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1259A - 화면 고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고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1259A
KR20050001259A KR1020030042841A KR20030042841A KR20050001259A KR 20050001259 A KR20050001259 A KR 20050001259A KR 1020030042841 A KR1020030042841 A KR 1020030042841A KR 20030042841 A KR20030042841 A KR 20030042841A KR 20050001259 A KR20050001259 A KR 20050001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key
input
menu
initi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7218B1 (ko
Inventor
황병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218B1/ko
Publication of KR20050001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1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2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뉴 기능을 수행시 단말기에 미리 정해 놓은 일정시간이 경과후 사용자 선택이 없으면 초기 화면으로 자동으로 돌아가게 되는데,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할 경우 상기 일정시간의 지연을 측정하는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의 구동을 해제하여 일정시간이 초과하여도 초기화면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기 위한 메뉴고정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다른 용건 발생시에 화면 고정 기능을 활성화 시켜 두면 일정시간이 경과해도 초과시 해당 메뉴가 초기화면으로 이동되지 않고 계속 유지되어 있어 번거로운 메뉴 선택 작업을 다시 하지 않아도 된다.

Description

화면 고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fixing display contents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메뉴 조작 중에 다른 용건 수행시 일정시간이 흐르면 자동적으로 초기화면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Personl-Communication Services) 폰, PDA(Pesonal DigitalAssistannts) 및 차세대 IMT-2000(Intern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기술을 지원하는 단말기 등을 칭한다.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의 메뉴 조작에 관한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S100) 메뉴키가 입력되면(S102) 초기화면을 메뉴화면으로 전환시킨다. 즉,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104). 이후 키 입력 여부를 체크 하여(S106) 키 입력이 있으면 키에 대응하는 해당 기능을 수행(S108)시키고, 메뉴화면을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키 입력이 없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시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 한 후(S100) 상기 과정들(S102 내지 S108)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 방법은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키 입력이 없으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시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해 버림으로 사용자가 똑같은 메뉴 조작을 반복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통해 단말기에 저장된 게임을 실행하고 즐기는 도중 손님이 찾아오면 손님을 맞이하는 동안 일정시간이 경과할 것이므로 단말기는 초기화면으로 되돌아 가버린다. 사용자는 다시 돌아와 게임을 계속 진행하고 싶으나 이미 초기화면으로 바뀐 단말기를 보면서 아쉬움이 남을 것이고, 만약에 그 게임이 풀기 어려웠던 게임으로 거의 다 풀어놓은 상태라면 그 아쉬움은 배로 더할 것이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동영상, 사진, 아바타 등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자료들을 저장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자료들을 트리 구조 폴더에 저장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단말기의 메뉴 형식이 트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트리의 레벨이 증가할수록 초기화면에서 해당 레벨의 멀티미디어 자료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많은 단계를 거쳐야 한다. 그런데 메뉴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지나도록 키 입력이 없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화면으로 자동적으로 되돌아 간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시 해당 자료까지 가기 위해 똑같은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메뉴 조작 중에 다른 용건을 수행시 일정시간이 흐르더라도 현재 화면을 유지하는(초기 화면으로 되돌아 가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화면 고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초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메뉴키가 입력되면 메뉴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를 구동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 수행후 키입력 유무를 체크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키입력이 화면 고정키이면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를 해제하여 화면을 고정하고, 상기 제 2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 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조작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고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고정 기능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고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200), 제어부(202), 저장부(204), 표시부(206), 무선 송수신부(208)로 구성된다.
입력부(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고정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화면 고정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한 키를 포함하며, 공지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로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202)는 키 종류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2)는 입력부(200)에서 메뉴키가 입력되면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킴과 동시에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를 구동한다. 이후 입력되는 키 값이 화면 고정키인지, 화면 고정키 해제인지, 일반 기능키인지 또는 종료키인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값이 화면 고정키이면 후술하는 저장부(204)에 해당 값(화면 고정)의 저장을 지시하고,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 구동 해제를 제어한다. 또한 판단된 값이 화면 고정키의 해제이면 저장부(204)에 해당 값의 삭제를 지시한 후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 구동을 제어한다.
저장부(20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고정 기능을 저장하거나 화면 고정 기능 해제 시에는 해당 기능의 삭제를 저장하는 수단이다.
표시부(206)는 제어부(202) 의해 전달된 각 기능에 대한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에게 화면 고정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의 특정위치에 표시한다. 상기 특정위치는 LCD의 좌측 상부에도 가능하고 그 위치는 어디에라도 정할 수 있다.
무선송수신부(108)는 공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선 송수신을 담당하는 수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면 고정 기능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S300) 도 2의 입력부(200)로부터 메뉴키가 입력되면(S302) 메뉴키에 대응하는 메뉴화면을 도 2의 표시부(206)에 디스플레이 시키고(S304) 메뉴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초기화면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킨다(S300). 상기 메뉴키는 단말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이나 메뉴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단들을(키패드내의 메뉴, 우편함, 멜로디, 전화번호 버튼 등)을 총칭한다. 상기 메뉴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의 지연 체크를 위한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를 초기화시킨 후 구동시킨다(S306). 상기 메뉴화면은 메뉴키가 입력되는 첫화면 및 서브메뉴 화면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수행 화면까지 포함한다. 그리고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가 구동된 후 키입력이 있는가를 판단한다(S308). 상기 키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초기 화면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키입력이 있는 경우 키 종류를 판단한다(S310). 상기 판단된 키종류가 화면 고정키이면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의 동작을 해제시키고(S312), S308단계로 이동시킨다. 상기 판단된 키종류가 화면 고정 해제키이면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를 구동시키고(S314), S308 단계로 이동시킨다. 상기 판단된 키종류가 일반기능키이면 일반기능키에 대응된 기능을 실행시키고(S316), S308 단계로 이동시킨다. 상기의 일반기능키는 통화버튼, 확인버튼, 취소버튼, 방향키, 볼륨버튼, 숫자버튼 등과 현재 화면이 속해 있는 메뉴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지정된 전용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현재 화면이 메뉴선택을 위한 화면이면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키를 의미하고, 게임 도중이라면 게임을 수행하도록 지정된 게임 전용키를 의미하고, 계산기 프로그램을 사용 중이라면 계산기를 수행하도록 지정된 키를 의미하며, 기타 다른 프로그램 수행도중 이라면 해당 프로그램 수행하도록 지정된 전용키들을 의미한다. 상기 판단된 키가 종료키이면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킨다(S300).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화면 고정 기능을 추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미리 정한 일정시간이 지나도 초기화면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현재 화면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이는 메뉴 검색시나 게임 및 각종 프로그램 사용 도중 다른 용건이 있어서 메뉴 조작 및 프로그램을 계속 이어서 할 수 없을 경우에 상기 기능을 활용하면 초기화면으로 되돌아가지 않으므로 전과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고정 방법에 있어서,
    초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메뉴키가 입력되면 메뉴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를 구동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 수행후 키입력 유무를 체크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키입력이 화면 고정키이면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를 해제하여 화면을 고정하고, 상기 제 2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 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에서 키입력이 화면고정 해제키이면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제 2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 4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에서 키입력이 일반기능키이면 해당 메뉴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 2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 5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고정 방법에 있어서,
    초기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메뉴키가 입력되면 메뉴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를 구동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 수행후 키입력 유무를 체크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키입력이 화면 고정키이면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를 해제하여 화면을 고정하고, 상기 제 2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 3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키입력이 화면고정 해제키이면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제 2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키입력이 일반기능키이면 각 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5과정과,
    상기 제 2과정에서 키입력이 종료키이면 초기화면으로 되돌아가는 제 6과정
    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화면 고정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표시부와,
    화면 고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를 구비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메뉴키가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에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킴과 동시에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를 구동시킨 후,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키의 종류를 판단하여 해당 값이 화면 고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이면 초기화면 복귀 타이머 구동을 해제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전달되는 화면 고정 기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화면 고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고정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화면 고정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30042841A 2003-06-27 2003-06-27 화면 고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87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841A KR100987218B1 (ko) 2003-06-27 2003-06-27 화면 고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841A KR100987218B1 (ko) 2003-06-27 2003-06-27 화면 고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1259A true KR20050001259A (ko) 2005-01-06
KR100987218B1 KR100987218B1 (ko) 2010-10-12

Family

ID=3721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841A KR100987218B1 (ko) 2003-06-27 2003-06-27 화면 고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2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94B1 (ko) * 2005-04-28 2008-01-16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US8766911B2 (en) 2007-05-16 2014-07-01 Volkswagen Ag Multifunction display and op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display and operating device having improved selection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2085A (ko) * 1999-03-30 2000-10-25 윤종용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특정기능 설정에 따른 화면 선택 표시방법
KR100663435B1 (ko) * 2000-12-26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초기화면 설정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494B1 (ko) * 2005-04-28 2008-01-16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US7633636B2 (en) 2005-04-28 2009-12-15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creen transition control method
USRE44280E1 (en) 2005-04-28 2013-06-11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creen transition control method
US8766911B2 (en) 2007-05-16 2014-07-01 Volkswagen Ag Multifunction display and op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display and operating device having improved selection operation
KR101453582B1 (ko) * 2007-05-16 2014-10-21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개선된 선택 동작을 갖는 다기능 디스플레이 및 동작 장치, 및 이러한 다기능 디스플레이 및 동작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7218B1 (ko) 201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1840B2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mobile devices responsive to user input through movement thereof
EP1592212B1 (en) Method for displaying a screen image on a mobile terminal
US885668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ckground task
US8391935B2 (en) Multifunction mobile device having a movable element, such as a display, and associated functions
US20050164688A1 (en) Mobile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lephone terminal, and mobile telephone terminal
KR20060044858A (ko) 전자 디바이스의 제1 디스플레이와 제2 디스플레이 간의시나리오 동기화
KR20110133274A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리스트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06087108A (ja) 移動通信端末機の表示装置及び方法
US20080030474A1 (en) Portable terminal
US7996044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pplication execution environment softwar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4332525B2 (ja) 移動体通信端末
KR20080010284A (ko) WebOS-기반 사용자 장치들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핸드오프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4240915B2 (ja) 通信端末
KR1005433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작업 중 선택적 수신 방법
KR100557130B1 (ko) 아바타 움직임 편집이 가능한 단말기 및 방법
US20070077970A1 (en)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ba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9589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and executing preferred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87218B1 (ko) 화면 고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8054138A (ja) 携帯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486516B1 (ko) 휴대폰의 대기화면 설정방법
JP2011155463A (ja) 携帯電子機器
JP2008098733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におけるアイコンの表示制御方法
JP4411352B2 (ja) 通信端末
KR100690829B1 (ko) 이동 단말기의 자립형 모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6794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이머를 이용한 자동 설정 변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