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3695A -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과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과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3695A
KR20050003695A KR1020030045112A KR20030045112A KR20050003695A KR 20050003695 A KR20050003695 A KR 20050003695A KR 1020030045112 A KR1020030045112 A KR 1020030045112A KR 20030045112 A KR20030045112 A KR 20030045112A KR 20050003695 A KR20050003695 A KR 20050003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school
broadcast
control compute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515B1 (ko
Inventor
정지원
Original Assignee
(주)한성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파워텍 filed Critical (주)한성파워텍
Priority to KR2003004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5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515B1/ko

Link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교방송장치에 인터페이스수단과 제어 컴퓨터를 부가하여 학교방송장치의 기능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학교방송장치의 멀티미디어 활용이 가능한 학교방송의 자동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성을 이용한 음성방송과 일과 시간표에 따른 시보방송을 송출하는 음성방송수단과, 영상을 이용한 영상방송을 송출하는 영상방송수단을 구비한 학교방송장치;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방송운영을 제어하고,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사용점검 및 환경설정과, 상기 학교방송장치를 통해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저장, 생성 및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 및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제어단자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컴퓨터와 직렬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학교방송장치를 세팅하고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상태를 점검하여 점검결과를 상기 제어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 컴퓨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상기 학교방송장치로 송출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잡한 학교방송장치의 조작을 컴퓨터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학교방송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과 운영방법{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utomated school broadcasting}
본 발명은 학교방송의 자동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미 설치된 학교방송장치에 인터페이스수단과 제어 컴퓨터를 부가하여 학교방송장치의 기능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학교방송장치의 멀티미디어 활용이 가능한 학교방송의 자동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방송장치는 음성, 음악, 영상 등의 미디어를 활용하여 학교교육활동에 직접적으로 활용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부수적으로 학생, 또는 교직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방송으로도 이용되고 있는 시설을 말한다.
그러나 현재는 주 활동인 교육활동, 멀티미디어(음성, 음악, 영상, 문자) 교육자료를 활용하는 것 보다 부수적인 활동인 음성위주의 전달방송에만 학교방송이이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제대로 된 멀티미디어 방송컨텐츠제작에는 많은 시간과 경제적인 부담과 능력이 뒤따라야 한다. 아울러 교사들은 이들 일련의 활동이 업무 이외의 잡무라는 인식을 갖고 있어 방송 컨텐츠의 자체제작이 어렵고, 이러한 방송 컨텐츠 제작을 위해서는 경험 있는 교사가 있어야 함은 물론, 방송스튜디오, 조명, 촬영, 편집시설 등 많은 부대시설이 뒤따라야 함으로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학교에는 이런 시설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학교방송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학교방송 시설은 음성방송장치(10)와 영상방송장치(30)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음성방송장치(10)는 모니터 판넬(11), 오디오프로그램(12), 라디오(13), 테이프 레코더(14), 원격제어기(15), 믹서(16), 스피커 선택기(17), 앰프(18) 및 전원공급기(19)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들은 랙(lack:20)에 설치된다. 음성방송장치(10)는 스피커 배선을 통해 각 교실에 설치된 스피커(50a)와 연결되며, 스피커(50a)를 통해 음성방송 또는 시보음악이 출력된다.
또한, 영상방송장치(30)는 VTR(31, 32, 33), 모듈레이터(34, 35, 36), 콤바이너(37) 및 전원공급기(38)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들은 랙(lack:40)에 설치된다. 영상방송장치(30)는 VTR(31, 32, 33)에 각각 다른 비디오 테이프를 삽입하여 각각 다른 채널로 동시에 방송할 수 있으며, 동축케이블을 통해 교실에 설치된 프fp젠테이션 TV(60a)로 방송된다.
그러나, 이러한 학교방송장치의 대부분이 기계식이고 조작이 복잡하여 교육받지 않은 교사들은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학교방송장치를 시보음악 또는 정보전달 위주의 음성방송에만 이용하고 있어 고비용의 방송장비를 설치하고도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학교교육에 활용 가능한 교육용 컨텐츠가 인터넷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학교전산망 시설을 활용하여 교실에서 직접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실시간, 또는 다운로드(Down Load)방식으로 컨텐츠를 확보하고 이를 프레젠테이션 TV에 투사하여 활용하고 있어 영상방송기능을 구비한 학교방송장치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육용 컨텐츠는 인터넷을 통해 그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의 학교방송장치는 이 같은 인터넷 활용과는 거리가 먼 자체 제작 컨텐츠 또는 비디오 테이프(Video Tape), 오디오(Audio), 라디오(Radio) 등 아날로그(Analog)위주의 컨텐츠만 활용하고 있어 지식·정보화사회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즉, 현재의 학교방송시설은 아날로그식 학교방송으로 오늘날과 같은 인터넷 활용위주의 디지털시대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교육용 컨텐츠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의 교육용 컨텐츠는 대부분이 웹(Web)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녹음기 등으로 받은 미디어파일소스를 프리미어 소프트웨어 등으로 편집하여 이들 데이터를 DB로 구축하고 이를 익스플로러 등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현재와 같은 학교방송장치는 이 같은 디지털시대의미디어 기기들을 제대로 수용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와 학교방송장치를 연동하여 학교방송장치의 상태 점검과 사용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학교방송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도 3 제어 인터페이스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도 3의 학교방송이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 은 도 3의 학교방송이 제어 인터페이스부에서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운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 은 도 7의 운영과정에서 방송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 는 도 7의 운영과정에서 방송 예약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 은 도 7의 운영과정에서 방송을 직접 송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 은 도 7의 운영과정에서 정규방송과 임시방송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학교방송장치 110 : 음성방송장치
120 : 영상방송장치 200 : 사용자 컴퓨터
210 : 원격제어 컴퓨터 220 : 표준시각 서버
300 : 제어 인터페이스부 310 :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
320 : 마이크로 컨트롤러 330 : 드라이브
400 : A/V 라우팅 스위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향과 영상을 송출하는 학교방송을 자동화하여 운영하는 시스템으로서, 음성을 이용한 음성방송과 일과 시간표에 따른 시보방송을 송출하는 음성방송수단과, 영상을 이용한 영상방송을 송출하는 영상방송수단을 구비한 학교방송장치;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방송운영을 제어하고,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사용점검 및 환경설정과, 상기 학교방송장치를 통해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저장, 생성 및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 및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제어단자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컴퓨터와 직렬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학교방송장치를 세팅하고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상태를 점검하여 점검결과를 상기 제어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 컴퓨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상기 학교방송장치로 송출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수단은 제어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학교방송장치의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학교방송장치를 설정 및 구동하고, 상기 학교방송장치를 모니터링하여 방송장치의 상태를 검출하며 검출결과를 상기 제어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컴퓨터에서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학교방송장치의 지정된 음성방송수단 및/또는 영상방송수단으로 송출하는 A/V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부는 제어 컴퓨터의 직렬통신 포트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학교방송장치의 온/오프 제어 및 학교방송장치의 설정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설정상태 및 이상 유무를 검출하여 제어 컴퓨터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 및 설정신호에 따라 음성방송수단을 구동하는 구동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직렬통신은 UART, USB, IEEE 1394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은 제어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정확한 현재 시간을 제공하는 표준시각 서버와, 제어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상기 제어 컴퓨터를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원격제어 컴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 컴퓨터에 저장된 정규방송과 임시방송의 실시에 따른 해당 방송데이터 파일을 오픈하는 단계; 오픈된 데이터 파일의 방송내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항목, 시간, 음악, 방송그룹으로 표시하는 단계; 오픈된 데이터 파일의 방송시간을 검출하여 방송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 학교방송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상기 방송데이터가 출력될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그룹으로 방송데이터의 송출 종료 시까지 방송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 다른 방송데이터의 송출여부를 판단하여 방송 종료인 경우 학교방송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는 방송장치에 이상이 검출되면 검출된 장치의 오류발생을 제어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방송데이터가 출력될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는 방송데이터가 출력될 학교전체, 건물 동, 학년별, 학급별로 스피커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을 관리하는 운영방법으로서, 학교방송을 설정하는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방송이 송출될 그룹별, 개별 교실별 사용여부를 결정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환경설정 단계; 학교의 일과 시간표 별로 방송 계획을 미리 설정하는 예약설정 단계; 제어 컴퓨터를 이용한 미디어의 직접 선택으로 방송을 원격 제어하는 직접방송 단계; 정규방송과 임시방송을 선택하여 예약된 방송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방송선택 단계; 프로그램의 사용을 안내하는 도움말 선택단계; 프로그램 종료를 선택하는 종료단계; 선택된 작업을 실행하고, 실행 종료 후 추가 작업을 판단하는 단계; 및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환경설정 단계는 학교방송이 송출될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 학교전체방송, 그룹방송 및 개별방송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방송대상의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된 환경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약설정 단계는 방송이 송출되는 방송일, 방송시간을 설정하고,설정된 방송일, 방송시간에 송출되는 방송 내용의 입력과, 송출되는 방송의 소스를 선택하고 확인하는 단계; 및 예약 내용을 설정하고, 설정된 예약 내용의 추가, 변경, 삭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접방송 단계는 제어 컴퓨터와 연결된 방송용 주변장치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주변장치의 사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메뉴 창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주변장치의 설정된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태를 컴퓨터에 표시하는 단계; 및 방송할 대상과, 방송할 미디어를 선택하여 선택된 방송 대상으로 방송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송선택 단계는 예약된 스케줄로 자동 방송하는 정규방송과 임시방송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한 방송에서 송출되는 방송대상 방송데이터 방송시간을 예약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방송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종래기술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서, 음향과 음성을 이용한 음성방송과 일과 시간표에 따른 시보방송을 송출하는 음성방송장치(110)와, 영상을 이용한 영상방송을 송출하는 영상방송장치(120)를 구비한 학교방송장치(100)와, 상기 학교방송장치(100)의방송운영을 제어하고, 상기 학교방송장치(100)의 사용점검 및 환경설정과, 상기 학교방송장치를 통해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저장, 생성 및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200)와, 상기 학교방송장치(100)의 제어단자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컴퓨터(200)와 직렬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컴퓨터(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학교방송장치(100)를 세팅하고 상기 학교방송장치(100)의 상태를 점검하여 점검결과를 상기 제어 컴퓨터(200)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 컴퓨터(2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상기 학교방송장치(100)로 송출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수단(300)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 컴퓨터(200)를 원격제어 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 컴퓨터(21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고, 제어 컴퓨터(200)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제어 컴퓨터(200)가 정확한 현재시간을 검출할 수 있도록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표준시각 서버(210)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210)를 이용한 원격제어는 이미 공지된 관리자가 인터넷을 통해 해당 컴퓨터에 접속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과, 인터넷으로 접속된 원격제어 컴퓨터(210)와 제어 컴퓨터(200)를 동기화 시켜 원격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서, 학교방송장치(100)와 컴퓨터(200)의 사이의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하여 제어 인터페이스부(300)와 제어 컴퓨터(200)에서 학교방송장치(100)로 출력되는 음향 및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채널의 선택을 위한 A/V 스위치(400)가 설치된다.
제어 컴퓨터(200)는 학교방송장치(100)의 방송운영을 제어하고, 상기 학교방송장치(100)의 사용점검 및 환경설정과, 학교방송장치(100)를 통해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저장, 생성 및 송출을 제어한다.
제어 컴퓨터(200)로부터 학교방송장치(100)의 구성요소(예를 들면, 스피커, 프레젠테이션 TV 등)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 데이터 및/또는 영상 데이터는 제어 컴퓨터(200)의 출력단자(예를 들면 음향데이터는 사운드카드의 음향 출력단자, 영상 데이터는 그래픽카드의 영상 출력단자 등)를 통해 송출되고, 학교방송장치(100)와 제어 컴퓨터(200) 사이의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부(300)와 제어 컴퓨터(200)에서 학교방송장치(100)로 출력되는 음향 및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채널의 선택을 위한 A/V 스위치(400)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는 직렬통신포트를 통해 UART 데이터 통신방법으로 송출된다.
또한, 제어 컴퓨터(200)는 음향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학교방송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렬통신포트 즉 COM1포트, COM2포트를 이용하여 제어 인터페이스부(300)와 A/V 스위치(400)의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제어 컴퓨터(200)의 COM1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제어 인터페이스부(300)를 구동하여 음성, 영상, 스피커 출력 등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 컴퓨터(200)의 COM2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A/V 스위치(400)를 제어하여 음향 및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며 음향 및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채널을 선택한다.
또한, 제어 컴퓨터(200)와 제어 인터페이스부(300) 및 A/V 스위치(4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UART를 이용한 통신방법 이외에 USB를 이용한 통신, IEEE 1394를 이용한 통신 등의 변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이 얼마든지 실시 가능하다.
제어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 컴퓨터(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학교방송장치(100)의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학교방송장치(100)의 방송 상태설정 및 장치를 구동하고, 학교방송장치(100)를 모니터링하여 음성방송장치(110)와 영상방송장치(120)의 상태를 검출하며 검출결과를 제어 컴퓨터(200)로 전송한다.
도 4는 제어 인터페이스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제어 컴퓨터(200)의 직렬통신 포트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310)와,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310)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학교방송장치(100)의 온/오프 제어 및 학교방송장치(100)의 설정신호를 출력하고, 학교방송장치(100)의 설정상태 및 이상 유무를 검출하여 제어 컴퓨터(200)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20)와, 마이크로 컨트롤러(3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 및 설정신호에 따라 음성방송장치(110)를 구동하는 구동 드라이브(330)로 구성된다.
구동 드라이브(330)는 음성방송장치(110)의 후단에 설치된 제어단자에 연결되어 해당장치의 전원제어 및 스피커 셀렉터 등의 설정을 제어한다.
A/V 스위치(400)는 제어 컴퓨터(200)의 COM2 포트의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음향 데이터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학교방송장치(100)의 지정된 음성방송장치(110) 및/또는 영상방송장치(120)로 송출할 수 있도록 채널의 선택 및 연결을 수행한다.
도 5는 도 3의 학교방송이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도 6은 도 3의 학교방송이 제어 인터페이스부에서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서, 제어 컴퓨터(200)는 학교방송장치(100)를 통해 방송할 정규방송과 임시방송을 판단(S100)하여 정규방송을 실시하는 경우 정규방송에 필요한 방송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검색된 파일을 오픈(S110)하고, 임시방송인 경우 임시방송에 필요한 방송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검색된 파일을 오픈(S160)한다.
상기 S110단계 또는 S160단계에서 오픈된 파일의 방송내용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항목, 시간, 음악, 방송그룹 등으로 나누어 디스플레이(S120)하고, 상기 S120단계에서 오픈된 데이터 파일의 방송시간과 현재시간을 검출하여 비교(S130)하여 방송시간인지 여부를 판단(S140)한다.
상기 S140단계에서 방송시간이 아닌 경우 상기 S130단계로 리턴하고, 상기 S140단계에서 방송시간인 경우 학교방송장치(100)로 방송데이터 신호를 전송(S150)한다.
제어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 컴퓨터(200)의 COM1포트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학교방송장치(100)의 전원을 온(ON)시키고(S200) 학교방송장치(100)의 이상 유무를 점검(S210)하여 학교방송장치(100)의 이상유무를 판단(S220)한다. 상기 S210단계에서는 학교방송장치(100)에 구성된 음성방송장치(110)와 영상방송장치(120)의 각 구성장치의 전원인가 유무를 검출하여 작동상태를 검출하고, 현재 방송장치(100)의 스피커 셀렉터 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S220단계에서 학교방송장치(100)가 정상상태인 경우 제어 컴퓨터(200)의 COM1포트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는 제어 인터페이스부(300)를 설정하여 방송 데이터가 송출될 방송 그룹을 설정하고, 제어 컴퓨터(200)의 COM2포트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는 A/V 스위치(400)를 설정하여 상기 방송데이터가 출력될 채널을 설정(S230)한다. 상기 S230단계에서 학교 전체 방송인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부(300)는 스피커 셀렉터를 모두 온(ON)시키고 A/V 스위치(400)에서 선택된 채널을 통해 제어 컴퓨터(20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데이터를 학교 전체로 송출(S240)하고, 송출되는 방송 데이터를 송출 종료(S250)시까지 출력한다.
한편, 상기 S230단계에서, 방송데이터가 출력될 그룹이 학교전체가 아닌 특정그룹인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부(300)는 방송데이터가 출력될 학교전체, 건물 동, 학년별, 학급별로 스피커 셀렉터를 설정하여 선택적으로 연결(S290)하고, 방송데이터를 송출(S240)한다.
상기 S250단계를 수행한 후 제어 인터페이스부(300)는 다른 방송데이터의 송출여부를 판단(S260)하여 방송 종료인 경우 학교방송장치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단계(S270)를 수행하고, 다른 방송의 송출이 있는 경우 상기 S130단계로 리턴한다.
한편, 상기 S220단계에서 학교방송장치(100)의 상태가 정상상태가 아닌 경우 제어 인터페이스(300)는 방송장치의 오류발생을 제어 컴퓨터(200)로 전송하여 방송장치의 오류발생 정보를 보고(S280)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운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학교방송을 자동화하는 운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에서, 학교방송을 설정하는 메뉴를 출력(S300)하여 실행할 작업을 선택한다. 상기 S300단계에서 선택된 작업을 실행(S310)하고, 상기 S310단계 종료 후 다른 작업의 실행 여부를 판단(S320)하여 추가 작업이 있는 경우 상기 S300단계로 리턴하고, 추가 작업이 없는 경우 프로그램의 종료를 판단(S330)하여 종료가 아닌 경우 상기 S310단계로 리턴하고, 종료인 경우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S3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방송이 송출될 그룹별, 개별 교실별 사용여부를 결정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환경설정 단계(S400)가 선택되면 상기 S310단계는 학교방송이 송출될 대상을 선택(S410)하고, 상기 S410단계에서 선택된 대상이 학교전체로 방송(S420)하는지 그룹으로 방송(S430)하는지 학년별, 학급별, 특별실 등으로 개별방송 되는지를 설정(S440)한다.
상기 S420단계에서 학교전체로 방송하는 경우 방송이 송출되는 대상을 전체학년과 전체 건물로 설정하고, 상기 S430단계에서 그룹으로 방송을 송출할 경우 방송이 송출되는 대상이 있는 학년 또는 특정 건물로 설정한다.
상기 S440단계 내지 S460 단계에서 설정된 방송대상의 수정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S470)하여 재설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S420단계로 리턴하고,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설정된 환경을 저장(S480)한다.
한편, 상기 S300단계에서 학교의 일과 시간표 별로 방송 계획을 미리 설정하는 예약설정 단계(500)가 선택된 경우 S310단계에서는 방송이 송출되는 방송일, 방송시간을 설정(S510)하고, 상기 S510단계에서 설정된 방송일, 방송시간에 송출되는 방송 내용을 입력(S511)하며, 상기 S511단계에서 입력된 방송내용의 방송 소스 예를 들면 음악, 음성, 자막, DVD, TV, VTR 등을 선택(S512)하고 선택한 방송 소스를 확인(S513)한다. 상기 S513단계에서 방송소스의 내용 확인을 요청하면 사용자 시청할 수 있도록 방송소스를 디스플레이(S514)한다.
상기 S513단계에서, 방송소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방송의 예약을 설정(S515)하고, 효율적인 입력을 위하여 요일 단위로 입력되는 방송내용과 방송소스를 파일단위로 다른 요일별로 복사하여 편집할 수 있도록 예약내용을 복사(S516)한다. 상기 S516단계를 수행하여 하루동안의 내용입력으로 일주일 단위의 방송입력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상기 S515단계 및 S516단계를 수행한 후 설정된 예약 내용을 추가(S517)여부와, 설정된 예약 내용의 변경(S518)여부와, 설정된 예약 내용의 삭제(S519)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S517 내지 S519단계의 선택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예약작업의 계속실행여부를 판단(S520)하여 예약설정단계를 종료한다.
상기 S519단계에서 설정한 예약을 삭제하는 경우 설정된 예약항목을 삭제(S521)하고 상기 S520단계에서 작업계속을 선택하여 예약을 다시 설정한다.
한편, 상기 S300단계에서 제어 컴퓨터를 이용한 미디어의 직접 선택으로 방송을 원격 제어하는 직접방송 단계(S600)를 선택하면, 상기 S310단계에서는 방송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 컴퓨터와 연결된 방송용 주변장치 예를 들면 TV, Tape, DVD, FM 등을 검출(S610)하고, 주변장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S620)한다.
상기 S620단계에서, 연결된 주변장치가 없는 경우 연결되지 않은 주변장치의 메뉴는 비활성화(S690)시키고, 검출된 주변장치가 있는 경우 검출된 주변장치의 사용을 위하여 인터페이스 메뉴를 활성화(S630)시킨다.
상기 S620단계에서 검출된 주변장치는 현재 설정된 상태 즉 전원의 온/오프 상태, 교실별 스피커 선택상태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태를 컴퓨터에 표시(S640)한다.
상기 S640단계를 수행한 후 방송할 대상을 선택(S650)하고, 선택된 대상으로 송출할 방송 미디어를 선택(S660)하여 선택된 방송 대상으로 방송을 실시(S670)한다. 상기 S670단계를 수행한 후 추가 방송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S680)하여 추가방송이 있는 경우 상기 S650단계로 리턴하고, 추가방송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
한편, 상기 S300단계에서 정규방송과 임시방송을 선택하여 예약된 방송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방송선택 단계(S700)를 선택하면, 상기 S310단계에서는 예약된 스케줄로 자동 방송하는 정규방송과 임시방송을 선택하는 단계(S710)를 수행한다. 상기 S710단계에서 정규방송인 경우 방송대상, 방송송출소스, 방송시간, 방송내용을 정규 시간표대로 예약 설정하는 단계(S720)를 수행하고, 상기 S710단계에서 임시방송인 경우 방송대상, 방송송출소스, 방송시간, 방송내용을 하루만 방송 가능하게 예약설정(S730)한다.
상기 S720단계 또는 S730단계를 수행한 후 예약 설정된 방송 내용을 출력(S740)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S740단계를 수행한 후 방송의 재선택 여부를 판단(S750)하여 방송의 재선택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S710단계로 리턴하고, 방송의 재선택이 아닌 경우 방송의 계속 송출여부를 판단(S760)하여 계속송출인 경우 상기 S740단계로 리턴하여 설정된 방송을 출력한다.
한편, 상기 S300단계에서 프로그램의 사용을 안내하는 도움말 선택단계(800)를 선택한 경우 상기 S310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작동을 위한 설명이 수행된다.
상기 S300단계에서 프로그램 종료를 위한 종료를 선택하는 단계(900)를 선택하면 프로그램의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와 학교방송장치를 연동하여 복잡한 학교방송장치의 조작을 컴퓨터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학교방송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학교방송장치의 직접적인 조작 없이 컴퓨터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여 방송장치의 고장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컴퓨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활용하여 음성, 문자, 음악, 영상방송을 컴퓨터가 처리하는 데이터 파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함으로써 교육적 활용도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으로 수집한 교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별도의 자료변환 없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학교교육을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중파를 통해 방송되는 EBS 교육방송의 컨텐츠를 디지털로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어 교육의 활용도를 증가시켜 학생들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음향과 영상을 송출하는 학교방송을 자동화하여 운영하는 시스템으로서,
    음성을 이용한 음성방송과 일과 시간표에 따른 시보방송을 송출하는 음성방송수단과, 영상을 이용한 영상방송을 송출하는 영상방송수단을 구비한 학교방송장치;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방송운영을 제어하고,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사용점검 및 환경설정과, 상기 학교방송장치를 통해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의 저장, 생성 및 송출을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 및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제어단자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 컴퓨터와 직렬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학교방송장치를 세팅하고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상태를 점검하여 점검결과를 상기 제어 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 컴퓨터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상기 학교방송장치로 송출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포함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수단은 제어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학교방송장치의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학교방송장치를 설정 및 구동하고, 상기 학교방송장치를 모니터링하여 방송장치의 상태를 검출하며 검출결과를 상기 제어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컴퓨터에서 송출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학교방송장치의 지정된 음성방송수단 및/또는 영상방송수단으로 송출하는 A/V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인터페이스부는 제어 컴퓨터의 직렬통신 포트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직렬통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학교방송장치의 온/오프 제어 및 학교방송장치의 설정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설정상태 및 이상 유무를 검출하여 제어 컴퓨터로 전송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 및 설정신호에 따라 음성방송수단을 구동하는 구동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통신은 UART, USB, IEEE 139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은 제어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정확한 현재 시간을 제공하는 표준시각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은 제어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상기 제어 컴퓨터를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원격제어 컴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운영방법으로서,
    제어 컴퓨터에 저장된 정규방송과 임시방송의 실시에 따른 해당 방송데이터 파일을 오픈하는 단계;
    오픈된 데이터 파일의 방송내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항목, 시간, 음악, 방송그룹으로 표시하는 단계;
    오픈된 데이터 파일의 방송시간을 검출하여 방송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
    학교방송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상기 방송데이터가 출력될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그룹으로 방송데이터의 송출 종료 시까지 방송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
    다른 방송데이터의 송출여부를 판단하여 방송 종료인 경우 학교방송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학교방송장치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는 방송장치에 이상이 검출되면 검출된 장치의 오류발생을 제어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데이터가 출력될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는 방송데이터가 출력될 학교전체, 건물 동, 학년별, 학급별로 스피커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을 관리하는 운영방법으로서,
    학교방송을 설정하는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방송이 송출될 그룹별, 개별 교실별 사용여부를 결정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환경설정 단계;
    학교의 일과 시간표 별로 방송 계획을 미리 설정하는 예약설정 단계;
    제어 컴퓨터를 이용한 미디어의 직접 선택으로 방송을 원격 제어하는 직접방송 단계;
    정규방송과 임시방송을 선택하여 예약된 방송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방송선택 단계;
    프로그램의 사용을 안내하는 도움말 선택단계;
    프로그램 종료를 선택하는 종료단계;
    선택된 작업을 실행하고, 실행 종료 후 추가 작업을 판단하는 단계; 및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설정 단계는 학교방송이 송출될 대상을 선택하는 단계;
    학교전체방송, 그룹방송 및 개별방송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방송대상의 재설정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된 환경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설정 단계는 방송이 송출되는 방송일, 방송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방송일, 방송시간에 송출되는 방송 내용의 입력과, 송출되는 방송의 소스를 선택하고 확인하는 단계; 및
    예약 내용을 설정하고, 설정된 예약 내용의 추가, 변경, 삭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방송 단계는 제어 컴퓨터와 연결된 방송용 주변장치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주변장치의 사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메뉴창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주변장치의 설정된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태를 컴퓨터에 표시하는 단계; 및
    방송할 대상과, 방송할 미디어를 선택하여 선택된 방송 대상으로 방송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선택 단계는 예약된 스케줄로 자동 방송하는 정규방송과 임시방송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한 방송에서 송출되는 방송대상 방송데이터 방송시간을 예약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방송 내용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방법.
KR20030045112A 2003-07-04 2003-07-04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과 운영방법 KR100530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5112A KR100530515B1 (ko) 2003-07-04 2003-07-04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과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45112A KR100530515B1 (ko) 2003-07-04 2003-07-04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과 운영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21519U Division KR200329008Y1 (ko) 2003-07-04 2003-07-04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695A true KR20050003695A (ko) 2005-01-12
KR100530515B1 KR100530515B1 (ko) 2005-11-23

Family

ID=37218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45112A KR100530515B1 (ko) 2003-07-04 2003-07-04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과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5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260B1 (ko) * 2006-03-08 2006-08-22 (주)진명아이앤씨 방송 제어용 카드
KR100818352B1 (ko) * 2007-08-14 2008-04-02 주식회사 서남 통합형 학교 방송 시스템
KR100872868B1 (ko) * 2007-08-24 2008-12-12 권영현 방송장비의 상호간 이상 체크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구내방송장치
KR100881074B1 (ko) * 2008-07-30 2009-01-30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로컬방송시스템
KR100881076B1 (ko) * 2008-07-30 2009-01-30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방송시스템
KR100956368B1 (ko) * 2009-09-16 2010-05-06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구내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260B1 (ko) * 2006-03-08 2006-08-22 (주)진명아이앤씨 방송 제어용 카드
KR100818352B1 (ko) * 2007-08-14 2008-04-02 주식회사 서남 통합형 학교 방송 시스템
KR100872868B1 (ko) * 2007-08-24 2008-12-12 권영현 방송장비의 상호간 이상 체크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구내방송장치
KR100881074B1 (ko) * 2008-07-30 2009-01-30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로컬방송시스템
KR100881076B1 (ko) * 2008-07-30 2009-01-30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방송시스템
KR100956368B1 (ko) * 2009-09-16 2010-05-06 주식회사 클릭전자정보시스템 구내 방송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0515B1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980508U (zh) 一种智慧黑板,及智慧教室的教学系统
CN100481912C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EP2061032A1 (en) Full news integration and automation for a real time video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CN100438592C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CN100395697C (zh) 用于远程控制显示装置的调度系统和方法
KR20070011183A (ko) 대화식 멀티미디어 제작 시스템
KR100530515B1 (ko)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과 운영방법
JPH07123326A (ja) 1台以上のvtrの録画予約集中管理システム
JP4546384B2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美術指導システム
CN101594470A (zh) 电视新闻演播室动态录播系统
CN108766074A (zh) 远程音视频互动授课实现方法、设备及终端
CN102215326A (zh) 节目发送控制设备、节目发送控制方法以及程序
US10373647B2 (en) Record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track recording
KR100444543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학교 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29008Y1 (ko)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
CN100473127C (zh) 电视广播接收器以及控制其外部装置的方法
JP2006350681A (ja) 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の操作手順支援システム
KR100589455B1 (ko)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
CN110853436A (zh) 一种同频互动课堂控制装置
JP2005043791A (ja) 教育用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0101965A (ja) 録画再生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録画再生装置制御方法
CN101536516B (zh) 节目预约系统及节目预约方法
CN101552894B (zh) 用于记录和再生图像的方法和装置
KR101490079B1 (ko) 다중매체의 hd급 디지털 방송 통합전송 제어시스템
JPH0969008A (ja) 操作状況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