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541A -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541A
KR20050008541A KR1020040055254A KR20040055254A KR20050008541A KR 20050008541 A KR20050008541 A KR 20050008541A KR 1020040055254 A KR1020040055254 A KR 1020040055254A KR 20040055254 A KR20040055254 A KR 20040055254A KR 20050008541 A KR20050008541 A KR 20050008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capacitor
terminal
lin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시마타카히토
미야케켄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54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지 펌프회로인 제 1 승압회로(30)에 대해서 제 1 제어회로를 접속하여, 1개의 콘덴서(C1)를, 출력단자(Vout1)로부터 Vin(=V1=V3)의 2배 승압출력인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용과, 출력단자(Vout2)로부터 Vin(=V1)의 -1배 승압출력인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용에 공용하여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을 생성한 후, 제 1 제어회로와의 접속을 제 2 제어회로와의 접속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제 1 전원과, 출력단자(Vout2)로부터 Vin(=V1=V3=V7)의 3배 승압출력인 제 3 전원을 생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원장치{POWER SUPPLY}
본 발명은 차지 펌프회로에 의한 차지 동작과 펌프 동작에 의해 복수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박형이며 저소비 전력이라는 특징을 살려서 표시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양호한 표시특성을 얻기 위해서, 액정소자를 구동할 때에 고전압의 전원이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전원장치는 입력전압을 승압회로에 의해 승압하여, 액정소자를 구동하는 구동회로 등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원장치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9는 종래의 전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전위(V17)와 전위(V18)의 합인 V17+V18의 전위를 발생시키는 2배 승압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전원장치의 승압회로에 공급되는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여기서, 제어신호(a)와 제어신호(b)의 「H」 구간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펄스폭을 조정한 신호이고, 스위치 소자(S1,S2,S3,S4)는 상기 2개의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제어신호(a), 제어신호(b)가 도 9에 나타내어지는 승압회로에 공급된 경우, 우선, 도 10의 P1로 나타내어지는 구간에서는 스위치 소자(S1,S2)가 온으로 되는 한편, 스위치 소자(S3,S4)는 오프로 된다. 그러면, 전위(V17)와 접지 전위(GND) 사이에 콘덴서(C8)가 접속된 구성으로 되고, 콘덴서(C8)에는 V17분의 전하가 축적되게 된다. 콘덴서에 충분한 전하가 축적된 후, 스위치(S1)와 스위치(S2)를 오프시킨다.
이어서, 도 10의 P2로 나타내어지는 구간에 있어서는 스위치(S3)와 스위치(S4)를 온시킨다. 그러면, V18로부터 콘덴서(C8,C9)를 통해 GND에 연결되는 라인이 형성되고, 콘덴서(C9)에는(V17+V18)×C8/(C8+C9)분의 전하가 축적된다. 콘덴서(C9)에 충분한 전하가 축적된 후, 다시 도 10의 P1 구간에 있어서 스위치(S3)와 스위치(S4)를 오프시키고, 스위치(S1)와 스위치(S2)를 온시켜 콘덴서(C8)에 전하를 축적시킨다. 이어서, P2 구간에 있어서는 스위치(S1)와 스위치(S2)를 오프, 스위치(S3)와 스위치(S4)를 온시켜, 콘덴서(C9)에 축적시킨다.
이 일련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콘덴서(C9)에 V17+V18분의 전하를 축적시키고, 전위(Vout6)를 발생시킨다. V17+V18의 전하가 동일한 전위로 V17=V18=Vin이고, 콘덴서(C8,C9)의 용량이 같은 용량 C8=C9=C인 경우, Vout6은 2*Vin으로 되어, 2배의 승압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0의 P1의 기간에 있어서 스위치 소자(S4)는 오프로 되어 있고, 콘덴서(C9)로의 전하의 전송은 없다. 또한, 출력 라인(Vout6)에 부하가 접속되어 있으면 부하로 유출되는 전류에 의해서 콘덴서(C9)가 방전되어 버리므로 스위치 소자(S4)가 오프인 기간은 출력 전압(Vout6)이 서서히 저하한다.
이어서, GND 전위에 대해서 기준 전압을 반전시켜 출력시키고, 출력으로서 음의 전위를 얻는 경우의 승압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은 -1배 승압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2는 상기 승압회로에 공급되는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이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제어신호(a,b)의 「H」구간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펄스폭을 조정한 신호이고, 스위치 소자(S1,S2,S3,S4)는 상기 2개의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제어신호(a), 제어신호(b)가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승압 회로에 공급된 경우, 우선, 도 12의 P1로 나타내어지는 구간에서는 스위치 소자(S1,S2)가 온으로 되는 한편, 스위치 소자(S3,S4)는 오프로 된다. 그러면, 전위(V19)와 GND 사이에 콘덴서(C10)가 접속된 구성이 되고, 콘덴서(C10)에는 V19분의 전하가 축적되게 된다. 콘덴서(C10)에 충분한 전하가 축적된 후, 스위치(S1)와 스위치(S2)를 오프시킨다.
이어서, 도 12의 P2로 나타내어지는 구간에 있어서는 스위치(S3)와 스위치(S4)를 온시킨다. 그러면, GND로부터 콘덴서(C10,C11)를 통해 GND에 연결되는 라인이 형성되고, 콘덴서(C11)에는 (0-V19)×C10/(C10+C11)분의 전하가 축적된다. 콘덴서(C11)에 충분한 전하가 축적된 후, 다시 도 12의 P1 구간에 있어서 스위치(S3)와 스위치(S4)를 오프시키고, 스위치(S1)와 스위치(S2)를 온시켜 콘덴서(C10)에 전하를 축적시킨다.
이어서, 도 12의 P2 구간에 있어서는 스위치(S1)와 스위치(S2)를 오프시키고, 스위치(S3)와 스위치(S4)를 온시켜 콘덴서(C11)에 전하를 축적시킨다. 이 일련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콘덴서(C11)에 -V19분의 전하를 축적시켜, 전위(Vout7)를 발생시킨다.
종래의 전원장치는 상기 구성으로 승압동작을 행하는 액정구동용 전원전압을 만들어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원장치에서는 승압동작에 필요한 콘덴서의 개수는 2배 승압회로에서는 2개, 3배 승압회로에서는 3개, -1배 승압회로에서는 2개 필요하고, 일반적으로 말하면 양의 전압을 발생시키는 경우의 m배 승압회로에 필요한 콘덴서는 m개, 음의 전위를 발생시키는 -n배 승압회로에 필요한 콘덴서는 (n+1)개로 된다. 또한, 이들 양과 음의 전위를 동시에 생성하고자 한 경우, 예컨대, 2배 승압 전압과 -1배 승압 전압이 필요한 경우에는 4개의 콘덴서가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양의 m배 승압 전위와 음의 n배 승압 전위를 동시에 승압시켜 출력시키는 경우, m+n+1개의 콘덴서가 필요하게 된다.
이들 콘덴서는 출력전압의 안정화를 위해 대용량의 것을 이용하지만 여기서 승압회로를 포함하는 전원장치를 집적하는 경우, 이와 같은 대용량의 콘덴서를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고, 또한, 형성가능하더라도 회로 사이즈의 증대를 초래한다.
또한, 콘덴서를 외부 부착 부품으로 하는 경우에도 LSI 실장시, 부품 점수의 증가는 모듈 전체의 면적 증대를 초래한다. 그 때문에 승압회로에 필요한 콘덴서의 수는 가능한한 줄이고 싶은 사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승압에 필요한 부품으로서 설치하는 콘덴서의 수를 삭감할 수 있고, 회로구성을 간소화함과 아울러 외부부착 부품수를 삭감하고, 또한, 승압회로 및 승압회로로부터의 전압공급원으로서 내장된 전자기기의 소비전류를 삭감할 수 있는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의 전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1의 전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동 실시형태1의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제어신호(1)의 타임 차트이다.
도 4는 동 실시형태1의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제어신호(2)의 타임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의 전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동 실시형태2의 전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동 실시형태2의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제어신호(1)의 타임 차트이다.
도 8은 동 실시형태2의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제어신호(2)의 타임 차트이다.
도 9는 종래의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2배 승압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2배 승압회로의 제어신호의 타임 차트이다.
도 11은 종래의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1배 승압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1배 승압회로의 제어신호의 타임 차트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전원장치는 차지 동작과 펌프 동작을 행하는 차지 펌프회로를 갖고, 이 차지 펌프회로에 의한 상기 차지 동작과 상기 펌프 동작에 의해 복수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장치로서, 상기 차지 펌프회로에,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콘덴서를,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과,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에 공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전원장치는 차지 동작과 펌프 동작을 행하는 차지 펌프회로를 갖고, 이 차지 펌프회로에 의한 상기 차지 동작과 상기 펌프 동작에 의해 복수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장치로서, 상기 차지 펌프회로에,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과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에 공용하는 콘덴서와,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의 생성을 제어하는 제 1 제어회로와, 상기 제 1 제어회로와는 다른 제 2 제어회로와, 상기 제 1 제어회로와 상기 제 2 제어회로를 스위칭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 1 제어회로로부터 상기 제 2 제어회로로 스위칭하여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1 전원 및 상기 제 2 전원과는 출력전압이 다른 제 3 전원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전원장치는 청구항1에 기재된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2 전위에 접속하는 제 1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제 1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3 전위로 스위칭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4 전위에 접속하는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과는 다른 제 2 라인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3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 및 상기 제 5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6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3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2 라인에 접속하는 제 3 접속수단; 및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3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12에 기재된 전원장치는 청구항2에 기재된 전원장치로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2 전위에 접속하는 제 1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제 1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3 전위로 스위칭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4 전위에 접속하는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과는 다른 제 2 라인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3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 및 상기 제 5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6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3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2 라인에 접속하는 제 3 접속수단; 및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3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차지 펌프회로 내에서, 1개의 콘덴서를, 한쪽의 출력단자로부터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용과, 다른쪽의 출력단자로부터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용에 공용하고, 제 1 접속수단의 접속동작에 의해 제 1 콘덴서에 제 1 전위를 충전한 후에 제 2 접속수단의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에 의해, 펌프 동작으로 제 1 콘덴서에 축적되어 있던 전하를 제 2 콘덴서에 전하 재배분하고, 또한, 그 후, 제 1 접속수단의 접속동작에 의해 제 1 콘덴서에 제 1 전위를 충전한 후에 제 3 접속수단의 접속동작에 의해, 펌프 동작으로 제 1 콘덴서에 축적되어 있던 전하를 제 3 콘덴서에 전하 재배분하고, 이들 4개의 접속동작을 반복하여 제 7 전위와 제 8 전위를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지금까지 필요하였던 2개의 콘덴서를 1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4에 기재된 전원장치는 청구항1에 기재된 전원장치로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단자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2 전위에 접속하는 제 1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제 1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3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상기 제 1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4 전위에 접속하는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전위를 갖는 라인에 접속하는 제 4 접속수단; 및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13에 기재된 전원장치는 청구항2에 기재된 전원장치로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2 전위에 접속하는 제 1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제 1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3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4 전위에 접속하는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전위를 갖는 라인에 접속하는 제 4 접속수단과,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차지 펌프회로 내에서, 1개의 콘덴서를, 한쪽의 출력단자로부터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용과, 다른쪽의 출력단자로부터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용에 공용하고, 제 1 접속수단의 접속동작에 의해 제 1 콘덴서에 제 1 전위를 충전한 후에 제 2 접속수단의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에 의해, 펌프 동작으로 제 1 콘덴서에 축적되어 있던 전하를 제 2 콘덴서에 전하 재배분하고, 또한, 그 후, 제 1 접속수단의 접속동작에 의해 제 1 콘덴서에 제 1 전위를 충전한 후에 제 4 접속수단의 접속동작에 의해, 펌프 동작으로 제 2 콘덴서에 축적되어 있던 전하를 제 3 콘덴서에 전하 재배분하고, 이들 4개의 접속동작을 반복하여 제 9 전위와 제 10 전위를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지금까지 필요하였던 2개의 콘덴서를 1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5에 기재된 전원장치는 청구항1에 기재된 전원장치로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2 전위에 접속하는 제 1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제 1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3 전위로 스위칭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4 전위에 접속하는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과는 다른 제 2 라인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3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 및 상기 제 5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6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3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2 라인에 접속하는 제 3 접속수단; 상기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전위를 갖는 라인에 접속하는 제 4 접속수단;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3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 1 제어수단; 및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 2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수단과 상기 제 2 제어수단을 복수의 전원 중 필요로 하는 전원에 대응시켜 스위칭할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14에 기재된 전원장치는 청구항2에 기재된 전원장치로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2 전위에 접속하는 제 1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제 1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3 전위로 스위칭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4 전위에 접속하는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과는 다른 제 2 라인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3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 및 상기 제 5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6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3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2 라인에 접속하는 제 3 접속수단; 상기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전위를 갖는 라인에 접속하는제 4 접속수단;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3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 1 제어수단; 및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 2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수단과 상기 제 2 제어수단을 복수의 전원 중 필요로 하는 전원에 대응시켜 스위칭할 수 있게 구성하고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차지 펌프회로 내에서, 1개의 콘덴서를, 한쪽의 출력단자로부터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용과, 다른쪽의 출력단자로부터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용에 공용하고, 제 1 접속수단의 접속동작 후에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하고, 또한, 그 후,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제 3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하여 제 7 전위와 제 8 전위를 얻기 위한 제어와, 제 1 제어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하고, 또한, 그 후,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하여 제 9 전위와 제 10 전위를 얻기 위한 제어를 필요에 따라 스위칭하여 출력전압으로서, 다른 전위에 의한 2종류의 조합의 출력을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지금까지 필요하였던 2개의 콘덴서를 1개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차지 펌프회로 내에서, 1개의 콘덴서를, 한쪽의 출력단자로부터, 예컨대, Vin의 2배 승압출력인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용과, 다른쪽의 출력단자로부터, 예컨대, Vin의 -1배 승압출력인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용에 공용하고, 또한, 차지 펌프회로에 대해서 제 1 제어회로를 접속하여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을 생성함과 아울러 차지 펌프회로와 제 1 제어회로의 접속을 제 2 제어회로와의 접속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을 생성한 출력단자로부터, 예컨대, Vin의 3배 승압출력인 제 3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승압에 필요한 부품으로서 설치하는 콘덴서의 수를 삭감할 수 있고, 회로구성을 간소화함과 아울러 외부 부착 부품점수를 삭감하고, 또한, 승압회로 및 승압회로로부터의 전압공급원으로서 내장한 전자기기의 소비전류를 삭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원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1)
본 발명의 실시형태1의 전원장치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양의 전위 2배 승압출력과 음의 전위 -1배 승압출력을 얻는 경우와, 양의 전위 2배 승압출력과 양의 전위 3배 승압출력을 얻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1의 전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1의 전원장치는 제 1 제어회로(10)와, 제 2 제어회로(20)와, 제 1 승압회로(차지 펌프회로)(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제어회로(10) 또는 제 2제어회로(20)와 제 1 승압회로(30)를 연결하는 스위치는 상측으로 올라가 있고, 제 1 승압회로(30)에는 제 1 제어회로(10)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1의 전원장치에 있어서의 제 1 승압회로(30)에 대한 상세한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상기 승압회로를 구동하는 제 1 제어회로(10)의 신호이다. 상기 도 3에 나타내어지는 제어신호(a,b,c)의 「H」 구간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펄스폭을 조정한 신호이다. 도 2와 도 3을 이용하여 상세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의 P1 구간(파형의 「H」 및 「L」과 스위치의 「온」 및 「오프」의 관계는 종래예에서의 설명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에서는 단자(L1)가 전원(V1)에 접속되고, L2가 전원(V2)에 접속된다. 이 접속에 의해 C1에는 V1-V2의 전압이 충전된다. 이어서, 도 3의 P2 구간에 있어서 L2는 V3에 접속되고, L1은 출력단자(Vout1)에 접속된다. 즉, V3으로부터 콘덴서(C1,C2)를 통해 V4에 연결되는 라인이 형성되고, 출력단자(Vout1)는 전압(V3)에, 콘덴서(C1)에 축적되어 있는 전위(V1-V2)가 더해진 전위(V3+V1-V2)로 된다. 여기서, V1=V3=Vin으로 하고, V2=V4=0[접지 전위(GND)]으로 하면 Vout1=2*Vin으로 되어 2배 승압이 실현가능하다.
이어서, 도 3의 P3 구간에 있어서는 P1 구간과 마찬가지로 단자(L1)가 전원V1)에 접속되고, L2가 전원(V2)에 접속된다. 이 접속에 의해 C1에는 V1-V2의 전압이 충전된다. 이어서, P4 구간에 있어서는 단자(L1)가 전원(V5)에 접속되고, L2는 출력단자(Vout2)에 접속된다. 이 때 Vout2의 전위는 V5전위로부터 콘덴서(C1)에 축적된 V1-V2의 전압을 뺀 것이 되어, Vout2는 V5-V1+V2로 된다. 여기서 V1=Vin으로하고, V2=V5=0으로 하면 Vout2=-Vin으로 되어, -1배 승압이 실현가능하다.
이어서,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제어회로(10) 또는 제 2 제어회로(20)와 제 1 승압회로(30)를 연결하는 스위치가 아래로 내려가 있고, 제 1 승압회로(30)에 제 2 제어회로(20)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승압회로를 구동하는 제 2 제어회로(20)의 신호이다.
우선, 도 4의 P1 구간에서는 단자(L1)가 전원(V1)에 접속되고, L2가 전원(V2)에 접속된다. 이 접속에 의해 C1에는 V1-V2의 전압이 충전된다. 이어서, 도 4의 P2 구간에 있어서 L2는 전원(V3)에 접속되고, L1은 출력단자(Vout1)에 접속된다. 즉, V3로부터 콘덴서(C1,C2)를 통해 V4에 연결되는 라인이 형성되고, 출력단자(Vout1)는 전압(V3)에, 콘덴서(C1)에 축적되어 있는 전위(V1-V2)가 더해진 전위(V3+V1-V2)로 된다.
이어서, 도 4의 P3 구간에 있어서는 P1 구간과 마찬가지로 단자(L1)가 전원(V1)에 접속되고, L2가 전원(V2)에 접속된다.
이어서, 도 4의 P4 구간에 있어서는 단자(L3)가 전원(V7)에 접속되고, 출력단자(Vout1)가 출력단자(Vout2)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전원(V7)으로부터 콘덴서(C2,C3)를 통해 전원(V6)에 연결되는 라인이 형성되고, 출력단자(Vout2)는 전압(V7)에, 콘덴서(C2)에 축적되어 있는 전위(V3+V1-V2)가 더해진 전위(V7+V3+V1-V2)로 된다. 여기서, V1=V3=V7=Vin으로 하고, V2=0으로 하면 Vout1=3*Vin으로 되어, 3배 승압이 실현가능하다.
(실시형태2)
본 발명의 실시형태2의 전원장치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양의 전위 3배 승압과 음의 전위 -1배 승압의 출력을 얻는 경우와, 양의 전위 3배 승압과 양의 전위 4배 승압의 출력을 얻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2의 전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2의 전원장치는 제 3 제어회로(40)와, 제 4 제어회로(50)와, 제 2 승압회로(60)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내는 제 3 제어회로(40) 또는 제 4 제어회로(50)와 제 2 승압회로(60)를 연결하는 스위치는 상측으로 올라가 있고, 제 2 승압회로(60)에는 제 3 제어회로(40)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제 2 승압회로(60)에 대한 상세한 회로도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7은 상기 승압회로를 구동하는 제 3 제어회로(40)의 신호이다. 상기 도 7에 나타내어지는 제어신호(a,b,c,d)의 「H」 구간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펄스폭을 조정한 신호이다. 도 6과 도 7을 이용하여 상세한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7의 P1 구간에서는 단자(L4)가 전원(V8)에 접속되고, L5가 전원(V9)에 접속된다. 이 접속에 의해 C4에는 V8-V9의 전압이 충전된다. 이어서, 도 7의 P2 구간에 있어서 L5는 전원(V10)에 접속되고, L4는 출력단자(Vout3)에 접속된다. 즉, V10으로부터 콘덴서(C4,C5)를 통해 V11에 연결되는 라인이 형성되고, Vout3은 콘덴서(C4)에 축적되어 있는 전위(V8-V9)에, V10이 더해진 V10+V8-V9로 된다.
이어서, 도 7의 P3 구간에 있어서 출력단자(Vout3)는 출력단자(Vout4)에 접속되고, 단자(L6)는 전원(V12)에 접속되고, 단자(L7)는 전원(V13)에 접속된다. 즉,전원(V12)으로부터 콘덴서(C5,C6)를 통해 V13에 연결되는 라인이 형성되고, 출력단자(Vout3)는 콘덴서(C5)에 축적되어 있는 전위(V10+V8-V9)에 전압(V12)이 더해진 V12+V10+V8-V9로 된다. 여기서, V8=V19=V12=Vin으로 하고, V9=0으로 하면 출력전압(Vout3)은 3*Vin으로 되어 3배 승압이 실현가능하다. 또한, 단자(L4)가 전원(V8)에 접속되고, L5가 전원(V9)에 접속됨으로써 C4에는 V8-V9의 전압이 충전된다.
이어서, 도 7의 P4 구간에 있어서는 단자(L4)가 전원(V14)에 접속되고, L5는 출력단자(Vout5)에 접속된다. 이 때, Vout5의 전위는 전위(V14)로부터 콘덴서(C4)에 축적된 V8-V9의 전압을 뺀 것이 되어, Vout5는 V14-V8+V9로 된다. 여기서 V8=Vin으로 하고, V9=V14=0으로 하면 Vout5=-Vin으로 되고, -1배 승압이 실현가능하다.
이어서, 도 5에 나타내는 제 3 제어회로(40) 또는 제 4 제어회로(50)와 제 2 승압회로(60)를 연결하는 스위치가 아래로 내려가 있고, 제 2 승압회로(60)에는 제 4 제어회로(50)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상기 승압회로를 구동하는 제 4 제어회로(50)의 신호이다. 우선, 도 8의 P1 구간에서는 단자(L4)가 전원(V8)에 접속되고, L5가 전원(V9)에 접속된다. 이 접속에 의해 C4에는 V8-V9의 전압이 충전된다. 이어서, 도 8의 P2 구간에 있어서 L5는 전원(V10)에 접속되고, L4는 출력단자(Vout3)에 접속된다. 즉, V10으로부터 콘덴서(C4,C5)를 통해 V11에 연결되는 라인이 형성되고, Vout3은 V10에, 콘덴서(C4)에 축적되어 있는 전위(V8-V9)가 더해진 V10+V8-V9로 된다.
이어서, 도 8의 P3 구간에 있어서 출력단자(Vout3)는 출력단자(Vout4)에 접속되고, 단자(L6)는 전원(V12)에 접속되고, 단자(L7)는 전원(V13)에 접속된다. 즉, 전원(V12)으로부터 콘덴서(C5,C6)를 통해 V13에 연결되는 라인이 형성되고, 출력단자(Vout3)는 전압(V12)에, 콘덴서(C5)에 축적되어 있는 전위(V10+V8-V9)가 더해진 V12+V10+V8-V9로 된다.
이어서, 도 8의 P4 구간에 있어서는 단자(L7)가 전원(V16)에 접속되고, 출력단자(Vout4)가 출력단자(Vout5)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V16으로부터 콘덴서(C6,C7)를 통해 V15에 연결되는 라인이 형성되고, 출력단자(Vout5)는 전압(V16)에, 콘덴서(C6)에 축적되어 있는 전위(V12+V10+V8-V9)가 더해진 V16+V12+V10+V8-V9로 된다. 여기서, V8=V10=V12=V16=Vin으로 하고, V9=0으로 하면 출력전압(Vout5)은 4*Vin으로 되어, 4배 승압이 실현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회로(10) 또는 제어회로(40)를 이용한 예로서, 2배 승압과 -1배 승압을 출력하는 경우와 3배 승압과 -1배 승압을 출력하는 경우의 2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양의 전위 n배 승압출력과 음의 전위 -1배 승압출력을 동시에 얻는 (n+1)개의 콘덴서를 이용한 승압회로에 있어서는 기준전위(Vin)의 n-1배인 (n-1)*Vin이 축적된 전하를 n번째의 콘덴서에 축적하는 펌프 동작을 행함으로써 n배 승압출력인 n*Vin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본 발명에 있어서 n배 승압과 -1배 승압출력을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어회로(20) 또는 제어회로(50)를 이용한 예로서, 2배 승압과 3배 승압을 출력하는 경우와 3배 승압과 4배 승압을 출력하는경우의 2경우에 대해서도 설명하였지만 양의 전위를 승압출력하는 회로인 i개의 콘덴서를 이용한 i배 승압회로에 있어서는 기준전압(Vin)의 i-1배가 축적된 전하를 i번째의 콘덴서에 축적함으로써 i배 승압출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본 발명에 있어서 양의 전압 i배 승압출력과 양의 전압 i-1배 승압출력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여기서 i는 2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의 스위치는 N채널형 트랜지스터, 또는 P채널형 트랜지스터, 또는 N채널형 트랜지스터와 P채널형 트랜지스터 양쪽을 이용한 스위칭 회로로 구성하여도 좋고,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전원장치에 의하면 승압에 필요한 부품으로서 설치하는 콘덴서의 수를 삭감할 수 있고, 회로구성을 간소화함과 아울러 외부 부착 부품수를 삭감하고, 또한, 승압회로 및 승압회로로부터의 전압공급원으로서 내장된 전자기기의 소비전류를 삭감할 수 있다.

Claims (20)

  1. 차지 동작과 펌프 동작을 행하는 차지 펌프회로를 갖고, 이 차지 펌프회로에 의한 상기 차지 동작과 상기 펌프 동작에 의해 복수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장치로서,
    상기 차지 펌프회로에,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콘덴서를,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과,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에 공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2. 차지 동작과 펌프 동작을 행하는 차지 펌프회로를 갖고, 이 차지 펌프회로에 의한 상기 차지 동작과 상기 펌프 동작에 의해 복수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장치로서,
    상기 차지 펌프회로에,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제 1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과 상기 복수의 전원 중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의 차지 동작에 공용하는 콘덴서와,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2 전원의 생성을 제어하는 제 1 제어회로와, 상기 제 1 제어회로와는 다른 제 2 제어회로와, 상기 제 1 제어회로와 상기 제 2 제어회로를 스위칭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 1 제어회로로부터 상기 제 2 제어회로로 스위칭하여 상기 제 1 전원과, 상기 제 1 전원 및 상기 제 2 전원과는 출력전압이 다른제 3 전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2 전위에 접속하는 제 1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제 1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3 전위로 스위칭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4 전위에 접속하는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과는 다른 제 2 라인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3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 및 상기 제 5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6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3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2 라인에 접속하는 제 3 접속수단; 및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3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단자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2 전위에 접속하는 제 1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제 1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3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4 전위에 접속하는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전위를 갖는 라인에 접속하는 제 4 접속수단; 및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2 전위에 접속하는 제 1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제 1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3 전위로 스위칭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4 전위에 접속하는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과는 다른 제 2 라인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3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 및 상기 제 5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6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3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2 라인에 접속하는 제 3 접속수단;
    상기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전위를 갖는 라인에 접속하는 제 4 접속수단;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3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 1 제어수단; 및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동작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 2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수단과 상기 제 2 제어수단을 복수의 전원 중 필요로 하는 전원에 대응시켜 스위칭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8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9 전위에 접속하는 제 4 접속수단;
    상기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0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5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5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1 전위에 접속하는 제 5 접속수단;
    상기 제 5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5 라인으로부터 제 6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5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2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6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6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6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1 전위에 접속하는 제 6 접속수단;
    상기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4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제 4 라인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7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 및 상기 제 14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7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2 라인으로 스위칭하는 제 7 접속수단; 및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5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제 4 접속수단과 상기 제 6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동시에 실행한 후에 상기 제 7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8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9 전위에 접속하는 제 4 접속수단;
    상기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8 전위로부터 상기 제 3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0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5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5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1 전위에 접속하는 제 5 접속수단;
    상기 제 5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5 라인으로부터 제 6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5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2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6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6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6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1 전위에 접속하는 제 6 접속수단;
    상기 제 6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6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6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6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7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 및 상기 제 16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7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6 라인으로 스위칭하는 제 8 접속수단; 및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5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그 후, 상기 제 6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8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8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9 전위에 접속하는 제 4 접속수단;
    상기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8 전위로부터 상기 제 3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0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5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5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상기 제 10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1 전위에 접속하는 제 5 접속수단;
    상기 제 5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5 라인으로부터 제 6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5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2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6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6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6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1 전위에 접속하는 제 6 접속수단;
    상기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4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제 4 라인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7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 및 상기 제 14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7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2 라인으로 스위칭하는 제 7 접속수단;
    상기 제 6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6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6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6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7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 및 상기 제 16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7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6 라인으로 스위칭하는 제 8 접속수단;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5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제 4 접속수단과 상기 제 6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동시에 실행한 후에 상기 제 7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 3 제어수단; 및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5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그 후, 상기 제 6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8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 4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제어수단과 상기 제 4 제어수단을 복수의 전원 중 필요로 하는 전원에 대응시켜 스위칭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회로의 접속을 온 오프하는 스위치 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스위치는 N채널형 트랜지스터, 또는 P채널형 트랜지스터, 또는 N채널형 트랜지스터와 P채널형 트랜지스터 양쪽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각 전원을, 액정으로의 인가전압의 스위칭에 의해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정보표시를 위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2 전위에 접속하는 제 1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제 1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3 전위로 스위칭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4 전위에 접속하는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과는 다른 제 2 라인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3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 및 상기 제 5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6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3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2 라인에 접속하는 제 3 접속수단; 및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3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2 전위에 접속하는 제 1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제 1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3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4 전위에 접속하는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전위를 갖는 라인에 접속하는 제 4 접속수단;및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2 전위에 접속하는 제 1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로부터 제 1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3 전위로 스위칭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4 전위에 접속하는 제 2 접속수단;
    상기 제 1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라인과는 다른 제 2라인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3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1 전위 및 상기 제 2 전위 및 상기 제 3 전위 및 상기 제 4 전위 및 상기 제 5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6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3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2 라인에 접속하는 제 3 접속수단;
    상기 제 2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전위를 갖는 라인에 접속하는 제 4 접속수단;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3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 1 제어수단; 및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2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상기 제 1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 2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어수단과 상기 제 2 제어수단을 복수의 전원 중 필요로 하는 전원에 대응시켜 스위칭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8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9 전위에 접속하는 제 4 접속수단;
    상기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4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0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5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5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제 9 전위 및 제 10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1 전위에 접속하는 제 5 접속수단;
    상기 제 5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5 라인으로부터 제 6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5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2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6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6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6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1 전위에 접속하는 제 6 접속수단;
    상기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4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제 4 라인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7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 및 상기 제 14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7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2 라인으로 스위칭하는 제 7 접속수단; 및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5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제 4 접속수단과 상기 제 6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동시에 실행한 후에 상기 제 7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8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9 전위에 접속하는 제 4 접속수단;
    상기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8 전위로부터 상기 제 3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0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5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5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1 전위에 접속하는 제 5 접속수단;
    상기 제 5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5 라인으로부터 제 6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5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2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6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6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6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1 전위에 접속하는 제 6 접속수단;
    상기 제 6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6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6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6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7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 및 상기 제 16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7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6 라인으로 스위칭하는 제 8 접속수단; 및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5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그 후, 제 6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8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 동작을 행하기 위한 콘덴서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8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9 전위에 접속하는 제 4 접속수단;
    상기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8 전위로부터 상기 제 3 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및 상기 제 9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0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5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3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5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1 전위에 접속하는 제 5 접속수단;
    상기 제 5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제 5 라인으로부터 제 6라인으로 스위칭함과 아울러 상기 제 5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2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6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6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6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11 전위에 접속하는 제 6 접속수단;
    상기 제 4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4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4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제 4 라인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7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 및 상기 제 14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7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2 라인으로 스위칭하는 제 7 접속수단;
    상기 제 6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6 라인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제 6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6 전위에 접속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콘덴서 중 제 7 콘덴서의 한쪽의 단자를, 상기 제 8 전위 및 상기 제 9 전위 및 상기 제 10 전위 및 상기 제 11 전위 및 상기 제 12 전위 및 상기 제 16 전위와는 다른 소정의 전위를 갖는 제 15 전위에 접속함과 아울러 상기 제 7 콘덴서의 다른쪽의 단자의 접속을 상기 제 6 라인으로 스위칭하는 제 8 접속수단;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5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다시 제 4 접속수단과 상기 제 6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동시에 실행한 후에 상기 제 7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 3 제어수단; 및
    상기 제 4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5 접속수단에 의한 스위칭 동작 및 접속동작을 실행하고, 그 후, 상기 제 6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 후에 상기 제 8 접속수단에 의한 접속동작을 실행하는 제 4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제어수단과 상기 제 4 제어수단을 복수의 전원 중 필요로 하는 전원에 대응시켜 스위칭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회로의 접속을 온 오프하는 스위치 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스위치는 N채널형 트랜지스터, 또는 P채널형 트랜지스터, 또는 N채널형 트랜지스터와 P채널형 트랜지스터 양쪽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20. 제2항에 있어서, 각 전원을, 액정으로의 인가전압의 스위칭에 의해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정보표시를 위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장치.
KR1020040055254A 2003-07-15 2004-07-15 전원장치 KR200500085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74384 2003-07-15
JP2003274384A JP2005039936A (ja) 2003-07-15 2003-07-15 電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541A true KR20050008541A (ko) 2005-01-21

Family

ID=3405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254A KR20050008541A (ko) 2003-07-15 2004-07-15 전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12542A1 (ko)
JP (1) JP2005039936A (ko)
KR (1) KR20050008541A (ko)
CN (1) CN1576984A (ko)
TW (1) TW2005108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014B1 (ko) * 2006-02-24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센서를 위한 전력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4900B2 (ja) * 2004-11-08 2007-08-22 株式会社東芝 電圧供給回路
KR101119186B1 (ko) * 2005-04-06 2012-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패널, 이를 갖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293828B (en) * 2005-04-28 2008-02-2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Charge pump
EP1780700A3 (en) * 2005-10-28 2007-11-14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US8493036B2 (en) 2006-10-21 2013-07-23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Controllable charge paths, and related methods
US8310218B2 (en) * 2007-08-08 2012-11-13 Advanced Analogic Technologies, Inc. Time-multiplexed-capacitor DC/DC converter with multiple outputs
JP5583890B2 (ja) * 2008-02-29 2014-09-03 ピーエスフォー ルクスコ エスエイアールエル 昇圧回路および半導体装置
JP5374913B2 (ja) * 2008-04-21 2013-12-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源装置
US20090273955A1 (en) * 2008-05-01 2009-11-05 Tseng Tang-Kuei Optimum structure for charge pump circuit with bipolar output
US20110317456A1 (en) * 2008-05-01 2011-12-29 Tseng Tang-Kuei Optimum structure for charge pump circuit with bipolar output
EP2315342B1 (en) * 2009-10-23 2012-08-01 Voltea B.V. Apparatus for removal of ions, bi-directional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removal of ions
CN102640405B (zh) * 2010-11-12 2014-10-01 旭化成微电子株式会社 电荷泵电路及其控制方法、半导体集成电路
GB2499653B (en) 2012-02-24 2014-01-29 Toshiba Res Europ Ltd Multilevel power supply
CN107947567B (zh) * 2017-11-09 2020-04-07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电荷泵电路、控制方法及显示装置
CN112600409B (zh) * 2020-12-03 2022-03-22 华南理工大学 一种具有正负选通功能的开关电容电压转换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113A (en) * 1983-06-27 1985-07-23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Capacitor array
US5434569A (en) * 1993-09-01 1995-07-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for adjusting the coupling capacitor of a multi-stage weighted capacitor A/D converter
US5581454A (en) * 1994-11-22 1996-12-03 Collins; Hansel High power switched capacitor voltage conversion and regulation apparatus
US5684487A (en) * 1995-06-05 1997-11-04 Analog Devices, Incorporated A/D converter with charge-redistribution DAC and split summation of main and correcting DAC outputs
US6198645B1 (en) * 1998-07-02 2001-03-06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Buck and boost switched capacitor gain stage with optional shared rest state
US6304007B1 (en) * 1998-12-09 2001-10-16 Lovoltech, Inc. Switcher for switching capacitors
JP3150127B2 (ja) * 1999-02-15 2001-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昇圧回路
US6563235B1 (en) * 2000-10-03 2003-05-1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witched capacitor array circuit for use in DC-DC converter and method
US6927441B2 (en) * 2001-03-20 2005-08-09 Stmicroelectronics S.R.L. Variable stage charge pump
JP3557186B2 (ja) * 2001-09-26 2004-08-25 三洋電機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JP2003111386A (ja) * 2001-09-26 2003-04-11 Sanyo Electric Co Ltd Dc−dc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014B1 (ko) * 2006-02-24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센서를 위한 전력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12542A1 (en) 2005-01-20
TW200510846A (en) 2005-03-16
JP2005039936A (ja) 2005-02-10
CN1576984A (zh)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0955B2 (en) Charge pump-type booster circuit
US8665255B2 (en) Power supply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50008541A (ko) 전원장치
JP3675454B2 (ja) 昇圧回路、半導体装置及び表示装置
JP4858894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を用いた集積チャージポンプのdc/dc変換回路
US9013229B2 (en) Charge pump circuit
US7663427B2 (en) Booster circuit
US20070211503A1 (en) Charge-pump type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US7071765B2 (en) Boost clock genera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KR20060113534A (ko) 차지 펌프 회로를 갖는 전자기기
US8742833B2 (en) Charge pump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8456404B2 (en) Voltage boosting power supply circuit for monitoring charging voltage with predetermined voltage to detect boosted voltage, and boosted voltage control method
KR20070032927A (ko) 차지 펌프식 승압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US7843255B2 (en) Charge pump regulator and circuit structure
JP2008245500A (ja) 昇圧電源回路および昇圧電圧制御方法
JP3148070B2 (ja) 電圧変換回路
US8314648B2 (en) Power supply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236770B1 (en) High-voltage generator with multi-stage selection in low-voltage transistor process
US20090309650A1 (en) Booster circuit
JP4075830B2 (ja) 電源回路並びにそれを用いたドライバic、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136262A (ja) Dc−dcコンバータ及び表示装置
KR100663984B1 (ko) 시스템 온 글래스(SoG)를 위한 소 면적 차지 펌프 회로
JP4281359B2 (ja) チャージポンプ回路
KR100699818B1 (ko) 전압 변환승압 회로
JP4281360B2 (ja) チャージポンプ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