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9455B1 -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9455B1
KR100589455B1 KR1020050097050A KR20050097050A KR100589455B1 KR 100589455 B1 KR100589455 B1 KR 100589455B1 KR 1020050097050 A KR1020050097050 A KR 1020050097050A KR 20050097050 A KR20050097050 A KR 20050097050A KR 100589455 B1 KR100589455 B1 KR 100589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ystem
broadcasting
broadcast
signa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149A (ko
Inventor
변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티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티어
Priority to KR1020050097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455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거나 독립적으로 각종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다중 제어 장치를 구비한 방송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평상시는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와 함께 상호 데이터를 공유하여 작동하나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의 기능 장애시 독립적으로 각종 장치 및 센서를 제어하여 신호의 입ㆍ출력 처리를 함으로써, 주장치인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에 바이러스나 물리적 오류 등의 고장 또는 장애에 대비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방송시스템을 대체 운영할 수 있는 방송 및 기타 장비의 다중 제어가 가능한 방송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와 연결하며, 상기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에 오류가 발생하여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에 저장된 오디오신호, 비디오신호 및 센서의 감지된 동작을 인식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신호의 입ㆍ출력이 제어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 디스플레이부, 통신포트, 입력포트, 예약 방송, 방송제어시스템 서버

Description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The Broadcasting Control System which has a Independent Multi-Control MP3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포함한 방송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송제어시스템의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송제어시스템의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송제어시스템의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 연동가능한 방송제어시스템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기 전체의 프로그램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시보방송의 제어 흐름도 및 설정메뉴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예약방송의 제어 흐름도 및 설정메뉴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a 및 도 8b는 도 5에 도시된 이벤트방송의 제어 흐름도 및 설정메뉴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a 및 도 9b는 도 5에 도시된 센서 수신방송의 제어 흐름도 및 설정메뉴를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1: 방송제어시스템 서버 100: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
103: 디스플레이부 108: 키 조작부
113: 통신포트 115: USB 인터페이스
118: 입력포트 119: 출력포트
121∼124: 다중 제어기 131∼134: 마이크로 제어장치(MCU)
141∼144: 메모리 151∼154: MP3디코더
161∼164,173: 오디오 출력부 171: 오디오신호 인터페이스
180: 오디오 매트릭스 제어기
본 발명은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가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제어시스템의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하거나 독립적으로 각종 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와 상호 데이터를 공유하여 작동하나,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의 기능 장애시 독립적으로 각종 장치 및 센서를 제어하여 신호의 입ㆍ출력 처리를 함으로써, 주장치인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에 바이러스나 물리적 오류 등의 고장 또는 장애에 대비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방송시스템을 대체 운영할 수 있는 방송 및 기타 장비의 다중 제어가 가능한 방송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제어시스템은 컴퓨터의 다양한 디지털 음원(MP3, WAV 파일 등) 및 영상자료를 개별 및/또는 그룹으로 직접 및 예약방송이 가능한 것으로,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송제어시스템 서버(Broadcasting System Server; 이하, 'BCS 서버' 라고도 함)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고 있다. 이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은 교내방송, 긴급방송 및 기타 분야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하에서, 교내방송의 경우를 실시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교내에서 운용되는 방송제어시스템은 음성, 음악, 영상 등의 미디어를 활용하여 학교 교육활동에 직접적으로 활용하도록 구성되어 부수적으로 학생 또는 교직원들에게 공지사항 및 긴급정보를 전달하는 방송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방송제어시스템에서는 BCS 서버에 의해 각종 장치를 제어함에 따라 다수의 강의실에 동시에 동일한 방송을 전송할 수도 있으며, 각 강의실의 학습 상황에 대응하여 필요한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특히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 PC로 각종 학습 방송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송제어시스템의 서버는 외부의 바이러스 등에 감염되거나 자체적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함으로 인해 다운될 경우, 진행중인 방송을 대체할 수 있는 별도의 장비가 마련되지 않아 해당 방송이 전면 중단되는 커 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이와 같이 방송제어시스템 서버가 다운될 경우 이를 대체하기 위해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와 동일한 성능과 스펙(SPEC)으로 이루어진 비상대기용의 서버를 설치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고가의 서버를 설치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 실용화 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동일성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방송제어시스템 서버 및 각종 장치와 연동 혹은 단독으로 작동가능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와 함께 공동으로 작동하며,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의 다운시에는 단독으로 각종 장치 및 센서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함으로써, 주장치인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에 바이러스가 침투하거나 물리적 오류 등으로 인한 고장 발생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를 대체하여 방송 및 기타 장비의 제어가 가능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격방송장치, 수동방송제어기, 비상방송신호센서반 등과 연결되고 동시에 인터넷에 연결된 방송제어시스템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각종 기기로부터 방송제어시스템 서버로 입력된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오디오 증폭기 및 스피커 제어기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고, 비디오 장치로 음성및 영상을 송출하기 위한 방송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에 연결되며, 상기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에 장애가 발생되어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 자체에 저장된 오디오신호, 비디오신호 및 센서감지된 동작을 인식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는,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와 공동 및/또는 단독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는 입력포트를 통해 상기 원격방송장치, 수동방송제어기, 비상방송신호센서반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거나, 키패드 또는 조작스위치에 의해 신호를 입력받고, 출력포트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며, 통신포트를 통해 접속된 주변기기에 출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다중 제어기; 상기 다수의 다중 제어기에 각각 연결되고 각종 프로그램 및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다수의 마이크로 제어장치(Micro Controller Unit, MCU); 상기 다수의 다중 제어기 및 마이크로 제어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다수의 MP3디코더; 상기 다수의 MP3디코더에 각각 연결되어 디코딩된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오디오 출력부; 및 상기 다수의 오디오 출력부와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해당 출력위치로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매트릭스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는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신호 인터페이스;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 의하여 방송제어시스템 서버를 대체하는 기능적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아울러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와 공동 및/또는 단독으로 동작 및 제어 가능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의 구성은 원격방송장치, 수동방송제어기, 비상방송신호센서반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포트;
원격방송장치, 수동방송제어기, 비상방송신호센서반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와;
원격방송장치, 수동방송제어기, 비상방송신호센서반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조작스위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포트와;
접속된 주변기기에 출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포트와;
상기의 각 포트와 신호 입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다중 제어기와;
상기 다수의 다중 제어기에 각각 연결되고 각종 프로그램 및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다수의 마이크로 제어장치(Micro Controller Unit, MCU)와;
상기 다수의 다중 제어기 및 마이크로 제어장치(Micro Controller Unit, MCU)에 각각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다수의 MP3디코더와;
상기 다수의 MP3디코더에 각각 연결되어 디코딩된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오디오 출력부와;
상기 다수의 오디오 출력부와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해당 출력위치로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매트릭스 제어기와;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에 장애 발생으로 상기 서버의 정상작동이 불가한 경우,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장애 발생 전까지의 공유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하고, 저장된 오디오ㆍ비디오 신호(데이터) 및 센서의 감지 동작을 인식하고, 처리 신호를 출력하도록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포함한 방송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송제어시스템의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송제어시스템의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송제어세스템의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 연동가능한 방송제어시스템의 구성은, 인터넷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 방송제어시스템 서버(11)와, 상기 방송제어시스템 서버(11)에 USB 인터페이스(32) 또는 RS-232C 포트(49a)를 통해서 연결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와, 상기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에 연결된 원격방송장치(13), 수동방송제어기(15), 비상방송신호센서반(17)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방송제어시스템은 상기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오디오 증폭기(21) 및 오디오 증폭기(21)를 통해 다수의 스피커(25a∼25n)로 오디오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스피커 제어기(23)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는 RS-485 인터페이스(49b)를 통해 주변기기(27), 예를 들면 전원공급기, 조명, 스크린 등에 연결되어 상기 주변기기(27)를 제어하기 위해 주변기기(27)로 각종 신호를 출력한다.
도 1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의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는 상기 방송제어시스템 서버(11)와 USB 방식으로 접속되며 본 발명에 의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채용한 방송제어시스템 서버는 상호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고, 또한 주장치인 방송제어시스템 서버(11)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방송장애나 중단없이 시스템 출력신호를 계속 송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 방식은 상기의 경우 USB 방식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외에도 상호 데이터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방식에 구애되지 않는 것은 주지의 설명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의 외부 구성을 도 2 및 도 3에 예시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전원스위치(101)와, 본 기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03), 파일 네비게이션 등 MP3 파일 제어용으로 사용되는 키 조작부(108) 즉, 방향키(105), 숫자키(106) 및 미리 PC를 통하여 다양한 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기능키(107)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는 후면에 도 3과 같이, 방송제어시스템 서버(11) 또는 제어용 PC(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는 USB 인터페이스(115), 리모트 앰프 및 화재 감지센서 등 다수의 입력장치가 접속되는 다수의 입력포트(118), 그룹 오디오 믹서, 오디오 매트릭스 컨트롤러 및 스피커 컨트롤러 등이 접속되는 다수의 출력포트(118), 오디오 출력단자(117), DC 24V 전원입력단자(111), DC 5V의 전원입력단자(112) 및 통신포트(113) 예를 들면, RS-232C 커넥터(113a) 및 RS-485 커넥터(113b)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통신포트에는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용 PC 등이 연결됨에 따라 PC를 통한 시청각 교육 및 방송이 가능하다.
삭제
또한, 상기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포트(118)를 통해 상기 원격방송장치(13), 수동방송제어기(15), 비상방송신호센서반(17)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거나,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 자체적으로 키조작부(108)에 의해 신호를 입력받고, 출력포트(119)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03)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며, 출력포트(119) 또는 통신포트(113)를 통해 접속된 주변기기(27)에 출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다중 제어기(121∼124)를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다중 제어기(121∼124)에는 USB 인터페이스(101), 입력포트(118)에 연결된 각종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와, 방향키(105), 숫자키(106), 기능키(107) 등을 통해 입력되는 키입력 신호를 받아 처리하는 다수의 마이크로 제어장치(Micro Controller Unit, MCU)(131∼134)가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 제어장치(Micro Controller Unit, MCU)(131∼134)는 시보 및 예약 기능을 위한 실시간 클록(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 제어장치(Micro Controller Unit, MCU)(131∼134)는 각종 프로그램, 신호 및 각종 MP3 파일과 같은 음원을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메모리(141∼144)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메모리(141∼144)에는 상기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디코더(151∼154)가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MP3디코더(151∼154)에는 디코딩된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오디오 출력부(161∼164)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오디오 출력부(161∼164)는 오디오 신호를 다수의 스피커(25a∼25n)를 통해 각 강의실로 동시에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매트릭스 제어기(180)에 연결된다.
아울러,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는 상기 방송제어시스템에 오류가 발생될 경우, 마이크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신호 인터페이스(171)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인터페이스(171)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173)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오디오 출력부(173)의 경우에도 상기 오디오 매트릭스 제어기(180)에 연결된다.
상기 본 실시예에서는 다중 제어기(121∼124), 마이크로 제어장치(Micro Controller Unit, MCU)(131∼134), 메모리(141∼144), MP3디코더(151∼154) 및 오디오 출력부(161∼164)를 4개로 제한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설치 개수에 제한되지 않고, 설치장소의 사정에 따라 설치 개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90은 스피커 모듈, 200은 오디오 증포기를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는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 서버(11)가 외부로부터 바이러스의 침투에 따라 감염되어 다운 되거나, 혹은 전원의 차단 등의 상황이 닥칠 때 동작을 실시간으로 대체함으로써 방송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주 장치인 방송제어시스템의 서버에 오류가 발생된 것이 인지되면 사용자는 동일한 방송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를 가동시킴으로써, 청취자 및 PC 사용자 등으로부터 방송이 차단되었음을 인식시키지 않은 채로 연속적인 방송 송출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방송제어시스템 서버(11) 및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의 연동 및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 연동가능한 방송제어시스템 장치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기 전체의 프로그램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시보방송의 제어 흐름도 및 설정메뉴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예약방송의 제어 흐름도 및 설정메뉴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이벤트방송의 제어 흐름도 및 설정메뉴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센서수신방송의 제어 흐름도 및 설정메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는 도 5와 같이 기존의 방송제어시스템 서버(11)을 통해 이루어지는 각각의 시보방송, 예약방송, 이벤트방송 및 센서수신방송 등의 방송을 대체할 수 있다. 이 경우,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는 예약시간, 이벤트스위치 및 센서수신이 모두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방송을 대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03)를 통해 도 6b, 7b, 8b 및 9b와 같이 각 방송에 대한 설정을 방향키(105) 및 숫자키(106)를 통해 사용자 임의대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각 방송의 설정 파라미터를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시보방송 및 예약방송은 음원설정, 시작 및 종료시간, 요일, 개별방송 또는 그룹방송 위치, 방송우선순위, 출력제어신호 및 다원화방송번호 설정 등의 파라미터를 갖는다.
또한, 이벤트방송은 음원설정, 조작스위치번호, 방송시간설정 즉, 방송반복횟수, 개별방송 또는 그룹방송 위치, 방송우선순위, 출력제어신호 및 다원화방송번호 설정 등의 파라미터를 갖는다.
더욱이, 센서수신방송은 음원설정, 센서입력번호, 방송시간설정 즉, 방송반복횟수, 개별방송 또는 그룹방송 위치, 방송우선순위, 출력제어신호 및 다원화방송번호 설정 등의 파라미터를 갖는다.
상기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는 시보방송의 흐름은 도 6a와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숫자키(106) 등을 통해 시보시간이 설정되면, 제어신호 즉, 앰프전원, 우선순위 스위치 등이 온(ON)되고, 이어서 방송선택스피커가 온(ON)된다.
이어서, MP3디코더(151∼154)에 의해 메모리(141∼144)에 미리 저장된 시보 예약 음원(MP3)가 재생된다. 음원 재생이 완료되면, 방송선택스피커가 오프(off)된 후, 상기 제어신호가 오프(off)된다.
상기 예약방송의 흐름은 도 7a와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숫자키(106) 등을 통해 예약방송시간이 설정되면, 제어신호 즉, 앰프전원, 우선순위 스위치 등이 온(ON)되고, 이어서 오디오 매트릭스 지정출력이 설정되며, 해당 예약방송위치(개별 또는 그룹) 스피커가 온(ON)된다.
이어서, 미리 설정된 예약방송 음원의 종료시간 또는 반복횟수에 따라 재생한 후, 예약방송 음원의 재생이 완료되면, 선택스피커를 오프(OFF)되고 오디오 매트릭스 설정이 복귀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오프(OFF)된다.
상기 이벤트방송의 흐름은 도 8a와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이벤트 조작스위치가 온(ON)되면, 제어신호 즉, 앰프전원, 우선순위 스위치 등이 온(ON)되고, 이어서 오디오 매트릭스 지정출력이 설정되며, 해당 예약방송위치(개별 또는 그룹) 스피커가 온(ON)된다.
이어서, 미리 설정된 이벤트 스위치 번호별 음원재생이 완료되면, 선택스피커가 오프(OFF)되고 오디오 매트릭스 설정이 복귀되면, 상기 제어신호가 오프(OFF)된다.
상기 센서수신방송의 흐름은 도 9a와 같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센서수신 상태가 온되면, 제어신호 즉, 앰프전원, 우선순위 스위치 등이 온(ON)되고, 이어서 오디오 매트릭스 지정출력이 설정되며, 해당 예약방송위치(개별 또는 그룹) 스피커가 온(ON)된다.
이어서, 미리 설정된 센서수신 번호별 음원 재생이 완료되면, 선택스피커가 오프(OFF)되고 오디오 매트릭스 설정이 복귀되면, 상기 제어신호가 오프(OFF)된다.
상기 다수의 방송에 앞서, 시보예약 음원(MP3), 예약방송 음원, 이벤트 스위치 번호별 음원, 센서수신 번호별 지정음원, 제어신호, 오디오 매트릭스, 방송선택 스피커 위치 등은 컴퓨터 환경설정 프로그램을 통해 메모리(141∼144)에 미리 예약 저장된다.
이와 같은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는 방송제어시스템 서버(11)와 함께 상기 다수의 방송을 실시하도록 동작하며, 방송제어시스템 서버(11)가 바이러스 등에 의해 다운될 경우,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의 입력단에 연결된 각종 장치 즉, 카세트 레코더, CD플레이어, 마이크 및 튜너 등의 오디오 장치(5) 및 리모트 앰프, 비상방송 판넬, 스피컬 셀렉터 및 화재감지 센서 등의 장치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출력함으로써, 방송제어시스템 서버(11)를 대체할 수 있다.
아울러,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100)는 고가의 방송제어시스템 서버(11)의 대부분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고, 방송제어시스템 서버(11)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아울러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와 공동 또는 단독으로 동작이 가능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주 장치가 바이러스 침투 등으로 손상된 경우에도 정상적인 방송 출력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이때 고가의 예비용 방송제어시스템 서버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간예약, 스위조작, 센서수신에 의한 자동/수동 방식에 의한 디지털 실시간 다원화 방송이 가능하며, 스피커, 앰프전원, 방송 우선스위쳐 등의 주변기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컬제어 뿐만 아니라, 인터넷에 의한 원격지에서 직접 및 예약방송, 방송설비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의 편의를 극대활 시킬 수 있다.
아울러, 첨단 방송통신기술에 의한 학습효과 극대화, 기존 아날로그 수동 조작방식에서 자동화 디지털 방송 설비로 고장 최소화, 예약에 의한 동시 다원화 방송 구현으로 학습효과 증대 및 관리자(방송교사, 학생) 복리향상, 컴퓨터 환경설정에 의한 음원예약 및 주변기기 제어로 교실 재배정, 음원소스 수정 등을 편리하게 조정, 기존 아날로그 장치들과 호환성 유지로 예산 절감 및, 제어기에 컴퓨터 환경설정으로 학습방송, 안내방송(화재, 비상경보) 등 음원선택저장과 지정장소의 스피커 자동제어로 방송시스템 편리한 운영이 가능하다.

Claims (4)

  1. 인터넷에 연결된 방송제어시스템 서버를 구비하고, 원격방송장치, 수동방송제어기, 비상방송신호센서반과 연계하여 각종 기기와 함께 상기 서버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음성 및 영상을 송출하기 위한 방송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원격방송장치, 수동방송제어기, 비상방송신호센서반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포트;
    원격방송장치, 수동방송제어기, 비상방송신호센서반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와;
    원격방송장치, 수동방송제어기, 비상방송신호센서반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조작스위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포트와;
    접속된 주변기기에 출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포트와;
    상기의 각 포트와 신호 입력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다중 제어기와;
    상기 다수의 다중 제어기에 각각 연결되고 각종 프로그램 및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다수의 마이크로 제어장치(Micro Controller Unit, MCU)와;
    상기 다수의 다중 제어기 및 마이크로 제어장치(Micro Controller Unit, MCU)에 각각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다수의 MP3디코더와;
    상기 다수의 MP3디코더에 각각 연결되어 디코딩된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오디오 출력부와;
    상기 다수의 오디오 출력부와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해당 출력위치로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매트릭스 제어기와;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에 장애 발생으로 상기 서버의 정상작동이 불가한 경우,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장애 발생 전까지의 공유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하고, 저장된 오디오ㆍ비디오 신호(데이터) 및 센서의 감지 동작을 인식하고, 처리 신호를 출력하도록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는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와 공동 및/또는 단독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는 상기 방송제어시스템 서버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신호 인터페이스와;
    상기 오디오 신호 인터페이스를 그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
KR1020050097050A 2005-10-14 2005-10-14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 KR100589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050A KR100589455B1 (ko) 2005-10-14 2005-10-14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050A KR100589455B1 (ko) 2005-10-14 2005-10-14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631U Division KR200407994Y1 (ko) 2005-11-29 2005-11-29 멀티 컨트롤 엠피쓰리 장치 연동가능한 방송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149A KR20050105149A (ko) 2005-11-03
KR100589455B1 true KR100589455B1 (ko) 2006-06-19

Family

ID=3728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050A KR100589455B1 (ko) 2005-10-14 2005-10-14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4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537B1 (ko) 2008-01-24 2009-02-13 (주)진명아이앤씨 연결 구간 진단이 가능한 디지털 네트워크 믹서 장치 및 그연결 구간 진단 방법
KR101108009B1 (ko) 2011-08-11 2012-01-30 (주)아이엠피 음성로깅 기능을 갖는 방송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763B1 (ko) * 2007-09-19 2008-04-03 주식회사 로보티어 중앙제어 및 로컬제어가 가능한 아이피기반의 멀티미디어방송 시스템
KR101102821B1 (ko) * 2011-07-20 2012-01-05 강준희 전관 방송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537B1 (ko) 2008-01-24 2009-02-13 (주)진명아이앤씨 연결 구간 진단이 가능한 디지털 네트워크 믹서 장치 및 그연결 구간 진단 방법
KR101108009B1 (ko) 2011-08-11 2012-01-30 (주)아이엠피 음성로깅 기능을 갖는 방송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149A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4885B2 (en) Campus audio-visual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788875B1 (ko) 원격지 음향장치 제어시스템
KR100589455B1 (ko) 독립적 디지털 다중 제어장치를 연동하는 방송제어시스템
US20100115562A1 (en) Audio system and main box
KR200407994Y1 (ko) 멀티 컨트롤 엠피쓰리 장치 연동가능한 방송제어시스템
KR100417495B1 (ko)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CN113727049B (zh) 显示设备及其界面显示方法
KR100291979B1 (ko)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장치의 제어방법
CN202205084U (zh) 一种会议型多媒体中央控制器
KR100530515B1 (ko) 학교방송 자동화 운영시스템과 운영방법
KR101755205B1 (ko) 중 고등 학교 방송 및 소방 시스템
KR101490079B1 (ko) 다중매체의 hd급 디지털 방송 통합전송 제어시스템
KR100270447B1 (ko)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학교 방송 장치
CN101741496B (zh) 音频系统和主箱
KR101594431B1 (ko) 스마트 교실 구축을 위한 융합 종합 방송 시스템
KR101879287B1 (ko)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0853436A (zh) 一种同频互动课堂控制装置
JPH08211930A (ja) 人工窓システム
CN111818174B (zh) 一种分布式中控系统
KR200302580Y1 (ko) 복수의 음성 및 스피커그룹 제어시스템
KR20090131181A (ko) 방송서버와 로컬피씨의 유에스비 포트에 연결되는방송장치로 구성된 방송시스템.
KR100466304B1 (ko) 복수의 음성 및 스피커그룹 제어시스템
KR20030072691A (ko) 구내 유선방송장치
KR100888252B1 (ko) 스피커의 개별제어 시스템
JP5184632B2 (ja) 補助機器の遠隔調節装置及び方法(Apparatusandmethodforremotecontrol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