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257A - 중복 치아 부분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을 갖는 치과기구,및 환자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중복 치아 부분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을 갖는 치과기구,및 환자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257A
KR20050004257A KR10-2004-7019338A KR20047019338A KR20050004257A KR 20050004257 A KR20050004257 A KR 20050004257A KR 20047019338 A KR20047019338 A KR 20047019338A KR 20050004257 A KR20050004257 A KR 20050004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tooth
base
socket
dental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거센얼오.
Original Assignee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04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2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실재 치아의 형상 및 치수를 사용하여 환자의 아치 형상 및/또는 치수를 교정하는 치과기구(1)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환자의 아치 및/또는 치아의 위치를 교정하는 방법 또한 제공된다. 또한, 실재 치아의 형상 및 치수, 및/또는 그룹 표준을 사용하여 구강 내 치아, 돌출 중인 치아 및/또는 돌출이 예상되는 치아의 위치를 교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치과기구(1)는 환자의 대응하는 치아와 동일하게 일치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치아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교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치아 소켓(4)을 가질 수 있다. 치아 소켓(4)은 돌출되지 않은 치아의 치수 및/또는 형상의 예상에 따라 결정되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치과기구(1)는, 예를 들면, 로테이션, 스페이싱, 크라우딩, 오버젯 및/또는 오버바이트를 교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복 치아 부분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을 갖는 치과기구, 및 환자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방법 {A DENTAL APPLIANCE HAVING A DUPLICATED TOOTH AREA AND/OR A PREDICTED TOOTH AREA AND A METHOD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TEETH OF A PATIENT}
환자에게 치과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는, 예를 들면, 치과의사를 방문하거나 또는 다른 유형의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사무실로 의료 서비스 제공자를 방문할 수 있다. 치과의사는, 예를 들면, 치료하려는 부분의 X선 촬영 또는 다른 이미지 촬영 기술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기술을 사용하여 환자를 검진할 수 있다. 치과의사는 환자의 상태를 치료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치과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과기구는 오버바이트, 오버젯, 크라우딩, 및/또는 치아의 스페이싱과 같이 선천적으로 발생되거나 또는 그 후에 발생될 수 있는 치아의 결함을 교정할 수 있다. 치아의 교정 방법에 대한 필요성으로 인하여 치과의사 또는 치열교정의사는 여러 가지 조치, 검진, 진단 등을 하게 되고, 또한 구강 내에 끼워질 수 있는 치과기구 형태의 교정 방법을 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치과의사 또는 치열교정의사가 치과기구를 형성 및/또는 조정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이들 치과기구를 형성 및 조정하는데 드는 비용도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치아 및/또는 아치의 위치를 교정하는 개선된 기구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치과기구, 및 중복 치아 부분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을 가질 수 있는 교정용 치과기구를 형성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치과기구, 및 성장하는 아이들을 포함하여 임의의 연령층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교정용 치과기구를 형성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치과기구, 및 탈락성 치아 및/또는 영구치 양자 모두가 존재하거나 또는 구강 내에 돌출하고 있는 동안에 사용될 수 있는 치과기구를 형성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은 2002년 5월 30일 출원된 미합중국 가출원 제60/384,315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아치(arch)를 교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과기구는 중복 치아 부분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을 갖는다. 치과기구는 컴퓨터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고, 환자의 치아 위치를 중복 및/또는 환자의 치아의 위치 치수 및 형상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치과기구는 치과의사 및/또는 치열교정의사의 치료 시간 및/또는 노력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치과기구는 다른 교정 치과기구 및 방법에서 요구되는 것과 같은 기구의 조정, 추가의 장비 및/또는 비용을 또한 없애거나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치과기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환자의 치아를 컴퓨터 분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치과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하부 전방 세그멘트의 치열의 정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치과기구 정면의 단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치과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E)는 4가지의 하부 앞쪽 영구치의 예상 치수 및/또는 형상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치과기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열가소성 소재로 된 시트의 평면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의 영구치 어금니가 6-7세에 돌출된 후, 복수의 치아에 대한 슬롯을 가진 교정용 치과기구의 평면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실시예의, 제1의 영구치 어금니가 6세 이하의 어릴 때 돌출되기 전, 복수의 치아에 대한 슬롯을 가진 교정용 치과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영구치 어금니가 6-7세에 돌출된 후, 복수의 치아에 대한 하나의 슬롯을 가진 치과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영구치 어금니가 6세 이하의 어릴 때 돌출되기 전, 복수의 치아에 대한 하나의 슬롯을 가진 치과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및 제2 영구치 어금니가 각각 12세 이상에서 돌출된 후, 복수의 치아 슬롯을 갖는 치과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치과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돌출 리브를 가진 도 5(A)에 도시된 치과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 5(B)에 도시된 치과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 5(B)에 도시된 치과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5(B)에 도시된 치과기구의 절개된 에지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치과기구의 사각형 아치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치과기구의 테이퍼진 아치의 평면도이다.
도 6(C)는 아사이안에게 공통적인 삽 형상의 상부 중앙 앞니의 단면도이다.
도 6(D)는 백색 인종에 공통적인 앞니의 도면이다.
도 6(E)는 아프리카인에게 공통적인 앞니의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치과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치과기구의 하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C)는 환자의 치아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7(D)는 환자의 치아의 중간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특정의 치아 또는 특정의 치아들의 이동을 억제하는 중복 치아 부분 및 다른 치아 또는 다른 치아들의 치아 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안내하는 예상 치아 부분을 포함하는 부정교합 교정용의 U자 형상인 치과기구를 제공하고, 중복 치아 부분은 강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하며 예상 치아 부분은 연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한다. 연성 소재로는 고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U자 형상의 치과기구는 아래턱을 전진 및/또는 아래턱의 성장을 증가시키는 횡방향 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U자 형상의 치과기구는 아래턱의 전진을 촉진시키는 융기형 입술 실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과기구의 중복 치아 및/또는 복수 치아 부분 내의 한개 이상의 치아 소켓은 복수의 치아 슬롯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있어서,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적어도 2개의 U자 형상의 치과기구를 포함하는 키트가 제공되고, 각각의 치과기구는 특정의 치아 또는 특정의 치아들의 이동을 억제하는 중복 치아 부분 및 다른 치아 또는 다른 치아들의 치아 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안내하는 예상 치아 부분을 포함하며, 중복 치아 부분은 강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하고 예상 치아 부분은 연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있어서, 치아의 부정교합을 교정된 정교합으로 전환시키는 치과기구 형성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a) 환자의 윗니 및 아랫니의 모델을 얻는 단계,
(b) 상기 모델에 따라 환자의 바이트의 입체 디지털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c) 교정된 정교합의 이상적인 입체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상적인 입체 디지털 모델에 따라 부정교합을 교정된 정교합으로 순차 전환시키는데 적합한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는, 특정의 치아 또는 특정의 치아들의 이동을 억제하는 중복 치아 부분 및 다른 치아 또는 다른 치아들의 치아 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안내하는 예상 치아 부분을 포함하는 U자 형상의 치과기구이며, 중복 치아 부분은 강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하고 예상 치아 부분은 연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d)는 하위 단계, 즉 (d1) 하나 이상의 수지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d2) 상기 하나 이상의 등급화된 수지 모델로부터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모델 및/또는 등급화된 치과기구는, 수작업으로 생성될 수 있지만, 스테레오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른 방법의 단계(c)는 입체 디지털 자료를 얻기 위하여 모델을 레이저 스캐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있어서, 환자, 특히 탈락성, 혼합 또는 영구치를 가진 어린이의 구강 내 부정교합을 교정된 정교합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a) 환자의 윗니 및 아랫니의 모델을 얻는 단계,
(b) 상기 모델에 따라 환자의 바이트의 입체 디지털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c) 교정된 정교합의 이상적인 입체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이상적인 입체 디지털 모델에 따라 부정교합을 교정된 정교합으로 순차 전환시키는데 적합한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를 환자의 치아에 끼우는 단계
를 포함하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는, 특정의 치아 또는 특정의 치아들의 이동을 억제하는 중복 치아 부분 및 다른 치아 또는 다른 치아들의 치아 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안내하는 예상 치아 부분을 포함하며, 중복 치아 부분은 강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하고 예상 치아 부분은 연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단계(e)는, 2개 이상의 U자 형상의 치과기구를 환자의 치아에 순차적으로 끼우고, 각각의 연속적인 U자 형상의 치과기구로 교합을 점진적으로 교정하고, 순서상 최종 U자형 치과기구가 교합의 교정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른 방법은 환자의 선천적인 아치와 상이한 아치를 가진 U자형 치과기구를 제공함으로써 환자 치아의 아치를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있어서, 교정된 교합의 이상적인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돌출되지 않은 치아의 치수 및 형상을 예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것은 이미 돌출된 영구치의 치수 및 형상 또는 환자의 구강에 대한 X선 촬영에 따라 예상된다.
또한, 단계(b)는 입체 디지털 자료를 생성하기 위하여 모델을 레이저 스캐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있어서, 환자, 특히 탈락성 치아를 가진 어린이의 구강 내의 부정교합을 교정된 교합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a) 환자의 윗니 및 아랫니의 모델을 얻는 단계,
(b) 상기 모델에 따라 환자의 바이트의 입체 디지털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c) 교정된 교합의 이상적인 입체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이상적인 입체 디지털 모델에 따라 부정교합을 교정된 교합으로 순차 전환시키는데 적합한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를 환자의 치아에 순차적으로 끼우는 단계
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복수 치아 슬롯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하나 이상의 복수 치아 슬롯 중 하나는 환자의 제2 쌍두치(bicuspid) 및 제1 영구치 어금니, 제2 탈락성 어금니 및 제1 영구치 어금니, 또는 제1 및 제2 탈락성 어금니에 끼워지는 구조이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른 방법의 단계(b)는 입체 디지털 자료를 생성하기 위하여 모델을 레이저 스캐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인접하여 끼워지는 치과기구가 제공된다. 치과기구는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를 갖고, 베이스는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가지며, 베이스는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의 치아의 예상 치수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소켓을 가지며,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는 제1 소재 및 제2 소재로 구성되며, 제1 소재는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실드를 갖고, 치아는 실드와 접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인접하여 끼워지는 치과기구가 제공된다. 치과기구는 제1 말단과 제2 말단 사이에 정해지는 길이를 가지며, 또한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인 베이스를 갖고, 베이스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가지며, 또한 베이스의 제1 부분은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른 형상을 갖고, 베이스의 제2 부분은 돌출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의 치수에 따른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갖고, 탭은 구강을 향하여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말단에서의 상면과 저면 사이의 거리는 제2 말단에서의 상면과 저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는 강도가 상이한 복수의 소재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소켓을 갖고, 소켓은 편평한 교합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형성된 리브를 갖고, 리브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와 접촉되어 치아를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소켓을 갖고, 소켓은 사용자의 적어도 2개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인접하여 끼워지는 치과기구가 제공된다. 치과기구는 컴퓨터에 의하여 생성되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가진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를 갖고, 베이스의 치수는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에 따라 예상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소켓을 갖고, 소켓은 사용자의 적어도 2개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실드를 갖고, 실드는 치아를 커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는 제1 소재 및 제2 소재로 구성되고, 제1 소재는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소켓을 갖고,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와 일치되는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를 갖고, 복수의 리브는 치아 중 적어도 2개와 접촉되어 치아를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갖고, 탭은 정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인접하여 끼워지는 치과기구가 제공된다. 치과기구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가진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를 갖고, 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소켓을 포함하며, 소켓 각각의 치수는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앞니의 예상 치수에 따라 컴퓨터로 생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일체로 형성된 실드를 갖고, 실드는 구강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갖고, 탭은 사용자의 구강을 향하여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형성된 리브를 갖고, 리브는 치아 하나와 접촉되어 치아를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내의 소켓은 편평한 교합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켓 중 적어도 2개는 강성이 상이한 소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인접하여 끼워지는 치과기구가 제공된다. 치과기구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가진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를 갖고, 베이스는 외주를 갖는다. 또한, 치과기구는 베이스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벽을 갖고, 베이스 및 벽은 돌출되지 않은 치아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 및 벽은 하나 이상의 돌출된 영구치의 치수에 따르는 치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벽에 인접하는 베이스 내에 형성된 리브를 갖고, 리브는 치아를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소켓을 갖고, 소켓은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일체로 형성된 탭을 갖고, 탭은 구강 내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소켓을 갖고,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적어도 2개를 수용하며 편평한 교합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제1 소재 및 제2 소재로 구성되는 베이스를 갖고, 제1 소재는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인접하여 끼워지는 치과기구가 제공된다. 치과기구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가진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를 갖는다. 또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소켓을 갖고, 소켓은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가지며 소켓하나의 치수는 사용자의 구강 내부의 이미지에 좌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는 X선 이미지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미지는 디지털 이미지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켓은 강성이 상이한 소재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소켓 내에 형성된 리브를 갖고, 리브는 치아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인접하여 끼워지는 치과기구가 제공된다. 치과기구는 사용자의 구강 내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갖는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를 갖는다. 또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제1 소켓을 갖고, 제1 소켓은 하나의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라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하나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갖는다. 또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제2 소켓을 갖고. 제2 소켓은 사용자의 2개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갖고, 탭은 사용자의 구강을 향하여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실드를 갖고, 실드는 치아를 커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는 제1 소재 및 제2 소재로 구성되고, 제1 소재는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인접하여 끼워지는 치과기구가 제공된다. 치과기구는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가진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를 갖는다. 또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소켓을 갖고, 소켓은 내부를 형성하는 벽을 가지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고, 소켓은 소켓의 벽 내에 형성된 리브를 갖고, 리브는 치아를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의 치수는 돌출되지 않은 치아의 예상 치수에 좌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갖고, 탭은 정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제1 소재로 구성되는 베이스를 갖고, 소켓은 제2 소재로 구성되며, 제1 소재는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실드를 갖고, 치아는 실드와 접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인접하여 끼워지는 치과기구가 제공된다. 치과기구는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를 갖는다. 또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제1 소켓을 갖고, 제1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제2 소켓을 갖고, 제2 소켓은 사용자의 2개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를 가지며, 제2 소켓은 치아와 접촉되는 편평한 면을 갖고, 제1 소켓 또는 제2 소켓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치아 중 적어도 하나의 예상 치수에 따른 치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소켓은 제1 소재로 구성되고 제2 소켓은 제2 소재로 구성되며, 제1 소재는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는 제1 소재로 구성되고 제1 소켓은 제1 소재로 구성되며, 제1 소재 및 제2 소재는 상이한 강성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제1 소켓 내에 형성된 리브를 갖고, 리브는 치아와 접촉되어 치아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내에 앞니 및 뒷니를 갖는 사용자에 끼워지는 치과기구가 제공된다. 치과기구는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를 갖고, 베이스는 돌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른 치수를 가지며, 베이스는 사용자의 앞니와 접촉되고 베이스는 사용자의 뒷니 중 하나와 접촉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소켓을 갖고,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실드를 갖고, 실드는 제1 소재로 구성되며 베이스는 제2 소재로 구성되고, 제1 소재는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소켓을 갖고,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적어도 2개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예상되는 치과기구의 부분은 베이스의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인 제1 소재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갖고, 탭은 정점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형성된 리브를 갖고, 리브는 하나 이상의 앞니와 접촉되어 앞니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인접하여 끼워지는 치과기구가 제공된다. 치과기구는 내주 및 외주를 갖는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를 갖는다. 또한, 치과기구는 외주를 따라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벽을 갖고, 벽은 표면을 가지며, 벽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고, 돌출부는 사용자의 입술과 접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갖고, 탭은 사용자의 구강을 향하여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형성된 리브를 갖고, 리브는 치아와 접촉되어 치아를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소켓을 갖고,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치과기구는 베이스 내에 소켓을 갖고,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적어도 2개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는 돌출되지 않은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른 치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는 제1 소재로 구성되고 벽은 제2 소재로 구성되며, 제1 소재는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치아를 가진 사용자의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시트가 제공된다. 시트는 제1 부분을 갖고, 제1 부분은 제1 소재로 구성된다. 또한, 시트는 제2 부분을 갖고 제2 부분은 제2 소재로 구성되며, 제1 소재는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이고, 또한 시트는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치과기구 내에 성형되며, 제1 소재는 교정을 필요로 하는 치아와 접촉되고 제2 소재는 교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치아와 접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부분은 제1 두께를 갖고 제2 부분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제1 두께는 제2 두께와 동일하지 않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부분은 돌출되지 않은 치아의 예상 형상으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부정교합을 가진 사용자의 구강 내에 끼워지는 제1 치과기구를 갖고, 제1 치과기구의 일부분은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 이상의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른 형상을 갖는다. 또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제1 치과기구를 착용한 후 사용자의 구강 내에 끼워지는 제2 치과기구를 갖고, 제2 치과기구의 일부분은 제1 치과기구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교정된 치아와 상관 관계에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치과기구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른 치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은 컴퓨터를 갖고, 제1 치과기구의 모델은 컴퓨터에 의하여 생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은 컴퓨터를 갖고, 제2 치과기구의 모델은 컴퓨터에 의하여 생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환자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환자의 치아 모델을 얻는 단계, 디지털 모델을 제공하도록 모델을 스캐닝하는 단계, 디지털 모델에 따라 부정교합을 진단하는 단계, 및 부정교합을 치료하도록 끼워지는 일련의 치과기구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일련의 치과기구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일련의 치과기구 중 하나를 상부 교합부 및 하부 교합부 상의 환자의 치아 상에 끼우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일련의 치과기구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진단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부정교합을 진단한 후 이상적인 치아를 제공하도록 환자의 디지털 모델 내의 치아를 재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점은 환자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환자의 하나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환자의 교합 바이트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환자의 아치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컴퓨터 생성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환자의 아치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임의의 연령의 사람의 하나 이상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영구치 및/또는 탈락성 치아가 있거나 또는 구강 내에 돌출하고 있는 사람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돌출하고 있는 치아를 구강 내 원하는 위치로 안내함으로써 사람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단시간 내에 치아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단지 하나 또는 소수의 치과기구만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치아를 교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치과기구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감소되는, 환자의 치아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교정용 치과기구를 얻는데 관련된 비용이 저감되는, 환자의 치아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대중에게 호감을 주는, 환자의 치아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점은 조정 및/또는 치과의사 또는 치열교정의사와의 약속이 거의 필요하지 않은, 환자의 치아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내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치과기구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 아치를 교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치과기구는 중복 치아 부분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예상 치아 부분은, 예를 들면, 구강 치수, 환자의 아치 치수, 환자의 젖니, 돌출된 치아, 또는 환자의 돌출된 젖니에 좌우될 수 있다. 또한, 치과기구는 컴퓨터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컴퓨터(도시되지 않음)는 치과기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모델 또는 디지털 입체 모델을 생성하도록 임의의 디지털 소스, 예를 들면, 레이저 스캐닝된 치아 모델, 디지털 사진 또는 X선을 이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환자의 치아를 정렬시키는 치과기구는, 예를 들면, 진공 성형, 압력 성형, 구강의 디지털 입체 이미지로부터 직접 형성하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또는 유사한 제작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완전하게 돌출된 영구치 치아의 치수를 분석함으로써, 돌출했거나 또는 돌출 중인 치아의 치수는, 아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돌출 중이거나 또는 돌출되지 않은 치아의 형상은 치아 그룹의 평균 해부학적 형상의 표준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 남성 및 여성의 평균
(Moorrees, C.F.A.:The Dentition of the Growing Child,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 1959. 참조)
구강 내에 완전하게 돌출되지 않고, 구강 내의 다른 치아의 여러 가지 치수에 대응하는 치아 각각의 평균 치수 및 형상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부터 예상될 수 있다. 구강 내의 다른 치아는 차트 및 여러 가지의 변형된 치아 모델을 사용하여수작업으로 또한 예상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 동일 부재에는 동일 도면 부호로 표기하였고, 도 2(A) 및 도 5(A)에는 절개 에지(5) 및 아치(17)를 갖는 복수의 치아 소켓(4)을 가질 수 있는 치과기구(1)가 예시되어 있다. 치과기구(1)의 치아 소켓(4)은 근심면(6) 및 원심면(7)을 또한 가질 수 있다. 또한, 치과기구(1)는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10)를 가질 수 있다. 치과기구(1)는, 치아 소켓(4)의 절개 에지(5)가 더 얇아지거나 또는 돌출 리브(10)가 치아 소켓(4)의 근심면(6) 및/또는 원심면(7) 상에 위치될 때, 치아를 변경시키거나 또는 치아를 교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아 소켓(4)을 얇게 하거나 또는 돌출 리브(10)를 치아 소켓(4) 상에 입술 및/또는 혀로 위치시킴으로써 치아를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치과기구(1)는 환자의 자유 공간(31)을 변경시킬 수 있다. 자유 공간(31)은 도 5(A)에서 알 수 있다. 자유 공간(31)은 환자의 아치 둘레를 쭉 따라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수직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치과기구(1)는, 예를 들면, 환자의 치아의 아치(17)의 형상 및/또는 치수만 변형된 상태로, 환자의 치아의 체적 치수 및 형상에 전적으로 좌우될 수 있다. 또한, 돌출되는 리브(10) 및/또는 근심-원심의 범프를 추가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치아 소켓(4)의 절개 에지(5)를 더 얇게 하거나 또는 자유 공간(31)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자유 공간(31) 후방보다 자유(31) 전방에 더 많은 소재가 존재할 때 크라우딩 교정은 물론 오버바이트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소재의 양은 환자가 일반적으로 가질 수 있는 양보다 더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치아는 압착되고 후방 치아는 돌출하도록 촉진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오버바이트는 교정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치과기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환자의 치아를 컴퓨터로 분석하는 흐름도가 제공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1)에서는 환자의 윗니 및 아랫니의 모델을 얻는다. 단계(2)에서는, 치과기구(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치아의 입체 디지털 자료를 얻기 위하여 치아의 모델을 레이저로 스캐닝할 수 있다. 교정용 치과기구(1)의 형성은 단계(2)로부터 단계(3)나 단계(4)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3)에서, 컴퓨터는 환자의 원래의 모델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치아의 이상적인 입체 디지털 모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치과기구(1) 또는 일련의 순차적인 치과기구(1)들을 입체 이미지에 따라 스테리오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하여 환자의 초기 부정교합을 완전하게 교합된 수지 모델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로부터 치과기구(1) 또는 등급화된 시리즈의 치과기구(1)가, 예를 들면, 스테리오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하여 생성된 등급화된 시리즈의 수지 모델로부터 수작업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단계(4)에서, 환자의 치아의 원래의 치열 상태로부터 이상적인 치열 상태가 수작업으로 또는 컴퓨터를 거쳐 생성될 수 있다. 단계(4)에 이어서, 컴퓨터 또는 사람이 단계(5)로 진행시킬 수 있다. 단계(5)에서, 일련의 치과기구(1)는 환자의 초기 부정교합을 최종 및/또는 정상 교합으로 부정교합 단계를 치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술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단계(2)로부터 단계(4)로 진행하는 대안으로서, 컴퓨터 또는 사람이 단계(3)로 진행시킬 수 있다(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3)에서, 컴퓨터 또는 사람은 치과기구(1)가 단계(6)를 구현함으로써 제조되는 모델 또는 디지털 이미지를 변경시킬 수 있다. 단계(6)에서, 최종 교합은 컴퓨터 또는 수작업 조작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절개 에지(5)는 더 얇아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치아의 절개 에지(5)를 얇게함으로써 크라우딩 교정 뿐만 아니라 오버바이트 교정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돌출 리브(10)를 치아의 근심쪽(6) 및/또는 원심쪽(7) 및/또는 입술면(8), 볼(38) 또는 치아의 혀쪽(9)에 추가할 수 있다. 볼면(38)은 사람의 뺨과 대면하는 치아면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혀 탭(35)은 아래턱이 후방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연장될 수 있다. 혀 탭(35)은 도 7에서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혀 탭(35)은 턱이 전방으로 발달되도록 촉진할 수 있으므로, 과다한 오버젯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입술 실드(36)는 치과기구(1) 및 아래턱이 후방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융기될 수 있다. 입술 실드(36)는 도 7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입술 실드(36)는 오버젯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자유 공간(31)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아치(17)는 환자의 치수 및/또는 형태의 특징을 고수하거나 또는 원하는 경우 아치(17) 형태 또는 치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치과기구(1)의 아치(17)는 컴퓨터에 의하여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아치(17)는 오버젯 및/또는 상부 혀 크로스-바이트가 심각한 환자의 하부 아치(17)와 협동하도록 현저하게 넓어지고 둥글게 될 수 있다. 부록 A에는 돌출되지 않은 치아의 치수를 예상하는표준이 예시되어 있다.
이하, 도 2(A)를 참조하면, 동일 부재에는 동일 도면부호로 표기하였고, 도 2(A)는 치과기구(1)의 평면도이다. 치과기구(1)는 환자의 치아에 관한 얻어진 정보로부터 치과의사 또는 치열교정의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과기구(1)는 제조 시설에서 형성될 수 있다. 치과기구(1)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다른 가요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치과기구(1)는 제1 말단(2) 및 제2 말단(3)을 가질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치아 소켓(4)이 치과기구(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치아 소켓(4)은, 예를 들면, 사람의 치아 구조와 닮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아 소켓(4)은 절개 에지(5)(커팅 에지), 근심면(6) 및 원심면(7)을 가질 수 있다. 치아의 근심면(6)은 구강 전방의 치아에 인접하거나, 또는 구강의 전방 및 중간에 가장 근접한 치아면일 수 있다. 치아의 원심면(7)은 구강의 후방에 가장 근접한 치아면일 수 있다. 치아 소켓(4) 각각은 입술면(8), 볼면(38) 및 혀면(9)을 더 가질 수 있다. 입술면(8)은 사람의 입술과 대면하는 치아면을 지칭할 수 있다. 혀면(9)은 혀와 대면하는 치아면을 지칭할 수 있다. 볼면(38)은 뺨과 대면하는 치아면을 지칭할 수 있다.
치과기구(1)의 아치(17)는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일 수 있고, 치과기구(1)의 곡률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치과기구(1)의 아치(17)는 상이한 유형의 치과기구(1)로 상이한 환자를 치료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치과기구(1)는 도 2(A) 및 도 2(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복 치아 부분(11)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12)을 또한 가질 수 있다. 치아의 이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강 부분은 중복 치아 부분(11) 내에 있을 수 있고, 필수적은 아니지만, 환자의 치아의 현재 위치와 닮을 수 있다. 치아의 이동을 필요로 하는 구강 부분은 예상 치아 부분(12) 내에 있을 수 있고, 필수적은 아니지만, 구강내 치아의 원하는 위치와 닮을 수 있다. 그러나, 원하는 치아의 정확한 위치, 치수 및 형상은 환자의 치아에 대한 직접 해부에 따르지 않고 그룹 표준에 좌우될 수 있다.
예상 치아 부분(12) 및/또는 중복 치아 부분(11)을 갖는 치과기구(1)는 컴퓨터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치과기구(1)는 환자의 치아 모두를 조정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환자의 치아 일부를 조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과기구(1)는 환자의 치아를 다른 위치로 안내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환자의 치아의 현재 위치와 동일하지만 치아를 정렬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치과기구(1)는 선 V-V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영구치 어금니를 가질 수 있다. 도 2(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치과기구(1)는 선 V-V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영구치 어금니를 가질 수 있다. 치과기구(1) 또는 일련의 치과기구들(1)은 환자가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련의 치과기구들(1)은 스테레오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하여 디지털 이미지로부터 형성되거나, 또는 예를 들면 진공 또는 압력형 열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치과기구(1)의 중복 치아 부분(11)은 환자의 치아의 이동을 억제하는 강성 소재(25)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중복 치아 부분(11)은 환자의 구강 내 언더컷에 잘 부착될 수 있다. 치과기구(1)의 중복 치아 부분(11)은 치과기구(1) 또는 치과기구들을 치아에 지지하도록 컴퓨터식 치아 셋업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치과기구(1)의 예상 치아 부분(12)은 치아를 안내 또는 이동시킬 수 있는 연성 소재(26)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연성 소재(26)는 치아의 예상 형상 및/또는 치아의 변형을 잘 수용할 수 있다. 예상 치아 부분(12)은, 예를 들면, 고무로 제조될 수 있고, 예상 치아 형성부를 갖거나 또는 환자의 치아를 해부한 형성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치아의 크라우딩을 정렬시키기 위하여 예상 치아 부분(12) 내에 치아 소켓(4)을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예상 치아 부분(12)은 환자의 예상 치아 치수 및 형상, 및/또는 그룹 표준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치과기구(1)의 중복 치아 부분(11)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12)은 환자의 치아의 원래의 아치(17)와 일치되거나 또는 환자의 치아의 아치(17)를 교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복 치아 부분(11)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12)은 턱 관계 및/또는 기능을 변경시키는 변형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복 치아 부분(11) 및 예상 치아 부분(12)은, 예를 들면, 아래턱을 전진시키거나 또는 아래턱의 성장을 증가시키는 횡방향 탭(3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복 치아 부분(11)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12)은, 예를 들면, 아래턱의 전진을 촉진시킬 수 있는 융기된 입술 실드(3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버젯이 교정될 수 있다. 또한, 중복 치아 부분(11)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12)은, 예를 들면, 치과기구(1)의 전방 말단(27) 및/또는 후방 말단(28)의 자유 공간(31) 소재를 변경시킴으로써 오버바이트 및/또는 오픈바이트를 또한 교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B)를 참조하면, 전방 교합(18)은 교정이나 돌출 안내를 필요로 하지 않는 환자의 치아의 체적 치수에 따라 컴퓨터로 생성될 수 있다. 컴퓨터는 돌출 안내를 필요로 하는 예상 치아 부분(12)의 소정 치수를 예상하기 위하여 존재하는 영구치의 근심-원심 치수(19)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돌출 안내를 필요로 하는 치아의 예상 치아 부분(12)의 소정 치수를 예상하기 위하여 청소년의 돌출되지 않은 치아의 치수 및/또는 형상을 결정하도록 X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치아의 여러 가지 형상의 그룹 표준으로부터 돌출 안내를 필요로 하는 치아의 형상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예를 들면, 아치(17) 형태에 따라 원하는 전방 교합(18)으로 치아를 미리 세팅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예를 들면, 환자의 아랫니 및/또는 윗니의 아치(17) 형상 및/또는 치수에 따라, 원하는 전방 교합(18)으로 치아를 미리 세팅할 수 있다.
도 2(B)는 환자의 구강 내 복수의 탈락성 치아(19)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탈락성 치아는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결국 빠질 수 있는 치아이다. 전방 교합(18)은 환자의 구강의 하부 전방 세그멘트(21) 내로 돌출하기 시작할 수 있는 영구 하부 중앙 앞니(20)를 또한 가질 수 있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직 돌출되지 않은 영구치(18)의 치수를 예상함으로써 예상 치아 부분이 수작업으로 또는 컴퓨터로 미리 세팅될 수 있다. 도 2(C)는 치아 소켓(4)의 절개 에지(5)를 알 수 있는 치과기구(1)의 단면도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치과기구(1)는 어린이에게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과기구(1)는 6세 ~ 8세의 어린이에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치과기구(1)는 제2 영구치 어금니가 선 V-V 후측에 돌출되지 않은 어린이에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E)를 참조하면, 하부 영구치 앞니의 4개의 예상 치수 및/또는 형상이 수작업으로 또는 컴퓨터에 의하여 예상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앞니는 적절하게 정렬될 수 있고 돌출하기 전에 안내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면, 치과기구(1)는 일반적으로 바이오스타(독일 Dentaurm사에서 판매)라고 하는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성형 기술은 성형가능 소재(22)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성형가능 시트(22)는 제1 말단(23) 및 제2 말단(24)을 가질 수 있다. 성형가능 시트(22)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소재, 열경화성 소재로 제조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제조 기술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성형가능 시트(22)는, 예를 들면, 두께 및 경도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성형가능 소재(22)는 강성 소재(25) 및 연성 소재(26)의 결합 소재일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강성 소재(25)는, 예를 들면, 성형가능 시트(22)의 제1 말단(23)에 위치되고, 연성 소재(26)는 성형가능 시트(22)의 제2 말단(24)에 위치될 수 있다. 강성 소재(25)는 치아를 현재 위치에 유지하기를 원하는 치과기구(1)의 부분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연성 소재(26)는 치아 교정이나 안내를 필요로 하는 부분에 사용될 수 있다.
높은 비율의 강성 소재(25)를 사용하여 치과기구(1)를 형성하는 경우, 치과기구(1)의 보존성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치과기구(1)의 더 많은 부분에 높은비율의 강성 소재(25)를 사용하여 원하는 치과기구(1)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치료시간이 더 길어질 수 있다. 치아가 완전하게 정렬된 후, 대부분 및/또는 전부가 강성 소재(25)를 가진 치과기구(1)가 환자의 치아의 다른 최종 모델에 의하여 최종 리테이너로서 컴퓨터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치과기구(1)를 강성 소재(25) 및 연성 소재(26)의 혼합물로서 형성하는 경우, 치과기구(1)는 강성 소재(25)부의 보존성이 더 양호할 수 있다. 연성 소재(26)는 치아 이동에 필요한 교정 시간을 가속시킬 수 있다. 그러나, 추가 치과기구(1)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의사 또는 치열교정의사에게 요구되는 노력이 감소되고 환자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치과기구(1) 전체를 강성 소재(25)로 형성하고 돌출 중인 치아가 있는 경우, 치아 소켓(4)은 환자의 치아에 정확하게 끼워지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아 소켓(4)은 약간 돌출된 치아에 꼭 맞지 않을 수 있으므로, 돌출 프로세스가 느려지거나 정지될 수 있고 또는 치과기구(1)가 맞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치아 소켓(4)은 변화에 맞게 자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지만, 여러 개의 추가 치과기구(1)가 필요할 수 있다. 치아 소켓(4)의 예상 치아 부분(12)이 연성 소재(26)로 형성되는 경우, 추가의 치과기구(1)가 필요없이 정상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치아의 해부, 특히 예상 치아 부분(12)의 해부는, 예를 들면, 아시아인에게 공통적인 삽 형상의 앞니 및 아프리카인에게 공통적인 보다 사각형인 형상의 치아와 같이 인종간의 차이에 맞도록 수작업으로 또는 컴퓨터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치아 형상의 차이는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치과기구(1) 전체를 연성 소재(26)로 형성하는 경우, 보존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치과기구(1)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고, 치과의사 또는 치열교정의사에게 필요한 시간 또한 감소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비용이 절감된다.
이하, 도 4(A)를 참조하면, 치아 소켓(4)은 하나의 치아 슬롯(13)이거나 복수의 치아 슬롯(14)일 수 있다. 하나의 치아 슬롯(13)은 환자의 하나의 치아에 맞고 복수의 치아 슬롯(14)은 환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에 맞을 수 있다. 복수의 치아 슬롯(14)은, 예를 들면, 환자의 제2 쌍두치 및 제2 영구치 어금니에 맞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치아 슬롯(14)은, 예를 들면, 8세 ~ 11세 사이 환자의 제1 및 제2 탈락성 어금니 및 제1 영구치 어금니에 맞을 수 있다. 복수의 치아 슬롯(14),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치 제2 어금니가 선 V-V와 멀리 떨어져 존재하지 않는 환자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치아 슬롯(14)은 개별 치아 소켓(4)이 없는 환자의 치아 모두를 수용할 수 있다.
이하, 도 4(B)를 참조하면, 복수의 치아 슬롯(14)은, 예를 들면, 환자의 제1 및 제2 탈락성 어금니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치아 슬롯(14)은, 예를 들면, 6세 이하의 환자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치아 슬롯(14)은 선 W-W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영구치 어금니용으로는 임의의 슬롯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치아 슬롯(14)은,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6세의 어린이 환자에게 제1 영구치 어금니가 W-W 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돌출된 후 환자의 치아 모두에 맞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치아 슬롯(14)은,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6세 이하의 어린이 환자에게 W-W 선으로 멀리 떨어져 영구치 어금니가 없는 경우를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치아 슬롯(14)은, 도 4(E)에 예시된 바와 같이, W-W 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영구치 어금니 및/또는 V-V 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2 영구치 어금니에 맞을 수 있다.
환자의 탈락성 치아가 빠지거나 또는 탈락성 치아가 영구치로 교체될 때, 치아 소켓(4)은 환자의 이미 돌출된 영구치 및 그룹 표준으로부터의 치수 및 형상에 따라 예상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돌출되지 않았거나 또는 돌출 중인 치아 몇 개가 있는 경우, 치아 소켓(4)은 환자의 이미 돌출된 영구치의 치수에 따라 예상될 수 있다.
전체 치과기구(1)는 영구치가 모두 또는 거의 모두가 아직 돌출되지 않은 경우 치아 소켓(4)을 가질 수 있다. 돌출되지 않은 치아 또는 치아들 또는 부분적으로 돌출된 영구치 크라운은 디지털 또는 표준 X선 이미지로부터 예상될 수 있다. 전체 치과기구(1)는 예상 치아 치수 및 형상은 물론 환자 및/또는 그룹 표준의 상하 아치의 형상 및 치수에 좌우될 수 있다.
치과기구(1)는 수작업으로 및 컴퓨터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과기구(1)는 보존을 위해 환자의 치열 부분의 복제본으로서 컴퓨터에 의하여 형성된 일부분을 가질 수 있다. 보존용으로 사용된 환자의 치열 부분은 앞니가 돌출되는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5세 ~ 7세의 어린이는 돌출되었거나 또는 돌출 중인 임의 개수의 상부 및/또는 하부 영구치 앞니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경우, 치과기구(1)는 하나 이상의 예상 치아 부분(12)을 가질 수 있다.
환자의 영구치 치아 모두가 환자의 구강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소정 부분이 존재하는 환자의 치아의 치수 및 형상으로부터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구치 어금니 및/또는 영구치 앞니는 구강 내에 존재하는 경우 측정이 필요할 수 있다. 영구치 치아가 구강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하나 이상의 앞니의 치수는 구강내 또는 파노라마 방사선 촬영에 의한 디지털 또는 표준 X선 이미지로부터 예상될 수 있다.
컴퓨터 생성 치과기구(1) 또는 수작업으로 형성된 치과기구(1)는 부분적으로는 환자의 주형의 복제본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는 구강 내로 돌출될 치아의 치수 및 형상의 예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생성 치과기구(1) 또는 수작업으로 형성된 치과기구(1)는, 치과기구(1) 또는 등급화된 치과기구(1)를 제조할 수 있는 주형 내에 형성된 중복 치아 부분(11)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12)을 가질 수 있다. 어느 경우이건, 치아 그룹의 소정 부분은 하나의 치아 슬롯(13) 또는 복수의 치아 슬롯(14) 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치과기구(1)는 하나의 치아 슬롯(13) 및 복수의 치아 슬롯(14)을 한 개 이상 가질 수 있다.
4세 ~ 7세의 개인에 대한 컴퓨터 생성 치과기구(1)에 있어서, 영구치의 돌출에 이어 크라우딩이 예상되는지 또는 충분한 공간이 아치(17) 내에 존재하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부 가까운쪽 공간(15)이 최종적으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컴퓨터는 구강 내로 돌출될 영구치의 폭의 측정치와 치아가 돌출될 수 있는 공간 크기 사이의 차이에 따라 아치 길이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정상 돌출로 인한 아치(17)의 예상 증가량이 분석의 함수가 또한 될 수 있다.
크라우딩이 예상되는 경우, 컴퓨터 생성 치과기구(1) 또는 기구들은 하부 영구치 중앙치들이 돌출하는 동안 하부 탈락성 송곳니에서 송곳니까지 치수로부터 대략 1.5mm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생성 모델 치과기구(1) 또는 기구들은 하부 영구치 횡방향 치아가 돌출되는 동안 2.0mm 더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아치(17)와 마찬가지로 후방 세그멘트 내로 팽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치(17) 팽창은 약간 더 작을 수 있다. 치과기구(1)는 아치(17)를 확장시키려는 것은 아니지만 앞니가 아치(17)로 밀고 들어갈 때 자연적인 팽창은 허용할 수 있도록 충분하게 커야 한다. 앞니는 앞니가 하나의 치아 슬롯(13) 또는 복수의 치아 슬롯(14) 내로 밀고 들어갈 때 팽창될 수 있다.
치과기구(1)가 꼭 끼워지기를 원하고 단지 탈락성 치아만 제 위치에 있는 경우, 컴퓨터 생성 치과기구(1)는 다른 치과기구(1)가 사용될 때까지 또는 정면 영구치 앞니가 완전하게 돌출될 때까지 적어도 충분한 시간 동안 구강 내에 존재하게 될 치아들을 복제할 수 있다. 탈락성 치아 몇 개는 단시간 내에 빠지게 되고, 예상 치아 부분(12) 및 치아 소켓(4)이 컴퓨터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치아 소켓(4)은 제1 영구치 어금니가 돌출된 후 빠진 탈락성 치아와 교체될 수 있는 돋아 나오는 영구치에 맞는 치수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유 공간에 근접하도록 근심이 이동할 수 있도록 치과기구(1)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여유 공간은 보다 넓은 탈락성 뒷니와 이를 대체하는 보다좁은 영구치 사이의 치수 차이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치과의사 또는 치열교정의사는 아치(17)가 팽창할 수 있도록 보다 큰 치수의 치과기구(1)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치과의사 또는 치열교정의사는 하나의 치아 슬롯(13) 대신에 복수의 치아 슬롯(14)을 가진 치과기구(1)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치아 슬롯(14)은 소정의 부분, 예를 들면, 상부 및/또는 하부 뒷니가 팽창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여유 공간을 통해 전방으로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성장 도중에 후방이 돌출할 수 있도록, 보다 적은 교합내 소재(31)가 컴퓨터 프로그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교합면(37) 내에는 잇몸 둘레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여유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여유 공간은, 예를 들면, 치아가 적절하게 돌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여유 공간은, 예를 들면, 치아가 성장하는 동안에 더 완전하게 돌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할 수 있다. 동시에, 오버바이트의 교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유 공간(31)의 전방 세그멘트 내에 더 많은 소재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교합면(37)의 평탄화와 같은 변경 및/또는 뒷니의 복수의 치아 슬롯(14)으로 인하여, 치아의 교합 해부에 상관없이, 임의의 치아가 치과기구(1)의 하나의 치아 슬롯(13) 또는 복수의 치아 슬롯(14) 내에 적절하게 끼워지거나 또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절개 에지(5)는 치아가 치과기구(1) 내로 적절하게 돌출할 수 있도록 더 얇아질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나이가 10세 정도에서 나머지 영구치 치아가 돌출할 때 유사한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복수의 치아 슬롯(14)은 하나의 치아 슬롯(13)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복수의 치아 슬롯(14)은 전체 치과기구(1)를 커버할 수 있고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 치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치과기구(1)는 정면 말단(27)(근심). 후면 말단(28)(원심), 상면 말단(29) 및 저면 말단(30)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치과기구(1)는 윗니와 아랫니 사이 또는 자유 공간(31) 내에 소재를 가질 수 있다. 치과기구(1)의 정면 말단(27)의 소재량은 치과기구(1)의 후면 말단(28)의 소재량보다 더 크다. 또한, 소재량이 치과기구(1)의 정면 말단(27)에서 증가되고 치과기구(1)의 후면 말단(28)에서 감소될 때 오버바이트 교정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정면 말단(27)의 소재량은 더 적고 후면 말단(28)의 소재량은 더 많은 반대의 경우, 변경된 자유 공간(31)은 오픈바이트 교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치과기구(1)의 정면 말단(27)이 자유 공간(31)에서 증가되고 후면 말단(28)에서 감소되는 경우, 오버바이트가 교정될 수 있다. 또한, 자유 공간(31)이 정면 말단(27)에서 감소되고 자유 공간(31)이 후면 말단(28)에서 증가되는 경우, 오픈바이트가 교정될 수 있다. 또한, 정면 말단(27)의 상부 및 하부 절개 에지(5) 사이에는, 예를 들면, 오픈바이트를 교정할 수 있는 슬릿(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B),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 리브(10)가 치과기구(1)의 치아 소켓(4)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돌출 리브(10)는 환자의 치아가 원하는 위치로 회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돌출 리브(10)는 치아 소켓(4)의 입술면(8) 및/또는 혀쪽(9)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환자의 치아의 회전을 돕기 위하여 돌출 리브(10) 대신에 범프 및/또는 융기부가 치아 소켓(4)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도 5(E)는 치과기구(1)의 단면도이다. 치과기구(1)의 치아 소켓(4)은 보다 좁은 절개 에지(5)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환자의 천성적인 아치는 일반적으로 사각형 형상이다. 따라서, 치과기구(1)는 환자의 치아의 아치의 사각형 형태에 맞도록 변경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치과기구(1)는 천성적인 테이퍼진 아치를 가진 환자에게 맞도록 형성된 테이퍼진 아치(17)를 가질 수 있다.
도 6(C)는 아시아인에 공통적인 형상을 갖는 상부 중앙 앞니(16)의 단면도이다. 도 6(D) 및 도 6(E)는 천성적으로 생기는 앞니(16)의 다른 형태를 일반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D)는 백색 인종에 공통적인 앞니(16)의 도면인 반면, 도 6(E)는 아프리카인에게 공통적인 앞니(16)의 도면이다.
이하, 도 7(A)를 참조하면, 치과기구(1)는 치아 소켓(4)의 교합면(37)에 위치할 수 있는 편평한 부분(34)을 가질 수 있다. 도 7(B)는 혀 탭(35)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기구의 상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C)는 융기된 입술 실드(36)를 가진 환자의 치아의 정면도이다. 도 7(D)는 좁은 절개 에지(5)를 가진 환자의 치아의 중간선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여러 가지로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부수적인 장점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03)

  1. 사용자의 구강 내에 착용하는 치과기구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이고,
    상기 베이스는,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의 치아의 예상 치수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
    치과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제1 소재 및 제2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실드(shiel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아는 상기 실드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5. 사용자의 구강 내에 착용하는 치과기구에 있어서,
    제1 말단과 제2 말단 사이에 정해지는 길이를 갖고, 또한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이며,
    상기 베이스의 제1 부분은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른 형상을 갖고,
    상기 베이스의 제2 부분은 돌출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의 치수에 따른 형상을 갖는
    치과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tab)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탭은 상기 구강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말단에서의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말단에서의 상기 상면과 상기 저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이한 강도를 갖는 복수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편평한 교합면(occlusal surfac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형성된 리브(rib)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하나 이상의 치아와 접촉되어 상기 치아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2개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2. 사용자의 구강 내에 착용하는 치과기구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하여 생성되며,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인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치수는,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 이상의 치아에 따라 예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2개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드는 상기 치아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제1 소재 및 제2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의 치아와 일치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형성된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치아 중 2개 이상의 치아와 접촉되어 상기 치아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탭은 정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9.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인접하여 착용하는 치과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인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 각각의 치수는,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앞니의 예상 치수에 따라 컴퓨터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드는 상기 구강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탭은 사용자의 구강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형성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치아 중 하나의 치아와 접촉되어 상기 치아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의 상기 소켓 중 하나는 편평한 교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중 2개 이상의 소켓은 강도가 상이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25. 치과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인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벽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외주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벽은 돌출되지 않은 치아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벽은 하나 이상의 돌출된 영구치의 치수에 따른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벽에 인접하여 상기 베이스 내에 형성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치아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사용자의 상기 치아 중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28. 재2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탭은 상기 구강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2개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며, 편평한 교합면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제1 소재 및 제2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31.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인접하여 착용하는 치과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인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내의 소켓
    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이며,
    상기 소켓 중 하나의 치수는 사용자의 구강 내부의 이미지에 따라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X선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디지털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이한 강도를 갖는 복수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내에 형성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치아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36. 치과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내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인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 내의 제1 소켓, 및
    상기 베이스 내의 제2 소켓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켓은 상기 하나의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라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하나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이며,
    상기 제2 소켓은 사용자의 2개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일체로 형성된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탭은 사용자의 구강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일체로 형성된 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드는 상기 치아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제1 소재 및 제2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40. 치과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인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내의 소켓
    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내부를 형성하는 벽을 가지며,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이고,
    상기 소켓은 상기 소켓의 벽 내에 형성된 리브를 가지며,
    상기 리브는 상기 치아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치수는 돌출되지 않은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갖고,
    상기 탭은 정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제1 소재 및 제2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아는 상기 실드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45. 사용자의 치아에 인접하여 착용하는 치과기구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 내의 제1 소켓, 및
    상기 베이스 내의 제2 소켓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켓은 사용자의 상기 치아 중 하나의 치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소켓은 사용자의 2개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이고,
    상기 제2 소켓은 상기 치아와 접촉되는 편평한 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소켓 또는 상기 제2 소켓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 이상의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라 결정되는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켓은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소켓은 제2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소켓은 제2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소재 및 상기 제2 소재는 상이한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켓 내에 형성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치아와 접촉되어 상기 치아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49. 사용자의 구강 내에 전치 및 후치를 갖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치과기구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돌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라 결정되는 치수이며,
    상기 베이스는 사용자의 전치와 접촉되고,
    상기 베이스는 사용자의 후치 중 하나와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소켓을 더 포함함고,
    상기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드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는 제2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5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형성된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2개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53.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기구의 예상 부분은, 상기 베이스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소재보다 더 연성인 제1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54.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탭은 정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55.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형성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하나 이상의 전치와 접촉되어 상기 전치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56.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에 인접하여 착용하는 치과기구에 있어서,
    내주 및 외주를 갖는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의 베이스, 및
    상기 외주를 따라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벽
    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면을 가지며,
    상기 벽은 상기 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사용자의 입술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탭은 사용자의 구강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형성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치아와 접촉되어 상기 치아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의 치아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60.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2개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61.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돌출되지 않은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라 결정되는 치수를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62. 재5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제1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벽은 제2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63. 치아를 가진 사용자의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시트에 있어서,
    제1 소재로 형성되는 제1 부분, 및
    제2 소재로 형성되는 제2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재는 상기 제2 소재보다 더 연성이며,
    상기 시트는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치과기구 내에 성형되고,
    상기 제1 소재는 교정을 필요로 하는 치아와 접촉되며,
    상기 제2 소재는 교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치아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부분은 제2 두께를 갖고,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2 두께와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돌출되지 않은 치아의 예상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66.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부정교합을 가진 사용자의 구강 내에 착용되는 제1 치과기구, 및 사용자가 상기 제1 치과기구를 착용한 후 사용자의 구강 내에 착용되는 제2 치과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치과기구의 일부분은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라 결정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치과기구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치과기구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교정된 치아와 상관 관계에 있는 형상을 갖는
    부정교합 치료 시스템.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치과기구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라 결정되는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치료 시스템.
  68. 제66항에 있어서,
    컴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치과기구의 모델은 상기 컴퓨터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치료 시스템.
  69. 제66항에 있어서,
    컴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치과기구의 모델은 상기 컴퓨터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치료 시스템.
  70. 환자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벙법에 있어서,
    환자의 치아의 모델을 얻는 단계,
    디지털 모델을 제공하도록 상기 모델을 스캐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모델에 따라 부정교합을 진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도록 착용되는 일련의 치과기구를 설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치아 위치 교정 방법.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치과기구를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위칭 교정 방법.
  7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치과기구 중 하나를 상부 교합 및 하부 교합 상의 환자의 치아에 착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위치 교정 방법.
  73.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치과기구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위치 교정 방법.
  74.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은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위치 교정 방법.
  75.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부정교합을 진단한 후 이상적인 치열을 제공하도록 환자의 상기 디지털 모델 내에 치아를 재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위치 교정 방법.
  76. 부정교합을 교정하는 U자 형상의 치과기구에 있어서,
    특정 치아 또는 특정 치아들의 이동을 억제하는 중복 치아 부분(duplicated tooth area), 및 다른 치아 또는 다른 치아들의 이동을 허용 또는 안내하는 예상 치아 부분(predicted tooth area)을 포함하고,
    상기 중복 치아 부분은 강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하며, 상기 예상 치아 부분은 연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하는
    U자 형상의 치과기구.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소재는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 형상의 치과기구.
  78. 제76항에 있어서,
    아래턱의 전진 및/또는 아래턱의 성장을 증가시키는 횡방향 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 형상의 치과기구.
  79.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아래턱의 전진을 촉진시키는 융기된 입술 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 형상의 치과기구.
  80.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 치아 부분의 하나 이상의 치아 소켓은 복수의 치아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 형상의 치과기구.
  81.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치아 부분의 하나 이상의 치아 소켓은 복수의 치아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자 형상의 치과기구.
  82.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2개 이상의 U자 형상의 치과기구를 포함하는 키트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또는 모든 치과기구는 특정의 치아 또는 특정의 치아들의 이동을 억제하는 중복 치아 부분, 및 다른 치아 또는 다른 치아들의 이동을 허용 또는안내하는 예상 치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복 치아 부분은 강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하며, 상기 예상 치아 부분은 연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하는
    키트.
  83. 치아 부정교합을 교정된 교합으로 전환시키는 치과기구 형성 방법에 있어서,
    (a) 환자의 상치 및 하치의 모델을 얻는 단계,
    (b) 상기 모델에 따라 환자의 바이트의 입체 디지털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교정된 교합의 이상적인 입체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이상적인 입체 디지털 모델에 따라 상기 부정교합을 상기 교정된 교합으로 순차 전환시키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 중 적어도 하나는, 특정의 치아 또는 치아들의 이동을 억제하는 중복 치아 부분, 및 다른 치아 또는 치아들의 이동을 허용 또는 안내하는 예상 치아 부분을 포함하는 U자 형상의 치과기구이며,
    상기 중복 치아 부분은 강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하고, 상기 예상 치아 부분은 연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하는
    치과기구 형성 방법.
  84. 제83항에 있어서,
    단계(d)는 (d1) 하나 이상의 수지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d2) 상기 하나 이상의 등급화된 수지 모델로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형성 방법.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모델 및/또는 상기 등급화된 치과기구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형성 방법.
  86. 제8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모델 및/또는 상기 등급화된 치과기구는 수작업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형성 방법.
  87. 제83항에 있어서,
    단계 (b)는 입체 디지털 자료를 제공하도록 상기 모델을 레이저 스캐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형성 방법.
  88. 환자, 특히 탈락성 치아를 가진 어린이의 구강 내 부정교합을 교정된 교합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상치 및 하치의 모델을 얻는 단계,
    상기 모델에 따라 환자의 바이트의 입체 디지털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교정된 교합의 이상적인 입체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상적인 입체 디지털 모델에 따라 상기 부정교합을 상기 교정된 교합으로 순차 전환시키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U자형 치과기구를 환자의 치아 내에 순차 착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는 특정의 치아 또는 치아들의 이동을 억제하는 중복 치아 부분, 및 다른 치아 또는 치아들의 이동을 허용 또는 안내하는 예상 치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중복 치아 부분은 강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하고, 상기 예상 치아 부분은 연성 소재로 만들어진 치아 소켓 또는 소켓들을 포함하는
    부정교합 전환 방법.
  89. 제88항에 있어서,
    단계(e)는 2개 이상의 치과기구를, 각각의 연속적인 U자형 치과기구가 교합을 점진적으로 교정하도록 환자의 치아에 순차적으로 착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순서 중 마지막 U자형 치과기구가 교합 교정을 완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전환 방법.
  90.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 교정은 환자의 선천적인 아치와 상이한 아치를 가진 U자형 치과기구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치아 아치를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전환 방법.
  91.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된 교합의 이상작인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돌출되지 않은 치아의 치수 및 형상을 예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상은 이미 돌출된 영구치의 치수 및 형상 또는 환자의 구강의 X선 사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전환 방법.
  92. 제88항에 있어서,
    단계(b)는 입체 디지털 자료를 제공하도록 상기 모델을 레이저 스캐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전환 방법.
  93. 환자, 특히 탈락성 치아를 가진 어린이의 구강 내 부정교합을 교정된 교합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a) 환자의 상치 및 하치의 모델을 얻는 단계,
    (b) 상기 모델에 따라 환자의 바이트의 입체 디지털 자료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교정된 교합의 이상적인 입체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이상적인 입체 디지털 모델에 따라 상기 부정교합을 상기 교정된 교합으로 순차 전환시키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하나 이상의 U자형 치과기구를 환자의 치아에 순차 착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치과기구는 하나 이상의 복수 치아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전환 방법.
  94.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복수 치아 슬롯 중 하나는, 환자의 제2 쌍두치(bicuspid) 및 제1 영구치 어금니에 꼭 맞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전환 방법.
  95.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복수 치아 슬롯 중 하나는, 환자의 제1 및 제2 탈락성 어금니, 및 제1 영구치 어금니에 꼭 맞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전환 방법.
  96.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복수 치아 슬롯 중 하나는 환자의 제1 및 제2 탈락성 어금니에 꼭 맞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전환 방법.
  97. 제93항에 있어서,
    단계(b)는 입체 디지털 자료를 생성하도록 상기 모델을 레이저 스캐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전환 방법.
  98. 사용자의 치아에 인접하여 착용하는 치과기구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U자형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이며,
    상기 베이스의 제1 부분은, 돌출되지 않은 사용자의 치아 중 하나의 치아의 예상 치수에 따라 결정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예상은 치아의 치수에 대한 해부학적 표준에 따르는
    치과기구.
  99.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의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00.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내에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사용자의 치아 중 2개 이상의 치아를 수용하는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01.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탭은 상기 구강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02.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미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103. 제98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치아에 따라 결정되는 형상을 갖는 상기 베이스의 제2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기구.
KR10-2004-7019338A 2002-05-30 2003-05-29 중복 치아 부분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을 갖는 치과기구,및 환자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방법 KR200500042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431502P 2002-05-30 2002-05-30
US60/384,315 2002-05-30
PCT/US2003/017163 WO2003101330A2 (en) 2002-05-30 2003-05-29 A dental appliance having a duplicated tooth area and/or a predicted tooth area and a method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teeth of a pati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257A true KR20050004257A (ko) 2005-01-12

Family

ID=2971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338A KR20050004257A (ko) 2002-05-30 2003-05-29 중복 치아 부분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을 갖는 치과기구,및 환자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133050B2 (ko)
EP (1) EP1509157A2 (ko)
JP (1) JP2005527320A (ko)
KR (1) KR20050004257A (ko)
CN (1) CN1655732A (ko)
AU (1) AU2003238847A1 (ko)
BR (1) BR0311370A (ko)
CA (1) CA2484127A1 (ko)
IL (1) IL164714A0 (ko)
MX (1) MXPA04011380A (ko)
PL (1) PL373643A1 (ko)
RU (1) RU2004138302A (ko)
WO (1) WO2003101330A2 (ko)
YU (1) YU1039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6768B2 (en) 1998-10-08 2021-06-08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reinforcement
MXPA05003928A (es) 2003-01-21 2005-06-17 Ortho Tain Inc Un dispositivo dental y un sistema para reducir la cantidad de cooperacion del paciente para tratar una maloclusion utilizando el dispositivo dental.
US7904308B2 (en) 2006-04-18 2011-03-08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dexing and cataloguing of orthodontic related treatment profiles and options
US11298209B2 (en) * 2004-02-27 2022-04-12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ynamic orthodontic assessment and treatment profiles
US8874452B2 (en) 2004-02-27 2014-10-28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ynamic orthodontic assessment and treatment profiles
US9492245B2 (en) * 2004-02-27 2016-11-15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ynamic orthodontic assessment and treatment profiles
CA2571109C (en) * 2004-06-18 2014-01-28 Dentsply International Inc. Plastic sheets for thermoforming dental products
AU2005305194A1 (en) * 2004-11-10 2006-05-18 Ortho-Tain, Inc. Upper and lower single preformed and/or customized appliance
EP1835864B1 (en) * 2004-11-17 2011-08-03 DENTSPLY International Inc. Plastic sheets for thermoforming dental products
DE202006005153U1 (de) * 2006-03-29 2006-06-22 Paulus, Werner Kieferorthopädische Vorrichtung mit Weichkunststoffelement
US7975701B2 (en) * 2006-04-18 2011-07-12 Ortho-Tain, Inc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on habits of an oral cavity
US20080050692A1 (en) * 2006-08-22 2008-02-28 Jack Keith Hilliard System and method for fabricating orthodontic aligners
US7878805B2 (en) * 2007-05-25 2011-02-01 Align Technology, Inc. Tabbed dental appliance
US8275180B2 (en) 2007-08-02 2012-09-25 Align Technology, Inc. Mapping abnormal dental references
US8099268B2 (en) * 2007-05-25 2012-01-17 Align Technology, Inc. Tooth modeling
EP2182880B1 (en) * 2007-08-29 2017-10-11 Christopher John Farrell An orthodontic appliance
US8738394B2 (en) 2007-11-08 2014-05-27 Eric E. Kuo Clinical data file
AU2008329535B2 (en) * 2007-11-27 2011-09-29 Clearsmile Holdings Pty Limited A dental appliance
US10307221B2 (en) * 2007-12-21 2019-06-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thodontic treatment monitoring based on reduced images
US8108189B2 (en) 2008-03-25 2012-01-31 Align Technologies, Inc. Reconstruction of non-visible part of tooth
DE102008046708B4 (de) * 2008-03-27 2013-11-14 Tridenta Dentaltechnik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ufbiss-Schiene
US8092215B2 (en) 2008-05-23 2012-01-10 Align Technology, Inc. Smile designer
US9492243B2 (en) 2008-05-23 2016-11-15 Align Technology, Inc. Dental implant positioning
US8172569B2 (en) 2008-06-12 2012-05-08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US8152518B2 (en) 2008-10-08 2012-04-10 Align Technology, Inc. Dental positioning appliance having metallic portion
US20100129763A1 (en) * 2008-11-24 2010-05-27 Align Technology, Inc. Sequential sports guard
US8292617B2 (en) 2009-03-19 2012-10-23 Align Technology, Inc. Dental wire attachment
ES2364165B1 (es) * 2009-07-30 2012-07-10 José Luis Cerdeira Iglesias Procedimiento mejorado para la realización de aparatos de movilización y corrección posicional de piezas dentarias y aparato obtenido.
US8765031B2 (en) 2009-08-13 2014-07-01 Alig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a dental appliance
US9241774B2 (en) 2010-04-30 2016-01-26 Align Technology, Inc. Patterned dental positioning appliance
US9211166B2 (en) 2010-04-30 2015-12-15 Align Technology, Inc. Individualized orthodontic treatment index
ES2665997T3 (es) * 2010-07-12 2018-04-30 Centre De Recherche Medico Dentaire Am Inc. Método y sistema de análisis dental
US9403238B2 (en) 2011-09-21 2016-08-02 Align Technology, Inc. Laser cutting
CN102499767B (zh) * 2011-11-01 2013-08-28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真空成型改良式Activator矫治器及其制作方法
US9375300B2 (en) 2012-02-02 2016-06-28 Align Technology, Inc. Identifying forces on a tooth
US9433476B2 (en) 2012-03-01 2016-09-06 Align Technology, Inc. Interproximal reduction planning
US9220580B2 (en) 2012-03-01 2015-12-29 Align Technology, Inc. Determining a dental treatment difficulty
US9414897B2 (en) 2012-05-22 2016-08-16 Align Technology, Inc. Adjustment of tooth position in a virtual dental model
CN103099681A (zh) * 2013-01-18 2013-05-15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下颌前导器的制造方法
CA2850988A1 (en) 2013-05-03 2014-11-03 Resmed Sas Improved mandibular repositioning device
US9675427B2 (en) 2013-06-07 2017-06-13 Align Technology, Inc. Adjusting a tooth position
FR3010629B1 (fr) * 2013-09-19 2018-02-16 Dental Monitoring Procede de controle du positionnement de dents
US10299894B2 (en) 2014-02-21 2019-05-28 Align Technology, Inc. Treatment plan specific bite adjustment structures
CN105380719B (zh) * 2014-08-22 2018-04-03 洪庆在 透明矫正装置及其制造方法
US10449016B2 (en) 2014-09-19 2019-10-22 Align Technology, Inc. Arch adjustment appliance
US9610141B2 (en) 2014-09-19 2017-04-04 Align Technology, Inc. Arch expanding appliance
FR3027504B1 (fr) 2014-10-27 2022-04-01 H 43 Procede de controle du positionnement de dents
FR3027505B1 (fr) 2014-10-27 2022-05-06 H 43 Procede de controle du positionnement de dents
FR3027711B1 (fr) 2014-10-27 2018-06-15 Dental Monitoring Procede de controle de la dentition
US9744001B2 (en) * 2014-11-13 2017-08-29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with cavity for an unerupted or erupting tooth
JP6568218B2 (ja) 2014-12-23 2019-08-28 ブリヂストン アメリカズ タイヤ オペレー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 化学線硬化型高分子混合物、硬化高分子混合物、及び関連するプロセス
US10504386B2 (en) 2015-01-27 2019-12-10 Align Technology, Inc. Training method and system for oral-cavity-imaging-and-modeling equipment
US11931222B2 (en) 2015-11-12 2024-03-19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formation structures
US11554000B2 (en) 2015-11-12 2023-01-17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formation structure
US11596502B2 (en) 2015-12-09 2023-03-07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placement structure
US11103330B2 (en) 2015-12-09 2021-08-31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placement structure
CN105411693B (zh) * 2015-12-15 2018-08-17 广州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一种ⅱ型个性化功能矫治器及其制作方法和应用
CN105411692B (zh) * 2015-12-15 2019-02-19 广州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一种ⅲ型个性化功能矫治器
WO2017105960A1 (en) 2015-12-17 2017-06-22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Additive manufacturing cartridge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cured polymeric products by additive manufacturing
BR112018016990A2 (pt) * 2016-02-24 2018-12-26 3Shape As comparação de um arranjo dentário atual com uma série de arranjos dentários pré-definidos
CN105919682A (zh) * 2016-06-06 2016-09-07 西安博恩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个性化定制牙齿隐形矫治器的快速成型制造方法
US10383705B2 (en) 2016-06-17 2019-08-20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appliance performance monitor
WO2017218947A1 (en) 2016-06-17 2017-12-21 Align Technology, Inc. Intraoral appliances with sensing
US10331859B2 (en) * 2016-06-21 2019-06-25 Clearcorrect Operating, Llc Orthodontic treatment simulation having improved graphics processing for virtual modeling
PL3578131T3 (pl) 2016-07-27 2021-06-28 Align Technology, Inc. Skaner wewnątrzustny z możliwościami diagnostyki stomatologicznej
FR3057156B1 (fr) * 2016-10-10 2022-07-15 D & D Appareil orthodontique mono-materiau
US20180104023A1 (en) * 2016-10-14 2018-04-19 Brock Aaron Goodman Advanced Orthodontic Retainer
EP3532267B1 (en) 2016-10-27 2023-03-01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Processes for producing cured polymeric products by additive manufacturing
US10595966B2 (en) 2016-11-04 2020-03-24 Alig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ntal images
US11559378B2 (en) 2016-11-17 2023-01-24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Scanning dental impressions
US11273011B2 (en) 2016-12-02 2022-03-15 Align Technology, Inc. Palatal expanders and methods of expanding a palate
WO2018102770A1 (en) 2016-12-02 2018-06-07 Align Technology, Inc. Force control, stop mechanism, regulating structure of removable arch adjustment appliance
WO2018102702A1 (en) 2016-12-02 2018-06-07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features for speech enhancement
CA3043049A1 (en) 2016-12-02 2018-06-07 Alig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ustomizing rapid palatal expanders using digital models
US10548700B2 (en) 2016-12-16 2020-02-04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etch template
US10779718B2 (en) 2017-02-13 2020-09-22 Align Technology, Inc. Cheek retractor and mobile device holder
WO2018170030A1 (en) * 2017-03-16 2018-09-20 Carestream Dental Technology Topco Limited Method for virtual setup with mixed dentition
US10613515B2 (en) 2017-03-31 2020-04-07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appliances including at least partially un-erupted teeth and method of forming them
US11045283B2 (en) 2017-06-09 2021-06-29 Align Technology, Inc. Palatal expander with skeletal anchorage devices
EP3638146A1 (en) * 2017-06-16 2020-04-22 Align Technology, Inc. Automatic detection of tooth type and eruption status
US10639134B2 (en) 2017-06-26 2020-05-05 Align Technology, Inc. Biosensor performance indicator for intraoral appliances
US10885521B2 (en) 2017-07-17 2021-01-05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es for interactive ordering of dental aligners
WO2019018784A1 (en) 2017-07-21 2019-01-24 Align Technology, Inc. ANCHOR OF CONTOUR PALATIN
US11633268B2 (en) 2017-07-27 2023-04-25 Align Technology, Inc. Tooth shading, transparency and glazing
US11116605B2 (en) 2017-08-15 2021-09-14 Align Technology, Inc. Buccal corridor assessment and computation
WO2019036677A1 (en) 2017-08-17 2019-02-21 Align Technology, Inc. SURVEILLANCE OF CONFORMITY OF DENTAL DEVICE
US10813720B2 (en) 2017-10-05 2020-10-27 Align Technology, Inc. Interproximal reduction templates
WO2019084326A1 (en) 2017-10-27 2019-05-02 Align Technology, Inc. OTHER BORE ADJUSTMENT STRUCTURES
EP3703608B1 (en) 2017-10-31 2023-08-30 Align Technology, Inc. Determination of a dental appliance having selective occlusal loading and controlled intercuspation
CN111315315B (zh) 2017-11-01 2022-08-23 阿莱恩技术有限公司 自动治疗规划
WO2019100022A1 (en) 2017-11-17 2019-05-23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retainers
CN111417357B (zh) 2017-11-30 2022-07-26 阿莱恩技术有限公司 用于监测口腔矫治器的传感器
WO2019118876A1 (en) 2017-12-15 2019-06-20 Align Technology, Inc. Closed loop adaptive orthodontic treatment methods and apparatuses
US10980613B2 (en) 2017-12-29 2021-04-20 Align Technology, Inc. Augmented reality enhancements for dental practitioners
CN111655191B (zh) 2018-01-26 2022-04-08 阿莱恩技术有限公司 诊断性口内扫描和追踪
US20190231481A1 (en) * 2018-01-31 2019-08-01 Won Moon Elastic orthodontic appliance
US10485635B2 (en) 2018-01-31 2019-11-26 Won Moon Orthodontic appliance
US10413386B2 (en) 2018-01-31 2019-09-17 Won Moon Hybrid orthodontic appliance
US11937991B2 (en) 2018-03-27 2024-03-26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ttachment placement structure
CA3096417A1 (en) 2018-04-11 2019-10-17 Align Technology, Inc. Releasable palatal expanders
IT201800007702A1 (it) 2018-07-31 2020-01-31 Aldo Cehic Uno stimolatore orale
EP3847994A1 (en) * 2018-09-07 2021-07-14 Align Technology, Inc. Improved laser marking of dental appliances
US10315353B1 (en) 2018-11-13 2019-06-11 SmileDirectClub LLC Systems and methods for thermoforming dental aligners
US20200155274A1 (en) * 2018-11-16 2020-05-21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nalysis with missing teeth prediction
US11007042B2 (en) 2019-02-06 2021-05-18 Sdc U.S. Smilepay Spv Systems and methods for marking models for dental aligner fabrication
US10482192B1 (en) 2019-02-12 2019-11-19 SmileDirectClub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nd marking a location on a dental aligner
GB2584277B (en) * 2019-05-23 2021-05-26 Smile Fast Ltd Dental stent
US11622843B2 (en) 2019-06-25 2023-04-11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Processing digital dental impression
US11534271B2 (en) 2019-06-25 2022-12-27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Processing CT scan of dental impression
US11540906B2 (en) 2019-06-25 2023-01-03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Processing digital dental impression
JP6945113B1 (ja) * 2020-05-21 2021-10-06 SheepMedical株式会社 歯科矯正具の製造装置及び方法
US11544846B2 (en) 2020-08-27 2023-01-03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Out-of-view CT scan detection
AU2021415204A1 (en) * 2020-12-31 2023-07-27 Shanghai Smartee Denti-Technology Co., Ltd. Orthodontic system, design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preparing orthodontic system
WO2022142488A1 (zh) * 2020-12-31 2022-07-07 正雅齿科科技(上海)有限公司 牙科矫正系统及其设计方法和制造方法
US11571327B2 (en) 2021-06-29 2023-02-07 Ortho-Tain, Inc. Wire and ramps in sleep habit corrector
US20230040228A1 (en) * 2021-08-03 2023-02-09 Ortho-Tain, Inc. Overlapping canines and laterals dentition appliance
US11723790B2 (en) 2021-11-09 2023-08-15 Vivos Therapeutics, Inc. Vibrational oral appliance with mandibular advancements
CN113995531B (zh) * 2021-12-09 2024-05-03 南通市妇幼保健院 一种妇产科分娩手术用防咬器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4075A (en) * 1971-03-08 1973-04-03 P Kesling Universal tooth positioning and retaining appliance
US3837081A (en) * 1973-07-02 1974-09-24 P Kesling Preformed tooth positioning and retaining appliance
CA1125059A (en) * 1975-10-28 1982-06-08 Earl O. Bergers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during mixed dentition stage
SE403885B (sv) * 1975-10-31 1978-09-11 Blomstedt Hans Handel Trostare
US4073061A (en) * 1976-06-11 1978-02-14 Bergersen Earl Olaf Closely adapted orthodontic appliance
US4371336A (en) * 1981-01-29 1983-02-01 Hilleman Terry B Orthodontic positioner
US4370129A (en) * 1981-06-18 1983-01-25 Professional Positioners, Inc. Tooth positioner with harder areas
US4396373A (en) * 1982-03-22 1983-08-02 Dellinger Eugene L Magnetic orthodontic appliance
US5028231A (en) * 1982-11-22 1991-07-02 Tp Orthodontics, Inc. Optically clear tooth positioning and retaining appliance
US4568280A (en) * 1983-06-13 1986-02-04 Ahlin Jeffrey H Craniomandibular appliance
US4591341A (en) * 1984-10-03 1986-05-27 Andrews Lawrence F Orthodontic pos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983334A (en) * 1986-08-28 1991-01-08 Loren S. Adell Method of making an orthodontic appliance
US4830612A (en) * 1987-05-26 1989-05-16 Bergersen Earl Olaf Deciduous dentition treatment appliance and orthodontic method
US4784605A (en) * 1987-10-13 1988-11-15 Bergersen Earl Olaf Orthodontic appliance to correct open-bite tendencies in children and adults and tongue-thrust in young children
US4799884A (en) * 1987-11-04 1989-01-24 Bergersen Earl Olaf Expansion/buccal shield appliance
US4919612A (en) * 1987-11-06 1990-04-24 Bergersen Earl Olaf Dental-form expansion appliance
US4898535A (en) * 1988-04-11 1990-02-06 Bergersen Earl Olaf Self-opening preformed activator and positioner
US4986751A (en) * 1989-05-30 1991-01-22 Bergersen Earl Olaf Infant guidance pacifier appliance
US5194004A (en) * 1989-06-30 1993-03-16 Bergersen Earl Olaf Method of injection-molding slow release fluoride
US5037294A (en) * 1989-06-30 1991-08-06 Bergersen Earl Olaf Dentition appliance and method of forming
US5042506A (en) * 1989-11-02 1991-08-27 Liberati Salvator P Antisnoring training device
US5037295A (en) * 1989-11-15 1991-08-06 Bergersen Earl Olaf Muscular expansion oral shield appliance
USD323215S (en) 1990-05-04 1992-01-14 Ortho-Tain Orthodontic positioner
US5203695A (en) * 1991-12-20 1993-04-20 Bergersen Earl Olaf Orthodontic device for expansion of arches with imbedded wire
US5328362A (en) * 1992-03-11 1994-07-12 Watson Sherman L Soft resilient interocclusal dental appliance, method of forming same and composition for same
US5338190A (en) * 1993-04-22 1994-08-16 Sentage Corporation Dental appliance
CN1054737C (zh) * 1993-07-12 2000-07-26 欧索-泰公司 一种可供多种族使用的预成型正牙治疗用具
US5334218A (en) * 1993-09-30 1994-08-02 Johnson Jill C Teething pacifier with semi-circular teething member
US5683244A (en) * 1995-07-10 1997-11-04 Truax; Lloyd H. Dental appliance to correct malocclusion
US5816799A (en) * 1996-04-15 1998-10-06 Parker; Jonathan A. Intraoral orthopedic appliance adjustment apparatus
US5779470A (en) * 1996-06-07 1998-07-14 Kussick Orthodontic Systems, Llc Tongue thrust oral habit retrainer
US5814074A (en) * 1996-07-23 1998-09-29 Branam; Stephen Oral appliance for infants and toddlers
US5911576A (en) * 1997-01-15 1999-06-15 Bruxcare, L.L.C. Measurement device for quantifying the severity of bruxism
US5975893A (en) * 1997-06-20 1999-11-02 Align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incrementally moving teeth
US5876199A (en) * 1997-08-28 1999-03-02 Ortho-Tain, Inc. Appliance adapted to fit many mouth and tooth sizes for orthodontic correction and other uses
US5882192A (en) * 1997-10-30 1999-03-16 Ortho-Tain, Inc. Computerized orthodontic diagnosis and appliance dispenser
US6129084A (en) * 1998-10-22 2000-10-10 Bergersen; Earl O. Intra-oral appliance for the prevention of snoring
US6299440B1 (en) * 1999-01-15 2001-10-09 Align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ooth movement
US6505625B1 (en) * 1999-03-26 2003-01-14 Masakazu Uenishi Mouthpiece
US6626664B1 (en) * 2000-04-11 2003-09-30 Ortho-Tain, Inc. Self opening orthodontic appliance with opening assistance
US6454565B2 (en) * 2000-04-25 2002-09-24 Alig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arying elastic modulus appliances
US6582225B1 (en) * 2000-10-11 2003-06-24 Earl O. Bergersen Dental diagnosis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same
US6913390B2 (en) 2001-08-13 2005-07-05 Makino Milling Machine Company, Ltd Rotating shaf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84127A1 (en) 2003-12-11
MXPA04011380A (es) 2005-02-14
WO2003101330A2 (en) 2003-12-11
BR0311370A (pt) 2005-03-15
PL373643A1 (en) 2005-09-05
YU103904A (sh) 2006-05-25
AU2003238847A1 (en) 2003-12-19
RU2004138302A (ru) 2005-06-10
US8133050B2 (en) 2012-03-13
EP1509157A2 (en) 2005-03-02
US20030224314A1 (en) 2003-12-04
IL164714A0 (en) 2005-12-18
WO2003101330A3 (en) 2004-02-26
CN1655732A (zh) 2005-08-17
JP2005527320A (ja)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4257A (ko) 중복 치아 부분 및/또는 예상 치아 부분을 갖는 치과기구,및 환자의 치아 위치를 교정하는 방법
EP3383310B1 (en) Dental appliances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US9393083B2 (en) Orthodontic appliance, a system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straightening teeth
EP3791824B1 (en) Method for displaying repositioning jaw elements
AU2003270813B2 (en) Dental appliances for treating malocclusions
US20050037311A1 (en) Dental appliance having an altered vertical thickness between an upper shell and a lower shell with an integrated hinging mechanism to attach an upper shell and a lower shell and a system and a method for treating malocclusions
CN111281578B (zh) 牙齿矫治器的设计方法及制备方法、牙齿矫治系统
KR101999375B1 (ko) 디지털틀니 제조방법
KR20050016457A (ko) 돌출되지 않은 치아의 예상 치수 및 형상에 따른치아교정기구, 시스템 및 방법
WO2017093864A1 (en) Dental appliances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CN115645142A (zh) 数字化阻鼾器的制造方法及阻鼾器
CN117017531A (zh) 个性化颅面生长引导器及其设计方法、颅面生长引导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