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8029Y1 -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8029Y1
KR200498029Y1 KR2020220002682U KR20220002682U KR200498029Y1 KR 200498029 Y1 KR200498029 Y1 KR 200498029Y1 KR 2020220002682 U KR2020220002682 U KR 2020220002682U KR 20220002682 U KR20220002682 U KR 20220002682U KR 200498029 Y1 KR200498029 Y1 KR 2004980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juicer
compression
housing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840U (ko
Inventor
강병호
정성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to KR2020220002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029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0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3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cone or ream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용 스크류는, 스크류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들 사이에 나사산들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그루브(엠보싱)를 형성할 수 있으며,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표면에 일정 구간에 부식 처리 또는 사포 처리에 의해 스크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SCREW FOR JUICER AND THE JUICER THEREOF}
본 고안은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즙기에 사용되는 스크류에 표면 처리를 함으로써, 마찰 소음을 저감시키는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에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개인이 직접 야채, 곡물, 및 과일 등의 착즙 대상으로부터 즙을 만들어 내어 이를 섭취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착즙기의 이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착즙기의 일반적인 작동 형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938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콩을 맷돌로 갈아서 그 즙을 짜내는 원리를 이용하여 투입된 재료를 지그시 눌러 짜내어 즙을 얻는 방식이다.
착즙기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하는 스크류와, 위 스크류에 의하여 분쇄된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는 망드럼, 및 위 스크류와 망드럼을 그 내측에 구비하는 착즙 드럼을 포함한다.
스크류는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착즙 드럼 내측에 투입된 착즙 대상을 압착 또는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착즙 드럼에 투입된 착즙 대상은 스크류의 측면에 형성된 스크류 나사산에 의하여 스크류와 망드럼 사이의 좁은 틈새로 압착되면서 그 하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 기술에 의하면, 스크류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므로, 착즙시 스크류와 망드럼 사이의 압착 구간에서 높은 압력으로 재료와 스크류가 마찰되는 경우, 주기적인 소음이 발생되고 이 주기적인 소음이 서로 중첩되어 연속적인 공진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스크류 표면 전체 또는 일부를 거칠게 형성함으로써, 착즙시 재료와 스크류 표면이 불규칙적으로 마찰되도록 함으로써 공진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용 스크류는, 스크류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들 사이에 나사산들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그루브(엠보싱)를 형성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용 스크류는, 스크류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들 사이에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용 스크류는, 스크류 표면에 일정 구간에 부식 처리 또는 사포 처리에 의해 스크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기용 스크류는 표면 전체 또는 일부를 거칠게 형성함으로써, 착즙시 재료와 스크류 표면이 불규칙적으로 마찰되도록 함으로써 공진 현상에 의한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가 구비된 착즙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를 적용하기 전 주파수 대역 별 소음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를 적용한 후 주파수 대역 별 소음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를 적용한 경우와 기존 스크류를 적용한 경우의 시간에 따른 소음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기존 스크류를 적용한 경우 대비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를 적용한 경우, 개선된 소음 측정 결과 효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면에 가까운 방향(도면의 하측)은 '하측', '하면', '하단'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고,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도면의 상측)은 '상측', '상면', '상단'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는 내용은 간략히 묘사되거나 생략되며, 아울러 그에 대한 설명도 간략히 기재되거나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가 구비된 착즙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착즙기는 일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 예시된 착즙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착즙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착즙기(1)는 분쇄부(2)와, 분쇄부(2)의 하부에 구비된 착즙부(3), 및 착즙부(3)의 하부에 구비된 구동부(4)를 포함한다.
분쇄부(2)는 착즙의 대상이 되는 원재료를 수용하고 분쇄하며, 잘게 분쇄된 원재료는 착즙부(3)로 투입되어 착즙되게 된다. 분쇄부(2)는 재료 용기(5)를 포함하며, 재료 용기(5)의 상부 개구에 마련된 두껑(6)을 통해 원재료가 투입된다. 두껑(6)에는 재료 투입구(22)가 마련될 수 있으며 재료 투입구(22)를 통해 원재료가 투입될 수도 있다.
재료 용기(5)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착즙부(3)에 구비되는 스크류축(55)에 연결된 분쇄 블레이드(blade)(8)가 구비되며, 스크류축(55)의 회전에 의해 분쇄 블레이드(8)가 함께 회전하여, 분쇄 블레이드(8)에 의해 원재료가 분쇄된다. 또한, 잘게 분쇄된 원재료는 재료 용기(5)의 바닥면에 형성된 분쇄물 투입구(24)를 통해 재료 용기(5) 하부의 착즙부(3)에 투입된다.
착즙부(3)는 하우징(10), 망드럼(20), 브러시(40), 스크류(1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그 상면이 개구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는 즙 배출구(미도시)와 찌꺼기 배출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망드럼(20)은 하우징(10)과 스크류(100) 사이에 배치된다. 망드럼(20)은 스크류(100)와 좁은 틈새를 형성하며, 스크류(100)가 회전함에 따라 그 좁은 틈새로 착즙 대상(분쇄물)을 압착하여 착즙하게 된다.
망드럼(20)에는 스크류(100)에 의해 생성된 즙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다수의 망공(망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망드럼(20)의 찌꺼기는 위 망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하부로 밀려 내려와 찌꺼기 배출구(13)를 통하여 배출되고, 망공을 통과한 즙은 즙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착즙기(1)를 분쇄용도로만 사용하기 위하여 망드럼(20)의 측면에는 망공이 없는 형태로 분쇄용 망드럼(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망드럼(20)과 스크류(100)에 의하여 압착 및 분쇄된 착즙 대상은 즙과 찌꺼기로 분리되지 않고 모두 즙 배출구 또는 찌꺼기 배출구(13)로 배출된다. 분쇄용 망드럼(20)은 얼린 과일이나 초콜릿, 빙과, 얼음, 음료 등의 재료를 함께 투입하여 아이스크림이나 스무디, 셔벗(sherbet)과 같은 취식물을 얻고자 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브러시(40)는 하우징(10)과 망드럼(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부(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브러시(40)는 망드럼(20) 또는 하우징(10)의 면을 쓸어 내려, 망드럼(20) 또는 하우징(10)에 흡착된 즙이 하부로 원활하게 이송된다.
또한, 사용자가 하우징(10) 내측을 세척하려 할 때, 하우징(10)에 세척액 또는 물을 투입하고, 브러시(40)를 가동할 수 있다. 이 때, 브러시(40)는 망드럼(20) 또는 하우징(10)에 들러 붙은 즙 또는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스크류(10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착즙부(3)의 스크류(100)는 구동부(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분쇄물을 압착 또는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스크류(100)의 중앙부에는 구동부(4)와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류 축(55)이 구비되어 있고, 스크류(100)의 외주면에는 망드럼(20)과 접촉하는 부분에 복수 개의 스크류 나사산(20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크류 나사산(200)에 의하여, 스크류(100)와 망드럼(20) 사이의 좁은 틈새로 분쇄물이 압착되어 그 하측으로 이송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류(100)는 크게 절입부(110) 및 압축부(120)로 구분될 수 있다.
절입부(110)는 분쇄물이 투입되는 분쇄물 투입구(24)와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투입되는 분쇄물을 보다 많이 수용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스크류 나사산(200)들 사이의 간격이 넓다. 위 절입부(110)로 인입된 분쇄물은 스크류 나사산(200)에 의하여 아래로 압송된다.
압축부(120)는 위 절입부(110)에서 압송된 분쇄물을 더욱 압착하여 즙을 내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압축부(120)에 형성된 스크류 나사산(200)의 간격은 더 조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압축부(120)에 형성된 스크류 나사산(200)은 하측에서 하방을 향해 꺽인 형태로 형성되어 압축부(12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찌꺼기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압축부(120)의 하면에는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찌꺼기 안내턱(195)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찌꺼기 안내턱(195)은 스크류(10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압축부(120)에서 망드럼(20)의 망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하부로 압송된 찌꺼기들을 그 하측으로 쓸어 내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압축부(120)의 하면에 형성된 찌꺼기 안내턱(195)은 압축부(120)의 하부와 망드럼(20) 사이에 걸린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착즙 효율을 더욱 높이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류(100)에 형성된 스크류 나사산(200)은 제1 나사산(210), 제2 나사산(220), 제3 나사산(230), 제4 나사산(240), 제5 나사산(250), 제6 나사산(260), 제7 나사산(270), 그리고 제8 나사산(280)을 포함한다. 위 나사산의 개수는 8개로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8 나사산(280)은 스크류(100)의 최상부에 위치하며, 제1 나사산(210)의 최상부와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8 나사산(280)은 제1 나사산(210)의 최상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분쇄물 투입구(24)를 통해 착즙부(3)로 투입된 분쇄물이 스크류(100)의 상부로부터 자연스럽게 하부로 흘러갈 수 있다.
한편, 압축부(120)의 나사산들 사이의 스크류(100) 표면에 오목한 원형 형태로 복수의 그루브(엠보싱)(310)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그루브(310)는 각각의 나사산들 사이에 나사산들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그루브(310)는 일정한 직경과 깊이를 가지며, 직경과 깊이는 스크류(100) 직경 및 복수의 스크류 나사산의 간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복수의 그루브(310)는 각각의 나사산들 사이에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나사산의 하측에서 하방을 향해 꺽인 형태로 형성된 부분에서는 나사산들 사이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복수의 그루브(310)는 나사산들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루브(310)의 형성에 의해, 착즙시 스크류(100)와 망드럼(20) 사이의 압착 구간에서 높은 압력으로 재료와 스크류(100)가 마찰될 때 불규칙적으로 마찰되도록 함으로써, 주기적인 소음의 중첩에 의한 공진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크류의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부(120)의 나사산들 사이의 스크류(130) 표면에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그루브(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그루브(320)는 도 3에서 살펴본 일 실시예에 따른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복수의 그루브(310)의 직경 및 깊이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그루브(320)의 직경과 깊이는 스크류(130) 직경 및 복수의 스크류 나사산(200)의 간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그루브(320)의 직경과 깊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크류(140)의 압축부(120)의 일정 구간(330)에 부식 처리 또는 사포 처리에 의해 스크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할 수 있다. 기존의 스크류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짐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스크류 표면과 망드럼 사이에서 착즙 재료가 규칙적으로 마찰되어 강한 소음이 발생되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40)의 압축부의 일정 구간(330)을 거친 표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스크류(140) 회전시 매끄러운 표면의 지속적인 마찰을 피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부식 처리 또는 사포 처리에 의한 구간(330)은 스크류(140) 표면 둘레를 따라 여러 구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를 적용하기 전 주파수 대역 별 소음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를 적용한 후 주파수 대역 별 소음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깍뚝 썬 사과를 착즙기에 투입한 후 착즙기(1)를 동작하여 착즙 동작 중 소음이 발생될 때의 최대 소음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기존의 스크류를 적용한 착즙기를 이용하여 사과 착즙시 약 500Hz 및 약 800Hz 주파수 대역에서 약 70.8dB로 최대 소음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100)를 적용한 착즙기(1)를 이용하여 사과 착즙시 약 500Hz 및 약 800Hz 주파수 대역에서 약 57.4dB로 최대 소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고안의 스크류(100)를 적용한 착즙기(1)를 이용한 경우 최대 소음이 급격히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를 적용한 경우와 기존 스크류를 적용한 경우의 시간에 따른 소음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기존 스크류를 적용한 경우 대비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를 적용한 경우, 개선된 소음 측정 결과 효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과와 당근을 착즙기에 함께 투입한 후 착즙기(1)를 동작하여 시간에 따른 소음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60Hz 주파수 대역에서 소음은 약 50dB 내지 약 70dB 사이에서 측정되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스크류를 적용한 경우의 착즙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비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100)를 적용한 경우 소음 레벨이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스크류를 적용한 경우, 소음의 최대값은 약 71.8dB, 최소값은 약 57.0dB, 평균값은 약 65.6dB로 측정되었고,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크류(100)를 적용한 경우, 소음의 최대값은 약 69.0dB, 최소값은 약 50.2dB, 평균값은 약 59.9dB로 측정되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류(100)를 적용한 경우, 기존의 스크류를 적용한 경우에 비해, 소음의 최대값은 약 2.8dB, 최소값은 약 6.8dB, 평균값은 약 5.7dB 만큼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즙기용 스크류는 표면 전체 또는 일부를 거칠게 형성함으로써, 착즙시 재료와 스크류 표면이 불규칙적으로 마찰되도록 함으로써 공진 현상에 의한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착즙기 2: 분쇄부
3: 착즙부 4: 구동부
10: 하우징 13: 찌꺼기 배출구
20: 망드럼 22: 재료투입구
24: 분쇄물투입구 40: 브러시
55: 스크류 축 100, 130, 140: 스크류
110: 절입부 120: 압축부
200: 스크류 나사산

Claims (10)

  1. 복수의 스크류 나사산들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 착즙기용 스크류에 있어서,
    투입된 착즙 재료를 수용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류 나사산들로 1차적으로 상기 착즙 재료를 압착하는 절입부, 및 상기 절입부에서 이송되어 온 상기 착즙 재료를 더욱 압착하여 분쇄하는 압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부에는 그 표면이 거칠게 형성된 거친 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스크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 영역은 부식 처리 또는 사포 처리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스크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친 영역은 상기 스크류의 표면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스크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절입부의 하부에 상기 압축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스크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에 구비된 복수의 스크류 나사산들의 간격은 상기 절입부에 구비된 복수의 스크류 나사산들의 간격보다 더 조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스크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류 나사산들의 상면은 상기 스크류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스크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에 구비된 복수의 스크류 나사산들은 상기 압축부의 하측에서 하방을 향해 꺾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스크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의 하면에는, 상기 압축부의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찌꺼기 안내턱이 상기 압축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스크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크류;
    상면은 개구되고 하단부 일측에는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구동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스크류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와 간극을 형성하여 착즙된 즙을 통과시키는 망드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망드럼과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착즙 재료를 압착 및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망드럼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하며 상기 망드럼 또는 하우징의 측면을 쓸어내는 브러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2020220002682U 2020-07-10 2022-11-15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200498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682U KR200498029Y1 (ko) 2020-07-10 2022-11-15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482U KR200496948Y1 (ko) 2020-07-10 2020-07-10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2020220002682U KR200498029Y1 (ko) 2020-07-10 2022-11-15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482U Division KR200496948Y1 (ko) 2020-07-10 2020-07-10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40U KR20220002840U (ko) 2022-12-02
KR200498029Y1 true KR200498029Y1 (ko) 2024-05-24

Family

ID=795534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482U KR200496948Y1 (ko) 2020-07-10 2020-07-10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2020220002682U KR200498029Y1 (ko) 2020-07-10 2022-11-15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482U KR200496948Y1 (ko) 2020-07-10 2020-07-10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84835A1 (ko)
KR (2) KR200496948Y1 (ko)
CN (1) CN220554455U (ko)
WO (1) WO202201027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0722A (zh) * 2014-01-07 2014-04-30 乐美益 一种榨汁机用的螺杆
CN208030893U (zh) * 2017-05-25 2018-11-02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出汁快速的立式螺杆榨汁机用螺杆及立式螺杆榨汁机
KR200491517Y1 (ko) * 2017-01-05 2020-04-20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866B1 (ko) * 1994-10-05 1997-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16532A (ko) * 2010-08-16 2012-02-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JP6568858B2 (ja) * 2013-09-05 2019-08-28 コーウェイ株式会社Coway Co., Ltd. 着脱可能な搾汁スクリュー組立体及びそれを含むジューサ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0722A (zh) * 2014-01-07 2014-04-30 乐美益 一种榨汁机用的螺杆
KR200491517Y1 (ko) * 2017-01-05 2020-04-20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CN208030893U (zh) * 2017-05-25 2018-11-02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出汁快速的立式螺杆榨汁机用螺杆及立式螺杆榨汁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0270A1 (ko) 2022-01-13
KR200496948Y1 (ko) 2023-06-15
US20230284835A1 (en) 2023-09-14
CN220554455U (zh) 2024-03-05
KR20220002840U (ko) 2022-12-02
KR20220000173U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607B1 (ko)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RU2626713C2 (ru) Соковыжималка
EP3005911B1 (en) Juicer provided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remnants
AU2010100883A4 (en) Improved Juicer with Feedtube
KR100966608B1 (ko) 주서 모듈
KR20110138108A (ko)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RU2656845C2 (ru) Соковыжималка с двойным приводом
JP2016519980A (ja) 網ドラム及びこれを含む搾汁ジューサー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40018058A (ko) 원액 착즙 주스기
WO2015070709A1 (en) Juice extraction devices with mesh filter of variable distances from helical screw
KR101480934B1 (ko) 전동식 푸드 그레이터
KR20170046096A (ko) 압박에 의해 식품 쥬스를 준비하는 전기 기기
KR20120048224A (ko)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200491517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98029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KR101226036B1 (ko) 주스 착즙기
JP3148257B2 (ja) 万能調理機
KR200497404Y1 (ko) 분리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착즙기
RU20437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ока с мякотью
KR101515487B1 (ko) 소형 블렌더
RU20574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косточковых плодов
CN112167947A (zh) 一种食品磨泥刀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