular members, in particular a diaphragm and securing member for a clutch mechanism, particularly for an automobile
US20090110475A1 (en) Modularity spacer for a damper
US8272490B2 (en) Arrangement of a disk spring at a piston of a switching element
US20160076600A1 (en) Drive assembly including a damper and clutch plate sub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drive assemblies
JP6934389B2 (ja) バネ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