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074B1 - 로컬방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로컬방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074B1
KR100881074B1 KR1020080074731A KR20080074731A KR100881074B1 KR 100881074 B1 KR100881074 B1 KR 100881074B1 KR 1020080074731 A KR1020080074731 A KR 1020080074731A KR 20080074731 A KR20080074731 A KR 20080074731A KR 100881074 B1 KR100881074 B1 KR 100881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system
local
local controller
classroom
of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filed Critical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Priority to KR1020080074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실 또는 사무실에 각각 설치되고,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제공받아 각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공급하기 위한 로컬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컬제어기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그에 수반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스위칭제어되고,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로컬방송시스템

Description

로컬방송시스템{Local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로컬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영상 또는 오디오 방송을 수행하는 로컬방송시스템에 있어서, 각 교실 및 사무실 내에서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각 교실 및 사무실의 방송환경을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로컬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방송은 일과운영과 전달사항 및 교육자료를 교실에 있는 교사와 학생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는 각 교실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한 음성위주의 전달 방송만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각종 정보가 홍수같이 쏟아지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음성위주의 전달방송만으로는 정보의 원활한 전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영상과 문자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교단 선진화 사업의 일환으로 프리젠테이션 텔레비젼과 멀티미디어 컴퓨터 및 실물화상기 등의 장비가 각 학교의 교실에 보급되 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은 기존의 학교방송시설과는 별개로 운영됨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없었으며, 각 학교들이 표준화되지 못한 방송장치를 도입하여 사용함에 따라 많은 예산을 지출함으로써 도입된 방송장치가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사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학교방송장치의 대부분이 기계식이고 조작이 복잡하여 교육받지 못한 교사들은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학교방송장치를 시보음악 또는 정보전달 위주의 음성방송에만 이용하고 있어 고비용의 방송장비를 설치하고도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래 들어서는 이러한 학교 방송시스템을 하나의 중앙 제어컴퓨터에 의하여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컴퓨터 조작에 의한 편리한 방송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 학교 방송시스템에서는 중앙 제어컴퓨터에서 제공하는 동일한 음성 또는 영상 방송만이 일방적으로 제공됨에 따라, 각 교실의 수업환경이나 학업 수준에 따른 적절하고 자율적인 방송수업이 이루어질 수 없어 방송을 위한 수업의 질이나 다양성에 있어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중앙에서 방송을 일방적으로 송출만 할 뿐 각 교실의 수업환경을 파악 및 감시할 수 없었기 때문에, 각 교실의 수업환경이나 방송 사용 환경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 교실 또는 사무실에 대하여 영상 또는 오디오 방송을 수행하는 로컬방송시스템에 있어서, 각 교실 및 사무실 내에서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각 교실 및 사무실의 방송환경을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로컬방송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실 또는 사무실에 각각 설치되고,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방송시스템(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전력선을 통해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으로 전송된다.)으로부터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제공받아 각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공급하기 위한 로컬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은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PLC모뎀과; 상기 PLC모뎀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컬제어기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그에 수반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고,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인터페이스와; 상기 PLC모뎀과의 통신을 위한 PLC 인터페이스와; 운영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로컬제어기의 동작 제어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의 접속을 위한 센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센서 감지결과를 상기 주제어장치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영상디코더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비치된 무선 마이크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재생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마이크로부터의 음성데이터를 스피커로 재생하여 개별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온오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온오프 감지결과를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에 제공하 며,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은 상기 온오프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을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온도센서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가스 유출유무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가스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온도 및 가스 감지결과를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휴대 가능한 모바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실 또는 사무실에 각각 설치되고,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방송시스템(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영상신호와 신호결합되어 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으로 전송된다.)으로부터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제공받아 각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공급하기 위한 로컬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은 상기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제어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신호분리기와; 상기 신호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컬제어기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신호분리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그에 수반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스위칭제어되고,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인터페이스와; 운영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로컬제어기의 동작 제어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의 접속을 위한 센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센서 감지결과를 상기 주제어장치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영상디코더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비치된 무선 마이크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재생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마이크로부터의 음성데이터를 스피커로 재생하여 개별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온오프센서를 더 포 함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온오프 감지결과를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에 제공하며,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은 상기 온오프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을 감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온도센서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가스 유출유무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가스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온도 및 가스 감지결과를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휴대 가능한 모바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은 각 교실 및 사무실 내에서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각 교실 및 사무실의 방송환경을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로컬방송시스템은 각급 학교의 방송시스템 또는 각 기업체의 방송시스템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외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전체 방송시스템의 구성도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을 중앙제어하는 중앙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는 전체 방송시스템은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방송시스템(10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실 또는 사무실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중앙방송시스템(1000)에 의해 제어되어 각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앙방송 시스템(1000)은 상기 방송시스템에 포함된 각 방송장비 및 장치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주제어장치(100)와; 상기 주제어장치(100)의 제어를 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결합기(110)와; 상기 결합기(110)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으로 분배하여 송출하는 영상분배기(160)와; 상기 주제어장치(100)의 제어를 받아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오디오장치(180)와; 상기 오디오 장치(18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으로 분배하여 송출하는 오디오분배기(18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재생장치(121~125)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다중 화하여 변조하여 상기 결합기(110)로 출력하는 변조기(120)와; 상기 주제어장치(100)에 접속되고 모바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모뎀(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주제어장치(100)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전력선을 통해 로컬방송시스템(2000)으로 전송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은 상기 주제어장치(100)로부터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PLC모뎀(170)과;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컬제어기(200)와; 상기 로컬제어기(2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영상분배기(16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그에 수반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210)와; 상기 로컬제어기(200)에 의해 스위칭제어되고, 상기 오디오 분배기(185)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230)로 출력하는 스위치부(22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200)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온오프센서(241)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200)에 제공하는 온도센서(242)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가스 유출유무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200)에 제공하는 가스센서(2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이 포함된 전체 방송시스템은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방송시스템(1000)을 구비하고 있으며, 중앙방송시스템(1000)은 다수의 교실 또는 사무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을 제어 및 관리하는데, 그 구체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를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기(12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재생장치(121~125)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다중화하여 변조한다. 변조기(120)는 기저대역(Base band) 영상 및 음성 신호를 VHF 대역 또는 UHF 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변조하여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변조기(120)는 기저대역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VHF 대역 또는 UHF 대역의 특정 방송 채널로 변환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진폭 변조기로서, 변환할 채널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특정 채널(주파수)의 방송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기저대역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서로 다른 채널로 주파수 변환하여 케이블이나 공중선을 통해 동시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에서 영상재생장치(121~125)로부터의 영상신호로는 IP 셋톱박스(121)로부터 출력되는 인터넷 TV 방송신호, VTR(122)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 셋톱박스(123)로부터 출력되는 위성방송신호, 캠코더(124)와 비디오믹서(125) 로부터 출력되는 캠코더 영상신호 등이 있으며, 그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영상신호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TV 공중파 방송은 증폭기(130)에 의하여 증폭된 후 공급된다.
결합기(110)는 주제어장치(100)의 제어를 받아 변조기(120)로부터의 영상 신호와 증폭기(130)로부터의 공중파 방송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한다. 결합기(110)는 신호를 결합하는 소자로서, 서로 다른 입력단자를 통해 들어 온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출력단자로 결합하여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기(110)는 변조기(12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공중파 TV 채털의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단자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영상분배기(160)는 결합기(11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분배하여 다수의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구비된 로컬방송시스템(2000)으로 공급하되,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이를 전송한다.
그리고, 오디오장치(180)는 주제어장치(100)의 제어를 받아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 오디오 신호는 마이크로폰(190)을 통한 안내 방송 또는 비상방송 신호가 될 수도 있고 AM/FM 등의 라디오 방송 신호가 될 수도 있으며, 주제어장치(100) 또는 오디오장치(18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상안내 방송신호가 될 수도 있다. 주제어장치(100)는 비상방송시에는 각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개별적으로 실행 중이던 모든 방송에 우선하여 상기 비상방송이 실행되도록 한다. 오디오 분배기(185)는 오디오 장치(18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다수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으로 분배하여 송출한다.
또한, 주제어장치(100)는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을 중앙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때 전력선 통신기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을 사용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신호를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으로 공급할 때 전력선을 이용하는 전력선 통신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통신선을 가설하는 배선공사를 실시할 필요없이 기존 전력선을 이용하여 매우 큰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고 배선의 효율화를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은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복원하기 위한 PLC 모뎀(170)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중앙방송시스템(1000)은 주제어장치(100)에 접속되어 모바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모뎀(14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자는 모바일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본 방송시스템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앙방송시스템(1000)은 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원격제어기(15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관리자는 인터넷 통신을 통해서도 본 방송시스템을 원격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각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설치되어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20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로컬방송시스템(2000)에는 로컬제어기(200)가 구비되어 있는데, 로컬제어기(200)는 상기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자율적 및 독립적 으로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로컬제어기(2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영상분배기(160)로부터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그 영상신호에 수반되어 있는 오디오신호를 스위치부(220)의 스위치(221)로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분배기(185)에 의하여 분배되어 오디오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는 스위치부(220)의 스위치(222)로 공급된다.
PLC 모뎀은 주제어장치(100)로부터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 및 복원하여 로컬제어기(200)로 전송한다.
스위치부(220)는 로컬제어기(200)에 의해 스위칭제어되는데, 상기 오디오 분배기(185)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와 디스플레이 장치(2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즉, 비상방송 또는 라디오 방송 등의 오디오 신호만을 방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222)는 온시키고 스위치(221)는 오프시키지만,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221)는 온시키고 스위치(222)는 오프시킴으로써 영상신호에 수반되어 있는 오디오 신호가 스피커를 통하여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스위치부(220) 및 이에 포함된 스위치(221) 및 스위치(222)는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외에도 다른 어떤 형태의 스위치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제어기(200)는 제어부(300)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10)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인터페이스(307)와; PLC모뎀(170)과의 통 신을 위한 PLC 인터페이스(303)와; 운영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09)와; 상기 로컬제어기(200)의 동작 제어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04)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의 접속을 위한 센서 인터페이스(308)와; 메모리(309)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영상디코더(302)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비치된 무선 마이크(250)와의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30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300)는 PLC 인터페이스(303)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로컬방송시스템(2000)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자율적으로 영상 방송 또는 오디오 방송 등 로컬방송시스템(20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는 리모콘 인터페이스(307)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10)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리모콘 인터페이스(307)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1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어 오는 영상신호를 채널별(주파수별)로 선택하여 원하는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4)는 각 로컬제어기(200)마다 구비되어 로컬제어기(200)의 동작 제어 상태 및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현재 방송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방식을 사용한다.
로컬제어기(200)는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 서와의 접속을 위한 센서 인터페이스(308)를 포함하고 있는데, 로컬제어기(200)는 센서 인터페이스(308)를 통해 전송된 각각의 센서 감지결과를 상기 주제어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중앙에서 각 교실 또는 사무실에서의 방송환경 또는 온도 변화 등을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 인터페이스(308)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센서감지값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온오프 상태 감지값,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내의 온도 감지값 및 가스유출 유무에 대한 감지값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온오프센서(241)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공하는 온도센서(242)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가스 유출유무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공하는 가스센서(243)를 포함한다. 로컬제어기(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온오프 감지결과, 온도 감지결과 및 가스유출 감지결과를 주제어장치(100)에 제공하며, 중앙방송시스템(1000)에 있는 주제어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감지결과들에 따라 각 교실 등의 로컬방송시스템을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어떤 교실 또는 사무실의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사용 후에도 아직 켜져 있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이를 중앙에서 감시하여 턴-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가스 유출이 감지된 경우에는 비상방송 등의 조치를 강구할 있다. 또한, 각 교실 등의 온도 감지값이 일정 수준 이상 또는 이하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적절한 조치를 강구할 수 있다.
또한, 로컬제어기(200)는 메모리(309)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영상디코더(302)를 포함하고 있는데, 영상디코더(302)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데이터는 각 교실 또는 사무실에 있는 디스플레이장치(210)를 이용하여 사람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영상디코더(302)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304)에 의해 자체 재생하여 볼 수도 있다.
로컬제어기(200)는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비치된 무선 마이크(250)와의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301) 등의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무선 마이크(250)로부터의 음성데이터를 스피커(230)로 재생함으로써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개별적인 강의 또는 방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로컬제어기(200)는 외부 장치와의 USB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USB 모듈(305)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로컬제어기(200)는 휴대 가능한 모바일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물론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유선 접속형인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을 중앙제어하는 중앙 방송시스템의 구성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는 전체 방송시 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방송시스템(100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다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방송 시스템(1000)은 방송시스템에 포함된 각 방송장비 및 장치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주제어장치(5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제 1 결합기(510)와; 주제어장치(500)로부터 출력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와 제 1 결합기(510)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제 2 결합기(515)와; 상기 제 2 결합기(515)로부터의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으로 분배하여 송출하는 분배기(560)와; 주제어장치(500)의 제어를 받아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오디오장치(580)와; 오디오 장치(58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으로 분배하여 송출하는 오디오분배기(5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제 2 결합기(515)로부터 출력되는 결합신호는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로컬방송시스템(2000)으로 전송된다.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은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결합신호를 제어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신호분리기(650)와; 상기 신호분리기(650)에 의해 분리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컬제어기(600)와; 로컬제어기(6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신호분리기(65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그에 수반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610)와; 로컬제어기(600)에 의해 스위칭제어되고, 오디오 분배기(585)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 와 디스플레이 장치(6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630)로 출력하는 스위치부(62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10)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로컬제어기(600)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온오프센서(641)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600)에 제공하는 온도센서(642)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가스 유출유무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로컬제어기(600)에 제공하는 가스센서(6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방송시스템은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방송시스템(1000)을 구비하고 있으며, 중앙방송시스템(1000)은 다수의 교실 또는 사무실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을 제어 및 관리하는데, 그 구체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기(52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재생장치(521~525)로부터의 영상신호를 다중화하여 변조한다. 변조기(52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재생장치(521~525)의 역할 및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변조기(1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재생장치(121~125)와 동일하다.
제 1 결합기(510)는 변조기(520)로부터의 영상 신호와 증폭기(530)로부터의 공중파 방송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한다. 제 1 결합기(510)는 신호를 결합하는 소자로서, 서로 다른 입력단자를 통해 들어 온 신호를 결합하여 하나의 출력단자로 결합하여 제공한다.
주제어장치(500)는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을 중앙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제 2 실시예에서는 제어신호를 전송할 때 영상신호와 제어신호를 결합하여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전송한다. 즉, 제 2 결합기(515)는 제 1 결합기(510)로부터의 영상 신호와 주제어장치(50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한다. 제 2 결합기(515)는 신호를 결합하는 소자로서, 서로 다른 입력단자를 통해 들어 온 상기 영상신호와 제어신호를 주파수별로 결합하여 하나의 출력단자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분배기(560)는 제 2 결합기(515)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분배하여 다수의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구비된 로컬방송시스템(2000)으로 공급하되,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이를 전송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어신호를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으로 공급할 때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동축케이블선을 이용함으로써, 제어신호의 전송을 위한 별도의 통신선을 가설하는 배선공사를 실시할 필요없어 매우 큰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고 배선의 효율화를 이룰 수 있다.
오디오장치(580)는 주제어장치(500)의 제어를 받아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데, 그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오디오장치(180)와 동일하다. 오디오 분배기(585)는 오디오 장치(58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다수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으로 분배하여 송출한다.
한편, 중앙방송시스템(1000)은 주제어장치(500)에 접속되어 모바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바일모뎀(54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관리자는 모바일 통신 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본 방송시스템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중앙방송시스템(1000)은 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원격제어기(55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관리자는 인터넷 통신을 통해서도 본 방송시스템을 원격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각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설치되어 있는 로컬방송시스템(20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로컬방송시스템(2000)에는 로컬제어기(600)가 구비되어 있는데, 로컬제어기(600)는 상기 동축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자율적 및 독립적으로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신호와 제어신호가 제 2 결합기(515)에 의해 결합되어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은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신호를 영상신호와 제어신호로 다시 분리하기 위한 신호분리기(650)를 포함하고 있다. 신호분리기(650)는 영상신호와 제어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자로서, VHF 또는 UHF 대역의 영상신호와 제어신호(2.4 GHZ 대역 또는 900 MHz 대역)의 신호가 결합되어 하나의 동축선을 통해 전송될 때, 이를 분리하여 각각의 단자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분리기(650)는 영상신호와 제어 신호의 주파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를 주파수별로 분리하여 각각의 단자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장치(610)는 로컬제어기(60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신호분리 기(6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그 영상신호에 수반되어 있는 오디오신호를 스위치부(620)의 스위치(621)로 출력한다. 그리고, 오디오 분배기(585)에 의하여 분배되어 오디오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는 스위치부(620)의 스위치(622)로 공급된다.
트랜시버모듈(660)은 신호분리기(650)으로부터 분리되어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로컬제어기(600)로 전송한다.
스위치부(620)는 로컬제어기(600)에 의해 스위칭제어되는데, 상기 오디오 분배기(585)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와 디스플레이 장치(6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며, 그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스위치부(220)와 동일하다.
로컬제어기(600)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로컬제어기(200)와 동일하다. 다만, 제 2 실시예에서는 제어신호의 전송시 이를 영상신호와 결합하여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하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PLC 인터페이스가 필요없으며, 대신 트랜시버 모듈(660)과 관련된 인터페이스가 필요할 뿐이다. 따라서, 로컬제어기(600)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로컬방송시스템(2000)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자율적으로 영상 방송 또는 오디오 방송 등 로컬방송시스템(20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로컬제어기(600)는 사용자로 하여금 리모콘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610)를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센서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 해 중앙에서 각 교실 또는 사무실에서의 방송환경(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오프상태, 온도 변화, 가스유출 등)을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자체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각 교실 또는 사무실에 있는 디스플레이장치(210)를 이용하여 사람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비치된 무선 마이크(650)와의 무선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개별적인 강의 또는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부 장치와의 USB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로컬제어기(600)는 휴대 가능한 모바일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물론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유선 접속형인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20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610)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온오프센서(641)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공하는 온도센서(642)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가스 유출유무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공하는 가스센서(643)를 포함한다. 로컬제어기(600)는 디스플레이 장치(610)의 온오프 감지결과, 온도 감지결과 및 가스유출 감지결과를 주제어장치(500)에 제공하며, 중앙방송시스템(1000)에 있는 주제어장치(500)는 상기와 같은 감지결과들에 따라 각 교실 등의 로컬방송시스템을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은 각 교실 및 사무실 별로 설치된 로컬방송시스템을 이용하여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각 교실 및 사무실의 방송환경을 감지하여 이를 중앙에서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사용되는 전체 방송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을 중앙제어하는 중앙방송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에 포함된 로컬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을 중앙제어하는 중앙 방송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로컬방송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19)

  1. 삭제
  2.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실 또는 사무실에 각각 설치되고,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제공받아 각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공급하기 위한 로컬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은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컬제어기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그에 수반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스위칭제어되고,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인터페이스와;
    운영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로컬제어기의 동작 제어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의 접속을 위한 센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센서 감지결과를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영상디코더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비치된 무선 마이크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재생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마이크로부터의 음성데이터를 스피커로 재생하여 개별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실 또는 사무실에 각각 설치되고,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제공받아 각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공급하기 위한 로컬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컬제어기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그에 수반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스위칭제어되고,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온오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온오프 감지결과를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에 제공하며,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은 상기 온오프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온도센서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가스 유출유무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가스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온도 및 가스 감지결과를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에 제 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실 또는 사무실에 각각 설치되고,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제공받아 각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공급하기 위한 로컬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전력선을 통해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은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력선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PLC모뎀과;
    상기 PLC모뎀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컬제어기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그에 수반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스위칭제어되고,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인터페이스와;
    상기 PLC모뎀과의 통신을 위한 PLC 인터페이스와;
    운영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로컬제어기의 동작 제어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의 접속을 위한 센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센서 감지결과를 상기 주제어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영상디코더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비치된 무선 마이크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재생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마이크로부터의 음성데이터를 스피커로 재생하여 개별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온오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온오프 감지결과를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에 제공하며,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은 상기 온오프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온도센서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가스 유출유무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가스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온도 및 가스 감지결과를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13. 삭제
  14.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실 또는 사무실에 각각 설치되고,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제공받아 각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공급하기 위한 로컬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영상신호와 신호결합되어 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은
    상기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제어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신호분리기와;
    상기 신호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컬제어기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신호분리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그에 수반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스위칭제어되고,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인터페이스와;
    운영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로컬제어기의 동작 제어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의 접속을 위한 센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센서 감지결과를 상기 주제어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영상디코더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 별로 비치된 무선 마이크와의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영상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재생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마이크로부터의 음성데이터를 스피커로 재생하여 개별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17.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실 또는 사무실에 각각 설치되고,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중앙에서 제어하는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영상 및 오디오 방송을 제공받아 각 교실 또는 사무실별로 공급하기 위한 로컬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영상신호와 신호결합되어 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은
    상기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제어신호와 영상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신호분리기와;
    상기 신호분리기에 의하여 분리된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될 뿐만 아니라 각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방송장치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로컬제어기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신호분리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재생하고 그에 수반된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로컬제어기에 의해 스위칭제어되고,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온오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온오프 감지결과를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에 제공하며,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은 상기 온오프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로컬방송시스템을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로컬방송시스템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온도센서와;
    각 교실 또는 사무실의 가스 유출유무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상기 로컬제어기에 제공하는 가스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제어기는 상기 온도 및 가스 감지결과를 상기 중앙방송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19. 제 2항 내지 제 12항, 제 14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기는 휴대 가능한 모바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컬방송시스템.
KR1020080074731A 2008-07-30 2008-07-30 로컬방송시스템 KR100881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731A KR100881074B1 (ko) 2008-07-30 2008-07-30 로컬방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731A KR100881074B1 (ko) 2008-07-30 2008-07-30 로컬방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1074B1 true KR100881074B1 (ko) 2009-01-30

Family

ID=4048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731A KR100881074B1 (ko) 2008-07-30 2008-07-30 로컬방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07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830B1 (ko) * 2009-06-08 2009-10-01 (주)이레씨즈 학교 방송 시스템
KR100989659B1 (ko) * 2009-04-24 2010-10-26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지능형 로컬 방송시스템
KR101000123B1 (ko) * 2010-03-31 2010-12-09 (주)진명아이앤씨 방송 가이드 기능을 포함하는 에이치디 방송 시스템
KR101812599B1 (ko) * 2016-12-02 2017-12-27 주식회사 네오드림스 에너지효율형 ict기반 맞춤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812600B1 (ko) * 2017-06-12 2017-12-27 주식회사 네오드림스 일정 충돌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맞춤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812601B1 (ko) * 2017-06-12 2017-12-27 주식회사 네오드림스 방문자 도착을 안내하는 맞춤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2368958A (zh) * 2018-07-02 2021-02-12 雅马哈株式会社 广播系统、终端装置、广播方法、终端装置的动作方法及程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072A (ko) * 1998-07-20 1998-10-26 정태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학교 방송 장치
KR20050003695A (ko) * 2003-07-04 2005-01-12 (주)한성파워텍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과 운영방법
KR20080009371A (ko) * 2006-07-24 2008-01-29 주식회사 우리별텔레콤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 및 시설관리시스템
KR100818352B1 (ko) 2007-08-14 2008-04-02 주식회사 서남 통합형 학교 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072A (ko) * 1998-07-20 1998-10-26 정태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학교 방송 장치
KR20050003695A (ko) * 2003-07-04 2005-01-12 (주)한성파워텍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과 운영방법
KR20080009371A (ko) * 2006-07-24 2008-01-29 주식회사 우리별텔레콤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 및 시설관리시스템
KR100818352B1 (ko) 2007-08-14 2008-04-02 주식회사 서남 통합형 학교 방송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659B1 (ko) * 2009-04-24 2010-10-26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지능형 로컬 방송시스템
KR100919830B1 (ko) * 2009-06-08 2009-10-01 (주)이레씨즈 학교 방송 시스템
KR101000123B1 (ko) * 2010-03-31 2010-12-09 (주)진명아이앤씨 방송 가이드 기능을 포함하는 에이치디 방송 시스템
KR101812599B1 (ko) * 2016-12-02 2017-12-27 주식회사 네오드림스 에너지효율형 ict기반 맞춤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812600B1 (ko) * 2017-06-12 2017-12-27 주식회사 네오드림스 일정 충돌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맞춤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812601B1 (ko) * 2017-06-12 2017-12-27 주식회사 네오드림스 방문자 도착을 안내하는 맞춤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2368958A (zh) * 2018-07-02 2021-02-12 雅马哈株式会社 广播系统、终端装置、广播方法、终端装置的动作方法及程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074B1 (ko) 로컬방송시스템
KR100881076B1 (ko) 방송시스템
US9466221B2 (en) Presentation capture device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capturing media of a live presentation
US201200331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stening to audio Corresponding to a PIP Display
KR100983334B1 (ko) 무선 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제어 장치
US11012733B2 (en) Device controller,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remote control system
KR20080009371A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 및 시설관리시스템
KR101148203B1 (ko) 지능형 통합 멀티미디어 송출 시스템
KR100792763B1 (ko) 중앙제어 및 로컬제어가 가능한 아이피기반의 멀티미디어방송 시스템
JP2001111970A (ja) 音声制御装置、および、テレビ受像機
US20070069919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and simulcasting carrier frequencies
KR101980520B1 (ko)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9055099A (ja) 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
JPH06141198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それを構成する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記録再生装置
KR100803284B1 (ko) 모듈형 양방향 구내 방송장치
KR20040023289A (ko) 채널 혼선에 의한 오동작 방지를 위한 다채널 무선 마이크시스템
KR101594431B1 (ko) 스마트 교실 구축을 위한 융합 종합 방송 시스템
KR101372242B1 (ko) 리모컨 타입의 콘텐츠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재생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7840984B1 (en) Media administering system and method
KR102388648B1 (ko) 영상분배 기능을 가지는 hdmi 무선마이크 수신믹서 장치
KR100889490B1 (ko) 멀티미디어 통합형 에이치디 방송 시스템
KR101131301B1 (ko) 송신/수신장치와 이를 이용한 송수신방법
KR20160028531A (ko) 통합형 전관 방송 장치 및 시스템
KR100966429B1 (ko) 디지털셋탑박스를 이용한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
KR20090019294A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