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990A -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990A
KR20050008990A KR1020030047887A KR20030047887A KR20050008990A KR 20050008990 A KR20050008990 A KR 20050008990A KR 1020030047887 A KR1020030047887 A KR 1020030047887A KR 20030047887 A KR20030047887 A KR 20030047887A KR 20050008990 A KR20050008990 A KR 20050008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height
roll
sides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8170B1 (ko
Inventor
공순석
구자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4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170B1/ko
Publication of KR2005000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08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terial
    • B21C47/3416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terial with lateral edge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66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by using specific means
    • B21C47/3475Fluid pressure o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연 강판의 생산 라인중 권취중인 코일의 권취 에지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코일의 에지를 자동적으로 정렬시키도록 제어하는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텐션릴(8)의 양측 주위에 설치한 에지상태 검출부(20); 지지롤(3) 양측의 현재 높이를 각각 검출하는 롤높이 검출부(30); 상기 에지상태 검출부(20)로부터의 양측의 에지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에지상태 입력부(41); 에지상태 편차값에 따라 양측의 에지 기준값중 해당 기준값을 설정하는 에지 기준값 설정부(42); 검출값과 설정값과의 에지 편차값을 각각 출력하는 에지 비교부(43); 에지 편차값에 해당되는 양측의 목표 높이값을 각각 설정하는 롤높이 설정부(44); 상기 롤높이 검출부(30)로부터의 양측의 롤높이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롤높이 입력부(45); 상기 롤높이 입력부(45)로부터의 양측의 롤높이 검출값 각각이 상기 롤높이 설정부(44)에 의해 설정된 양측의 목표 높이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지지롤(3)의 양측 높이를 피드백 제어하는 롤높이 제어부(46); 및 상기 지지롤(3)의 양측중 해당 일측 높이를 조절하는 롤높이 조정기(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권취 불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객의 제품 만족도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EDGE ALIGNMENT OF WINDING COIL}
본 발명은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연 강판의 생산 라인중 텐션릴에 의해 최종 코일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권취중인 코일의 권취 에지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코일의 에지를 자동적으로 정렬시키도록 제어함으로서, 권취 불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객의 제품 만족도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권취중인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냉연 강판을 생산하는 각종 라인에서는, 최종 공정의 텐션릴에서 제품 코일을 권취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코일 권취 작업에서는 수용가의 만족도 및 생산성을 고려해서 권취가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도 1의 (a) 및 (b)는 종래의 권취 에지의 권취정상 및 권취불량 상태를 보이는 코일의 정면 사시도로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냉연강판의 출측 텐션릴에서의 권취 작업중 정상적으로 권취가 이루어진 권취 정상(a)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란 등의 강판의 장력의 불균일, 롤(roll)의 편심 또는 텐션릴의 슬라브 움직임 등에 의하여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일의 권취 상태인 에지 정렬이 반듯하지 않거나 심하게는 대략 20mm 정도 돌출(c 또는 d)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권취 불량(b)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텐션릴(8)을 통해 형성된 코일은 크레인의 권상 작업을 위해서는 크레인 퉁(tong)에 삽입되어야 한다.
그러나, 권취 불량이 심한 경우에는 상기 크레인의 퉁에 삽입이 되지 않는 등 코일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또한 이러한 불량 권취된 코일을 처리하는 작업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사고 등이 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주석도금 강판은 물론 냉연의 극박 제조 생산설비에 적용가능한 강판 코일의 출측 텐션릴에서의 코일 권취 작업시, 에지 권취 정렬이 불안정하여 에지정렬이 일직선으로 되지 않고 벗어나게 되어 권취불량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제품일 경우에는 스크랩(scrap) 또는 품질불량의 원인으로 주문외급으로 전환되는 등의 문제점과 이러한 코일의 권취불량 발생이 심할 경우에는 퉁(tong) 크레인(crane)의 작업시 크레인 퉁에 장입이 제대로 되지 않아 설비주위의 충돌 및 안전사고의 위험도 내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냉연 강판의 생산 라인중 텐션릴에 의해 최종 코일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권취중인 코일의 권취 에지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코일의 에지를 자동적으로 정렬시키도록 제어함으로서, 권취 불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객의 제품 만족도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의 (a) 및 (b)는 종래의 권취 에지의 권취정상 및 권취불량 상태를 보이는 코일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지상태 검출부, 롤높이 조정기 및 지지롤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지상태 검출부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높이 검출부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진행 강판 1A : 코일
2 : 강판의 조정 패스 라인 3 : 지지롤(support roll)
4 : 지지롤 블록(block) 5 : 지지롤 가이드 베이스
6 : 지지롤 측면 블록 카바 8 : 텐션릴
20 : 에지상태 검출부 21A,21B : 발광부
22A,22B : 수광부 23,24 : 고정 베이스
DL : 검출라인 30 : 롤높이 검출부
31 : 트랜셔미터 32 : 고정 베이스
33 : 연결와이어 34 : 와이어 연결축
40 : 높이 조정 장치 41 : 에지상태 입력부
42 : 에지 기준값 설정부 43 : 에지 비교부
44 : 롤높이 설정부 45 : 롤높이 입력부
46 : 롤높이 제어부 50 : 롤높이 조절기
51 : 유압밸브 52 : 실린더
MD : 실린더의 높이조절방향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는
지지롤을 통해 제공되는 강판을 권취하는 텐션릴의 양측 주위에 설치하여,권취중인 코일 양측의 권취 에지의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에지상태 검출부;
상기 지지롤 양측의 현재 높이를 각각 검출하는 롤높이 검출부;
상기 에지상태 검출부로부터의 양측의 에지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에지상태 입력부;
초기에 코일 양측의 에지 기준값을 각각 설정하고, 이후 입력되는 에지상태 편차값에 따라 양측의 에지 기준값중 해당 기준값을 재설정하는 에지 기준값 설정부;
상기 에지상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양측의 에지 검출값과 상기 에지 기준값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양측의 에지 기준값을 각각 비교하여 양측의 에지 편차값을 각각 출력하는 에지 비교부;
상기 에지 비교부로부터의 양측의 에지 편차값에 해당되는 양측의 목표 높이값을 각각 설정하는 롤높이 설정부;
상기 롤높이 검출부로부터의 양측의 롤높이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롤높이 입력부;
상기 롤높이 입력부로부터의 양측의 롤높이 검출값 각각이 상기 롤높이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양측의 목표 높이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지지롤의 양측 높이를 피드백 제어하는 롤높이 제어부; 및
상기 지지롤을 양측에서 각각 지지하면서, 상기 롤높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지지롤의 양측중 해당 일측 높이를 조절하는 롤높이 조정기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는 지지롤(3)을 통해 제공되는 강판을 권취하는 텐션릴(8)의 양측 주위에 설치하여, 권취중인 코일 양측의 권취 에지의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에지상태 검출부(20)와, 상기 지지롤(3) 양측의 현재 높이를 각각 검출하는 롤높이 검출부(30)와, 상기 에지상태 검출부(20)에 의한 에지상태와 상기 높이 검출부(30)에 의한 지지롤(3)의 높이에 기초해서 에지도출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롤(3)의 높이를 제어하는 높이 조정 장치(40)와, 상기 지지롤(3)을 양측에서 각각 지지하면서, 상기 높이 조정 장치(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지지롤(3)의 양측중 해당 일측 높이를 조절하는 롤높이 조정기(5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롤(3)은 양측의 지지롤 가이드 베이스(5)에 설치된 지지롤 블록(4)에 의해서 회전가능토록 지지되는데, 상기 지지롤 블록(4)에는 지지롤 측면 블록 카바(6)가 설치된다.
상기 높이 조정 장치(40)는 상기 에지상태 검출부(20)로부터의 양측의 에지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에지상태 입력부(41)와, 초기에 코일 양측의 에지 기준값을 각각 설정하고, 이후 입력되는 에지상태 편차값에 따라 양측의 에지 기준값중 해당 기준값을 재설정하는 에지 기준값 설정부(42)와, 상기 에지상태 입력부(41)를 통해 입력되는 양측의 에지 검출값과 상기 에지 기준값 설정부(42)에 의해 설정된 양측의 에지 기준값을 각각 비교하여 양측의 에지 편차값을 각각 출력하는 에지 비교부(43)와, 상기 에지 비교부(43)로부터의 양측의 에지 편차값에 해당되는 양측의 목표 높이값을 각각 설정하는 롤높이 설정부(44)와, 상기 롤높이 검출부(30)로부터의 양측의 롤높이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롤높이 입력부(45)와, 상기 롤높이 입력부(45)로부터의 양측의 롤높이 검출값 각각이 상기 롤높이 설정부(44)에 의해 설정된 양측의 목표 높이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지지롤(3)의 양측 높이를 피드백 제어하는 롤높이 제어부(46)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지상태 검출부, 롤높이 조정기 및 지지롤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지상태 검출부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에지상태 검출부(20)는 상기 텐션릴(8)의 일측중, 상기 텐션릴(8)에 권취되는 코일의 에지 상태에 따라 수광되는 광량이 서로 다르게 되는 위치에 설치한 발광부와 수광부를 한쌍으로 하는 일측 에지상태 감지부와, 상기 텐션릴(8)의 타측중, 상기 텐션릴(8)에 권취되는 코일의 에지 상태에따라 수광되는 광량이 서로 다르게 되는 위치에 설치한 발광부와 수광부를 한쌍으로 하는 타측 에지상태 감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에지상태 검출부(20)로 발광 및 수광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일예로 본 발명의 에지상태 검출부(20)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램프 및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22A,22B)는 고정 베이스(24)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의 광원인 형광 램프(21A,21B)는 해당 카메라(22A,22B)의 반대편의 양쪽에 고정 베이스(23)위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고정 설치되어 수조작에 의해 위치 변경되는 수동조절모드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자동으로 위치 변경될 수 있는 자동조절모드로 각각 동작될 수 있는데, 자동조절모드로 동작되기 위해서는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 박스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베이스에 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스크류축이 연결되고, 이 스크류축이 상기 카메라 박스에 결합되어 이 카메라 박스가 상기 고정베이스 상에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형광 램프에서, 상기 코일의 에지 돌출 상태에 대응되는 광량이 카메라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형광램프의 발광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롤높이 설정부(44)는 상기 에지 편차값이 클수록 해당되는 목표 높이값을 크게 설정하여, 예를 들어, 상기 지지롤(3)의 양측중 어느 일측에서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가 돌출하게 되어 에지 편차가 발생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롤높이 제어부(46)는 해당되는 지지롤(3)의 측면에서 지지하는 롤높이 조절기(50)를 통해 상기 지지롤(3)의 일측 높이를 높게 제어하여, 해당 측면으로 솔려서 돌출 권취되는 현상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롤높이 조정기(50) 각각은 상기 롤높이 제어부(46)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유압밸브와, 세로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기 지지롤(3)의 양단중 일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유압밸브의 동작에 의한 유압으로 동작하여 상기 지지롤(3)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높이 검출부의 적용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롤높이 검출부(30)는 와이어의 장력을 검출할 수 있는 트랜셔미터(31)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랜스미터(31)는 상기 고정 베이스(32)에 고정 설치되고, 연결와이어(33)를 통해 상기 지지롤(3)의 블록(4)에 고정된 와이어 연결축(34)에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의 동작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에지상태 검출부(20)는 지지롤(3)을 통해 제공되는 강판을 권취하는 텐션릴(8)의 양측 주위에 설치하여, 권취중인 코일 양측의 권취 에지의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데, 이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에지상태 검출부(20)는 상기 지지롤(3)의 양측(both side)에 각각 설치되고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각각 쌍으로 포함하는 일측 에지상태 감지부 및 타측 에지상태 감지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일측 에지상태 감지부의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은 수광부에서 수광되고, 이 수광된 신호는 높이 조정 장치(40)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타측 에지상태 감지부의 발광부에서 발광된 광은 수광부에서 수광되고, 이 수광된 신호는 높이 조정 장치(40)로 제공된다.
상기 각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은 코일의 양측 에지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코일의 양측중 일측에 에지돌출부가 발생되면, 이 에지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형광램프에서 발광되는 광량중 일부가 차단되어 수광되는 광량이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수광량의 크기에 따라서 에지돌출정도가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롤높이 검출부(30)는 텐션릴(8)로 공급되는 강판을 지지하는 지지롤(3)의 양측 현재 높이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높이 조정 장치(40)로 출력하는데, 본 발명의 롤높이 검출부(30)는 와이어의 장력을 검출할 수 있는 트랜셔미터(31)가 적용된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랜스미터(31)는 본 발명의 롤높이 조절기(50)의 높이 변화에 해당하는 와이어(33)의 장력을 검출하는데, 이 장력크기에 따라 지지롤(3)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S61).
상기 높이 조정장치(40)의 에지상태 입력부(41)는 상기 에지상태 검출부(20)로부터의 양측의 에지 검출신호를 증폭하여 에지 비교부(43)로 출력하는데, 상기 높이 조정장치(40)의 에지 기준값 설정부(42)는 초기에 코일 양측의 에지 기준값을 각각 설정하고, 이후 하기에 설명되는 에지 비교기(43)로부터 입력되는 에지 편차값에 따라 양측의 에지 기준값중 해당 기준값을 재설정한다. 여기서, 에지 기준값은 상기 에지상태 검출부(20)에 의한 검출값으로 코일 권취 상태의 돌출여부 및 돌출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으로서, 일단 에지 편차가 발생된 경우에는 이 편차가 발생된 상태가 그대로 지속되므로, 이 경우에는 편차가 발생된 상태를 다시 기준상태로 설정하여야 그 다음의 에지 편차 발생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상기 높이 조정장치(40)의 에지 비교부(43)는 상기 에지상태 입력부(41)를 통해 입력되는 양측의 에지 검출값과 상기 에지 기준값 설정부(42)에의해 설정된 양측의 에지 기준값을 각각 비교하여 양측의 에지 편차값 각각을 롤높이 제어부(46)로 출력한다(S62). 여기서, 에지 편차값은 기준상태에서 권취 코일의 에지 돌출 정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준의 권취상태에서 20mm 이상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되는 에지 편차값이 발생되면, 높이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63).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정장치(40)의 롤높이 설정부(44)는 상기 에지 비교부(43)로부터의 양측의 에지 편차값에 해당되는 양측의 목표 높이값을 각각 설정하여 상기 롤높이 제어부(46)로 제공하고, 상기 높이 조정장치(40)의 롤높이 입력부(45)는 상기 롤높이 검출부(30)로부터의 양측의 롤높이 검출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롤높이 제어부(46)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롤높이 제어부(46)는 상기 롤높이 입력부(45)로부터의 양측의 롤높이 검출값 각각이 상기 롤높이 설정부(44)에 의해 설정된 양측의 목표 높이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지지롤(3)의 양측 높이를 피드백 제어하는데, 이는 편차값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롤(3)의 높이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 편차값이 발생한 경우에는 편차값이 허용하는 값(예, "0")이 되도록 해당 지지롤(3)의 해당 측면의 높이 조절기(50)로 상기 지지롤(3)의 높이가 증가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 편차값이 발생한 경우에는 편차값이 허용하는 값(예, "0")이 되도록 해당 지지롤(3) 해당 측면의 높이 조절기(50)로 상기 지지롤(3)의 높이가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본 발명의 롤높이 조정기(50)는 상기 지지롤(3)을 양측에서 각각 지지하면서, 상기 롤높이 제어부(46)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지지롤(3)의 양측중 해당 일측 높이를 조절하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높이 조절기(50)의 유압 실린더(52)에 장착된 지지롤(3)이 위 또는 아래방향으로 조절되면서 강판을 좌 또는 우로 밀리면서 정렬 이탈이 자동적으로 교정된다(S64,S65).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냉연 강판의 생산 라인중 텐션릴에 의해 최종 코일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권취중인 코일의 권취 에지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코일의 에지를 자동적으로 정렬시키도록 제어함으로서, 권취 불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객의 제품 만족도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4)

  1. 지지롤(3)을 통해 제공되는 강판을 권취하는 텐션릴(8)의 양측 주위에 설치하여, 권취중인 코일 양측의 권취 에지의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에지상태 검출부(20);
    상기 지지롤(3) 양측의 현재 높이를 각각 검출하는 롤높이 검출부(30);
    상기 에지상태 검출부(20)로부터의 양측의 에지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에지상태 입력부(41);
    초기에 코일 양측의 에지 기준값을 각각 설정하고, 이후 입력되는 에지상태 편차값에 따라 양측의 에지 기준값중 해당 기준값을 재설정하는 에지 기준값 설정부(42);
    상기 에지상태 입력부(41)를 통해 입력되는 양측의 에지 검출값과 상기 에지 기준값 설정부(42)에 의해 설정된 양측의 에지 기준값을 각각 비교하여 양측의 에지 편차값을 각각 출력하는 에지 비교부(43);
    상기 에지 비교부(43)로부터의 양측의 에지 편차값에 해당되는 양측의 목표 높이값을 각각 설정하는 롤높이 설정부(44);
    상기 롤높이 검출부(30)로부터의 양측의 롤높이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롤높이 입력부(45);
    상기 롤높이 입력부(45)로부터의 양측의 롤높이 검출값 각각이 상기 롤높이 설정부(44)에 의해 설정된 양측의 목표 높이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지지롤(3)의 양측 높이를 피드백 제어하는 롤높이 제어부(46); 및
    상기 지지롤(3)을 양측에서 각각 지지하면서, 상기 롤높이 제어부(46)의 제어에 따라 상기 지지롤(3)의 해당 측의 높이를 조절하는 양측의 롤높이 조정기(5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상태 검출부(20)는
    상기 텐션릴(8)의 일측중, 상기 텐션릴(8)에 권취되는 코일의 에지 상태에 따라 수광되는 광량이 서로 다르게 되는 위치에 설치한 발광부와 수광부를 한쌍으로 하는 일측 에지상태 감지부; 및
    상기 텐션릴(8)의 타측중, 상기 텐션릴(8)에 권취되는 코일의 에지 상태에 따라 수광되는 광량이 서로 다르게 되는 위치에 설치한 발광부와 수광부를 한쌍으로 하는 타측 에지상태 감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높이 설정부(44)는
    상기 에지 편차값이 클루록 해당되는 목표 높이값을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높이 조정기(50) 각각은
    상기 롤높이 제어부(46)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유압밸브; 및
    세로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기 지지롤(3)의 양단중 일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유압밸브의 동작에 의한 유압으로 동작하여 상기 지지롤(3)의 높이를 조절하는 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
KR1020030047887A 2003-07-14 2003-07-14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 KR101008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887A KR101008170B1 (ko) 2003-07-14 2003-07-14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7887A KR101008170B1 (ko) 2003-07-14 2003-07-14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990A true KR20050008990A (ko) 2005-01-24
KR101008170B1 KR101008170B1 (ko) 2011-01-13

Family

ID=3722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887A KR101008170B1 (ko) 2003-07-14 2003-07-14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1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453B1 (ko) * 2010-06-04 2010-10-18 주식회사 풍산홀딩스 권취장치용 권취곡률보정수단
KR20200132505A (ko)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공장의 벨트 래퍼 갭 자동 제어 장치
KR20210008777A (ko) 2019-07-15 2021-01-25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코일 권취 불량 교정장치
CN116900061A (zh) * 2023-08-01 2023-10-20 湖南展卓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铜杆收卷输送自动控制系统
WO2024027204A1 (zh) * 2022-08-02 2024-02-08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收卷机构、涂布机、收卷预警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8032A (ja) 1984-05-10 1985-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巻取機のコイル端面形状制御装置
JPS61189818A (ja) 1985-02-18 1986-08-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ホツトストリツプミル巻取設備のテレスコ−プ防止装置
JPH0857536A (ja) * 1994-08-22 1996-03-05 Toshiba Corp 巻取材の張力制御装置
KR20000043440A (ko) * 1998-12-29 2000-07-15 이구택 맨드릴 좌우 응력측정을 이용한 스트립 권취형상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453B1 (ko) * 2010-06-04 2010-10-18 주식회사 풍산홀딩스 권취장치용 권취곡률보정수단
KR20200132505A (ko) 2019-05-17 2020-11-25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공장의 벨트 래퍼 갭 자동 제어 장치
KR20210008777A (ko) 2019-07-15 2021-01-25 (주)엔에스케이 엔지니어링 코일 권취 불량 교정장치
WO2024027204A1 (zh) * 2022-08-02 2024-02-08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收卷机构、涂布机、收卷预警方法及系统
CN116900061A (zh) * 2023-08-01 2023-10-20 湖南展卓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铜杆收卷输送自动控制系统
CN116900061B (zh) * 2023-08-01 2024-03-12 湖南展卓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铜杆收卷输送自动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170B1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949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olling strip of fluctuating thickness
US68747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eling up in the proper position a hot-rolled strip in a reeling installation
KR101008170B1 (ko) 권취중인 코일의 에지 정렬 제어장치
CN113275383B (zh) 卷取机助卷辊卷取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H08108216A (ja) 金属帯の巻取制御方法
JP3328186B2 (ja) 縦型ルーパにおける帯状材の偏り修正方法および装置
KR100812699B1 (ko) 코일 양 엣지부 귀 불량 교정장치
KR20180129350A (ko) 냉간 압연기
KR100760568B1 (ko) 스트립의 권취위치 조정장치
KR20190005272A (ko) 앵글 가공장치
JP3999349B2 (ja) スパイラル鋼管の成形装置
US20010023605A1 (en) Rolling method for a profiled section, in particular, a flange section, and universal roll stand therefor
JPH0531532A (ja) ストリツプの巻取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20000043440A (ko) 맨드릴 좌우 응력측정을 이용한 스트립 권취형상 제어방법
JPH1133613A (ja) 調質圧延における伸び率の制御方法
KR100961354B1 (ko) 페어크로스 자동위치제어 방법
JPH08197138A (ja) 金属帯の蛇行制御装置
JP5206127B2 (ja) プロセスライン駆動モータの非常停止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60713A (ko) 조압연기에서의 사이드가이드 제어방법
JPH0428415A (ja) ルーパ位置制御方法
JPH10202325A (ja) ロール成形機
KR100973891B1 (ko) 연속 소둔로에서 스트립 위치 제어장치
KR20050002550A (ko) 연속 열간사상압연기 및 이를 이용한 사상압연방법
KR20000038437A (ko) 진행강판의 에지부결함 감지장치
JP3336893B2 (ja) 金属条の巻取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