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287B1 -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287B1
KR101879287B1 KR1020160088113A KR20160088113A KR101879287B1 KR 101879287 B1 KR101879287 B1 KR 101879287B1 KR 1020160088113 A KR1020160088113 A KR 1020160088113A KR 20160088113 A KR20160088113 A KR 20160088113A KR 101879287 B1 KR101879287 B1 KR 101879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dividual
integrated
user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8180A (ko
Inventor
이종걸
김승기
김현곤
Original Assignee
(주)보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성전자 filed Critical (주)보성전자
Publication of KR2017000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제어 패널에서 방송 설비의 종류에 따라 통합된 제어화면을 GUI 기반의 제어화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방송 설비 모델의 추가, 변경 등에 대응하여 제어계를 변경할 필요 없이 표준화된 제어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방송 설비를 개별 제어하는 개별 카드에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모델명에 따른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서로 다른 모델의 방송 설비에 대한 제어를 온전히 수행할 수 있는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방송 설비; 상기 방송 설비를 개별 제어하는 개별 카드; 상기 개별 카드에 제어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통합 제어부; 및 상기 통합 제어부에 사용자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사용자 제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은 상기 통합 제어부로부터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카드 정보에 포함된 방송 설비의 종류에 따라 통합된 제어화면을 GUI 기반의 제어화면으로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별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개별 카드가 개별 카드 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개별 카드로부터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로부터 상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별 카드로 전달하며; 상기 개별 카드는 상기 통합 제어부로부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방송 설비의 모델명에 따른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방송 설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MODULE TYPE BROADCAST EQUIPMENT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설비를 모듈 단위로 제어하여 방송 설비의 교체 또는 추가를 단순화할 수 있는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 설비 제어 시스템은 오디오 믹서 장치, 영상 믹서 장치, 스크린 장치 등을 포함하고, 오디오 믹서 장치 또는 영상 믹서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소정 장소의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유무선으로 전송한다.
오디오 믹서 장치는 음원 소스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외부 장치인 오디오 매트릭스, 파워 앰프 및 스피커 릴레이 그룹 등을 통해 원하는 다수의 채널로 음원을 혼합하여 출력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입력되는 신호의 세기 조절, 음색 조절, 음량 조절, 출력 채널 선택 등의 기능을 기본으로 가지는 장치를 말한다.
음원 소스 장치로는 시디플레이어(CD Player), 카세트 데크(Cassette Deck), 튜너(Tuner), 무선 마이크(Wireless Mike), 마이크로폰(Microphone), 리모트 앰프(Remote Amp)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 매트릭스는 음원 소스 장치에서 발생한 아날로그 음원을 디지털로 변환, 믹싱 및 분배한다.
파워 앰프는 오디오 매트릭스에 의해 분배된 신호들을 각각 증폭하여 출력한다.
스피커 릴레이 그룹은 파워 앰프로부터 출력된 증폭 신호를, 전관 방송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스피커로 분배하여 출력한다.
한편, 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믹서와는 별도로 영상 매트릭스가 필요하다. 즉, 영상 매트릭스를 통해 DVD, 프로젝터, 데이터 뷰어, VCR 등의 다양한 영상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게 된다.
그런데, 등록특허 10-0983334호의 방송 시스템에서와 같이, 방송 시스템용 제어 프로그램은 다양한 방송 설비가 조합되어 설치되는 방송 시설의 상황에 맞게 각기 다르게 세팅된다. 따라서 사용 중이던 방송 설비를 다른 방송 설비로 교체하고자 할 때마다, 현재 사용 중인 제어 시스템용 프로그램을 수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예컨대, A사 B모델의 프로젝터를 사용 중이다가 C사 D모델의 프로젝터로 교체하는 경우, A사 B모델용 프로토콜에 적합하도록 작성된 프로그램이 C사 D 모델에는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제어 시스템용 프로그램을 C사 D 모델용 프로토콜에 적합하도록 수정해야 한다. 이는 방송 설비를 추가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상황에 봉착하게 된다.
등록특허 10-0983334호 무선 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제어 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방송 설비의 종류에 따라 통합된 제어화면을 GUI 기반으로 화면 출력하는 사용자 제어 패널을 제공함으로써 방송 설비의 모델이 변경되거나 추가되는 경우에도 제어 시스템을 변경할 필요 없이 방송 설비의 개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설비에 개별적으로 대응되는 개별 카드에서 제어 시스템으로부터의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방송 설비의 모델명에 따른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개별 제어를 수행함으로서, 방송 설비의 변경, 추가 또는 분리를 단순화할 수 있는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방송 설비; 상기 방송 설비를 개별 제어하는 개별 카드; 상기 개별 카드에 제어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통합 제어부; 및 상기 통합 제어부에 사용자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사용자 제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은 상기 통합 제어부로부터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카드 정보에 포함된 방송 설비의 종류에 따라 통합된 제어화면을 GUI 기반의 제어화면으로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별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개별 카드가 개별 카드 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개별 카드로부터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로부터 상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별 카드로 전달하며; 상기 개별 카드는 상기 통합 제어부로부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방송 설비의 모델명에 따른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방송 설비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은, 상기 카드 정보는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를 나타내는 그룹 ID와, 제어 대상 방송 설비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I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은, 상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는 상기 그룹 ID, 상기 개별 ID, 및 제어 명령 신호값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방법은, 복수의 방송 설비; 상기 방송 설비를 개별 제어하는 개별 카드; 상기 개별 카드에 제어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통합 제어부; 및 상기 통합 제어부에 사용자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사용자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모듈형 시스템 상에서, (a) 상기 통합 제어부에서 상기 개별 카드의 삽입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통합 제어부에서 상기 개별 카드로부터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로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에서 상기 카드 정보에 포함된 방송 설비의 종류에 따라 통합된 제어화면을 GUI 기반의 제어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별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통합 제어부에서 상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별 카드로 전달하는 단계; 및 (f) 상기 개별 카드에서 상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상기 방송 설비의 모델명에 따른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방송 설비를 개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방법은, 상기 카드 정보는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를 나타내는 그룹 ID와, 제어 대상 방송 설비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I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방법은, 상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는 상기 그룹 ID, 상기 개별 ID, 및 제어 명령 신호값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제어 패널에서 방송 설비의 종류에 따라 통합된 제어화면을 GUI 기반의 제어화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방송 설비 모델의 추가, 변경 등에 대응하여 제어계를 변경할 필요 없이 표준화된 제어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방송 설비를 개별 제어하는 개별 카드에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모델명에 따른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를 변환하여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서로 다른 모델의 방송 설비에 대한 제어를 온전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영상 제어를 구현하는 제어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예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플레이어 제어를 구현하는 제어화면의 예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송 설비에 대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예시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제어 패널(110), 통합 제어부(120), 개별 카드(130), 및 방송 설비(140)를 포함한다.
사용자 제어 패널(110)은 GUI(Graphic User Interface) 기반으로 제어화면을 화면 출력하고,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통합 제어부(120)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사용자 제어 패널(110)은 방송 설비(140)의 제조사별, 또는, 모델별로 개별적인 제어화면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도 4 및 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송 설비(140)의 종류에 따라 통합된 제어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위치나 각도 등을 제어하는 엘리베이션(elevation), 스크린 등의 영상 제어 설비,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 스피커 등의 음향 제어, 조명 제어 등의 방송 설비(140)의 종류에 따라 통합된 제어화면을 출력한다.
통합 제어부(120)는 사용자 제어 패널(110)과 개별 카드(130) 사이에 배치되며, 개별 카드(130)로부터 방송 설비의 종류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제어 패널(110)로 전달하고, 사용자 제어 패널(110)로부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개별 카드(130)로 전달한다.
개별 카드(130)는 방송 설비(140)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카드로서, 각 방송 설비(14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개별 카드(130)는 통합 제어부(120)로부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연결된 방송 설비(140)의 모델명에 다른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방송 설비(140)를 개별 제어한다.
방송 설비(140)는 음향/영상 소스 장치(141), 음향 믹서(142), 영상 셀렉터(143), 디스플레이(144), 전동/전등 장치(145), 기타 장치(146) 등으로 구성되며, 각 방송 설비(140)에 대응하여 개별 카드(130)와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 설비(140)가 추가되어 대응하는 개별 카드(130)를 개별 카드 슬롯에 삽입하는 경우, 통합 제어부(120)는 개별 카드(130)의 삽입을 인식하며, 삽입된 개별 카드를 호출한다(S510).
호출된 개별 카드(130)는 통합 제어부(120)에 방송 설비(140)의 종류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제공한다(S515). 예를 들어, A사의 프로젝터가 신규 설치되고, 대응하는 개별 카드(130)가 삽입된 경우, 개별 카드(130)는 통합 제어부(120)의 호출에 응답하여 프로젝터의 신규 설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드 정보는 방송 설비(140)의 종류를 나타내는(예를 들어,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그룹 ID와, 제어 대상 방송 설비를 식별하기 위한(예를 들어, 복수 대의 프로젝터 중 제어 대상이 되는 프로젝터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ID를 통합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통합 제어부(120)는 내부의 저장부(미도시)에 개별 카드(130)의 그룹 ID와 개별 ID를 저장함과 아울러 사용자 제어 패널(110)에 전달한다(S520).
사용자 제어 패널(110)은 개별 카드(130)의 그룹 ID와 개별 ID를 내부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함과 아울러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화면을 구성한다(S525). 여기서, 카드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화면은 방송 설비의 종류에 따라 통합된 제어화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제어 패널(110)은 프로젝터의 제조사 또는 모델명과 관계없이 통합된 제어화면을 GUI 형태로 화면 출력한다. 한편, 제어화면은 키보드나 마우스로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겠으나, TUI(Touch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제어탭, 제어상자, 또는 제어항목 등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개별 카드(130)가 개별 카드 슬롯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는 통합 제어부(120)가 개별 카드(130)의 분리를 인식하면서 내부의 저장부에 저장된 개별 카드의 정보를 삭제하고, 개별 카드(130)의 분리를 사용자 제어 패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제어 패널(110) 역시 내부의 저장부에 저장된 개별 카드의 정보를 삭제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어화면을 재구성할 수 있다.
개별 카드(130)가 개별 카드 슬롯에 삽입되거나 탈거되는 경우, 통합 제어부(120)가 이를 인식하는 기술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예컨대, 개별 카드(130)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개별 카드(13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여러 터미널 중 2개의 터미널을 이용하는 바, 개별 카드 슬롯에 개별 카드(130)가 삽입되면, 미약한 전류가 흐르게 하고, 탈거되면 흐르던 전류를 차단시킬 수 있다. 또는 개별 카드 슬롯의 양측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광 센싱을 통해 개별 카드(130)의 삽입 또는 탈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하여 방송 설비(140)를 개별 제어하는 과정을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아래의 표 1은 방송 설비(140)에 대하여 지정된 그룹 ID와 개별 ID의 예시이다.
그룹명 그룹 ID 개별 ID
음향/영상소스장치류 01 DVD:01-01
CDP(INTERM): 01-02
EVENT PLAYER:01-03
음향 믹서류 02 YAMAHA O1V: 02-01
LS9: 02-02
AUDIA SOLO: 02-03
NEXIA: 02-04
영상 셀렉터류 03 KRAMER VS-88H: 03-01
VS-1616D: 03-02
영상 디스플레이류 04 EPSON A 모델: 04-01
LG 모니터: 04-02
LG A 모델: 04-03
SONY A 모델: 04-04
전동/전등 장치류 05 스크린: 05-01
엘리베이션: 05-02
암막 커튼: 05-03
바텐: 05-04
기타 06 장비#1: 06-01
장비#2: 06-02
사용자가 사용자 제어 패널(110)에서 제공하는 제어화면을 통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S530), 사용자 제어 패널(110)은 방송 설비의 종류별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통합 제어부(120)에 전송한다(S535). 제어 명령의 입력은 GUI 기반의 제어화면에서 원하는 제어항목을 클릭하거나, TUI 기반으로 터치 입력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어 명령 입력에 대응하여, 예컨대 제어 패널용 마이크로 콘트롤러(미도시)에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통합 제어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영상 제어를 구현하는 제어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플레이어 제어를 구현하는 제어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송 설비에 대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제어 패널(110)에서 제공되는 제어화면(200)은 방송설비 제어탭(210)을 포함한다. 방송설비 제어탭(210)은 방송 설비의 제품군별로 구별되어 있고, 사용자가 소정의 방송 설비(140)를 선택하기 위하여 해당 제품군 제어탭을 터치하면, 해당 제품군의 제어탭이 활성화된다.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영상제어 탭을 선택하면, 사용자 제어 패널(110)에 등록된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젝터 제어상자(220)와, 스크린/엘리베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스크린/엘리베이션 제어상자(230)가 활성화 된다.
도 5에 예시한 플레이어 제어화면에 대하여 설명하면, 플레이어 제어화면은 재생되는 곡명을 표시하는 재생 곡명 표시상자(240)와, 재생, 정지, 빨리 감기, 되감기 등의 제어항목을 포함하는 플레이어 제어상자(250)와, 볼륨의 크기, 높임, 낮춤, 뮤트(mute) 등의 제어항목을 포함하는 볼륨 제어상자(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어 제어화면 역시, 모든 음성 재생 설비에 통합하여 적용된다.
만약, 사용자가 프로젝터 제어상자(220)에서 ON 버튼을 입력하면, 사용자 제어 패널(110)은 모든 프로젝터에 대하여 공통으로 적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에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그룹 ID와, ON 명령을 나타내는 제어 명령 신호값을 포함시켜 통합 제어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 및 6에서 표준 프로토콜 포맷(310, 410)이 나타내는 각 항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TX: 정보의 시작을 알리는 텍스트로, 필수적 코드이다.
ID: 통합 제어 시스템을 상호 식별하기 위한 식별값으로, 통합 제어 시스템이 하나이면 불필요한 코드이지만, 통합 제어 시스템이 복수인 경우 필수적 코드이다.
GROUP ID: 그룹별 식별값으로, 그룹 간을 상호 식별하기 위한 필수적 코드이다.
개별 ID: 개별 방송 설비 식별값으로, 개별 방송 설비를 상호 식별하기 위한 필수적 코드이다.
CMD: 명령 신호값으로, 예컨대, 온, 오프, 업, 다운, 플레이, 스톱 등의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필수적 코드이다.
DATA1 ~ DATAn: 전달대상 데이터로, 0 내지 n값을 가지며, 선택적 코드이다. 즉, 명령 신호값만으로 정보 전달이 완성될 수 있으면, 전달대상 데이터는 0이고, 명령 신호값만으로 정보 전달이 완성될 수 없다면, 전달대상 데이터가 포함된다.
CS: 전달되는 정보가 정상적인지를 확인하는 체크섬(check sum)값으로 필수적 코드이다.
ETX: 정보의 종료를 알리는 텍스트로, 필수적 코드이다.
통합 제어부(120)는 사용자 제어 패널(110)로부터 수신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에 제어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개별 ID를 부여하고, 개별 ID가 부여된 제어 명령 신호를 개별 카드(130)로 전송한다(S540). 이를 위하여 통합 제어부(120) 역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그룹 ID '04'에 첫 번째 프로젝터를 나타내는 개별 ID '01'을 부여하고, 제어 명령 신호값으로는 ON을 나타내는 '01'을 부여하여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320)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의 ON/OFF 제어, 스크린의 UP/DOWN 제어, 플레이어의 PLAY/STOP 제어를 각각 나타내는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420, 430, 440)를 생성할 수도 있다.
개별 카드(130)는 수신된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320, 420, 430, 440)를 방송 설비(140)의 모델명에 따른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330)로 변환하고(S545),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330)에 따라 연결된 방송 설비(140)를 개별적으로 제어한다(S550). 개별 카드(130) 역시 연결된 방송 설비(140)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프로젝터를 ON 시키는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320)는, 해당 프로젝터의 모델명에 따른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330)로 변환되며, 이와 같이 개별 카드(130)에서 프로토콜 변환 제어를 수행함에 따라 새로운 방송 설비 모델의 추가, 변경 등에 대응하여 사용자 제어 패널(110) 및 통합 제어부(120)를 포함하는 제어계를 변경할 필요 없이 표준화된 환경에서 통합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10: 사용자 제어 패널 120: 통합 제어부
130: 개별 카드 140: 방송 설비
141: 음향/영상 소스 장치 142: 음향 믹서
143: 영상 셀렉터 144: 디스플레이
145: 전동/전등 장치 146: 기타 장치
200: 제어화면 210: 방송설비 제어탭
220: 프로젝터 제어상자 230: 스크린/엘리베이션 제어상자
240: 재생 곡명 표시상자 250: 플레이어 제어상자
260: 볼륨 제어상자 310, 410: 표준 프로토콜 포맷
320, 420, 430, 440: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
330: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

Claims (6)

  1. 복수의 방송 설비;
    상기 방송 설비를 개별 제어하는 개별 카드;
    상기 개별 카드에 제어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통합 제어부; 및
    상기 통합 제어부에 사용자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사용자 제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은 상기 통합 제어부로부터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를 나타내는 그룹 ID와, 제어 대상 방송 설비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ID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카드 정보에 포함된 방송 설비의 종류에 따라 통합된 제어화면을 GUI 기반의 제어화면으로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별로 상기 그룹 ID, 상기 개별 ID, 및 상기 사용자 제어 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 열을 포함하는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개별 카드가 개별 카드 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개별 카드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로부터 상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별 카드로 전달하며;
    상기 개별 카드는 상기 통합 제어부로부터 상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방송 설비의 모델명에 따른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방송 설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복수의 방송 설비;
    상기 방송 설비를 개별 제어하는 개별 카드;
    상기 개별 카드에 제어 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통합 제어부; 및
    상기 통합 제어부에 사용자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사용자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모듈형 시스템 상에서,
    (a) 상기 통합 제어부에서 상기 개별 카드의 삽입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통합 제어부에서 상기 개별 카드로부터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를 나타내는 그룹 ID와, 제어 대상 방송 설비를 식별하기 위한 개별 ID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로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에서 상기 카드 정보에 포함된 방송 설비의 종류에 따라 통합된 제어화면을 GUI 기반의 제어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제어 패널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방송 설비의 종류별로 상기 그룹 ID, 상기 개별 ID, 및 상기 사용자 제어 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 열을 포함하는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
    (e) 상기 통합 제어부에서 상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별 카드로 전달하는 단계; 및
    (f) 상기 개별 카드에서 상기 표준 프로토콜의 제어 명령 신호를 상기 방송 설비의 모델명에 따른 개별 프로토콜의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방송 설비를 개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60088113A 2015-07-13 2016-07-12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79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085 2015-07-13
KR20150099085 2015-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180A KR20170008180A (ko) 2017-01-23
KR101879287B1 true KR101879287B1 (ko) 2018-07-17

Family

ID=57990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113A KR101879287B1 (ko) 2015-07-13 2016-07-12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1838B (zh) * 2017-08-03 2021-05-28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广播的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055B1 (ko) * 2015-01-12 2015-04-14 주식회사 엠아이코퍼레이션 사용자 설치가 용이한 개방형 통합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334B1 (ko) 2010-03-30 2010-09-20 (주) 씨앤텍 무선 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055B1 (ko) * 2015-01-12 2015-04-14 주식회사 엠아이코퍼레이션 사용자 설치가 용이한 개방형 통합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180A (ko) 201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76431B (zh) 控制设备及其与媒体源和娱乐系统交互的方法
CN101146199B (zh) 视频信息处理设备、视频信息处理方法
US8378791B2 (en) Image reproduction system and signal processor used for the same
CN102117631B (zh) 一种多媒体播放系统及播放方法
US20070088812A1 (en) Media control system
US8364868B2 (en) Device control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initiating control of an operation of an external device
CN101873454A (zh) 音频处理设备和音频处理方法
JP2013051532A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90240A5 (ko)
KR20190078244A (ko) 전자장치
US8830397B2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JP2010166481A (ja) シンク機器及び無線伝送システム
JP2013051533A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138202B (zh) 通信连接方法及装置
EP23373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879287B1 (ko) 모듈형 방송 설비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80520B1 (ko) 무선 오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652658B2 (en)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terminal
EP3477485B1 (en) Distribution destination designation device, distribution destination designation method, and distribution destination designation program
JP2004048706A (ja) 受信装置およびその受信方法
CN101536510B (zh) 查看数据广播的方法和用于实现该方法的接收机
JP4200410B2 (ja) 機器選択装置及び機器選択方法
JP5091972B2 (ja) シンク機器及び無線伝送システム
JPWO2010122802A1 (ja) 音声再生装置
JP2010166612A (ja) シンク機器及びソース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