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136A -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136A
KR20050007136A KR1020040052160A KR20040052160A KR20050007136A KR 20050007136 A KR20050007136 A KR 20050007136A KR 1020040052160 A KR1020040052160 A KR 1020040052160A KR 20040052160 A KR20040052160 A KR 20040052160A KR 20050007136 A KR20050007136 A KR 20050007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tightening
signal
score
parts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2542B1 (ko
Inventor
미키야도시오
나카자와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고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한 조립작업에 있어서, 피체결부품의 부착잊음이나 잘못을 없애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데이터가 초기설정되고, 또한 워크가 세트되면 장치(1)(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는 전동(00-1)에 전원을 공급하고, 해당 드라이버로부터의 회전신호 및 토크업신호를 감시하여 각 나사의 체결을 검출하며, 설정된 나사점수와 사용한 나사점수가 일치하면 OK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다음 단의 장치(2)가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장치(1)와 똑같이 동작하며, 이와 같이 하여 최종단의 장치(n)가 OK신호를 출력하고, 워크를 릴리스하면 전체의 체결이 완료되며, 전단의 장치가 순조롭게 나사체결작업이 완료되지 않는 한 후단의 장치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나사조임인 채 앞으로 진행할 수 없고,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는 단체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DEVICE FOR NOTICING SCREW TIGHTENING}
본 발명은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조립작업 등에 있어서, 작업자가 전동드라이버에 의해 부품을 워크에 나사고정할 때에 나사조임잊음을 방지하기 위한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품조립작업에 있어서, 모재에 부품을 고정하거나 케이스에 커버를 부착할 필요가 있는데, 이와 같은 부재결합을 실시하기 위해 전동드라이버에 의한 나사의 체결작업공정이 있다. 나사에 의한 체결작업에서는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나사고정잊음이나 나사의 체결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나사고정잊음이나 체결불량 등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이하의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종래예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있어서는, 미리 체결점수(가짓수)를 설정해 두고, 체결공구인 전동드라이버측에서 해당 전동드라이버의 조작과 연동하여 나사조임을 실시했을 때의 체결완료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그리고 생성된 체결완료신호를 검출하여 계수함으로써 얻어진 체결점수가 설정점수에 일치하는지 아닌지에 의해 작업자에게 체결작업의 완료 또는 체결잊음 등의 이상을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특개2000-47705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공평7-80128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개2003-123050호 공보
그런데 체결작업 중의 작업자에 의한 조립미스로서 나사의 체결잊음이나 나사의 체결불량 외에 부품의 부착잊음이나 맞붙임부품틀림 등도 비교적 고빈도로 발생하고 있다. 또 나사가 확실하게 체결되어 있어도 피체결물인 부품이 잘못되어 있거나 피체결물이 없는 상태에서 모재에 나사가 체결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종래예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전동드라이버 1대에 대하여 1개의 나사조임잊음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근래 셀생산이나 스탠드(Stand)생산 등에 보이는 1인생산방식에서는 1인의 작업자가 복수대의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하여 1개의 제품을 완성품까지 조립작업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복수의 전동드라이버를 사용하는 1인생산방식에서는 복수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1인생산방식에서는 복수의 전동드라이버와 복수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1 대 1로 접속하여 각각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점수 등을 설정할 필요가 있는데, 그 경우 작업자에 대하여 나사를 체결하는 순서나 사용하는 전동드라이버를 명확하게 지시함으로써 순서대로의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외부에 시퀀스제어부(프로그래머블ㆍ컨트롤러)를 설치하고, 작업자가 순서대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 중의 작업자의 미스를 방지할필요가 있다.
그러나 시퀀스제어장치를 도입하는 데는 구입비용이 드는 동시에, 시퀀스제어장치와 복수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신호선으로 접속하거나, 또 시퀀스제어장치의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있는 등의 공정 및 비용이 든다. 그리고 이와 같이 비교적 큰 이니셜ㆍ코스트가 필요한 것은 소규모의 생산공장에서는 시퀀스제어장치의 도입에 큰 장해로 되어 있다.
또 다품종소량생산이나 셀생산, 스탠드생산 등의 생산방식에서는 조립하는 제품에 맞추어서 조립순서나 조립공정의 변경이 빈번히 실시되고 있으며, 그 때마다 시퀀스제어장치의 설정을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다대한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특허문헌 중 특개2000-47705호 공보에는 1대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전동드라이버를 접속 가능하게 한 장치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 장치에 있어서는, 전동드라이버의 접속댓수는 고정적이기 때문에 전동드라이버의 필요수를 충족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한편으로 필요수 이상으로 되어 잉여가 발생해 버려서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예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조임을 실시해서 제품을 조립할 때에 모재에 부착되는 피체결부품의 부착잊음이나 잘못을 없애어서 확실하게 조립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의 시퀀스제어장치를 이용하는 일 없이 작업자가 순서대로의 조립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순서변경 및 공정변경 등에의해 전동드라이버의 종류 및 사용댓수가 변경되어도 유연하고, 또한 확실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저가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제 1의 본 발명)은 워크에 부품을 나사조임할 때의 나사조임잊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워크에 부착해야 할 1 또는 복수의 부품을 설정하기 위한 제 1 설정수단과,
워크에 부품을 부착할 때에 필요한 나사조임의 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 2 설정수단과,
나사가 체결될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 계산하는 제 1 계산수단과,
부품이 실제로 꺼내어질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어느 부품이 실제로 꺼내어졌는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제 1 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부품이 모두 꺼내어졌는지를 판정하고, 또한 제 1 계산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 판정해서 부품이 모두 꺼내어지고, 또한 나사조임의 잔존점수가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나사체결작업의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판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제 1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나사조임잊음장치는,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수단과, 제 1 및 제 2 설정수단에 의해 부품 및 나사조임점수가 설정되고, 또한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N으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출력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판정수단이, 부품이 모두 꺼내어지고, 또한 나사조임의 잔존점수가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FF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제 2의 본 발명)은 워크에 부품을 나사조임할 때의 나사조임잊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워크에 부착해야 할 1 또는 복수의 부품의 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설정수단과,
워크에 부품을 부착할 때에 필요한 나사조임의 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 2 설정수단과,
부품이 실제로 꺼내어질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부품의 잔존점수를 계산하는 제 1 계산수단과,
나사가 체결될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 계산하는 제 2 계산수단과,
제 1 및 제 2 계산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부품의 잔존점수 및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 감시하고, 이들이 함께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나사체결작업의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판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제 2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는,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과, 제 1 및 제 2 설정수단에 의해부품점수 및 나사조임점수가 설정되고, 또한 제 2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N으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판정수단이, 부품잔존점수 및 나사조임잔존점수의 양쪽이 함께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FF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제 3의 본 발명)은 또한 워크에 부품을 나사조임할 때의 나사조임잊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며, 단체(單體) 및 복수 종속접속하여 사용 가능한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있어서,
워크에 부품을 부착할 때에 필요한 나사조임의 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설정수단과,
나사가 체결될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 계산하는 제 1 계산수단과,
제 1 계산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 감시하고, 해당 잔존점수가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나사체결작업의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판정수단과,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복수 종속접속하여 사용한 경우에 전단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로부터 완료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한 자신의 적어도 제 1 계산수단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제 3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있어서, 해당 장치는, 제 1 판정수단이 나사조임잔존점수가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사용한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FF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OFF신호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는, 워크에 부착해야 할 1 또는 복수의 부품을 설정하기 위한 제 2 설정수단과 부품이 실제로 꺼내어질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어느 부품이 실제로 꺼내어졌는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제 1 판정수단은 제 2 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부품이 모두 꺼내어졌는지를 판정하고, 또한 제 1 계산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 판정하며, 부품이 모두 꺼내어지고, 또한 나사조임의 잔존점수가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나사체결작업의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원OFF신호출력수단은 제 1 판정수단이, 부품이 모두 꺼내어지고, 또한 나사조임의 잔존점수가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FF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는, 워크에 부품을 부착해야 할 1 또는 복수의 부품의 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 3 설정수단과 부품이 실제로 꺼내어질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부품의 잔존점수를 계산하는 제 2 계산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제 1 판정수단은 제 1 및 제 2 계산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나사조임의 잔존점수 및 부품의 잔존점수를 감시하며, 이들이 함께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나사체결작업의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 경우 전원OFF신호출력수단은 제 1 판정수단이, 나사조임잔존점수 및 부품잔존점수의 양쪽이 함께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사용한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FF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는,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제 1 설정수단에 의해 나사조임의 점수가 설정되며, 또한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사용하는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N으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ON신호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가 제 2 설정수단 및 제 3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해당 장치는, 제 1 및 제 2 설정수단에 의해 나사조임점수 및 부품이 설정되고, 또한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N으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ON신호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또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가 제 3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해당 장치는, 제 1 및 제 3 설정수단에 의해 나사조임점수 및 부품점수가 설정되고, 또한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사용하는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N으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ON신호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이며, 제 3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복수 종속접속하여 사용해서 최초의 단으로 된 경우이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자신의 적어도 제 1 계산수단이 동작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3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있어서,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복수 종속접속하여 사용한 경우에 모든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있어서의 체결작업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기 위한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과, 최종단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가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출력한 경우에만 자신이 출력한 완료신호를 OFF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3 판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있어서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단체로 사용한 경우에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 자신의 적어도 제 1 계산수단이 동작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수단과,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이며,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단체로 사용한 경우에 항상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수신한 경우와 동일한 출력을 발생하는 전체체결완료신호수신수단과,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가 완료신호를 출력한 후에 전체체결완료신호수신수단의 출력을 판정하고, 전체체결완료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체체결완료신호수신수단은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복수 종속접속한 경우에는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수신했을 때에만 비도통으로 되고, 나사조임잊음장지장치를 단체로 사용한 경우에는 항상 비도통으로 되는 포토커플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있어서 입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부.
도 4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부.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부이며, 도 3 및 도 4의 흐름도에 이어서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복수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유닛으로서 종속접속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CPU 20: 조작입력부
30: 표시부 40: 신호입출력부
50: 기억부 60: 전원공급부
100: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200: 전동드라이버
또한 각 장치에 설치된 포토커플러(FC) 대신에 포토모스릴레이와 같은 전자적 스위치수단 또는 기계적 릴레이를 이용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단체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100)의 입출력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100)의 입출력신호는 이하와 같다.
입력신호
ㆍ워크검출센서로부터의, 워크가 세트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WORK신호(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종속접속한 경우에는 초단 이외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있어서는, WORK신호 대신에 전단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로부터의 OK신호가 입력된다.)
ㆍ부품꺼냄검출센서로부터의, 부품(A), 부품(B), 부품(C)의 꺼냄을 각각 나타내는 PART(A), PART(B)신호 및 PART(C)신호
ㆍ전동드라이버(200)로부터의 회전을 나타내는 회전신호
ㆍ전동드라이버(200)로부터의, 토크업에 의해 나사의 체결완료상태를 나타내는 TORQUE_UP신호
ㆍ복수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종속접속한 경우에 최종단 이외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가 최종단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로부터 받는, 체결완료를 나타내는 전체체결완료신호출력신호
ㆍ나사체결이 정상으로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OK신호
ㆍ워크가 작업 도중에 꺼내어진 것을 나타내는 NG신호
ㆍ복수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종속접속한 경우에 최종단으로 된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가 다른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출력하는, 체결완료를 나타내는 전체체결완료신호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3개의 부품(부품(A)∼부품(C))의 꺼냄에 대하여 감시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감시하는 부품의 수는 3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플러스의 정수로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이 경우 꺼냄을 감시하는 모든 부품이 나사조임에 사용되는 셈은 아니고, 사용되지 않는 부품이어도 해당 부품을 작업자가 잘못하여 사용해 버린 경우에 OK신호를 출력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꺼냄을 감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품(A) 및 부품(B)을 사용하고, 부품(C)을 사용하지 않는데, 이들 부품(A∼C) 모두의 꺼냄을 감시하고 있다.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100)에 있어서의 처리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CPU(10)를 구비하고, 또한 장치의 표면에 작업원 등에 의하여 초기설정을 실시하기 위한 조작입력부(20)와, 조작입력부(20)로부터의 입력상태 및 CPU(10)에 의한 처리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30)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30)는 LED 또는 문자화상 등의 가시표시수단인데, 해당 표시부와 함께 버저 등의 경보통지수단을 포함해도 좋다.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100)는, 신호입출력부(40)와,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50)와, 전동드라이버(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60) 대신에 전동드라이버(200)에 전원ON/OFF제어신호를 공급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따라서 전동드라이버(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도 3∼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100)에 있어서의 CPU(10)에 의한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나사체결작업을 개시하기 전에 작업원이 표시부(30)를 이용하면서 조작입력부(20)를 조작함으로써 초기설정을 실시한다. 초기설정되는 데이터는 체결해야 할 나사의 점수, 부품(A 및 B)의 점수 및 후술하는 나사조임예측타이머의 설정시간이며, 설정된 데이터는 스텝S1에 있어서 기억부(50)에 기억된다. 그리고 스텝S2에 있어서 CPU(10)는 후술하는 전체체결완료신호용 트랜지스터를 ON하고, 또한 스텝S3에 있어서 설정내용을 기억부(50)로부터 CPU(10)의 내부에 판독한다. 이에 따라 초기설정이 완료된다. 또 작업원에 의해 워크가 소정의 워크ㆍ스테이션에 배치된다.
또한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100)를 단체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전체체결완료신호용 트랜지스터를 구비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스텝S2(및 후술하는 스텝S24)는 불필요한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 종속접속하여 사용 가능한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단체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CPU(10)는 스텝S4에 있어서 WORK신호를 감시하고, WORK신호가 입력되면 워크가 워크ㆍ스테이션(워크재치대)에 재치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이어서 처리를 스텝S5로 이행시키고, 전원공급부(60)에 전원ON신호를 출력하여 전동드라이버(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전동드라이버(200)가 사용 가능상태로 된다.
CPU(10)는 그 후 스텝S6에 있어서 WORK신호에 의거하여 워크가 릴리스된 것을 판정하면, 스텝S7에 있어서 전원공급부(60)에 전원OFF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스텝S8에 있어서 NG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부(30)에 워크가 떼어내어진 것을 경고표시한다. NG신호에 의한 경고가 표시된 경우에는 스텝S4로 되돌아가고, 작업자가 워크를 재세트함으로써 CPU(10)의 처리 및 작업원에 의한 나사체결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워크가 릴리스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는 스텝S6로부터 스텝S9으로 이행하고, PART(A)신호를 감시함으로써 부품(A)이 꺼내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부품(A)이 꺼내어진 경우 스텝S9으로부터 스텝S10으로 진행하고, 스텝S10에 있어서 부품(A)의 잔존점수를 1 감산한다. 부품(A)이 꺼내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11으로 진행하고, PART(B)신호를 감시하여 부품(B)이 꺼내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부품(B)이 꺼내어졌을 때는 스텝S12로 진행하고, 부품(B)의 잔존점수를 1 감산한다. 부품(B)이 꺼내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13으로 진행한다. 이 실시형태의 설정에 있어서는, 부품(A 및 B)이 꺼내어지도록 설정되는데, 다른 설정에서는 부품(C)이 꺼내어지는 일이 있기 때문에 부품(C)의 부품꺼냄센서로부터의 PART(C)신호가 입력된다. 그 때문에 스텝S13에서는 PART(C)신호를 감시하여 부품(C)이 꺼내어졌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부품(C)이 꺼내어졌을 때는 이것은 잘못하여 떼어내어졌기 때문에 스텝S7에 있어서 전원공급부(60)에 전원OFF신호를 출력하고, 스텝S8에 있어서 NG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부(30)에 경고표시한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CPU(10)는 부품꺼냄검출센서가 접속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입력포트, 즉 PART(A), PART(B) 및 PART(C)신호를 감시하여 설정된 부품(A 및 B) 이외의 부품(C)이 꺼내어진 경우에도 경고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설정된 부품이외의 꺼냄잘못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S13에 있어서, 부품(C)이 꺼내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도 4의 스텝S14로 진행하고, 그리고 스텝S14∼S19에 있어서 나사체결이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판정한다.
즉 우선 스텝S14에 있어서 전동드라이버(200)가 회전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전동드라이버(200)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S6로 되돌아가고, 한편 회전하고 있는 경우는 처리가 스텝S15로 진행하여 나사조임예측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이 나사조임예측타이머의 타임업시간은 스텝S1에 있어서 나사의 길이에 따라서 미리 설정되어 있다. 그 후 스텝S16에 있어서 다시 전동드라이버(200)가 회전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것은 나사조임작업의 도중에서 일시 중단하거나 나사가 물려들어가서 나사가 흔들리고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함이다. 전동드라이버(200)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S6로 되돌아간다.
전동드라이버(200)가 회전하고 있는 경우 스텝S17에 있어서 나사조임예측타이머가 타임업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타임업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S18에 있어서 전동드라이버(200)가 회전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다시 판정한다.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텝S19에 있어서 TORQUE_UP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해당 TORQUE_UP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이것은 정상으로 나사가 체결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스텝S20에 있어서 나사잔존점수로부터 1 감산한다. 또한 TORQUE_UP신호는 전동드라이버(200)가 소정의 체결토크에 도달하고나서 소정 시간 발생된다. TORQUE_UP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전동드라이버(200)가 공전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스텝S6로 되돌아간다.
스텝S10, S12 및 S20에 있어서, 감산결과를 부품(A) 및 부품(B)의 잔존점수 및 나사의 잔존점수로서 표시부(30)에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부품 및 나사의 부착마다 잔존점수로부터 1 감산하여 제로가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하는 대신에 사용완료의 점수를 누산하고, 그 값이 설정값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CPU(10)는 스텝S21에 있어서, 나사, 부품(A) 및 부품(B)의 전체의 잔존점수가 제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S21에서의 판정결과가 NO인 경우 스텝S6로 되돌아가서 상기 설명한 스텝S6∼S20를 반복한다.
나사, 부품(A) 및 부품(B) 전체의 잔존점수가 제로로 된 경우 스텝S21으로부터 도 5의 스텝S22로 진행하고, 전동드라이버(200)로의 전원공급을 OFF시키도록 전원공급부(60)에 전원OFF신호를 공급하며, 그리고 스텝S23에 있어서 나사체결이 순조롭게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OK신호를 출력한다. 이 나사체결의 완료도 표시부(30)에 표시된다. 작업원은 표시부(30)에 있어서의 나사체결의 완료표시를 보고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100)에 접속된 전동드라이버(200)에서의 나사체결동작이 완료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원은 워크를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 꺼낸다. 또 스텝S24에 있어서,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출력하는데, 이 예에 있어서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100)를 단체로 사용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전체체결완료신호는 외부로 출력되는 일은 없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100)를 단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체체결완료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스텝S25로부터 스텝S26로 진행한다. 그리고 워크가 릴리스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스텝S27으로 이행하고, OK신호의 출력을 OFF로 한다.
다음으로 도 6 및 앞서 설명한 도 3∼도 5를 참조하여 도 1에 나타낸 복수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종속접속한 겨웅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는, n개(다만 n은 2 이상의 정수)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100)(장치(1), 장치(2), ㆍㆍㆍ, 장치(n))가 종속접속되고, 이들 장치(1∼n)에 전동드라이버(200)(전동드라이버(1), 전동드라이버(2), ㆍㆍㆍ, 전동드라이버(n))가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부품을 꺼낸 것을 나타내는 PART( )신호가 각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입력되어 있지 않은데, 이와 같은 PART(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이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PART(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도 3의 스텝S9∼S13의 부품에 관련되는 처리스텝이 불필요한 동시에, 도 4의 스텝S21에 있어서의 부품에 관련되는 판정식도 불필요하다.
또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각각에 별개의 전동드라이버를 접속하는 대신에 몇 개나 또는 전부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동일한 전동드라이버를 접속해도 좋다.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가 종속접속되어 있는 경우 후단의 장치에 있어서는, WORK신호 대신에 전단의 장치로부터 OK신호가 입력된다. 즉 전단의 장치로부터의 OK신호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의 장치에 있어서는 WORK신호로서 인식된다. 따라서 후단의 장치에 있어서는, 전단의 장치로부터 OK신호(도 5의 스텝S23에 있어서 발생)를 받았는지 아닌지는 WORK신호를 받았는지 아닌지와 동등하며, 따라서 도 3의 스텝S4에 있어서 판정된다. 그리고 스텝S4에 있어서 OK신호를 받았다고 판정하지 않는 한 그 이후의 스텝이 실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후단의 장치(i)에 있어서는, 전단의 장치(i-1)로부터의 OK신호가 공급되어 있지 않으면 전동드라이버(i)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나사체결작업을 개시할 수 없다. 따라서 표시부(30)에 나사체결완료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데도 불구하고 전단의 나사체결작업을 종료시켜 버린 경우이어도 작업자는 전단의 작업에 불비가 있었던 것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작업을 개시하기 전에 작업자는 각각의 장치(1∼n)의 조작입력부(20)를 조작하여 스텝S1에 있어서 초기설정된 데이터를 기억부(50)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전체체결완료신호용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킨다.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100)에 있어서는, 포토커플러(FC)의 포토트랜지스터가 비도통인 때 전체체결완료신호가 입력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종단의 장치(n)가 전체체결완료신호출력용의 트랜지스터(Tr)를 ON하면 장치(1)∼장치(n-1)의 포토커플러(FC)의 포토트랜지스터가 ON상태로 되고, 장치(1)∼장치(n-1)는 전체체결완료신호가 입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된다. 그리고 워크스테이션에 워크가 세트되면 WORK신호가 장치(1)에 공급된다. 장치(1)는 이것을 검출하고, 장치(1)는 전동드라이버(200-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60)에 ON신호를 공급한다(스텝S5). 이에 따라 전동드라이버(200-1)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리고 장치(1)의 제어하에서 나사체결작업이 적절히 실행되면 OFF신호를 전원공급부(60)에 공급하고, 전동드라이버(200-1)의 전원을 차단시키며(스텝S22), 또한 장치(2)에 대하여 OK신호를 발생한다(스텝S23).
그리고 장치(1)는 도 5의 스텝S23에 있어서, 전체체결완료신호출력용 트랜지스터(Tr)를 OFF로 함으로써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출력하는데, 다른 장치(2)∼장치(n)와의 사이에는 해당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신호선이 접속되어 있지 않다(즉 장치(1)의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트랜지스터(Tr)는 다른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종단의 장치(n)로부터의 전체체결완료신호만이 신호선(L)을 통하여 다른 장치(1)∼장치(n-1)에 전달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 장치의 포토커플러(FC)의 포토트랜지스터가 비도통상태인 경우 전체체결완료신호가 입력되어 있게 된다. 또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단체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포토커플러의 입력단자가 오픈상태이기 때문에 전체체결완료신호가 입력된 상태이다.
그 후 장치(1)는 도 5의 스텝S25에 있어서 신호선(L)을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를 감시하고, 최종단의 장치(n)가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출력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전체체결완료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경우 스텝S26에 있어서 워크가 릴리스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릴리스되어 있는 경우 스텝S27으로 진행하여 OK신호를 OFF로 한다.
한편 스텝S25에 있어서, 전체체결완료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즉 포토커플러(FC)의 포토트랜지스터가 도통인 경우 스텝S28으로 진행하여 워크가 릴리스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릴리스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29에있어서 OK신호의 출력을 OFF로 하고, 릴리스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30에 있어서 ON신호를 출력하며, 어느 쪽의 경우도 스텝S25로 되돌아간다. 또한 워크가 릴리스된 경우 스텝S29에 있어서 OK신호를 OFF하는데, 그 후 스텝S25를 통하여 스텝S28으로 되돌아갔을 때에 워크가 다시 재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처하여 일단 OFF된 OK신호를 스텝S30에 있어서 다시 ON으로 한다.
장치(2)에서는 OK신호(=WORK신호)가 공급된 것을 판정하면 전동드라이버(2)의 전원공급이 실시되고, 설정된 나사체결작업이 실행된다. 그 결과 적절한 나사체결작업이 실행되면 OFF신호 및 OK신호가 발생된다. 그 후도 장치(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처리가 실행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최종단의 장치(n)에 있어서 설정된 나사체결작업이 적절하게 실행되면 해당 장치(n)는 OK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설정된 모든 나사체결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그 후 장치(n)는 스텝S24에 있어서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출력한다. 해당 신호는 장치(n)의 전체체결완료신호출력용 트랜지스터(Tr)를 OFF시킴으로써 출력되고, 다른 장치(1)∼장치(n-1)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이들 다른 장치(1)∼장치(n-1)의 포토트랜지스터가 OFF상태로 되고, 각 장치는 도 5의 스텝S25에 있어서 전체체결완료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정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워크를 워크스테이션으로부터 떼어낸다.
이에 따라 각 장치(1-n)는 스텝S26에 있어서 워크가 릴리스되었다고 판정하고, 스텝S27에 있어서 OK신호의 출력을 OFF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외부의 시퀀스제어장치를 이용하는 일 없이 해당 시퀀스제어장치를 이용한 경우와 동등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 토탈의 나사점수를 1개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설정하는 경우는 모든 작업이 끝나고나서가 아니면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없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속접속되는 복수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나사점수가 적절히 분산설정되기 때문에 1개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관한 작업이 종료할 때마다 작업의 좋고 나쁨판정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불량부분을 특정하는 것이 용이하며, 나아가서는 불량부분의 수정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나사의 점수만이 아니라 워크에 고정해야 할 1 또는 복수의 부품의 갯수도 각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그들이 적절히 사용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나사체결작업을 보다 적절하게 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는 단체로서 사용 가능한 동시에, 종속접속의 댓수에 제한이 없는 것에서 이니셜코스트 및 시간의 절약에 다대한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도입 후의 생산공정의 변경 등에도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런닝코스트 및 시간의 점에서도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품의 생산비용삭감에 크게 공헌할 수 있다.

Claims (20)

  1. 워크에 부품을 나사조임할 때의 나사조임잊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워크에 부착해야 할 1 또는 복수의 부품을 설정하기 위한 제 1 설정수단과,
    워크에 부품을 부착할 때에 필요한 나사조임의 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 2 설정수단과,
    나사가 체결될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 계산하는 제 1 계산수단과,
    부품이 실제로 꺼내어질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어느 부품이 실제로 꺼내어졌는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제 1 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부품이 모두 꺼내어졌는지를 판정하고, 또한 제 1 계산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 판정하여 부품이 모두 꺼내어지고, 또한 나사조임의 잔존점수가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나사체결작업의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제 2 판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해당 장치는,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수단과,
    제 1 및 제 2 설정수단에 의해 부품 및 나사조임점수가 설정되고, 또한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N으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해당 장치는,
    제 2 판정수단이, 부품이 모두 꺼내어지고, 또한 나사조임의 잔존점수가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FF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4. 워크에 부품을 나사조임할 때의 나사조임잊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워크에 부착해야 할 1 또는 복수의 부품의 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설정수단과,
    워크에 부품을 부착할 때에 필요한 나사조임의 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 2 설정수단과,
    부품이 실제로 꺼내어질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부품의 잔존점수를 계산하는 제 1 계산수단과,
    나사가 체결될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계산하는 제 2 계산수단과,
    제 1 및 제 2 계산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부품의 잔존점수 및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 감시하고, 이들이 함께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나사체결작업의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판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해당 장치는,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과,
    제 1 및 제 2 설정수단에 의해 부품점수 및 나사조임점수가 설정되고, 또한 제 2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N으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해당 장치는,
    제 1 판정수단이 부품잔존점수 및 나사조임잔존점수의 양쪽이 함께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FF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7. 워크에 부품을 나사조임할 때의 나사조임잊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며, 단체 및 복수 종속접속하여 사용 가능한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있어서,
    워크에 부품을 부착할 때에 필요한 나사조임의 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 1 설정수단과,
    나사가 체결될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 계산하는 제 1 계산수단과,
    제 1 계산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 감시하고, 해당 잔존점수가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나사체결작업의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제 1 판정수단과,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복수 종속접속하여 사용한 경우에 전단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로부터 완료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한 자신의 적어도 제 1 계산수단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판정수단이 나사조임잔존점수가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사용한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FF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OFF신호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워크에 부착해야 할 1 또는 복수의 부품을 설정하기 위한 제 2 설정수단과,
    부품이 실제로 꺼내어질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어느 부품이 실제로 꺼내어졌는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제 1 판정수단은 제 2 설정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부품이 모두 꺼내어졌는지를 판정하고, 또한 제 1 계산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나사조임의 잔존점수를 판정하며, 부품이 모두 꺼내어지고, 또한 나사조임의 잔존점수가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나사체결작업의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전원OFF신호출력수단은 제 1 판정수단이, 부품이 모두 꺼내어지고, 또한 나사조임의 잔존점수가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FF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워크에 부품을 부착해야 할 1 또는 복수의 부품의 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제 3 설정수단과,
    부품이 실제로 꺼내어질 때마다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부품의 잔존점수를 계산하는 제 2 계산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제 1 판정수단은 제 1 및 제 2 계산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나사조임의 잔존점수 및 부품의 잔존점수를 감시하며, 이들이 함께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나사체결작업의 완료를 나타내는 완료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전원OFF신호출력수단은 제 1 판정수단이 나사조임잔존점수 및 부품잔존점수의 양쪽이 함께 제로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사용한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FF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13. 제 7 항, 제 8 항, 제 10 항,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설정수단에 의해 나사조임의 점수가 설정되며, 또한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사용하는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N으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ON신호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설정수단에 의해 나사조임점수 및 부품이 설정되고, 또한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N으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ON신호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3 설정수단에 의해 나사조임점수 및 부품점수가 설정되고, 또한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사용하는 전동드라이버의 전원을 ON으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ON신호출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복수 종속접속하여 사용해서 최초의 단으로 된 경우이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자신의 적어도 제 1 계산수단이 동작하도록 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18. 제 7 항, 제 8 항, 제 10 항,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복수 종속접속하여 사용한 경우에,
    모든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에 있어서의 체결작업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기 위한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과,
    최종단의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가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출력한 경우에만 자신이 출력한 완료신호를 OFF로 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단체로 사용한 경우에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워크가 작업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때 자신의 적어도 제 1 계산수단이 동작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수단과,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이며,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단체로 사용한 경우에 항상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수신한 경우와 동일한 출력을 발생하는 전체체결완료신호수신수단과,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가 완료신호를 출력한 후에 전체체결완료신호수신수단의 출력을 판정하고, 전체체결완료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전체체결완료신호수신수단은,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복수 종속접속한 경우에는 전체체결완료신호를 수신했을 때에만 비도통으로 되고,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를 단체로 사용한 경우에는 항상 비도통으로 되는 포토커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KR1020040052160A 2003-07-11 2004-07-06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KR100652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73253 2003-07-11
JP2003273253A JP3998614B2 (ja) 2003-07-11 2003-07-11 ねじ締め忘れ防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136A true KR20050007136A (ko) 2005-01-17
KR100652542B1 KR100652542B1 (ko) 2006-12-06

Family

ID=3421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160A KR100652542B1 (ko) 2003-07-11 2004-07-06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98614B2 (ko)
KR (1) KR100652542B1 (ko)
CN (1) CN100511043C (ko)
TW (1) TWI2580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7284B2 (ja) * 2006-10-03 2012-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ジ締め本数管理システム、ネジ締め本数管理方法、ネジ締め本数管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704373B2 (ja) * 2007-02-21 2011-06-15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組立方法
JP5475532B2 (ja) * 2010-04-16 2014-04-16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作業ユニット
CN103659250A (zh) * 2012-09-25 2014-03-26 上海电装燃油喷射有限公司 柴油机燃油喷射泵的前壳部件和泵体的联接装配方法
US9156148B2 (en) * 2013-05-10 2015-10-13 Snap-On Incorporated Preset electronic torque too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3785A (en) * 1991-10-23 1994-09-06 Emerson Electric Co. Ultrasonic bolting control apparatus
JP2799820B2 (ja) * 1993-09-17 1998-09-21 マルホン工業株式会社 パチンコ機
KR960011081B1 (ko) * 1993-12-09 1996-08-20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볼트 토크작업시 작업누락 방지기능을 구비한 스톱퍼 제어장치
KR200163955Y1 (ko) * 1997-07-01 2000-01-15 배섭 직류전동드라이버 제어장치(Control means for direct current driving driver)
JP2000047705A (ja) 1998-07-28 2000-02-18 Hitachi Ltd 作業指示装置
JP2001009750A (ja) 1999-06-30 2001-01-16 Tohnichi Mfg Co Ltd ねじ締め作業時の情報提供方法
KR20010046851A (ko) * 1999-11-16 2001-06-15 이계안 차량용 나사 체결 시스템 및 그 체결 보증 제어방법
JP2002160176A (ja) * 2000-11-27 2002-06-04 Fujitsu I-Network Systems Ltd ネジ状物体を回転させるロボット
JP2002258901A (ja) 2001-02-27 2002-09-13 Okuma Corp パラレルメカニズム機械の制御装置
JP2003123050A (ja) 2001-10-09 2003-04-25 Sugisaki Keiki Kk 電気工具の作業回数計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7191A (zh) 2005-02-09
TW200513816A (en) 2005-04-16
JP2005028551A (ja) 2005-02-03
CN100511043C (zh) 2009-07-08
TWI258063B (en) 2006-07-11
JP3998614B2 (ja) 2007-10-31
KR100652542B1 (ko)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5299B2 (ja) 締付トルク測定ユニット及びトルク表示締付機
US7703330B2 (en) Power tool
US10967487B2 (en) Threaded member tightening tool and counting apparatus
US5003297A (en) Method of detecting failure to tighten screws against works and device therefor
US11077539B2 (en) Electric motor-driven tool, and control device and control circuit therefor
KR100652542B1 (ko) 나사조임잊음방지장치
CN105215953A (zh) 电动工具
JP5362498B2 (ja) 締付データ管理システム
EP3275596A1 (en) Fastening tool for screw-coupling member
JPH11129164A (ja) 情報を活用する工具、ならびに、その工具システム
JP2008213085A (ja) 電動工具制御システム
US6917837B2 (en) Controller having an impact sensor
CN113561118B (zh) 无线扭力扳手的防错控制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JP4724137B2 (ja) 締付トルク測定ユニット及びボルト・ナット締付機
JPH08286701A (ja) 複数ロボット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10297395A (ja) 電子制御装置
KR20180000686U (ko) 전동 스크류드라이버를 위한 작동 검출 장치
KR101291972B1 (ko) 자동 렌치용 토크 조정 제어 장치 및 자동 렌치
JP4102204B2 (ja) エリアセンサ用制御器
JP3135043U (ja) トルク検知表示タイプのトルクスパナ
JPH1063377A (ja) 自動電源投入制御装置
JPH06231372A (ja) 電子機器の着脱パネル検出装置
JPH01183299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ターミナル装置
JPS61173326A (ja) コンピユ−タシステムの自動運転制御装置
JPH10277850A (ja) 組立用ツールの作業完了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