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180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1808A
KR20240031808A KR1020220111050A KR20220111050A KR20240031808A KR 20240031808 A KR20240031808 A KR 20240031808A KR 1020220111050 A KR1020220111050 A KR 1020220111050A KR 20220111050 A KR20220111050 A KR 20220111050A KR 20240031808 A KR20240031808 A KR 20240031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efrigerator
protruding
protruding rib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현
남선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1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1808A/ko
Priority to US18/221,633 priority patent/US20240077251A1/en
Publication of KR2024003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1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1Drawers with castors, rollers or wheels, supported directly on a surface below, e.g. on a floor, shelf or desk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17Profiled cabinet walls with grooves or protuberances for supporting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37Roller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70Coupled drawers
    • A47B88/75Coupled drawers the secondary drawer being in or above the primary drawe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롤러부가 삽입되는 수납부의 외측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가 형성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드로어의 부하를 최대한 막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 타입의 드로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를 저장실에 공급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관 대상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저장실에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저장실 내측에는 저장물을 지지하는 선반이나 저장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드로어(Drawer)와 같이 다양한 수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로어의 경우 레일(Rail) 타입으로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되는 서랍형 방식이나, 구름 동작하는 롤러(Roller) 타입으로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되는 서랍형 방식일 수 있다.
한편 냉장고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서 저장실의 내용적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드로어의 크기도 증가될 수 있다.
드로어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면 그 만큼 수납되는 저장물의 양도 증가하기 때문에, 드로어의 하중이 증가하게 된다.
드로어에 하중이 증가하면, 특히 롤러 타입 방식의 드로어의 경우 롤러에 걸리는 부하가 증가될 수 있다.
이렇게 롤러에 걸리는 부하가 증가하게 되면, 롤러에 응력이 커지면서 롤러에 파손이 발생하거나 롤러가 장착되는 부위에서 크랙 또는 찢어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로어에 부하가 증가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롤러부와 롤러부가 삽입되는 수납부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강도가 보강된 롤러 타입 서랍형 드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목적은 드로어와 수납부의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에서 크랙 또는 찢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롤러 타입 서랍형 드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물이 전면에서 노출되지 않아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롤러 타입 서랍형 드로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장고는, 수납부의 외측에 수납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가 배치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수납부의 외측에 수납부의 외주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가 배치됨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드로어의 부하를 최대한 막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되도록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부를 포함하는 드로어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상기 롤러부가 삽입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의 외측에는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가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드로어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배치된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바디부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측면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바디부의 측면 및 상기 측면 돌출부의 배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면은 굴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측면 돌출부의 최외측면을 넘지 않도록 상기 수납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롤러부가 삽입되는 수납부의 외측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가 형성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드로어의 부하를 최대한 막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부에 파손이 발생하거나 수납부에서 크랙 또는 찢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수납부가 바디부의 측면 및 측면 돌출부의 배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이 굴곡면을 포함함으로써, 경계면의 면적을 증가시켜 경계면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대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랙과 찢어짐에 취약한 경계면에서 크랙 또는 찢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돌출 리브가 측면 돌출부의 최외측면을 넘지 않도록 수납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면에서 강도 보강 구조물인 돌출 리브를 인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물이 전면에서 노출되지 않고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키면서 수납부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하부의 제2 도어가 열린 상태의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드로어와 제2 드로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1 드로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하부 수납부에 삽입된 하부 롤러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하부 수납부에 삽입된 하부 롤러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하부 수납부에 하부 롤러부가 하부 방향에서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하부 수납부에 삽입된 하부 롤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가이드 레일과 결합된 상부 수납부에 삽입된 상부 롤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내부에 제품의 저장 공간인 하나 이상의 저장실을 포함하는 캐비닛(2)과, 캐비닛(2)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복수의 도어(11, 12)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은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저장 공간으로 구분되어, 냉장실 및/또는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2)의 상부 저장 공간은 힌지를 이용한 회전식 도어인 한 쌍의 제1 도어(11)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캐비닛(2)의 하부 저장 공간인 저장실(3)은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되는 서랍식 도어인 제2 도어(12)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제2 도어(12)의 후면에는 저장물을 보관하는 제1 드로어(100)와 제2 드로어(200)가 2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도어(12)가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되는 경우 제1 드로어(100)와 제2 드로어(200)는 제2 도어(12)의 이동에 연동되어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드로어(200)는 제2 도어(12)의 배면에 고정되어 제2 도어(12)의 이동에 종속되어 이동될 수 있다.
제1 드로어(100)는 제2 드로어(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2 드로어(200)의 상부를 덮고, 제2 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는 제2 드로어(200)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2 드로어(200)는 저장물을 수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제2 바디부(210)와 상부면의 테두리부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로어(100)는 저장물을 수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제1 바디부(110)와 제1 바디부(110)의 전방에 배치된 제1 전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면부(120)는 제1 바디부(110)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측면 돌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1)의 전면에서 볼 때 제1 바디부(110)는 제1 전면부(120)의 측면 돌출부(121)에 가려져서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드로어(100)의 양 측 전방 하부 영역에는 한 쌍의 하부 수납부(130)와 하부 수납부(130)에 삽입되는 한 쌍의 하부 롤러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롤러를 포함하는 하부 롤러부(300)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드로어(200)의 플랜지부(220)를 따라서 롤러의 구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220)는 하부 롤러부(300)의 롤러가 이동하는 라인을 따라서 내측으로 함몰된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드로어(100)는 하부 롤러부(300)와 플랜지부(220)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드로어(200)도 하부 롤러부(300)와 플랜지부(220)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제2 드로어(200)의 양 측 후방 상부 영역에는 한 쌍의 상부 수납부(140)와 상부 수납부(140)에 삽입되는 한 쌍의 상부 롤러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롤러를 포함하는 상부 롤러부(400)는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500)을 따라서 롤러의 구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상부 롤러부(400)는 제2 드로어(200)가 최대치로 개방될 수 있는 한계 라인을 제공하도록 상부 수납부(140) 상부로 돌출된 스토퍼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141)는 한계 라인에 도달하는 경우 가이드 레일(500)에 의해서 걸림 결합될 수 있는 바, 지속적인 충격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부(141)의 내측에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각 내측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리브 패턴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하부 롤러부(300)와 하부 수납부(130)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부 롤러부(300)는 구름 동작이 가능한 하부 롤러(310)와, 하부 롤러(31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부 롤러(310)를 수납하는 하부 롤러 커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롤러(310)의 중심부 양 측면에는 회전축(311)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롤러 커버(320)는 상면부(321)와 상면부(321)의 양 측면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절곡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롤러 커버(320)는 하부 방향에서 하부 롤러(310)의 상부 영역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삽입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롤러 커버(320)의 양 측면에는 하부 롤러(310)의 회전축(311)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삽입홀(322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롤러(310)는 회전축(311)이 삽입홀(3222)에 의해서 가압됨으로써 하부 롤러 커버(320)에 회전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삽입홀(3222)의 양 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부(3223)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223)는 하부 수납부(130)를 지지하도록 적어도 일부 영역이 하부 수납부(13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제1 드로어(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3223)의 하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보강 리브(3224)들이 배치되어 지지부(3223)가 받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하부 롤러 커버(320)의 일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322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221)는 삽입홀 상부 영역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221)는 후술할 하부 수납부(130)의 걸림홈(132)에 걸림 결합되어 하부 롤러부(300)를 하부 수납부(130)에 실질적으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3221)는 하부 롤러부(300)와 하부 수납부(130)의 체결을 위한 위치를 확인하고 조절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걸림부(3221)가 걸림홈(132)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걸림부(3221)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롤러부(300)를 조립하는 작업자가 걸림부(3221)를 인지할 수 있도록 걸림부(3221)는 외측에 위치하는 절곡부(322)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수납부(130)는 하부 방향에서 하부 롤러부(300)의 상부 영역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삽입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수납부(130)는 제1 바디부(110)의 측면 및 측면 돌출부(121)이 배면과 경계를 이루도록 제1 바디부(11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수납부(130)의 일 측면은 제1 바디부(110)의 측면으로 형성되고, 전면은 측면 돌출부(121)의 배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수납부(130)는 제1 바디부(110)의 측면 및 측면 돌출부(121)의 배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경계면(133)은 라운드지도록 형성된 굴곡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드로어(10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제1 바디부(110)의 측면 및 측면 돌출부(121)의 배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133)은 특히 크랙과 찢어짐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하부 수납부(130)가 제1 바디부(110)의 측면 및 측면 돌출부(121)의 배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133)이 굴곡면을 포함함으로써, 경계면(133)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계면(133)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대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랙과 찢어짐에 취약한 경계면(133)에서 크랙 또는 찢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돌출부(121)의 배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133)의 최하단은 측면 돌출부(121)의 최외측면에서부터 시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경계면(133)의 면적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어 경계면(133)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대한 분산시킬 수 있다.
하부 수납부(130)의 측면에는 하부 롤러부(300)의 걸림부(3221)와 걸림 결합되는 걸림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32)은 하부 롤러부(3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 걸림부(3221)에 대응될 수 있는 위치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수납부(130)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 바디부(110)의 측면에는 하부 롤러부(300)가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1)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긴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부 롤러부(300)의 일측이 걸림홈(132)과 걸림부(3221)의 결합에 의해서 고정되는 경우, 하부 롤러부(300)의 타측은 가이드부(111)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하부 롤러부(300)가 하부 수납부(130)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수납부(130)가 위치하는 제1 바디부(110)의 측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34)는 하부 롤러부(300)의 삽입을 외측에서부터 가이드하고 하부 롤러부(300)가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수납부(130)의 외측에는 하부 수납부(13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131)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 리브(131)는 돌출 리브(131)의 일단이 제1 바디부(110)의 측면과 접촉하고 타단은 측면 돌출부(121)의 배면과 접촉하도록, 하부 수납부(130)의 외측 외주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 드로어(100)의 부하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 리브(131)가 최대한 막거나 분산시킬 수 있어, 하부 롤러부(300)에 파손이 발생하거나 하부 수납부(130)에서 크랙 또는 찢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돌출 리브(13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돌출 리브(131)는 소정 거리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수납부(130)에 가해지는 부하를 복수의 돌출 리브(131)들이 최대한 나누어서 막거나 분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돌출 리브(131)가 제1 돌출 리브(1311), 제2 돌출 리브(1312) 및 제3 돌출 리브(1313)와 같이 3개의 돌출 리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돌출 리브(1311)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걸림홈(132)과 중첩되는 높이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 리브(1311)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걸림홈(132)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걸림홈(132)의 형상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수납부(130)의 걸림홈(132)은 관통홀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부 수납부(130)에 큰 하중이 걸리는 경우 걸림홈(132) 주변 영역을 중심으로 크랙 또는 찢어짐이 발생하거나 하부 수납부(130)의 벌어짐 현상이 발생하기가 더욱 쉬울 수 있다.
따라서 걸림홈(132)의 주변 영역을 중심으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제1 돌출 리브(1311)를 형성함으로써 걸림홈(132) 주변 영역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홈(132)과 제1 돌출 리브(1311)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걸림홈(132)을 관통하는 걸림부(3221)와 제1 돌출 리브(1311)와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제2 돌출 리브(1312)는 제1 돌출 리브(1311)의 하부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출 리브(1312)는 하부 롤러부(300)가 하부 수납부(130)에 삽입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일부 영역이 하부 롤러부(300)의 삽입홀(3222)과 지지부(3223)의 형상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수납부(13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롤러부(300)의 지지부(322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2 돌출 리브(1312)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돌출 리브(1312)의 일부 영역은 하부 수납부(130)의 최하단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3223)는 하부 수납부(130)의 하면의 일부 영역과 제2 돌출 리브(1312)의 일부 영역을 접촉하여 지지하는 형태로 하부 수납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돌출 리브(13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지지부(3223)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3223)와 하부 수납부(130)의 경계에서 가중될 수 있는 부하를 제2 돌출 리브(1312)가 분산하여 크랙과 찢어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돌출 리브(1313)는 제1 돌출 리브(1311) 상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돌출 리브(1313)는 상대적으로 하부 수납부(130)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하부 수납부(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분산시킬 수 있다.
돌출 리브(131)들은 측면 돌출부(121)의 최외측면을 넘지 않도록 하부 수납부(13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는, 돌출 리브(131)가 측면 돌출부(121)의 최외측면을 넘지 않도록 하부 수납부(13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면에서 강도 보강 구조물인 돌출 리브를 인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물이 전면에서 노출되지 않고 디자인 미감을 향상시키면서 하부 수납부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냉장고
2: 캐비닛
3: 저장실
11: 제1 도어
12: 제2 도어
100: 제1 드로어
110: 제1 바디부
111: 가이드부
120: 제1 전면부
121: 측면 돌출부
130: 하부 수납부
131: 돌출 리브
1311: 제1 돌출 리브
1312: 제2 돌출 리부
1313: 제3 돌출 리브
132: 걸림홈
133: 경계면
134: 연장부
140: 상부 수납부
141: 스토퍼부
142: 리브 패턴부
200: 제2 드로어
210: 제2 바디부
220: 플랜지부
300: 하부 롤러부
310: 하부 롤러
311: 회전축
320: 하부 롤러 커버
321: 상면부
322: 절곡부
3221: 걸림부
3222: 삽입홀
3223: 지지부
3224: 보강 리브
400: 상부 롤러부
500: 가이드 레일

Claims (13)

  1.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되도록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부를 포함하는 드로어; 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상기 롤러부가 삽입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의 외측에는 상기 수납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가 배치된,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돌출 리브는 소정 거리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롤러와,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롤러를 수납하는 롤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커버의 일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가 배치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걸림부와 걸림 결합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걸림홈과 중첩되는 높이를 따라서 연장된 제1 돌출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걸림홈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걸림홈의 형상을 따라 연장된 제1 돌출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롤러와,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롤러를 수납하는 롤러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커버의 측면에는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의 양 측면에 배치된 지지부가 배치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삽입홀과 상기 지지부의 형상을 따라서 연장된 제2 돌출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수납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제2 돌출 리브의 하부를 지지하는, 냉장고.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리브 상에는 상기 제1 돌출 리브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연장된 제3 돌출 리브가 배치된, 냉장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배치된 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바디부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측면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바디부의 측면 및 상기 측면 돌출부의 배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계면은 굴곡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돌출부의 배면과 경계를 이루는 상기 경계면의 최하단은 상기 측면 돌출부의 최외측면에서부터 시작되는, 냉장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측면 돌출부의 최외측면을 넘지 않도록 상기 수납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냉장고.
KR1020220111050A 2022-09-01 2022-09-01 냉장고 KR20240031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050A KR20240031808A (ko) 2022-09-01 2022-09-01 냉장고
US18/221,633 US20240077251A1 (en) 2022-09-01 2023-07-1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050A KR20240031808A (ko) 2022-09-01 2022-09-01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1808A true KR20240031808A (ko) 2024-03-08

Family

ID=9006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050A KR20240031808A (ko) 2022-09-01 2022-09-01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077251A1 (ko)
KR (1) KR2024003180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77251A1 (en)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4841B2 (en) Refrigerator
EP3059534B1 (en) Shelf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277005B2 (en) Refrigerator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314965B1 (en) Refrigerator with split type shelves
EP2292998B1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175218B1 (en) Refrigerator
JP2018505378A (ja) 冷蔵庫
US20240142161A1 (en) Multi-joint link hing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240031808A (ko) 냉장고
KR102445184B1 (ko) 냉장고
KR20220022196A (ko) 냉장고
US11015860B1 (en) Door bins and door liner interface
JP4167854B2 (ja) 冷蔵庫
KR102516796B1 (ko) 냉장고
KR102663280B1 (ko) 냉장고
KR102584693B1 (ko) 냉장고
US20120080990A1 (en) Top-loaded refrigerator doors
KR20190132145A (ko) 냉장고
US20240044569A1 (en) Refrigerator
US20210396457A1 (en) Refrigerator
KR102111717B1 (ko) 냉장고
KR20210027913A (ko) 냉장고
KR100568214B1 (ko) 김치냉장고
KR20240001590A (ko) 냉장고
JP3946674B2 (ja) 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