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682A -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 - Google Patents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682A
KR20050005682A KR1020030045704A KR20030045704A KR20050005682A KR 20050005682 A KR20050005682 A KR 20050005682A KR 1020030045704 A KR1020030045704 A KR 1020030045704A KR 20030045704 A KR20030045704 A KR 20030045704A KR 20050005682 A KR20050005682 A KR 20050005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d stone
permeable
filled
infiltration
broken st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로
김이호
권혁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에코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에코썸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45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5682A/ko
Publication of KR2005000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682A/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집관거 구조물에 쇄석을 충전하여, 배출되는 우수의 유속을 줄임으로써, 집중호우, 장마 등과 같이 많은 양의 우수가 투입되더라도, 우수가 투수구를 통해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를 형성하게 할 수 있고, 하천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침투수가 배출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차집 구조물; 침투된 침투수가 지표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차집 구조물의 양 벽면에 형성되는 투수구; 및 상기 차집 구조물의 배수통로 내부에 충전되는 쇄석을 포함하는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 {Permeable infiltration facilities packing the broken stones}
본 발명은 도로, 운동장, 공원 등에서 노면에 내린 우수가 모이는 차집관거에 토양으로 침투될 수 있게 하는 투수성 침투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집구조의 침투수 배출 통로에 쇄석을 충전하여, 우수가 침투되더라도 유출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쇄석의 여과기능에 의해 양질의 우수를 얻을 수 있는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시와, 산업화의 진행에 따라 자동차도로, 주차장, 자전거 이용시설, 보도, 공원 또는 체육시설 및 기타 주거시설 등에 대한 포장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포장 재료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시멘트 콘크리트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도1은 상기 포장 재료들의 하부에 설치되는 차집구조의 일 실시예로서, 하수도 시설 기준과 동일하게 쇄석(40)을 포설한 후 그 상부에 U자형 측구(1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포장 재료들은 대부분 불 투수성 재료로서, 강우시 우수의 침투가 불가능하여 지중의 미생물이 서식하지 못하고, 지하수가 부족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시 지역 전체의 유출계수를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하천 범람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투수성이 있는 침투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이하 도2를 참조하여 종래의 투수성 침투구조물을 설명한다.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투수성 침투구조로 이루어진 차집구조물로써, 하부에 기반을 이루는 쇄석(40); 상기 쇄석 상부에 설치되는 U자형 측구(20); 및 상기 U자형 측구의 양 벽면에 천공된 투수구(30)를 포함한다.
상기 투수구(30)는 U자형 측구(20)의 높이의 1/3에 형성되어 초기 우수는 침투되지 않게 억제시키며, 강우가 일정량 이상 도달하였을 때 투수구(30)를 통하여 지하로 침투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투수성 침투 구조물을 이용한 차집관거는 집중호우, 장마 등과 같이, 많은 양의 우수가 한꺼번에 침투하는 경우, 유속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하천 범람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U자형 측구를 통해 우수가 배출되는 동안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여과 없이 배출되므로, 지상의 오염물질을 함유한 채 하천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하천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집관거 구조물에 쇄석을 충전하여, 배출되는 우수의 유속을 줄임으로써, 집중호우, 장마 등과 같이 많은 양의 우수가 투입되더라도, 우수가 투수구를 통해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를 형성하게 할 수 있고, 하천 범람을 방지할 수 있는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된 쇄석에 의해, 배출되는 우수가 쇄석에 의해 여과됨으로써, 양질의 수질로 배출될 수 있어서, 하천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U자형 측구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투수성 침투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120 : U자형 측구 130 : 투수구
140 : 하부 쇄석 150 : 충전 쇄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침투수가 배출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차집 구조물; 침투된 침투수가 지표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차집 구조물의 양 벽면에 형성되는 투수구; 및 상기 차집 구조물의 배수통로 내부에 충전되는 쇄석을 포함하는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차집 구조물은 U자형 측구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수구는 차집 구조물 높이의 1/3이상의 위치에 형성되어 초기 침투수 투수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수구는 차집구조물 벽면의 면적대비 10% ∼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되는 쇄석은 크기가 2 ∼ 5cm인 자연파쇄석으로 이루어져 충분한 공극률을 갖고, 충분한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의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쇄석 기초(140) 상부에 형성된 침투수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차집 구조물(120); 침투된 침투수가 지표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차집 구조물(120)의 양 벽면에 형성되는 투수구(130): 및 상기 차집 구조물의 배수통로 내부에 충전되는 쇄석(150)을 포함한다.
상기 차집 구조물(12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측구 구조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투수구(130)는 차집 구조물(120) 높이의 1/3이상의 위치에 형성되어 침투된 우수와 같은 초기 침투수가 바로 지표로 흡수되지 않고, 소정량 이상이 되면, 지표로 투수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면의 투수구는 차집 구조물(120) 벽면의 면적대비 10% ∼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되는 쇄석(150)은 크기가 2 ∼ 5cm인 자연파쇄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집 구조물(120)의 투수구(130)를 통해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집 구조물을 통해 배출되는 침투수의 유속을 감속시키며, 침투수의 수질을 여과시키기에 적합한 크기이다. 또한, 상기의 충전 쇄석(150)으로 자연파쇄석을 사용하는 이유는, 형상의 불규칙성에 의해 공극률이 크기 때문에 침투수의 흐름을 완전히 막지는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측구, 우수받이 맨홀 등의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각각 KS F 4005, KS F 4412, KS F 4416, KS F 4417에 그 규격이 명시되어 있다. U형 측구는 주로 운동장이나 공원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제조한 측구를 의미하며, 우수받이는, 보차도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말한다. 또한, 맨홀은 각 우수가 접합되거나 연결되어지는 지점의 일반적인 구조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차집구조물과 형태 및 규격, 재료가 동일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집 구조물(120)의 벽면 높이의 1/3이상의 높이에 투수구(130)를 천공하기 때문에, 초기우수의 침투를 근본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고, 강우가 일정량 이상 도달하였을 때 누수가 발생하여 지하로 침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조물 내부에 충전되는 쇄석(150)은 우수와 함께 유출된 부유물 뿐만 아니라, 유류물질 등을 흡착 및 접족으로 제거할 수 있어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여과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충전 쇄석(150)은 배출되는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집중호우등 많은 침투수가 한꺼번에 침투하는 경우에도 하천의 범람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쇄석은 구조물의 투수구(130)로 외부의 토사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투수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우수내의 협잡물 및 부유물의 제거가 가능하며, 현재의 규격기준에 맞게 시공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구조물에 동일하게 시공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 등이 지표로 투수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수의 확보가 가능해지고, 충전된 쇄석에 의해 침투수의 지속적인 여과기능이 가능하여, 양호한 수질의 침투수로 배출시킬 수 있어서, 지하 및 하천 생태계 유지에 큰 효과가 있다.
또한, 충전된 쇄석에 의해, 투수구를 통해, 차집 구조물 내부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되는 침투수가 쇄석에 의해 그 유속이 감속되므로, 지표로 우수가 투과되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집중호우, 장마 등과 같이 많은 침투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하천으로 배출되는 침투수의 유속을 감속시킬 수 있어서, 하천 범람을 줄이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침투수가 배출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차집 구조물;
    침투된 침투수가 지표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차집 구조물의 양 벽면에 형성되는 투수구; 및
    상기 차집구조물의 배수통로 내부에 충전되는 쇄석
    을 포함하는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집 구조물은 U자형 측구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구는 차집 구조물 높이의 1/3이상의 위치에 형성되는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구는 차집구조물 벽면의 면적대비 10% ∼ 20%인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되는 쇄석은 크기가 2 ∼ 5cm인 자연파쇄석인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
KR1020030045704A 2003-07-07 2003-07-07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 KR20050005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704A KR20050005682A (ko) 2003-07-07 2003-07-07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704A KR20050005682A (ko) 2003-07-07 2003-07-07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682A true KR20050005682A (ko) 2005-01-14

Family

ID=3721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704A KR20050005682A (ko) 2003-07-07 2003-07-07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56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580B1 (ko) * 2008-05-22 2009-01-07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우수시에도 철거가 필요없는 지반 설치 수영장
US7804465B2 (en) 2006-10-16 2010-09-28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1333202B1 (ko) * 2012-03-19 2013-12-02 대성산업가스 주식회사 내부 채움형 동결관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동결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4465B2 (en) 2006-10-16 2010-09-28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876580B1 (ko) * 2008-05-22 2009-01-07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우수시에도 철거가 필요없는 지반 설치 수영장
KR101333202B1 (ko) * 2012-03-19 2013-12-02 대성산업가스 주식회사 내부 채움형 동결관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동결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35884A (ja) 道路用流出抑制排水工
KR101152978B1 (ko)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CN206736658U (zh) 一种透水路面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2009127359A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0855630B1 (ko) 우수의 수집 및 저장을 위한 지하 구조물
KR101333120B1 (ko) 가로수목 식재박스 및 이를 이용한 물 순환 환경 구축을 위한 가로 수목 공간 조성 구조
CN107044081B (zh) 生态型街道排水结构
KR100487067B1 (ko) 누수파이프를 갖는 유역토양 저수능 증가장치
CN210507029U (zh) 一种道路排水结构
CN209836713U (zh) 一种带有改性透水结构的硬质道路
KR101894740B1 (ko) 투수식 맨홀
CN111535098A (zh) 一种城镇道路绿化带、人行道雨水排水系统及施工方法
KR101906075B1 (ko)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CN100501019C (zh) 地面集雨快速引蓄渗地的排水装置
KR100487403B1 (ko) 유공관을 이용한 우수 인공함양 촉진 시설 및 유공관을이용한 우수 인공함양 촉진 방법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CN214033246U (zh) 一种用于海绵城市设计的道路防渗结构
KR20050005682A (ko) 쇄석을 충전한 투수성 침투구조물
JPS6022153Y2 (ja) 道路側溝からの雨水を貯留・潅水・浸透させる装置
CN209958480U (zh) 一种景区绿化蓄水池结构
KR20140098583A (ko) 홍수 저감 및 침투 증진을 위한 침투형 도로 시스템
KR200291922Y1 (ko) 투수성 포장재를 가진 도로 경계용 측구
KR200224492Y1 (ko) 측구용 투수 콘크리트블록
CN217678411U (zh) 一种生态透水道路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