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443A - 드럼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443A
KR20020085443A KR1020010024951A KR20010024951A KR20020085443A KR 20020085443 A KR20020085443 A KR 20020085443A KR 1020010024951 A KR1020010024951 A KR 1020010024951A KR 20010024951 A KR20010024951 A KR 20010024951A KR 20020085443 A KR20020085443 A KR 20020085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ashing machine
tub
pedestal
machin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진
이득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24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5443A/ko
Publication of KR2002008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44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드럼세탁기의 세탁기본체(20)를 지지하는 받침대(60)의 상면을 소정 경사지게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받침대(60)의 전단의 높이를 후단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하고 그 상면이 전단에서 후단을 향해 소정 경사지게 형성하여 지지되는 세탁기본체(20)의 전면 상단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세탁기본체(20) 전면을 통해 드럼(34)의 입구가 상부를 향하도록 개구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의하면 드럼(34)의 내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살펴볼 수 있어, 세탁포의 투입과 인출이 용이하게 되고 세탁수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A 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세탁기가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전면이 후면보다 높게 형성된 받침대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세탁기와 받침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세탁기(1)의 하단에는 받침대(6)가 설치되어 세탁기(1)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세탁기(1)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을 먼저 설명하면, 아웃케이스(2)가 대략 세탁기 외관의 양측면과 배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아웃케이스(2)는 일반적으로 금속판재로 형성된다. 상기 아웃케이스(2)의 하단에는 세탁기(1)의 설치높이와 수평도를 조절하는 레그(2')가 설치된다. 그리고 세탁기(1)의 상면을 탑플레이트(3)가 형성하고, 전면을 전면커버(4)가 형성한다. 상기 전면커버(4)에는 아웃케이스(2)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도시되지 않음)의 내부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도어(5)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세탁기(1)의 하면에는 사각형의 홀(1')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받침대(6)의 돌출면(6')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기(1)를 지지하는 받침대(6)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받침대(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세탁기(1)의 높이를 높여주어 사용자가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고도 상기 도어(5)를 열어 드럼내로 세탁포를 투입하거나, 세탁이 마쳐진 세탁포를 드럼으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받침대(6)의 상면에는 상기 홀(1')과 대응되는 돌출면(6')이 형성되어 있따.
다음으로 상기 받침대(6)의 하면 모서리에는 각각 레그(7)가 설치되어 그 설치높이와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6)의 상면에는 상기 세탁기(1)의 레그(2')가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세탁기(1)를 상기 받침대(6)의 상단에 안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받침대(6)의 상면에 상기 세탁기(1)의 레그(2')를 안착시키고, 상기 홀(1')에 상기 돌출면(6')을 삽입시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홀(1')과 돌출면(6')의 사이에는 완충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받침대(6)는 세탁기(1)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게 하여 사용자들이 상기 도어(5)를 통해 드럼 내부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드럼은 수평상태로 설치되므로 상기 도어(5)가 사용자의 눈높이에 있는 경우에는 상관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드럼 내부 전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드럼의 내부로 세탁포를 투입하거나, 세탁이 끝난 세탁포를 드럼에서 꺼내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고,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허리를 많이 굽혀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이 내부에 설치되고 세탁수가 채워지는 터브가 수평상태로 놓여짐에 의해 상기 터브 내부에 채워지는 세탁수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세탁시에 물낭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세탁기의 드럼내부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럼세탁기의 사용편의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럼세탁기에서 사용되는 물사용량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드럼세탁기가 받침대에 의해 지지된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드럼세탁기와 받침대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세탁기본체22: 캐비넷
30: 터브32: 댐퍼
34: 드럼35: 도어
36: 구동모터38: 벨트
40: 급수밸브42: 급수관
44: 세제통46: 급수연결관
50: 배수관60: 받침대
62: 레그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세탁수가 채워지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세탁포가 투입되어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을 구비하며 상기 드럼이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의 전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세탁기본체와, 전면이 후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상면이 경사지게 되고, 상기 경사진 상면에 상기 세탁기본체가 안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세탁기본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의 상면의 경사는 2°에서 8°의 사이의 값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럼과 터브는 상기 세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상기 드럼이 세탁기 본체의 전면으로 지면에 대해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드럼 내부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세탁포의 투입과 인출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세탁기본체(20)의 외관을 캐비넷(22)이 구성한다. 상기 캐비넷(22)의 구성은 다양한 부품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캐비넷(22)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는 터브(30)가 설치된다. 상기 터브(30)는 상기 캐비넷(22)의 내부에 걸어져 설치되고 댐퍼(3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터브(30)의 내부에는 세탁포가 투입되어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34)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34)은 상기 캐비넷(22)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35)에 의해 외부로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이와 같은 터브(30)와 드럼(34)은 상기 캐비넷(22)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드럼(34)의 회전중심은 상기 캐비넷(22)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으로 된다.
상기 드럼(34)은 상기 터브(30)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세탁을 수행하는데, 상기 드럼(34)은 구동모터(36)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구동모터(35)는 상기 터브(30)의 하면에 설치되는데, 상기 드럼(34)으로 벨트(38)를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도면 부호 37은 구동풀리, 39는 종동풀리이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36)는 상기 터브(30)의 후단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34)과 직결될 수도 있다.
상기 터브(30)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해 급수밸브(40)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밸브(40)과 세제통(44)을 연결하도록 급수관(42)이 설치된다. 상기 세제통(44)은 급수관(42)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상기 터브(30)로 공급한다. 상기 터브(30)와 세제통(44)의 사이에는 급수연결관(46)이 설치되어 세제와 세탁수를 터브(30)로 공급한다.
한편, 상기 터브(30) 내에서 사용된 세탁수는 배수관(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세탁기본체(20) 하부에는 받침대(60)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60)는 그 하면 모서리에 각각 레그(62)가 설치된다. 상기 레그(62)는 상기 받침대(60)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 수평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받침대(60)의 내부공간에는 별도의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납공간에는 필요한 물품을 수납하도록 하거나, 세탁시에 사용된 물을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다음번의 세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60)는 그 선단, 즉 상기 세탁기본체(20)의 도어(35)가 설치된 전면과 대응되는 부분의 높이(a)가 그 후단의 높이(b)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상기 받침대(60)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60) 상면의 경사(θ)는 대략 2°에서 8°사이의 값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세탁기본체(20)에 구비되는 구성이 지나치게 기울어지게 되면 전체적으로 무게중심이 맞지 않아 사용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세탁기본체(20)가 넘어질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받침대(60)의 상면과 상기 세탁기의 캐비넷(22) 하면에는 세탁기본체(20)가 상기 경사를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서로 체결하거나 삽입되는 구성이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예로서 종래 기술의 홀과 돌출면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60)는 상기 캐비넷(2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캐비넷(22)의 하단을 연장하여 받침대(60)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 상면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형성되는 받침대(60) 상에 세탁기본체(20)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탁기본체(20)가 설치되면, 상기 세탁기본체(20)의 내부에 있는 터브(30)와 드럼(34)이 상기 받침대(60)의 경사만큼 경사지게 된다. 이는 상기 캐비넷(22)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터브(30)와 드럼(34)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드럼(34)은 그 입구가 상기 도어(35)를 개방함에 의해 상기 캐비넷(22)의 전면을 통해 약간 상방으로 개구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은 도 3에 화살표A로 표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드럼(34)의 입구가 약간 상방으로 개구되면, 사용자는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아도 상기 드럼(34)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드럼(34)의 깊숙한 부분까지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드럼(34)의 내부로 세탁포를 투입하거나 세탁이 마쳐진 세탁포를 인출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기본체(20)의 전면이 그 상단이 하단보다 후방으로 위치하게기울어지게 설치됨에 의해 사용자의 시선이 보다 용이하게 드럼(34) 내부를 향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34)과 터브(30)가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설치됨에 의해 상대적으로 상기 터브(30)의 내부에 적은 양의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30)가 기울어지게 설치됨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되었을 때에 비해 동일한 세탁수 수위에서 채워져야할 세탁수의 양이 줄어든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드럼세탁기는 받침대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의해 실질적으로 세탁기본체를 구성하는 캐비넷의 전면 상단이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캐비넷 전면을 통해 개구되는 드럼 역시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되어 사용자가 드럼의 내부를 보다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드럼 내외부로 세탁포를 투입하고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세탁수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세탁시에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세탁수가 채워지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세탁포가 투입되어 세탁이 이루어지는 드럼을 구비하며 상기 드럼이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의 전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세탁기본체와,
    전면이 후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상면이 경사지게 되고, 상기 경사진 상면에 상기 세탁기본체가 안착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세탁기본체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상면의 경사는 2°에서 8°의 사이의 값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과 터브는 상기 세탁기 본체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KR1020010024951A 2001-05-08 2001-05-08 드럼세탁기 KR20020085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951A KR20020085443A (ko) 2001-05-08 2001-05-08 드럼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951A KR20020085443A (ko) 2001-05-08 2001-05-08 드럼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443A true KR20020085443A (ko) 2002-11-16

Family

ID=2770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951A KR20020085443A (ko) 2001-05-08 2001-05-08 드럼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54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544B1 (ko) * 2003-07-08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받침대
KR100765275B1 (ko) * 2003-06-28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받침대
KR100776601B1 (ko) * 2002-12-17 2007-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01B1 (ko) * 2002-12-17 2007-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0765275B1 (ko) * 2003-06-28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받침대
KR100720544B1 (ko) * 2003-07-08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673B1 (ko) 의류처리장치
US768584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063013B1 (en) Washing machine
US9127395B2 (en) Washing machine
US8506025B2 (en) Supporter and pedestal and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16006901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1440561A (zh) 洗衣机
US6460949B2 (en) Cabinet for washing machine
US6477868B2 (en) Washing machine with balancer
US6612138B2 (en) Drum washing machine
US8028548B2 (en) Laundry machine with height increasing member and drainage filter servicing section
US20050179347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TW200519262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01775732A (zh) 洗衣机及其抽屉组件
KR20020076664A (ko) 드럼세탁기
RU2008127224A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с улучше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подачи на двери
KR20080032362A (ko) 세탁기용 받침대
KR20020085443A (ko) 드럼세탁기
US20080202173A1 (en) Washing Machine
US20100132416A1 (en) Washing Machine and Tub Cover of the Same
WO2004055254A1 (es) Máquina lavadora provista de un cajón inferior
KR2023001472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89991A (ko) 의류처리장치
CN100398724C (zh) 滚筒洗衣机
CN111936689B (zh) 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