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328A -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328A
KR20050004328A KR1020030044466A KR20030044466A KR20050004328A KR 20050004328 A KR20050004328 A KR 20050004328A KR 1020030044466 A KR1020030044466 A KR 1020030044466A KR 20030044466 A KR20030044466 A KR 20030044466A KR 20050004328 A KR20050004328 A KR 20050004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all
caller
hook
v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희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4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4328A/ko
Publication of KR20050004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32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04Arrangements at the exchange for service or number selection by vo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발신자 후크온시 바로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강제로 중단하기 위한 장치가, 발신자의 후크온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보고하는 국선회로와, 상기 국선회로로부터 발신자의 후크온이 보고될시, 상기 음성사서함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가입자회로로 발생하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일반전화기 포트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상기 가입자회로와, 상기 일반전화기 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감시하고, 상기 전원 공급이 중단된 경우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는 상기 음성사서함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OPPING OUTGOING MESSAGE IN PRIVATE EXCHANGE SYSTEM HAVING VMS}
본 발명은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교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자 후크온시 바로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 교환시스템이라 함은 동일 건물 내 또는 동일 회사 등에서 다수의 국선과 다수의 내선 단말기 사이를 스위칭하는 소형 교환기를 의미하는데, 예를들어 키폰시스템(Key-Telephone System), 구내전화교환기(PBX : Private Branch Exchange), 사설자동 구내교환기(PABX : Private Branch Automatic Exchange) 등이 있다.
즉, 이러한 사설 교환시스템의 내부에는 공중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의 연결을 위한 국선회로(Central Office Line Interface Circuit)와 내선단말기(일반전화기 또는 키폰전화기) 및 부가단말기(예 : VMS(Voice Mailing System), 자동중계기 등)와의 연결을 위한 가입자회로(Subscriber Line Interface)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주장치는 일반전화기 포트를 통해서 단말기(내선단말기 및 부가단말기)로 통화전류(예 : -55V)를 공급한다. 또한 일반전하기의 후크온/오프를 감지하여 톤신호를 전달하거나 링신호를 공급한다. 즉, 일반전화기 포트로 항상 전원(-55V)이 공급되어져 있는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전화기 포트에 연결되는 VMS나 자동중계기(이하 음성사서함장치)는 호 착신시 안내메시지를 모두 송출한후 발신자로부터의 톤신호(혹은 음성신호)를 감지하고 톤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호의 종료를 인식한다. 따라서, 안내메시지 송출중 발신자가 전화를 끊을 경우, 음성사서함장치는 호의 중료를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음성메시지를 송출하게 된다. 이 경우, 호의 종료에도 불구하고 해당 포트가 계속 점유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호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발신자 후크온시 바로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발신자 후크온시 바로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가, 발신자의 후크온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보고하는 국선회로와, 상기 국선회로로부터 발신자의 후크온이 보고될시, 상기 음성사서함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가입자회로로 발생하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일반전화기 포트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상기 가입자회로와, 상기 일반전화기 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감시하고, 상기 전원 공급이 중단된 경우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는 상기 음성사서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발신자 후크온시 바로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방법이, 주장치가, 수신된 호를 상기 음성사서함장치에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사서함장치가, 상기 수신된 호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주장치가, 발신자의 후크온을 감시하고, 상기 발신자의 후크온이 감지될 시 일반전화기 포트를 통해 상기 음성사서함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설정시간동안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사서함장치가, 상기 일반전화기 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감시하고, 상기 전원 공급이 중단될 경우 상기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회로에서 일반전화기 포트로 통화전류(또는 전원)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주장치의 제어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사서함장치의 제어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11)는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사설 교환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음성사서함장치에서 음성메시지 송출 도중 발신자가 전화를 끊는 경우 상기 음성사서함장치가 연결된 포트의 통화루프를 강제로 절단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롬(112)은 상기 제어부(11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 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전화기 포트의 통화루프 강제 절단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램(113)은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위칭회로(114)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각종 신호를 스위칭한다. 가입자회로(115)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일반전화기(도시하지 않음)에 통화전류( 및 톤신호, 링신호)를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일반전화기와 상기 스위칭회로(114)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상기 음성사서함장치(VMS, 자동중계기 등)(116)는 상기 가입자회로(115)에 연결되며,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로 수신호가 연결될시 미리 저장해둔 안내메시지(PCM데이터)를 상기 가입자회로(115)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는 상기 가입자회로(115)로부터 제공되는 통화전류(-55V)를 감시하기 위한 회로를 구비한다. 키폰가입자회로(116)는 키폰전화기와 상기 스위칭회로(114)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국선회로(118)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국선CO를 시저(seizure)하여 국선 통화 루프를 형성하며, 국선CO와 상기 스위칭회로(114)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여기서 국선CO는 상기 국선회로(117)와 국설교환기(도시하지 않음)간을 연결하는 선로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국선회로(117)는 발신자의 통화종료(후크 온)가 감지될 경우 이를 상기 제어부(111)에 보고한다.
톤발생기(119)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회로(114)로 출력한다. 링발생기(120)는 링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가입자회로(115)에 공급한다.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수신기(121)는 상기스위칭회로(114)에서 입력되는 DTMF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회로(114)에서 상기 DTMF수신기(212)에 입력되는 DTMF신호는 상기 국선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 또는 내선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가 된다. DTMF 송신기(122)는 상기 제어부(111)가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회로(114)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DTMF송신기(122)에서 출력하는 DTMF신호는 내선측에서 국선측을 호출할시 발생하는 국선가입자의 전화번호가 된다.
상술한 도 1의 구성에 근거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호가 음성사서함장치(116)로 착신될 경우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는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국선회로(118)는 발신자의 후크 온을 감지하여 제어부(111)로 보고한다. 만일, 발신자의 후크온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가입자회로(115)로 루프절단신호를 소정시간 출력하고, 상기 가입자회로(115)는 상기 루프절단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로의 통화전류(-55V) 공급을 중단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는 통화전류의 공급중단으로부터 발신자의 후크온을 감지하고, 안내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회로(115)에서 일반전화기 포트로 통화전류(또는 전원)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의 상세 구성을 보여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추가된 부분은 참조부호 200(이하 "전원제어회로"라 칭함)으로 도시하고 있다. 나머지 부분은 기존의 회로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전원제어회로(2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구성을 살펴보면, 제1저항(R713)의 일단은 신호입력단(SDC4)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1트랜지스터(Q705)의 베이스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입력단(SDC4)은 상기 제어부(111)와 연결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Q705)의 콜렉터단은 전원(AVCC)에 연결되고, 에미터단은 제3저항(R733)을 통해 제2트랜지스터(Q703)의 베이스단에 연결된다. 제2저항(R722)의 일단은 상기 제1트랜지스터(Q705)의 베이스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트랜지스터(Q705)의 콜렉터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Q703)의 콜렉터단은 전원 -55V에 연결되고, 에미터단은 일반전화기 포트에 통화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신호입력단(SDC4)으로 로우(LOW)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트랜지스터(Q705)는 턴온(turn on)되어 상기 제2트랜지스터(Q703)의 베이스단으로 하이(high)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2트랜지스터(Q703)는 턴온(turn on)되어 전원(-55V)이 일반전화기 포트로 공급된다. 반대로, 상기 신호입력단(SDC4)으로 하이(high)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트랜지스터(Q705)는 턴오프(turn off)되어 상기 제2트랜지스터(Q703)의 베이스단으로 로우신호가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2트랜지스터(Q703)는 턴오프되어 전원(-55V)이 일반전화기 포트로 공급되지 않는다.
즉,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에서 전원공급부 선로(일반전화기 포트)는 제어신호(SDC4)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신호(SDC4)가 로우(LOW)이면, -55V전원이 연결되어 일반 전화기 포트에 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어신호(SDC4)가하이(HIGH)이면 -55V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일반전화기 포트에 DC전원공급이 중단된다. 제어부(111)는 음성사서함장치에 연결된 호가 음성메시지 송출중 종료되는 경우, 상기 신호입력단(SDC4)으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일반전화기 포트로의 전원공급을 중단시킨다. 음성사서함장치(116)는 일반전화기 포트를 감시하고, 전원공급이 중단된 경우 송출중인 음성메시지를 중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주장치의 제어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11)는 301단계에서 호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호 수신시, 상기 제어부(111)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호를 음성사서함장치(116)에 연결할 필요가 있는지 검사한다. 예를들어, 수신된 호를 우선적으로 음성사서함장치로 연결하는 경우가 있을수 있고, 호출한 내선가입자가 통화중일 경우 음성사서함장치로 연결하는 경우가 있을수 있다.
만일,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로 연결할 필요가 없을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일반통화모드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로 연결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호를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는 미리 설정된 안내메시지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수신된 호를 음성사서함장치(116)에 연결한후, 상기 제어부(111)는 307단계에서 발신자의 후크온(HOOK ON)을 검사한다. 상기 발신자의 후크온은 국선회로(118)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제어부(111)로 보고된다. 상기 발신자의 후크온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309단계에서 일반가입자 포트를 통해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로 공급되는 통화전류(또는 전원)를 차단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입자회로(115)의 전원공급회로에 제공되는 제어신호(SDC4)를 조절하여 음성사서함장치(116)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1)는 311단계에서 설정시간이 경과했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음성사서함장치(116)가 전원차단을 감지할수 있는 충분한 시간으로 결정된다. 상기 설정시간 경과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313단계에서 가입자회로(115)의 전원공급회로를 제어하여 일반가입자 포트를 통해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로 다시 통화전류를 공급한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사서함장치의 제어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는 401단계에서 호가 착신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호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는 403단계에서 포트를 점유하고, 405단계에서 상기 점유된 포트를 통해 미리 설정된 음성메시지(안내메시지)를 송출한다.
상기 음성메시지 송출중,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는 407단계에서 주장치로부터 일반전화기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통화전류(또는 전원)를 감시하고, 409단계에서 상기 통화전류가 차단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통화전류의 차단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사서함장치(116)는 413단계에서 상기 점유된 포트를 휴지상태로 만들고 대기모드로 진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 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사서함장치로 착신된 호에 대하여 발신자가 음성메시지 송출중 전화를 끊을 경우, 바로 음성사서함장치가 인식하여 음성메시지 송출을 중단하기 때문에, 바로 다른 호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음성사서함장치의 포트가 불필요하게 점유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Claims (2)

  1.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발신자 후크온시 바로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발신자의 후크온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보고하는 국선회로와,
    상기 국선회로로부터 발신자의 후크온이 보고될시, 상기 음성사서함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가입자회로로 발생하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일반전화기 포트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상기 가입자회로와,
    상기 일반전화기 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감시하고, 상기 전원 공급이 중단된 경우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는 상기 음성사서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발신자 후크온시 바로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주장치가, 수신된 호를 상기 음성사서함장치에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사서함장치가, 상기 수신된 호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주장치가, 발신자의 후크온을 감시하고, 상기 발신자의 후크온이 감지될 시 일반전화기 포트를 통해 상기 음성사서함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설정시간동안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사서함장치가, 상기 일반전화기 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감시하고, 상기 전원 공급이 중단될 경우 상기 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44466A 2003-07-02 2003-07-02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50004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466A KR20050004328A (ko) 2003-07-02 2003-07-02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466A KR20050004328A (ko) 2003-07-02 2003-07-02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328A true KR20050004328A (ko) 2005-01-12

Family

ID=3721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466A KR20050004328A (ko) 2003-07-02 2003-07-02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43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958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US8102971B2 (en) Monitoring a call forwarded to a network-based voice mail system
JPH0758843A (ja) 構内自動交換システム
JPH03175777A (ja) 接続装置
JP2868335B2 (ja) 交換機及び交換機における切断通知方法
JPH0927869A (ja) コールウェイティングサービスを利用可能なモデム通信
EP11850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nouncing a message through a private branch exchange
KR20050004328A (ko) 음성사서함장치가 결합된 사설 교환시스템에서음성메시지의 송출을 중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H01258544A (ja) 複数端末通信制御装置
JP3085216B2 (ja) 電話通信端末及びそれを使用した通信方法
KR100241730B1 (ko) 키폰 시스템의 보류 메시지 송출 방법
KR100453744B1 (ko) 음성 녹취 시스템의 수신 발신 겸용 음성 처리 보드
JP3194238B2 (ja) 無線電話装置
JP3052568B2 (ja) 無線電話装置
KR20000075219A (ko) 단말기에서의 안내 방송 서비스 방법
KR100277063B1 (ko) 사설교환시스템의 전용선 재착신 방법
KR100339529B1 (ko) 간이교환기의 디아이디(DID : Direct Inward Dialing)호에 대한 자동응답 제어방법
KR19980034173A (ko) 키폰시스템에서 팩스 및 일반전화의 호 자동 분배 방법
JP2000188635A (ja) インタフェ―ス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H066847A (ja) 着信制御方式
JPS5937762A (ja) 多機能電話機
KR20010079469A (ko) 가정/소규모사무실용 인터넷 전화 게이트웨이에서피에스티엔 일반전화 이용구조 및 그 방법
JPS63107353A (ja) デ−タ通信タ−ミナル
JPH0289454A (ja) 電話交換システム
KR19990016005A (ko) 교환시스템의 국선호 착신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