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광판을 제공한다. 이 도광판은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을 포함한다.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은 도광판의 서로 반대측에 위치되어 있다. 제 3 표면은 제 1 표면과 제 2 표면을 서로 연결시킨다. 도광판은 제 3 표면을 통하여 광을 수광하고 제 2 표면의 면을 통하여 외부로 그 광을 방사한다. 제 1 표면에는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 1 그루브는 제 1 표면의 섹션에 의해 규정된다. 제 1 그루브를 규정하는 제 1 표면의 섹션 각각은 반사 표면을 포함한다. 각각의 반사표면은 광을 제 2 표면을 향하여 진행시키도록 제 3 표면을 통하여 도광판에 진입하는 광을 반사한다. 반사 표면의 연장방향은 제 3 표면과 평행하다. 제 2 표면에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 돌출부들은 반사표면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돌출부는 피크 라인을 가진다. 제 2 그루브는 인접하는 돌출부들 쌍 각각의 피크 라인들 간에 제공된다. 각각의 제 2 그루브는 대응하는 돌출부들의 피크 라인들 간의 제 2 표면의 섹션에 의해 규정된다. 제 2 그루브를 규정하는 제 2 표면의 섹션 각각은 저부 (bottom) 를 포함한다. 이 저부는 깊이방향에서 제 2 그루브의 중간점보다 제 1 표면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저부의 한 점에서 각각의 저부의 접평면과, 모든 돌출부의 피크 라인들을 포함하는 가상면에 의해 규정되는 각은 그 점이 제 1 표면에 근접할수록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면광원장치를 제공한다. 이 면광원장치는 점광원과, 이 점광원에 의해 생성된 광을 수광하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액정표시장치는 표시면을 가진 액정패널과, 표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대향되는 액정패널의 표면에 제공되는 면광원장치를 포함한다. 면광원장치는 점광원과, 이 점광원에 의해 생성되는 광을 수광하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과 이점들을,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를 들어 설명한상세한 설명부에서,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과 함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통하여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a 내지 도 8b 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른 투과형 액정표시장치 (11) 는 액정패널 (12) 과, 사이드 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면광원장치 (13) 를 포함한다. 액정패널 (12) 은 표시면을 가진다. 면광원장치 (13) 는 표시면 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대향되는 액정패널 (12) 측에 제공된다. 면광원장치 (13) 는 도광판 (14) 과, LED들인 점광원 (15) 을 포함한다. 도 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광원 (15) 의 개수는 4개일 수 있다. 점광원 (15) 은 도광판 (14) 의 에지에 있는 입사면 (14a; 제 3 표면) 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로 형성되는 반사 부재 (16) 가 면광원장치 (13) 의 인접부에 제공된다. 반사부재 (16) 는 액정패널 (12) 이 위치되지 않은 도광판 (14) 측에 제공된다. 반사부재 (16) 는 도광판 (14) 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도광판 (14) 으로 다시 반사시킨다. 도광판 (14) 으로 복귀된 광은 도광판 (14) 으로부터 광출사면 (18) 을 통하여 방사되는데, 이 광출사면 (18) 은 액정패널 (12) 과 대향하는 도광판 (14) 의 한 표면이다. 도광판 (14) 과 액정패널 (12) 간에는, 확산 시트 (17) 가 제공된다.
도광판 (14) 은 아크릴 수지와 같은 높은 투명성 재료로 형성된다. 도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 (14) 은 위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도 1a, 도 10c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출사면 (18) 으로부터 이격되어 대향되는 도광판 (14) 의 뒷면 (제 1 표면) 에는, 그 뒷면이 톱니형 단면을 가지도록 톱니형상 그루브 (19; 제 1 그루브) 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형상 그루브 (19) 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각의 톱니형상 그루브 (19) 는 제 1 안내면 (19a; 반사면) 과 제 2 안내면 (19b) 에 의해 규정된다. 각각의 제 1 안내면 (19a) 은 대응하는 제 2 안내면 (19b) 보다 입사면 (14a) 에 더 가깝다. 도광판 (14) 은 대향면 (14b), 또는 입사면 (14a) 으로부터 이격되어 대향되는 도광판 (14) 의 에지부를 가진다. 각각의 제 1 안내면 (19a) 은, 대향면 (14b) 에 더 가까운 제 1 안내면 (19a) 의 일부분이 입사면 (14a) 에 더 가까운 제 1 안내면 (19a) 의 일부분보다 광출사면 (18) 에 더 가깝도록 경사져 있다. 각각의 제 2 안내면 (19b) 은, 대향면 (14b) 에 더 가까운 제 2 안내면 (19b) 의 일부분이 입사면 (14a) 에 더 가까운 제 2 안내면 (19b) 의 일부분보다 광출사면 (18) 과 더 멀리 이격되어 있도록 경사져 있다. 제 1 안내면 (19a) 과 제 2 안내면 (19b) 은 도광판 (14) 의 뒷면에 교대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톱니형상 그루브 (19) 가 연장되는 방향은 입사면 (14a) 및 대향면 (14b) 과 평행하다. 또한, 제 1 안내면 (19a) 과 제 2 안내면 (19b) 이 연장되는 방향도 입사면 (14a) 및 대향면 (14b) 과 평행하다.
입사면 (14a) 을 통하여 도광판에 진입한 다음 제 1 안내면 (19a) 에 도달하는 광, 더욱 자세하게는, 도광판 (14) 의 가상평면 (P1) 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제 1 안내면 (19a) 상에서 전반사된 다음 가상평면 (P1) 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광출사면 (18) 을 향하여 진행하도록, 제 1 안내면 (19a) 과, 아래 후술될 (도 1b 를 참조) 가상평면 (P1) 에 의해 규정되는 각이 결정된다. 각각의 제 1 안내면 (19a) 과, 가상평면 (P1) 에 평행한 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각 (θ1; 도 3 을 참조) 은 35°이상 50°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40°이상 45°이하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각각의 제 2 안내면 (19b) 과, 가상평면 (P1) 에 평행한 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각 (θ2; 도 3 을 참조) 은 0.3°이상 2.5°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및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 (14) 은 광출사면 (18) 상에 곡면 프리즘 (20; 돌출부) 을 가진다. 이 프리즘 (20) 은 톱니형상 그루브 (19) 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프리즘 (20) 은 인접하는 프리즘들 (20) 의 쌍 각각이 연속이도록 배열된다. 프리즘 (20) 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즘 (20) 의 피크 라인은 가상평면 (P1) 에 위치된다. 인접하는 프리즘 (20) 들 쌍 각각의 피크 라인들 간에 광출사면 (18) 의 단면은 도광판 (14) 의 뒷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곡면 (20a) 이다. 즉, 아치형 단면 그루브 (21; 제 2 그루브) 가 인접하는 프리즘 (20) 들의 쌍 각각의 피크 라인들 사이에 한정되어 있다. 각각의 아치형 단면 그루브 (21) 는 대응하는 곡면 (20a) 에 의해 한정된다.
각각의 곡면 (20a) 은 그루브 (21) 의 깊이에서의 중점보다 도광판 (14) 의 뒷면에 더 가까운 저부 (21a) 를 포함한다. 저부 (21a) 의 한 점에서의 저부(21a) 의 접평면과 가상평면 (P1) 에 의해 규정되는 각은 그 점이 도광판 (14) 의 뒷면에 근접할수록 감소한다. 도광판 (14) 의 뒷면에 최인접한 저부 (21a) 의 한 점에서, 저부 (21a) 의 접평면은 가상평면 (P1) 과 평행하다. 즉, 저부 (21a) 의 한 점에서의 저부 (21a) 의 접평면과 가상평면 (P1) 에 의해 규정되는 각의 최소값은 0°이다.
저부 (21a) 의 한 점에서의 저부 (21a) 의 접평면과 가상평면 (P1) 에 의해 규정되는 각의 최소값은 적어도 10°보다 크지 않은 한도에서, 반드시 0°일 필요는 없다. 저부 (21a) 의 접평면과 가상평면 (P1) 에 의해 규정되는 각의 최소값이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광출사면 (18) 을 통하여 제 1 안내면 (19a) 상에서 반사되는 대부분의 광은 가상평면 (P1)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광판 (14) 을 통하여 진행한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안내면 (19a) 들 중의 하나에서 반사되는 경우에 각각의 점광원 (15) 에 의해 생성되는 광이 진행하는 방향은 광원 (15) 으로부터의 광을 도입하는 각각의 제 1 안내면 (19a) 의 일부분에 대한 점광원 (15) 의 위치에 의존하여 변경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각각의 제 1 안내면 (19a) 에서, 광이 제 1 안내면 (19a) 상에서 반사되는 방향과 가상평면 (P1) 에 의해 규정되는 각은, 각각의 점광원에서 이격되는 영역에서보다 각각의 점광원 (15) 앞의 영역에서 직각에 가깝다. 즉, 각각의 점광원 (15) 의 앞쪽에 위치된 각각의 제 1 안내면 (19a) 의 일부분은 점광원 (15) 으로부터의 광을 반사하여, 그 결과, 광이 가상평면 (P1)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광출사면 (18) 을 향하여 진행하게 된다. 가상평면 (P1)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반사되었던 광이 곡면 (20a) 들 중의 어느 하나에 도달하는 경우, 가상평면 (P1) 과 곡면 (20a) 의 접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입사점에서의 각이 크다면, 입사점에 도달하는 광은 가상평면 (P1) 과 직교하는 방향과 매우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굴절된다. 그 결과, 도광판 (14) 의 전방에서 방사된 광량이 감소되며, 점광원 (15) 앞쪽의 도광판 (14) 의 영역에, 낮은 휘도인 다크 (dark) 라인 및 다크 스폿이 존재하게 된다.
도 15 는 출사각과 프리즘 경사각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출사각은 가상평면 (P1) 과 직교하는 직선과, 가상평면 (P1)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반사한 다음 곡면 (20a) 에 도달한 후 이 곡면 (20a) 들 중의 어느 하나를 떠나는 광의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각을 의미한다. 프리즘 경사각은 가상평면 (P1) 과, 곡면 (20a) 상의 입사점에서의 곡면 (20a) 의 접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각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액정표시장치 (11) 의 사용자는 표시면 앞쪽의 위치에서 표시면을 보거나 도광판 (14) 의 전방으로부터 ±5°범위의 각도의 위치에서 표시면을 본다. 따라서, 출력각은 실제 이용에서 대략 5°이하로 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15 에 나타낸 결과들에서는, 가상평면 (P1) 과, 각각의 저부 (21a) 의 접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각의 최소값이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하, 도광판 (14) 의 작용을 설명한다.
점광원 (15) 이 광을 방사하는 경우, 이 광은 입사면 (14a) 을 통하여 도광판 (14) 에 진입한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 (14) 에 진입한 광이제 1 안내면 (19a) 들 중의 어느 하나에 도달하는 경우, 그 광은 광출사면 (18) 을 향하여 진행하도록 전반사된다. 이후, 광이 광출사면 (18) 을 통하여 액정 패널 (12) 을 향하여 도광판 (14) 에서 출사한다. 도광판 (14) 에서 출사한 광은 확산 시트 (17) 를 통하여 액정패널 (12) 에 진입하는데, 이 출사광을 이용하여 액정패널 (12) 의 표시면 상의 이미지를 시인한다.
제 1 안내면 (19a) 에 도달하는 광은 입사면 (14a) 으로부터 제 1 안내면 (19a) 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직접 진행한 다음 제 1 안내면 (19a) 에 도달한 광 뿐만 아니라, 입사면 (14a) 으로부터 제 1 안내면 (19a) 들 중의 어느 하나를 향하여 진행하지는 않지만 제 2 안내면 (19b) 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광출사면 (18) 상에서 전반사된 후 제 1 안내면 (19a) 들 중의 어느 하나에 도달한 광도 포함한다. 입사면 (14a) 으로부터 제 1 안내면 (19a) 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직접 진행한 광은 가상평면 (도 1b 를 참조) 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도광판 (14) 으로 진행한다. 반면, 각각의 제 2 안내면 (19b) 은 대향면 (14b) 에 더 가까운 제 2 안내면 (19b) 의 일부분이 입사면 (14a) 에 더 가까운 제 2 안내면 (19b) 의 일부분보다 광출사면 (18) 에서 더 멀리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입사면 (14a) 으로부터 제 1 안내면 (19a) 들 중의 어느 하나를 향하여 직접 진행하지 않는 광은, 그 광이 가상평면 (P1) 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을 따라 도광판 (14) 에 진행할 때까지, 제 2 안내면 (19b) 과 광출사면 (18) 상에서 반복적으로 전반사된다. 따라서, 입사면 (14a) 으로부터 제 1 안내면 (19a) 들 중의 어느 하나를 향하여 직접 진행하는 광과, 입사면 (14a) 으로부터 제 1 안내면 (19a)들 중의 어느 하나를 향하여 직접 진행하지 않는 광은 모두 제 1 안내면 (19a) 상에서 전반사되어, 이 광들이 가상평면 (P1) 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각에서 광출사면 (18) 을 향하여 진행한다.
도광판 (14) 의 굴절률은 공기의 굴절율보다 크다. 따라서, 광이 도광판 (14) 에 진입하는 경우, 광은 도광판과 공기 사이의 계면에서 입사각보다 큰 굴절각으로 굴절된다. 따라서, 광출사면 (18) 이 도 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면 프리즘 (20) 없이 평편하게 형성된 것으로 가정하면, 광출사면 (18) 을 향하여 제 1 안내면 (19a) 들 중의 하나에서 반사된 광선 (ray; L) 은 광출사면 (18) 에서 굴절되어 광출사면 (18)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심하게 변위된 방향으로 진행한다. 즉, 도 4a 에 나타낸 평편한 광출사면 (10) 은 전방으로 광을 방사할 수 없다.
한편, 곡면 프리즘 (20) 이 도 4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편면 프리즘 (22) 으로 대체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광출사면 (18) 을 향하여 제 1 안내면 (19a) 들 중 어느 하나에 반사된 광선 (L) 은 경사면 (22a) 상에서 굴절되어, 경사면 (22a)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심하게 변위된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 결과, 광선 (L) 은 경사면 (22a) 에서 출사하여 전방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전방으로 경사면 (22a) 에서 출사한 광은 특정각도에서 경사면 (22a) 에 도달한 광이다. 이 특정각도 이외의 각도에서 경사면 (22a) 에 도달한 광은 전방으로 경사면 (22a) 에서 출사하지 않는다.
도 5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점광원 (15) 에 의해 생성된 광은 각 (α) 의 확산범위에서 도광판 (14) 에 진입한다. 따라서,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이 제 1 안내면 (19a) 들 중의 어느 하나에 반사된 경우 각각의 점광원 (15) 에 의해 생성된 광이 진행하는 방향은 점광원 (15) 으로부터의 광을 도입하는 각각의 제 1 안내면 (19a) 의 일부분에 대한 점광원 (15) 의 위치에 의존하여 변경된다. 따라서, 특정각에서 각각의 제 1 안내면 (19a) 에 도달하는 광만이 평편면 프리즘 (22) 에 의해 도광판 (14) 의 전방으로 방사된다. 예를 들면, 평편면 프리즘 (22) 의 꼭지각이 90°인 경우, 제 1 안내면 (19a) 과, 가상평면 (P1) 과 평행한 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각 (θ1; 도 3 을 참조) 은 45°이며, 각 (α) 이 34°인 도광판 (14) 의 섹션 또는 각각의 점광원 (15) 의 전방으로부터 대략 17°정도로 확산되는 각각의 범위에서는, 불량방사광선 (23; 도 5a 를 참조) 이 존재한다. 도 5b 의 파선으로 된 원 (A) 에 의해 표시되는 섹션은 도 5a 의 파선으로 표시된 원 (A) 에 의해 표시되는 섹션에 대응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곡면 프리즘 (20) 을 가진 도 1a 에 나타낸 도광판 (14) 에는, 인접하는 프리즘 (20) 의 쌍 각각의 피크 라인들 간의 광출사면 (18) 의 일부분이 도광판 (14) 의 뒷면을 향하여 돌출한 곡면 (20a) 이다. 또한, 가상면 (P1) 과, 저부 (21a) 상의 한 점에서 저부 (21a) 의 접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각은, 그 점이 도광판 (14) 의 뒷면에 근접할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평편면 프리즘 (22) 을 가진 도광판 (14) 의 전방으로 진행하도록 굴절되지 않는 광은, 도 6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면 프리즘 (20) 상에서 굴절되어 도광판 (14) 의 전방으로 진행한다.
도 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프리즘 (20) 들의 쌍 각각의 피크 라인들 간의 광출사면 (18) 의 일부분이 도광판 (14) 의 뒷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곡면 (20a) 이기 때문에, 제 1 안내면 (19a) 들 중의 어떠한 것에도 반사되지 않고 가상면 (P1) 에 대하여 작은 각도에서 도광판 (14) 을 통하여 진행하는 광은 가상평면 (P1) 에 대하여 작은 각도 만큼 기울어진 접평면을 가진 곡면 (20a) 들 중의 일부분에는 도달하지만, 가상평면 (P1) 에 대하여 큰 각도로 기울어진 접평면을 가진 곡면 (20a) 의 일부분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상평면 (P1) 에 대하여 작은 각도로 도광판 (14) 을 향하여 진행하는 광은 어떠한 곡면 (20a) 도 통과하지 못하고 곡면 (20a) 들 중의 어느 하나 상에서 도광판 (14) 의 뒷면을 향하여 전반사된다. 뒷면을 향하여 전반사된 광은 제 2 안내면 (19b) 들 중의 하나 상에서 반사되어, 그 결과, 곡면 (20a) 의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작지 않게 되어, 광이 곡면 (20a) 을 통과하여 도광판 (14) 의 전방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a 에 나타낸 도광판 (14) 은 도광판 (14) 의 전방 이외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량을 감소시키고 도광판 (14) 에서 출사하여 도광판 (14) 의 전방으로 진행하는 광량을 증가시킨다.
몬테 카를로 (Monte Carlo) 방법에 의한 광선 추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도 4b 의 평편면 프리즘 (22) 에 대한 도 1b 의 곡면 프리즘 (20) 의 우수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자세히 나타낸다. 시뮬레이션 분석에 이용된 도광판 (14) 의 디멘젼은 아래 표 1 에 나타낸다.
파라미터 |
예 |
비교예 |
프리즘 |
다항식 1 에 의해표현되는 단면 프로파일을가진 곡면 프리즘 |
90°의 꼭지각을 가진평편면 프리즘 |
프리즘의 피치 |
0.25 mm |
0.25 mm |
제 1 안내면 (19a) 과가상평면 (P1) 에 의해규정되는 각도 |
45° |
45° |
제 2 안내면 (19b) 과가상평면 (P1) 에 의해규정되는 각도 |
1° |
1° |
[다항식 1]
Z = C*X2/{1+(1-(1+κ)*C2*X2)0.5}+C4*X4
다항식 1 에서, Z 는 가상평면 (P1)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좌표를 나타내며, X 는 입사면 (14a) 과 평행하고 Z 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좌표를 나타내며, 계수 C 는 50이며, 계수 κ는 -2이며, 계수 C4 는 23이다.
가상평면 P1과, 각각의 곡면 프리즘 (20) 의 곡면 (20a) 의 접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각의 최대값은 대략 49°이며, 이 각의 최소값은 0°이다. 도 8a 는 도 1b 에 나타낸 곡면 프리즘 (20) 의 단면 커브를 나타내며, 도 8b 는 도 4b 에 나타낸 평편면 프리즘 (22) 의 단면 커브를 나타낸다.
점광원 (15) 의 지향성의 영향은 점광원 (15) 에 대응하는 면에서의 에지로부터 10mm 만큼 이격되어 있는 표시면 (24) 의 섹션에 대응하는 도광판 (14) 의 섹션에서 특히 현저하다. 이 도광판 (14) 섹션에서의 수개의 스폿에서 휘도비를 측정하였다. 이 휘도비는 인접한 암영역의 휘도에 대한 명영역의 휘도의 비이다. 측정한 휘도비의 평균값이 예와 비교예로 비교된다. 그 비교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
예 |
비교예 |
휘도비의비교된평균값 |
0.64 |
1.00 |
표 2 에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는 광출사면 (18) 상에서 곡면 프리즘 (20) 을 가진 도광판 (14) 이 이용되는 경우, 광출사면 (18) 상에서 평편면 프리즘 (22) 을 가진 도광판 (14) 에 비하여 불량 방사광선 (23) 의 입사가 억제됨을 보여준다.
이 실시형태는 다음 이점을 제공한다.
(1) 도 1a 에 나타낸 도광판 (14) 에서, 입사면 (14a) 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톱니형상 그루브 (19) 가 도광판 (14) 의 뒷면에 제공된다. 각각의 톱니형상 그루브 (19) 는 제 1 안내면 (19a) 과 제 2 안내면 (19b) 에 의해 규정된다. 톱니형상 그루브 (19) 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 프리즘 (20) 은 도광판 (14) 의 광출사면 (18) 상에 제공된다. 인접하는 프리즘 (20) 들의 쌍 각각의 피크 라인들 간의 광출사면 (18) 의 섹션은 도광판 (14) 의 뒷면을 향하여 돌출한 곡면 (20a) 이다. 가상면 (P1) 과, 곡면 (20a) 의 한 점에서 각각의 곡면 (20a) 의 접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각은 이 점이 도광판 (14) 의 뒷면에 근접할수록 감소된다. 따라서, 도광판 (14) 은 도광판 (14) 의 전방으로 광을 효과적으로 방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광판 (14) 을 포함하는 면광원장치 (13) 는 필요한 휘도를 얻기 위하여 광을 집광하는 프리즘 시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도 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광원 (15) 이 이용되는 경우에도, 도광판 (14) 에 불량방사광선이 거의 생성되지 않는다. 즉, 반사광선이 현저하지 않기 때문에, 도 1a 의 도광판은 종래의 도광판 (14) 보다도 우수한 품질을 가진다. 도 1a 의 도광판 (14) 은 휘도가 개선되기 때문에 종래의 도광판 (14) 보다 더 우수한 효율성을 가진다.
(2) 도 1a 에 나타낸 도광판 (14) 에서, 인접하는 프리즘 (20) 들의 쌍 각각의 피크 라인들 간의 광출사면 (18) 의 섹션은 도광판 (14) 의 뒷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곡면 (20a) 이다. 인접하는 프리즘 (20) 들의 쌍 각각의 피크 라인들 간의 광출사면 (18) 의 일부분이 평편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인접하는 프리즘 (20) 들의 쌍 각각의 피크 라인들 간의 광출사면 (18) 의 일부분이 도광판 (14) 의 뒷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곡면 (20a) 으로 형성되는 도광판 (14) 은 제 1 안내면 (19a) 에 의해 광출사면 (18) 을 향하여 반사되는 많은 양의 광을 도광판 (14) 의 전방으로 방사한다.
(3) 도 1a 에 나타낸 도광판 (14) 을 포함하는 면광원장치 (13) 가 프리즘 시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요소의 개수가 감소된다. 이는 어셈블리 공정의 수와 제조비용을 감소시킨다.
(4) 도 2 에 나타낸 면광원장치 (13) 는 확산시트 (17) 를 가진다. 따라서, 불량 방사광선 (23) 이 도광판 (14) 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경우에도, 확산시트 (17) 가 육안으로 가시할 수 없는 레벨까지 불량방사광선 (23) 을 억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9a 와 도 9b 를 통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판 (14) 은 도광판 (14) 의 에지 (입사면 (14a)) 상에도입부 (25; admitting portion) 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판 (14) 과 다르다. 도입부 (25) 의 수는 점광원 (15) 의 수와 동일하다. 제 1 실시형태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성분은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부 (25) 는 면광원 (15) 으로부터 도광판 (14) 으로 광을 안내하도록 점광원 (15) 과 대향하는 도광판 (14) 의 에지 상에 제공된다. 각각의 도입부 (25) 는 인접하는 도입부 (25) 와 연속하여 형성된다. 도 9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도입부 (25) 의 폭은 대응하는 점광원 (15) 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될수록 증가된다. 입사부 (26) 는 대응하는 점광원 (15) 과 대향하는 각각의 도입부 (25) 의 대향단부이다. 입사부 (26) 의 폭 (K; 도 9b 에서 보았을 때 측면에서 측정) 은 대응하는 점광원 (15) 의 폭보다 크다. 각각의 입사부 (26) 는 입사평면 (26a) 과 V 자형 그루브 (26b) 를 포함한다. 입사평면들 (26a) 은 도입부 (25) 의 폭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입사평면들 (26a) 은 도입부 (25) 와 도광판 (14) 사이의 계면에서 도입부 (25) 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평면 (28) 과 평행하다. 각각의 V 자형 그루브 (26b) 는 인접하는 입사평면들 (26a) 의 쌍 간에 위치된다. 각각의 V 자형 그루브 (26b) 를 규정하는 면들은 대응하는 점광원 (15) 으로부터의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부들로서 기능한다. V 자형 그루브 (26b) 와 대응 입사평면 (26a) 을 규정하는 각각의 면들에 의해 규정되는 각 (θ) 은 120°이상 155°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도입부 (25) 의 측면들은 반사평면들이다. 즉,이 측면들은 V 자형 그루브 (26b) 를 규정하는 면들에 의해 확산되는 광을 도광판 (14) 을 향하여 반사시킨다. 각각의 반사평면 (27) 과 가상평면 (28) 에 의해 규정되는 각 (β; 도 9b 참조) 은 35°이상 65°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 와 도 9b 에 나타낸 도광판 (14) 에서, 점광원 (15) 에 의해 방사된 대부분의 광은 입사부 (26) 에 도달한다. 입사부 (26) 에 도달한 광의 일부는 대응 입사평면 (26a) 을 통하여 도입부 (25) 에 진입한다. 입사평면 (26a) 을 통하여 도입부 (25) 에 진입하는 대부분의 광은 입사평면 (26a) 과 직교하는 각도에서 진입한다. 따라서, 광은 입사평면 (26a) 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 즉, 가상평면 (28) 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입부 (25) 와 도광판 (14) 으로 진행한다. 반면, 입사부 (26) 에 도달하는 광의 나머지부분은 V 자형 그루브 (26b) 의 대응표면을 통하여 도입부 (25) 에 진입한다. V 자형 그루브 (26b) 를 규정하는 표면들을 통하여 도입부 (25) 에 광이 진입하는 경우, 이 광은 V 자형 그루브 (26b) 를 규정하는 표면에서 굴절된다. V 자형 그루브 (26b) 를 규정하는 표면들 상에서 굴절되는 광의 대부분은 반사평면 (27) 상에서 반사된다. 이는 인접하는 점광원 (15) 들의 쌍 각각 사이의 영역에 대응하는 도광판 (14) 의 일부분에서 가상평면 (28) 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광을 진입할 수 있게 한다.
몬테 카를로 방법에 의한 광선 추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도입부 (25) 의 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자세하게 나타낸다. 시뮬레이션 분석에 이용되는 도광판 (14) 의 디멘젼들은 아래 표 3 에 나타낸다. 도입부 (25) 의 디멘젼들은 아래 표 4 에 나타낸다.
프리즘 (20) 의단면 프로파일을나타내는 다항식 |
Z = 100X2/(1+(1+1700X2)0.5}+23X4 |
프리즘 (20) 의 피치 |
0.25mm |
제 1 안내면 (19a) 과가상평면 (P1) 에 의해규정되는 각 |
43 |
제 2 안내면 (19b) 과가상평면 (P1) 에 의해규정되는 각 |
0.7 |
파라미터 |
값 |
반사평면 (27) 과 가상평면 (28) 에 의해 규정되는 각 (β) |
55° |
V자형 그루브 (26b) 와 입사평면 (26a) 에 의해 규정되는표면에 의해 규정되는 각 (θ) |
132.5° |
V자형 그루브 (26b) 의 피치 (P) |
0.2mm |
도입부 (25) 최대폭 (W) |
14.25mm |
입사부 (26) 의 폭 (K) |
6.4mm |
입사평면 (26a) 과 가상평면 (28) 간의 거리 (h) |
5.6mm |
입사부 (26) 에서의 입사평면 (26a) 의 비 |
70% |
입사평면 (14a) 상에서 도입부 (25) 를 가진 도광판 (14) 과, 도입부 (25) 를 갖지 않은 도광판 모두에 대한 휘도비를 측정하였다. 더욱 자세하게는, 양쪽 도광판 (14) 에서, 입사평면 (14a; 가상평면 (28)) 으로부터 6.2mm 만큼 이격된 복수의 스폿에서 휘도비를 측정하였다. 도광판 (14) 에서 측정한 휘도비의 평균값들을 비교하였다. 그 비교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
도입부가 있는경우 |
도입부가 없는경우 |
휘도비의비교된평균값 |
0.79 |
1.00 |
표 5 에 나타낸 결과들은 입사평면 (15a) 상에서 도입부 (25) 를 가진 도광판 (14) 을 이용하는 경우, 도입부 (25) 가 없는 도광판 (14) 에 비하여 휘도가 매우 균일함을 보여준다.
제 1 실시형태의 이점 (1) 내지 (4) 에 더하여, 제 2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5) 도 9a 에 나타낸 도광판 (14) 에서, 점광원 (15) 으로부터의 광은 도입부 (25) 에 의해 확산된다. 이는 전체 도광판 (14) 으로 광을 확산시킨다. 따라서, 인접한 점광원 (15) 들 간의 영역에 대응하는 도광판 (14) 의 영역에는, 휘도가 상당히 낮은 암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점광원 (15) 앞쪽 영역에 대응하는 도광판 (14) 의 영역에는, 휘도가 과도하게 높은 명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점광원 (15) 의 주변에 있는 도광판 (14) 의 영역에 존재하기 쉬운 휘도의 불균일성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에 벗어남이 없이 다른 많은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프리즘 (20) 은 도 1b 에 나타낸 프리즘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프리즘 (20) 이 도 1b 에 나타낸 프리즘과 다른 형상을 가진 경우에도, 가상평면 (P1) 과, 저부 (21a) 상의 한 점에서의 저부 (21a) 의 접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각도는, 그 점이 도광판 (14) 의 뒷면에 근접할수록 감소되어야 한다. 또한, 가상평면 (P1) 과, 저부 (21a) 이외의 곡면 (20a) 상의 한점에서의 접평면에 의해 규정되는 각은 그 점이 도광판 (14) 의 뒷면에 근접할수록 감소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대응하는 프리즘 (20) 의 말단부에 대응하는 각각의 곡면 (20a) 의 일부분은 도광판 (14) 의 뒷면을 향하여 돌출할 필요가 없지만, 도 10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대향되는 도광판 (14) 의 표면으로 돌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이 부분이 도 10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편할 수도 있다. 도 10b 에 나타낸 변형예에서, 대응 프리즘 (20) 의 말단부에 대응하는 각각의 곡면 (20a) 의 일부분은 가상평면 (P1) 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 의 변형예에 따르면, 도광판 (14) 의 전방으로 진행하는 광량은 도광판 (14) 이 곡면 프리즘 (20) 을 가진 도 1a 및 도 1b 의 광량보다 적지만, 도광판 (14) 이 곡면 프리즘 (20) 을 대신하여 평편면 프리즘 (22) 을 가진 도 4b 의 광량보다는 더 클 수 있다.
인접하는 프리즘 (20) 들의 쌍 각각이 불연속적이도록 프리즘 (20) 이 배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0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프리즘 (20) 이 소정의 거리 (S) 만큼 인접한 프리즘 (20) 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다. 각각의 프리즘 (20) 이 소정의 거리 (S) 만큼 인접하는 프리즘 (20) 과 이격되어 있는 도광판 (14) 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는 프리즘 (20) 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블레이드로 베이스를 소정간격으로 절단함으로써 얻는다. 이러한 몰드는 각각의 프리즘 (20) 이 인접 프리즘 (20) 과 연속해 있는 도광판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보다 더 쉽게 얻어진다.
인접하는 프리즘들 (20) 의 쌍 각각의 피크라인들 간의 광출사면 (18) 영역은 도광판 (14) 의 뒷면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전체적으로 굴곡되지 않고 평편부를포함할 수도 있다. 즉, 인접하는 프리즘들 (20) 의 쌍 각각의 피크라인들 간에 형성된 그루브 (21) 가 곡면 단독으로 규정되지 않고 곡면과 평편면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1a 내지 도 11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그루브 (21) 가 가상평면 (P1) 에 대하여 상이한 각만큼 각각 기울어진 평면 (20a) 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다. 이들 변형예의 도광판 (14) 은 도 1a 에 나타낸 도광판 (14) 과 동일한 이점을 가진다.
도 9b 에서, 각각의 도입부 (25) 는 교대로 배열된 입사평면 (26a) 과 V자형 그루브 (26b) 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각각의 V자형 그루브 (26b) 가 인접한 V자형 그루브 (26b) 와 함께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 12 에 나타낸 것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입부 (25) 는 생략될 수도 있고 입사부 (26) 가 입사평면 (14a) 상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점광원 (15) 으로부터의 광원은 평편 입사면 (14a) 을 가진 도 1a 에 나타낸 도광판 (14) 의 경우에 비하여 도광판 (14) 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크게 확산된다.
도 1a 내지 도 9a 에 나타낸 도광판 (14) 의 거시적인 두께가 균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광판 (14) 은 그 두께가 입사면 (14a) 으로부터 대향면 (14b) 을 향하여 점점 감소되도록 쐐기형태로 형상화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도광판 (14) 의 중간부분의 두께를 도광판 (14) 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더 크게 할 수도 있다.
도 2 에 나타낸 면광원장치 (13) 에서, 확산시트 (17) 가 생략될 수 있다.확산시트 (17) 는 면광원장치 (13) 의 전체 광출사면에서의 휘도불균일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면광원장치 (13) 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11) 의 필요한 정밀도에 의존하여, 확산시트 (17) 가 없는 몇몇 경우에 발생하는 휘도 불균일성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와 실시형태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이들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및 균등물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