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338A - 가전제품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338A
KR20050006338A KR1020030046032A KR20030046032A KR20050006338A KR 20050006338 A KR20050006338 A KR 20050006338A KR 1020030046032 A KR1020030046032 A KR 1020030046032A KR 20030046032 A KR20030046032 A KR 20030046032A KR 20050006338 A KR20050006338 A KR 20050006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pedestal
hook
slide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0544B1 (ko
Inventor
조한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544B1/ko
Priority to US10/875,313 priority patent/US20040263032A1/en
Priority to AU2004202896A priority patent/AU2004202896B2/en
Priority to EP04253846A priority patent/EP1491676A3/en
Priority to CNB200410059474XA priority patent/CN100510500C/zh
Publication of KR2005000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544B1/ko
Priority to US12/149,253 priority patent/US20080203872A1/en
Priority to US12/379,544 priority patent/US20090167129A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등의 가전제품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드럼세탁기 혹은 의류건조기등의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받침대 구조를 개선하여, 받침대가 단순히 받침대 역할을 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내부 공간이 활용되는 등 기능이 다양화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서랍이 받침대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 진입할 경우 자동적으로 록킹되어 쉽게 서랍을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가 기울어지더라도 서랍이 앞으로 빠져나오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받침대 본체와; 상기 받침대 본체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랍과; 상기 서랍이 출입할 때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수단과; 상기 서랍이 받침대 본체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 진입할 경우, 저절로 서랍이 닫히도록 함과 더불어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서랍이 앞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서랍 셀프록킹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전제품용 받침대{pedestal for supporting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 또는 의류건조기등의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드럼세탁기 혹은 의류건조기에 공용으로 적용됨과 더불어 기능의 다양화를 도모한 받침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방식의 가전제품으로서,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기존 드럼 세탁기 및 받침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세탁기(DW)의 외관과 상기 드럼세탁기(DW)를 올려놓는 받침대(P)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일반적인 드럼세탁기(DW)는 대략 직육면체의 외관을 이루고 있으며, 세탁기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과 도어가 전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종래 펄세이터 방식을 사용하는 세탁기에서는 사용자가 세탁기를 조작하거나,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작업을 선상태에서 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불편을 못 느꼈으나, 드럼세탁기(DW)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설치된 도어를 열고 세탁물을 넣거나 수거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드럼세탁기(DW)에는 선택적으로 받침대(P)가 제공되고 있다.
기존의 받침대(P)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럼세탁기(DW)의 설치면적과 유사한 면적을 갖도록 사방향에서 패널(24)이 수직상으로 설치되고, 서로 직교합되도록 설치된 모서리에 드럼세탁기(DW)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판(21)을 형성하여 드럼세탁기(DW)의 레그(11)를 상기 받침판(21) 위에 올려놓음으로써 드럼세탁기(DW)의 높이를 높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P)의 저면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볼트 구조를 갖는 레그(22)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P)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혀 세탁물을 넣거나 수거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부수적인 목적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목조가옥인 경우(일례로 일본의 대부분의 가정) 드럼세탁기(DW)를 목조바닥에 설치하였을 때 드럼세탁기(DW)를 작동시 드럼세탁기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세탁조와 세탁조의 세탁물 및 구동모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이 목조바닥으로 그대로 전해져 목조바닥 자체에서 진동에 의한 떨림이 발생하고 또한 이에 수반하여 소음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드럼세탁기(DW)의 받침대(P)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 금속재로 제조되어 상당한 중량을 갖는 받침대(P)는 드럼세탁기(DW)가 진동하더라도 목조바닥에 전달되는 진동량 및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받침대(P)는 드럼세탁기 뿐만 아니라, 의류건조기(CD)에도 적용된다.
그러나, 드럼세탁기(DW)나 의류건조기(CD)에 적용되는 기존의 받침대(P)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단점이 있었다.
기존의 받침대(P)는 말그대로 드럼세탁기(DW)나 의류건조기(CD)의 위치가 높아지도록 떠받치는 받침대 역할 밖에는 수행하지 못하는 구조였다.
즉, 받침대가 차지하는 공간도 비교적 큰 공간이나, 아무런 용도로도 활용되지 못함으로써 공간 활용 측면에서 아무런 이득을 볼 수 없었다.
이와 더불어, 드럼세탁기(DW)나 의류건조기(CD)는 동일 크기라도 내부 구조의 차이로 인해 레그의 위치가 각기 달라지게 됨으로 인해, 받침대(P)의 받침판을 각기 달리 제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레그 위치에 맞추어 받침판 위치나 면적을 달리 해야 하므로 인해 제작시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받침대(P)는 드럼세탁기(DW) 또는 의류건조기(CD)의 레그가 단순히 받침판(21) 위에 놓이기만 하는 구조여서 드럼세탁기 혹은 의류건조기의 진동으로 인해 받침대(P)에 대한 드럼세탁기 또는 의류건조기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드럼세탁기 혹은 의류건조기등의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받침대 구조를 개선하여, 받침대가 단순히 받침대 역할을 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내부 공간이 활용되는 등 기능이 다양화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서랍이 받침대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 진입할 경우 자동적으로 록킹되어 쉽게 서랍을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가 기울어지더라도 서랍이 앞으로 빠져나오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기존 받침대가 적용된 드럼세탁기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받침대가 적용된 드럼세탁기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받침대만을 나타난 사시도로서, 상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받침대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부면 일부를 제거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받침대의 서랍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핸들과 전면커버간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Ⅰ-Ⅰ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받침대에 적용되는 서랍 셀프록킹 장치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로서,
도 10a는 서랍이 완전히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b는 서랍이 조금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셀프록킹 상태가 해제되기 직전의 상태도
도 10c는 셀프록킹이 완전히 해제된 후의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받침대 하부에 장착되는 레그 어셈블리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A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받침대 1:받침대 본체
1a:개방부 1b:체결공
2:서랍 2a:서랍본체
2b:전면커버 20b:도피홈
21b:핸들 아우터 고정홈 2c:핸들
20c:핸들 아우터 21c:핸들 인너
3:보강용 브라켓 4:바인딩 브라켓
5:받침대 슬라이드 500:걸림편
6:서랍 슬라이드 60:후크어셈블리
600:셀프록 바디 601:제1안내장공
602:제2안내장공 603:걸림공
604:돌출부 650:후크
651:후크홈 652:제1핀
653:제2핀 660:복원스프링
7:구름부재 조립체 7a:구름부재 지지부재
7b:구름부재 8:레그 안착부재
8a:안착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는, 본 발명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받침대 본체와; 상기 받침대 본체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랍과; 상기 서랍이 출입할 때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수단과; 서랍이 받침대 본체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 진입할 경우, 저절로 서랍이 닫히도록 함과 더불어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서랍이 앞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서랍 셀프록킹 장치;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P)의 구성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받침대 본체(1)와, 상기 받침대 본체(1)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랍(2)으로 크게 대별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서랍(2)은, 수납공간을 이루게 되는 서랍본체(2a)와, 상기 서랍본체(2a) 전면을 가리는 전면커버(2b)와, 상기 전면커버(2b)에 결합되는 핸들(2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전면커버(2b)는, 받침대 본체(1) 앞쪽면 전체를 커버하는 면적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2c)은 조립체로서,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핸들 아우터(20c)와, 상기 핸들 아우터(20c) 내측면에 형성된 보스(미도시)에 스크류 체결되는 핸들 인너(21c)로 이루어져, 핸들은 위평면에서 볼 때 대략 "ㄷ"자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2b) 중앙부에는 손잡이 부분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도피홈(20b)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2b)의 양측에는 핸들 아우터(20c)의 돌출된 양단부가 삽입되는 핸들 아우터 고정홈(2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2b)의 핸들 아우터 고정홈(21b) 내측면 아래쪽에는 후술하는 걸림편(210c)이 걸리는 걸림홈(210b)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2b)의 양측 전면으로는 후술하는 핸들 아우터의 체결보스(220c)가 삽입되는 위치결정홈(220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홈(220b)의 안쪽벽면(즉, 전면커버의 후벽면)에는 스크류를 체결보스(220c)에 체결시 나사산부만 관통하고 스크류의 머리부분이 걸리도록 하는 관통공(230b)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핸들 아우터(20c)의 핸들 아우터 고정홈(21b)에 안착되는 면(즉, 핸들 아우터의 수평면)의 끝단에는 상기 걸림홈(210b)에 형합되는 걸림편(210c)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 아우터(20c)의 전면커버(2b)에 밀착되는 면(즉, 핸들 아우터의 수직면)상에는 상기 전면커버(2b)의 관통공(230b)을 통과한 스크류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보스(220c)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핸들 아우터(20c)의 수평면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210c)이 핸들 아우터 고정홈(21b) 후방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210b)에 형합됨과 더불어, 상기 핸들 아우터(20c)의 수직면 상에 형성된 체결보스(220c)가 전면커버(2b) 양측의 위치결정홈(22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커버(2b)의 관통공(230b)을 관통하여 체결보스(220c)에 스크류가 체결됨으로써, 핸들(2c)이 전면커버에 장착된다.
이 때, 상기 전면커버(2b) 후벽면의 관통공(230b) 주위를 서랍앞쪽 방향으로 요입되게 하여 스크류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핸들 아우터(20c)는 전면커버 양측의 고정홈(21b)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 체결에 의해서만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홈 및 전면커버에 후크홈이 각각 형성되고 핸들 아우터에 복수개의 후크가 설치되어 후크결합만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대 본체(1) 상부면 모서리에는 드럼세탁기(DW) 혹은 의류건조기(CD)의 레그 위치에 대응하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안착공(8a)이 형성된 레그 안착부재(8)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각 레그 안착부재(8)에 형성되는 안착공(8a)은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공(8a)은 받침대 본체(1) 상면에 의해 막힘으로써 레그 안착홈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안착공(8a)이 형성된 레그 안착부재(8)를 이용하여 안착홈을 형성하는 대신, 받침대 본체(1) 상면의 소정 위치에 안착홈을 일체로 각각 형성하여 레그가 그 위치에 안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받침대 본체(1)의 전방 개구부 양측에는 받침대(P) 상부면에 놓이는 드럼세탁기(DW) 혹은 의류건조기(CD)등 제품의 수직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보강용 브라켓(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 본체(1)의 외측 양측면에는, 상기 받침대 본체(1) 상부면에 놓이는 드럼세탁기(DW) 혹은 의류건조기(CD)와 상기 받침대 본체(1)를 한데 묶어주는데 사용되는 바인딩 브라켓(4)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a)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 본체(1) 및 서랍본체(2a)에는, 상기 서랍(2)이 출입할 때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수단(S)은, 받침대 본체(1)의 양측 내면에 고정되는 바(bar) 또는 채널(channel) 형태의 받침대 슬라이드(5)와, 서랍(2)의 양측 외면에 고정되며 "ㄷ"자형 단면을 갖는 채널(channel) 형태로서 상기 받침대 슬라이드(5)를 감싸는 구조를 이루는 서랍 슬라이드(6)와, 상기 받침대 슬라이드(5)와 서랍 슬라이드(6) 사이에 개재되는 구름부재 조립체(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받침대 슬라이드(5)와 서랍 슬라이드(6)의 형상은 반대 모양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구름부재 조립체(7)는, 받침대 슬라이드(5)를 감싸는 "ㄷ"자형 단면 구조의 구름부재 지지부재(7a)와, 상기 구름부재 지지부재(7a)의 양측벽에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름부재(7b)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구름부재(7b)로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볼(ball)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서랍(2)이 출입하는 방향으로 구르도록 롤러(roller)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구름부재(7b)에는 마찰감소를 위해 그리스등의 윤활제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 슬라이드(6)는 서랍본체(2a) 양측면에 구비된 서랍브라켓(2d)에 스크류 체결되어 고정되거나(도 4참조), 서랍본체(2a)에 직접 결합된다.
한편,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서랍 슬라이드(6)와 받침대 슬라이드(5)에는 서랍이 받침대(P)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 진입할 경우, 저절로 서랍이 닫히도록 함과 더불어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서랍이 앞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서랍 셀프록킹 장치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서랍 셀프록킹 장치는, 받침대 슬라이드(5) 내측 끝단부에 구비되는 걸림편(500)과, 상기 걸림편(500)에 대응하여 서랍 슬라이드(6) 내측 끝단부에 구비되는 후크어셈블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크어셈블리(60)는 서랍 슬라이드(6) 내측 끝단부에 고정되며 면상에 서랍의 인출방향을 따라 나란히 제1 및 제2안내장공(601)(602)이 형성되되, 제2안내장공(602)의 끝단부에 제1안내장공(601)쪽으로 굽은 걸림공(603)이 연장형성되는 셀프록 바디(600)(self-lock body)와; 상기 셀프록 바디(600)의 제1 및 제2안내장공(601)(602)에 위치하는 제1핀(652) 및 제2핀(653)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안내장공(602)을 따라 이동함과 더불어 제1안내장공(601)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핀(652)을 회전중심으로 서랍의 진행방향에 따라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후크(650)와, 상기 후크(650)의 제1핀(652)과 셀프록 바디(600)의 서랍 전방쪽 일측에 연결되어 후크(650)를 탄력지지하는 복원스프링(6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편(500)은, 서랍 슬라이드(6)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되며 일자형 바(bar) 형태를 이루게 되고, 상기 후크(650)의 후크홈(651)은 상기 걸림편(500)의 형상에 맞게 "??"자형 요입홈 형태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제2안내장공(602)과 걸림공(603)이 이어지는 절곡지점에는 라운드 구조의 돌출부(604)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홈의 입구는 좁은 병목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핀(652) 또는 제2핀(653)은 고정된 핀 형태 뿐만 아니라, 롤러와 같이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원스프링(660)은 인장스프링일 경우, 셀프록 바디(600)의 서랍 전방쪽 일측과 후크(650)의 제1핀(652) 사이에 연결된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받침대 본체(1) 하부면 모서리에는 높이조절용 레그 어셈블리(L)가 장착된다.
상기 높이 조절용 레그 어셈블리(L)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100)와 그 끝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레그 볼트(10)와, 상기 레그 볼트(10)의 헤드부에 밀착되는 연질 부재인 쿠션(20)과, 상기 쿠션(20)이 레그 볼트(10)의 헤드부에 압착되도록 상기 쿠션(20)과 레그 볼트(10)를 한데 묶어주는 홀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레그 볼트(10)의 헤드부에는, 원형의 납작머리부(110)와, 상기 납작머리부(110) 중앙에 나사 전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마루부(120)(floor)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쿠션(20)은, 상기 레그 볼트(10)의 헤드부에 구비되는 원형의 납작머리부(110) 및 그 중앙부에 구비되는 마루부(120)에 형합하는 형태로서, 일종의 캡(cap)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품에 레그 설치시 쿠션(20)이 제품 설치면에 닿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홀더(30)는, 상기 마루부(120)에 형합하는 쿠션(20)이 삽입되는 통공이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쿠션(20)의 가장자리면을 가압하게 되는 가압부(300)와, 상기 가압부(300)가 쿠션(20)의 가장자리를 레그 볼트(10)의 헤드부쪽으로 압착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후크(310a)를 구비한 플랜지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30)의 가압부(300) 내면으로부터 후크(310a)까지의 거리(d)는 압축전 쿠션(20) 가장자리의 두께(t1)와 레그 볼트(10)의 납작머리부(110)의 두께(t2)의 합 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30)의 가압부(300) 내면 선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쿠션(20)의 가장자리면을 부분적으로 보다 확실하게 눌러주는 복수개의 가압돌기(300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홀더(30)의 가압부(300) 가장자리의 후크(310a) 투영위치에는 홀더(30)를 레그 볼트(10)의 헤드부에 조립시 홀더(30)가 쉽게 조립되도록 하는 절취공(330)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절취공(330)이 형성됨으로 인해 조립시 후크(310a)가 형성된 부분이 쉽게 벌어져 홀더(30)가 볼트 헤드부에 손쉽게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그 볼트(10) 헤드부의 마루부(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쿠션 회전방지홈(120a)이 형성되고, 쿠션(20)에는 상기 쿠션 회전방지홈(120a)에 형합하여 상기 쿠션(2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회전방지돌기(200)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200)는 상기 쿠션 회전방지홈(120a)과 동일 개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쿠션 회전방지홈(120a)은 슬롯 형태의 장홈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중심부에 형성되지 않는 한 원형 구조의 홈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4개 정도는 구비되는 것이 힘을 받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 레그 볼트(10)의 헤드부에 구비되는 원형의 납작머리부(110) 외주면 상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더 회전방지홈(110a)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30)의 내주면상에는 상기 홀더 회전방지홈(110a)에 형합하는 회전방지돌기(320)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320)는 상기 홀더 회전방지홈(110a)과 동일 개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홀더 회전방지홈(110a) 및 회전방지돌기(320)는 플랜지부(310)에 원주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후크(310a)와 후크(310a) 사이 영역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홀더(30)는 비연질 부재로서 외주면이 면취(面取)된 다면체(多面體) 구조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패너 렌치등의 공구나 손으로 홀더(30)를 잡고 돌리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레그 볼트(10)의 헤드부와 나사부(10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면취(面取)된 다면체 구조의 볼트머리부(130)가 더 구비된다. 이 볼트머리부(130)는 상기 홀더(30)와는 별도로 스패너 렌치등의 공구나 손으로 이부분을 잡고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받침대(P)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받침대(P)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2)이 구비되어 있어 받침대(P)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받침대(P)는 받침대 본체(1) 상부면 모서리에 드럼세탁기(DW) 혹은 의류건조기(CD)의 레그 위치에 대응하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안착공(8a)이 형성된 레그 안착부재(8)가 구비되어 있어, 받침대(P)를 드럼세탁기(DW) 혹은 의류건조기(CD) 전용으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받침대(P)제조에 있어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세탁기(DW)와 의류건조기(CD)는 그 내부 구조의 차이로 인해 레그의 장착 위치가 달라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받침대(P)는 레그 위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각기 다른 위치에 안착공(8a)이 형성되는 레그 안착부재(8)가 설치됨으로써 레그 위치에 맞은 안착홈이 형성된 받침대(P)를 별도 제작할 필요가 없어 받침대 제조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 역시 받침대(P)위에 드럼세탁기(DW) 혹은 의류건조기(CD)중 원하는 제품을 올려 놓을 수 있게 됨으로, 사용상의 편의성 또한 높아지게 된다.
요컨대, 본 발명은 레그 위치가 다른 드럼세탁기(DW)와 의류건조기(CD)에 대해 레그 위치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받침대(P)는 높이 조절용 레그 어셈블리가 구비됨으로 인해, 제품 자체를 조절하는 대신 상기 받침대(P)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품의 수평등을 맞출 수도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받침대(P)에 적용되는 레그 어셈블리(L)는, 홀더(30)가 비연질 재질이면서 면취(面取)된 다면체 구조이므로, 손으로 돌릴 경우 미끄럼이 방지되고, 특히 스패너 렌치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레그 어셈블리를 돌릴 수도 있게 되므로 조립 라인 및 제품 설치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좋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받침대(P)는 핸들(2c)이 서랍(2) 전면을 커버하되, 전면커버(2b) 중간부위가 요입되어 사용자가 잡는 손잡이 부분이 전면커버(2b)로부터 멀리 떨어지지 않은 형태여서, 받침대(P)의 전체적인 부피를 키우지 않으면서도 외관상 안정적이면서도 수려한 미관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받침대(P)는, 만약 상기 전면커버(2b) 중앙부에 도피홈(20b)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핸들(2c)의 손잡이 부분과 전면커버(2b) 사이에 갭이 없어 핸들(2c)의 파지가 불가능하게 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함으로써, 전면커버(2b)가 드럼세탁기(DW)나 의류건조기(CD)등의 전면과 일치하면서도 핸들(2c)의 파지가 가능하게 되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P)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외관을 안정적인 구조로 구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받침대(P)는 받침대 본체(1)와 서랍(2) 사이에 개재되는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서랍(2)의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받침대(P)는, 서랍(2)의 인출시 슬라이딩 수단을 구성하는 볼 또는 롤러등 구름부재(7b)의 마찰 감소 작용에 의해 조용하면서도 부드럽게 서랍이 인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제품 신뢰성을 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받침대(P)는 서랍(2)이 받침대 본체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 진입할 경우, 복원스프링(660) 및 후크(650)의 작용에 의해 서랍 슬라이드(6)가 받침대 슬라이드(5)에 셀프록킹되도록 되어 있어, 쉽게 서랍(2)을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P)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서랍(2)이 앞으로 빠져나오는 현상이 방지된다.
즉,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서랍(2)이 열리지 않도록 하고, 닫을 때는 끝까지 다 닫지않더라도 저절로 닫히게 되는 서랍 셀프록킹 장치가 구비되는 바, 그 작동 과정을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a는 서랍이 완전히 닫힌 상태, 즉, 서랍 슬라이드(6)가 록킹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상태에서는 후크(650)가 도면상 제1 및 제2안내장공(601)(602)의 좌측 끝단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걸림편(500)의 선단부가 후크(650)의 후크홈(651) 내측에 완전히 형합되어 구속받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셀프록 바디와 후크(650)의 제1핀(652)을 연결하는 복원스프링(660)의 탄성이 작용함으로써, 받침대(P)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서랍(2)이 받침대 본체에서 빠져나오게 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서랍(2)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서랍을 열고자 할 경우에는 일정 크기의 힘 이상으로 핸들을 잡아 당겨야 서랍(2)이 열리기 시작한다.
도 10b는 서랍이 열리고 있는 도중의 일시점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서랍(2)을 잡아 당기면 서랍 슬라이드(6)의 이동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정된 받침대 슬라이드(5)에 구비된 걸림편(500) 선단부가 후크(650)의 후크홈(651) 후방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셀프록 바디와 후크(650)의 제1핀(652)을 연결하는 복원스프링(660)이 늘어나면서 후크(650)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도 10b상태에서 서랍(2)이 계속 열리게 되면 후크(650)의 제1핀(652)이 제1안내장공(601)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어 더 이상 후크(650)가 직선 이동은 더 이상하지 못하게 되는반면, 걸림편(500)이 후크(650)의 후크홈(651) 후방면은 계속 가압하는 상태가 되므로써, 제1핀(652)을 회전중심으로 후크(650)가 회동하게 된다.
즉, 셀프록 바디(600)에 형성된 제2안내장공(602)은 끝단부에 제1안내장공(601)쪽으로 굽은 걸림공(603)이 연장형성되어 있어서, 후크(650)의 제2핀(653)은 제1핀(652)을 축중심으로 삼은 후크의 회동에 의해 상기 걸림공(603) 쪽으로 이동하여 걸림공(603) 내벽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후크(650)의 회동시 상기 후크(650)의 후크홈(651)내에 위치하던 걸림편(500)은 후크홈(651)을 벗어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안내장공(602)과 걸림공(603)이 이어지는 절곡지점에는 라운드 구조의 돌출부(604)가 구비되어 있어, 후크(650)와 걸림편(500)의 형합이 해제되고 스프링(660)의 복원력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후크(650)의 제2핀(653)이 돌출부(604) 뒤쪽에 걸려 후크(650)가 최초 위치로 되돌아 가지 못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요컨대, 도 10a 및 도 10b 상태에서는 걸림편(500)은 후크(650)에 구속된 상태이나, 도 10c 상태에서는 걸림편(500)은 후크(650)의 구속에서 벗어난 상태가 된다.
상기한 경우와는 반대로 서랍(2)을 닫게 되면, 받침대 슬라이드(5)에 고정된 걸림편(500)에 후크(650)의 후크홈(651) 전방면이 부딪히게 되고, 이에 따라후크(650)가 서랍(2)이 열릴 때와는 반대방향(즉, 제1핀(652)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핀(653)이 걸림공(603)을 벗어나 제2안내장공(602)으로 진입하게 되면, 이때부터는 복원스프링(660)의 복원력에 의해 서랍(2)에 별도의 미는 힘이 작용하지 않더라도 저절로 닫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걸림편(500)이 서랍 슬라이드(6)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되며 일자형 바(bar) 형태를 이루고, 상기 후크(650)의 후크홈(651)은 상기 걸림편(500)의 형상에 맞게 "??"자형 요입홈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핀(652) 또는 제2핀(653)은 고정된 핀 형태 뿐만 아니라, 롤러와 같이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2안내장공(602)과 걸림공(603)을 잇는 절곡지점에 형성되는 돌출부(604)의 곡률반경은 적절한 크기로 설계되어, 서랍(2)이 열린상태에서 충격등에 의해 걸림공(603)에 걸려 있어야하는 후크(650)가 너무 쉽게 서랍(2)이 닫힐 때의 위치로 되돌아 가지 않도록 하는 특성과, 서랍(2)을 닫을 때 너무 닫기 어렵지 않아야 하는 특성을 모두 만족시켜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서랍 셀프록킹 장치를 구성하는 걸림편(500)과, 후크어셈블리(60)의 위치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후크어셈블리(60)가 받침대 슬라이드(5) 내측 끝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어셈블리(60)에 대응하여 걸림편(500)이 서랍 슬라이드(6) 내측 끝단부에 구비되어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원스프링(660)이 인장스프링이어서, 셀프록 바디(600)의 서랍 전방쪽 일측과 후크(650)의 제1핀(652)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복원스프링(660)이 압축스프링일 경우에도 가능하다.
즉, 셀프록 바디(600)의 서랍 전방쪽 일측과 후크(650)의 제1핀(652) 사이에 인장스프링이 설치되는 대신, 셀프록 바디(600)의 서랍 후방쪽 일측과 후크(650)의 제1핀(652) 사이에 압축스프링이 설치되어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 혹은 의류건조기등의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받침대 구조를 개선하여, 받침대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등 기능의 다양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받침대는 레그 위치가 서로 다른 드럼세탁기와 의류건조기에 대해 레그 위치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받침대의 제작상의 작업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받침대는 서랍이 받침대 본체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 진입할 경우, 복원스프링 및 후크의 작용에 의해 서랍 슬라이드가 받침대 슬라이드에 셀프록킹되도록 되어 있어, 쉽게 서랍을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대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서랍이 앞으로 빠져나오는 현상이 방지되어, 편리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11)

  1.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받침대 본체와;
    상기 받침대 본체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랍과;
    상기 서랍이 출입할 때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수단과;
    상기 서랍이 받침대 본체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 진입할 경우, 저절로 서랍이 닫히도록 함과 더불어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서랍이 앞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서랍 셀프록킹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받침대 본체의 양측 내면에 고정되는 바(bar) 또는 채널(channel) 형태의 받침대 본체 슬라이드와,
    서랍의 양측 외면에 고정되며 "ㄷ"자형 단면을 갖는 채널 형태로서 상기 받침대 본체 슬라이드를 감싸는 구조를 이루는 서랍 슬라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본체 슬라이드와 서랍 슬라이드 사이는 마찰 감소를 위한 구름부재 조립체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 조립체는,
    받침대 본체 슬라이드를 감싸는 "ㄷ"자형 단면 구조의 구름부재 지지부재와, 상기 구름부재지지부재의 양측벽에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름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셀프록킹 장치는,
    받침대 슬라이드 내측 끝단부에 고정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에 대응하여 서랍 슬라이드 내측 끝단부에 구비되는 후크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어셈블리는,
    서랍 슬라이드 내측 끝단부에 고정되며 면상에 서랍의 인출방향을 따라 나란히 제1 및 제2안내장공이 형성되되, 제2안내장공의 끝단부에 제1안내장공쪽으로 굽은 걸림공이 연장형성되는 셀프록 바디와;
    상기 셀프록 바디의 제1 및 제2안내장공에 위치하는 제1핀 및 제2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안내장공을 따라 이동함과 더불어 제1안내장공의 끝단에 위치하는 제1핀을 회전중심으로 서랍의 진행방향에 따라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의 제1핀과 셀프록 바디의 서랍 일측에 연결되어 후크를 탄력지지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장공과 걸림공이 이어지는 절곡지점에는 라운드 구조의 돌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서랍 슬라이드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되며 일자형 바(bar) 형태를 이루게 되고,
    상기 후크의 후크홈은 상기 걸림편의 형상에 맞게 "??"자형 요입홈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 또는 제2핀은 고정된 핀 형태 혹은 롤러와 같이 회전가능한 형태를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스프링은,
    셀프록 바디의 서랍 전방쪽 일측과 후크의 제1핀 사이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스프링은,
    셀프록 바디의 서랍 후방쪽 일측과 후크의 제1핀 사이에 연결되는 압축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및 의류건조기용 받침대.
KR1020030046032A 2003-06-28 2003-07-08 가전제품용 받침대 KR100720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032A KR100720544B1 (ko) 2003-07-08 2003-07-08 가전제품용 받침대
US10/875,313 US20040263032A1 (en) 2003-06-28 2004-06-25 Stand for home appliance
AU2004202896A AU2004202896B2 (en) 2003-06-28 2004-06-28 Stand for home appliance
EP04253846A EP1491676A3 (en) 2003-06-28 2004-06-28 Stand for home appliance
CNB200410059474XA CN100510500C (zh) 2003-06-28 2004-06-28 家用电器座架
US12/149,253 US20080203872A1 (en) 2003-06-28 2008-04-29 Stand for home appliance
US12/379,544 US20090167129A1 (en) 2003-06-28 2009-02-24 Stand for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032A KR100720544B1 (ko) 2003-07-08 2003-07-08 가전제품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338A true KR20050006338A (ko) 2005-01-17
KR100720544B1 KR100720544B1 (ko) 2007-05-22

Family

ID=3722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032A KR100720544B1 (ko) 2003-06-28 2003-07-08 가전제품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5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816B1 (ko) * 2007-12-03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CN108035121A (zh) * 2018-01-04 2018-05-15 南京贝奇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洗衣机的自动抽屉盒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781A (en) * 1989-04-03 1993-05-04 Julius Blum Gesellschaft M.B.H. Closing device for moving a drawer to a fully inserted position within a furniture body
KR19980020560U (ko) * 1996-10-15 1998-07-15 박두철 서랍 인출시의 결속 및 정지장치
JPH11285416A (ja) * 1998-04-02 1999-10-19 Isokawa Sangyo 引き出し用レール
JP2002035484A (ja) * 2000-07-27 2002-02-05 Sekisui House Ltd 洗濯機用防水パン
KR20020076664A (ko) * 2001-03-30 2002-10-11 엘지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0756443B1 (ko) * 2001-05-08 2007-09-0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용 지지장치
KR20020085443A (ko) * 2001-05-08 2002-11-1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드럼세탁기
KR100776601B1 (ko) * 2002-12-17 2007-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816B1 (ko) * 2007-12-03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CN108035121A (zh) * 2018-01-04 2018-05-15 南京贝奇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洗衣机的自动抽屉盒及其控制方法
CN108035121B (zh) * 2018-01-04 2024-01-05 南京贝奇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洗衣机的自动抽屉盒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544B1 (ko) 200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4781B2 (ja) 家電機器用台座
AU2004202896B2 (en) Stand for home appliance
US8820861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189566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EP2155948B1 (en) Laundry machine
US20040148976A1 (en) Damper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720544B1 (ko) 가전제품용 받침대
EP2436820B1 (en) Device for connecting a first appliance with a second appliance
KR20070016189A (ko) 가전제품용 받침대
KR100830493B1 (ko) 드럼세탁기의 경사각 조절형 컨트롤패널
KR102211976B1 (ko) 조립식 선반의 회동식 행거장치
KR101396970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와 세탁물 처리 장치용 키높이 부재
JP2016173017A (ja) 引き戸
KR100512725B1 (ko) 빌트인 저장고의 도어조립체
JP3751353B2 (ja) トイレのペーパーホルダー
CN219385690U (zh) 衣物处理设备
KR200496543Y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를 갖는 스틸 책장용 스틸 캐비넷
KR101387483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및 세탁물 처리 장치를 위한 장식용프론트 커버
KR101443608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JPH08232557A (ja) シャッター保管庫
JP3034463B2 (ja) 物干装置
JP2000245549A (ja) ランドリーキャビネット
KR100434280B1 (ko) 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KR20240031808A (ko) 냉장고
KR20080101397A (ko) 세탁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