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918Y1 -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 - Google Patents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918Y1
KR200497918Y1 KR2020230002154U KR20230002154U KR200497918Y1 KR 200497918 Y1 KR200497918 Y1 KR 200497918Y1 KR 2020230002154 U KR2020230002154 U KR 2020230002154U KR 20230002154 U KR20230002154 U KR 20230002154U KR 200497918 Y1 KR200497918 Y1 KR 200497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portable boiler
windbreaker
boil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2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재형
Original Assignee
배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형 filed Critical 배재형
Priority to KR2020230002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8Draught 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보일러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버너 또는 고화력의 버너를 조절하여 사용하더라도 바람에 의하여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 중 버너 또는 휴대용 보일러가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휴대용 보일러를 효율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휴대용 보일러를 안치하여 가열하기 위한 버너를 결합할 수 있는 바람막이체와; 상기 바람막이체의 하부에 별도로 가공되어 결합(고정)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면 지면에 밀착되어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는 받침체로 구성하고;
상기 바람막이체에는 휴대용 보일러와 버너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바말막이체의 하단과 받침체의 상단에 라운드를 가지면서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하는 연접면과; 상기 연접면의 중앙에 버너(105)가 안치할 수 있게 형성하는 통공과; 상기 통공 외주면에 형성되어 버너의 측면에 형성되는 림이 걸림되어 버너가 안정되게 유지하는 안치턱과; 상기 통공 주변의 연접면과 받침체 벽면에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버너에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통기공 및 유입공과; 상기 받침체의 바닥면에서 벽면으로 요입되게 형성하여 버너로부터 인출되는 가스연결호스를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호스홈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WINDBREAKER FOR POTRTABLE BOILER}
본 고안은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낚시 등산, 캠핑 등을 하면서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잘 때 난방을 위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보일러가 난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바람 등과 같은 외압에 의하여 버너가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바람막이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보일러의 경우에는 야외에서 잠을 잘 때 버너의 화원을 이용하여 물을 끓여 매트로 온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근자에 들어서는 낚시, 캠핑, 등산 등과 야외 활동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용 보일러에는 전용의 바람막이는 사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며 대부분은 휴대용 버너에 적용하여 바람에 의하여 버너의 화염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그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제 1 본체 패널;
상기 제 1 본체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본체 패널에 대해 겹쳐지도록 접히거나 상기 제 1 본체 패널에 대해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펼치질 수 있는 제 2 본체 패널;
상기 제 1 본체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본체 패널에 대해 겹쳐지도록 접히거나 상기 제 1 본체 패널에 대해 소정 각도로 펼치질 수 있는 제 1 측면 패널;
상기 제 2 본체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본체 패널에 대해 겹쳐지도록 접히거나 상기 제 2 본체 패널에 대해 소정 각도로 펼치질 수 있는 제 2 측면 패널; 및
상기 제 1 본체 패널, 상기 제 2 본체 패널, 상기 제 1 측면 패널 및 상기 제 2 측면 패널에 함께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선반으로 기능하거나, 상기 제 1 본체 패널, 상기 제 2 본체 패널, 상기 제 1 측면 패널 및 상기 제 2 측면 패널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는 선반 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특허문헌 2는, 버너의 후부 및 측부를 막아 바람을 막는 바람막이에 있어서,
버너몸체(40)의 후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며, 양 단부에 힌지축(S)이 마련된 제1바람막이(10);
상기 버너몸체(40)의 양 측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며, 일단부가 상기 힌지축(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 됨으로써, 타단부가 상기 제1바람막이(10)의 중단을 향한 회전변위로 회전됨은 물론 상기 제1바람막이(10)의 외측을 향한 회전변위로 회전되는 제2바람막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단이 상기 힌지축(S)에 끼워지며, 일단이 상기 제1바람막이(10)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바람막이(20)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바람막이(10)의 중심을 향하는 회전변위로 상기 제2바람막이(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토션스프링(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실용신안출원 제 10 - 2021 - 0001513 호 특허등록 제 10 - 1359008 - 0000 호
없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버너로 접근되는 바람을 막아줌과 함께, 별도 물품을 놓거나 걸 수 있는 선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선반 착탈형 야외용 버너 접이식 바람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며,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바람막이의 양 측부를 버너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벌려지도록 함으로써, 면적이 넓은 용기를 버너몸체에 올려 사용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휴대용 보일러에는 일부 사용자들이 다수 개의 판상부재를 연결한 바람막이를 휴대용 보일러를 안치한 버너 주변에 설치하여 바람에 의하여 버너의 화원이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하고 있으나, 바람막이가 박판 부재로 되어 있어 쉽게 넘어지기 때문에 버너의 화원을 장시간 지속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특히, 휴대용 보일러의 특성상 화력이 좋은 버너를 사용할 경우에는 휴대용 보일러 내부에서만 물이 끓게 되고 매트로 온수가 순환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밤에 장시간 버너를 가동시켜도 매트는 따뜻한 기운을 느끼지 못하여 원활하고 효율적인 난방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근자에 들어서는 버너의 기술발전을 통하여 멀티화구를 이용하여 강력한 화원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이러한 버너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물을 빨리 끓여 취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강력한 화원을 가지는 버너를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즉, 버너의 화력을 강하게 할 경우에는 물이 휴대용 보일러 내부에서만 끓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너의 화력을 약하게 조절할 경우에는 미세한 바람의 영향 또는 이용자가 움직이면서 발생시키는 바람에 의해서도 쉽게 화원이 꺼지기 때문에 난방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선행기술과 같은 바람막이를 휴대용 보일러에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사방을 완전하게 커버하지 못하기 때문에 빈 여유 공간을 통하여 바람이 유입되어 버너의 화원을 꺼지게 하는 것은 물론, 휴대용 보일러를 가동시키는 과정에서 강우 또는 강설이 있을 경우 텐트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휴대용 보일러를 가동시키는 버너가 수분에 의하여 쉽게 화원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휴대용 보일러를 버너를 이용하여 가동시킬 때 장시간 사용으로 휴대용 보일러와 버너 및 바람막이가 고열에 노출되어 뜨거운 상태에 있으므로 이를 취급하거나 주변을 이동하는 등의 과정에서 화상을 입게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없는 등 여러 문제점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휴대용 보일러(101)를 안치하여 가열하기 위한 버너(105)를 결합할 수 있는 바람막이체(110)와;
상기 바람막이체(110)의 하부에 별도로 가공되어 결합(고정)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면 지면에 밀착되어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는 받침체(111)로 구성하고;
상기 바람막이체(110)에는 휴대용 보일러(101)와 버너(10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2)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112)의 직경(D)은 휴대용 보일러(101)와 버너(105)를 수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보일러(101)와 버너(105)의 외경보다 크게 하고, 상기 수용공간(112)의 높이(H)는 버너(105)가 완전히 수용되고 휴대용 보일러(101)의 하부가 소용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바말막이체(110)의 하단과 받침체(111)의 상단에 라운드(114)를 가지면서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하는 연접면(115)과;
상기 연접면(115)의 중앙에 버너(105)가 안치할 수 있게 형성하는 통공(116)과;
상기 통공(116) 외주면에 형성되어 버너(105)의 측면에 형성되는 림(R)이 걸림되어 버너(105)가 안정되게 유지하는 안치턱(117)과;
상기 통공(116) 주변의 연접면(115)과 받침체(111) 벽면에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버너(105)에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통기공(118) 및 유입공(119)과;
상기 받침체(111)의 바닥면에서 벽면으로 요입되게 형성하여 버너(105)로부터 인출되는 가스연결호스(HS)를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호스홈(120)을 포함하여;
휴대용 보일러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버너 또는 고화력의 버너를 조절하여 사용하더라도 바람에 의하여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 중 버너 또는 휴대용 보일러가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휴대용 보일러를 효율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휴대용 보일러를 가동시키는 버너를 장착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장시간 화원에 노출된 휴대용 보일러와 버너에 의하여 이용자가 화상을 입게 되거나 화재발생과 같은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버너를 수용하여 약한 화원으로 휴대용 보일러를 가동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바람과 같은 외압이 있더라도 화원이 꺼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 화원 유지에 필요간 외부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 휴대용 보일러의 가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바람막이와 휴대용 보일러에 의하여 버너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강우 및 강설이 있더러도 버너의 화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외부 요인에 의하여 버너의 화원이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를 도시한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를 도시한 파절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를 도시한 다른 예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의 또 다른 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의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를 도시한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를 도시한 파절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를 도시한 다른 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의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100)는, 금속, 비철금속 및 내열 플라스틱과 같은 내열 또는 방열성 재료를 이용하여 휴대용 보일러(101)를 안치하여 가열하기 위한 버너(105)를 결합할 수 있는 바람막이체(110)와, 상기 바람막이체(110)의 하부에 별도로 가공되어 결합(고정)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하여 지면에 밀착되어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는 받침체(111)로 구성한다.
상기 바람막이체(110)는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원통형상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도 4에서와 같이 사각형상, 삼각형상, 다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질 수 있을 것이며, 휴대용 보일러 또는 버너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양한 사이즈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바람막이체(110)에는 휴대용 보일러(101)와 버너(10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2)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수용공간(112)의 직경(D)은 휴대용 보일러(101)와 버너(105)를 수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보일러(101)와 버너(105)의 외경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용공간(112)의 높이(H) 또한 버너(105)가 완전히 수용되고 휴대용 보일러(101)의 하부가 소용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막이체(110)의 상부에는 수용공간(112)의 상부방향, 내부방향 또는 외부방향으로 각도를 가변하여 수용공간(112)의 상부를 차단할 수 있는 착탈되는 형태의 가변막이체(113)를 더 가지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받침체(111)는 바람막이체(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면서 바람막이체(110) 보다는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예시하고 있으나, 더 높은 크기를 가지도록 하거나 또는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가변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바람막이체(110)의 하단과 받침체(111)의 상단에는 라운드(114)를 가지면서 직경이 축소되는 연접면(115)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용접고정 또는 사출성형으로 일체화)하고, 상기 연접면(115)의 중앙에는 버너(105)가 안치할 수 있도록 통공(116)을 형성하여 그 외주면은 자연스럽게 안치턱(117)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통공(116)에는 버너(106)의 하단부가 수용되고, 안치턱(117)에는 버너(105)의 측면에 형성되는 림(R)이 걸림되어 버너(105)가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공(116) 주변의 연접면(115)에는 다수 개의 통기공(118)을 형성하여 받침체(111)의 벽면에 형성되는 유입공(119)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공기가 버너(105)에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여 안정적인 화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체(111)의 벽면 어느 한 곳 또는 한 곳 이상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요입되게 호스홈(120)을 형성하여 버너(105)로부터 인출되는 가스연결호스(HS)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체(111)의 벽면에 유입공(119)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호스홈(120)과 같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으며, 통공(116)과 통기공(118) 및 유입공(119)의 형상과 모양 및 크기와 수 또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고안의 도면과 설명에 예시한 것으로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1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버너(105)를 결합하여 보관하여도 되고, 버너(105)를 분리하여 별도 보관하는 등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람막이체(110)의 수용공간(112)을 통하여 버너(105)를 삽입시켜 연접면(115)에 형성된 통공(116)에 버너(105)의 하부를 수용시키고 버너(105)의 림(R)이 안치턱(117)에 걸림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체(111)의 하방으로 가스연결호스(HS)을 통과하도록 한 후 받침체(111)의 벽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호스홈(120)으로 가스연결호스(HS)를 인출하여 받침체(111)가 지면과 연접되더라도 가스연결호스(HS)에 의하여 기울어지는 현상이 없도록 한다.
그런 다음 바람막이체(110)의 수용공간(112)에 휴대용 보일러(101)를 삽입시켜 버너(105) 위에 안치시키고, 가스연결호스(HS)에 가스를 연결한 후 점화시키면 버너(105)가 화원을 점화하여 휴대용 보일러(101)를 가동시키게 되므로 가열된 난방수가 매트를 순환하여 따뜻하게 난방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버너(105)의 화원을 약한 것을 사용하거나 또는 화력이 강한 버너의 화원을 약하게 조절하더라도 바람이나 이용자가가 움직이는 동작으로 옷 등에 의하여 바람을 일의키더라도 버너의 화원이 꺼지는 현상이 없게 된다.
특히 버너(105)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외부공기를 받침체(111)에 형성된 유입공(119)을 통하여 유입되어 연접면(115)에 형성된 통기공(116)을 통하여 버너로 공급되기 때문에 안정되게 버너(105)가 장시간 작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버너(105)가 작동하여 휴대용 보일러(101)를 가동시키는 과정에서 강우 또는 강설이 있더라도 바람막이(100)에 의하여 측방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며, 휴대용 보일러(101)의 상부를 통하여 유입되어 흘러 내리게 되더라도 휴대용 보일러(101)의 하단부가 버너(105)의 직경 보다 크기 때문에 화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통공(116)을 통하여 지면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람막이체(110)의 외부에는 손잡이를 돌출시켜 구비함으로서 가열된 바람막이(110)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혹여 있을 수 있는 화상의 우려를 방지하여도 되고,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의 또 다른 예의 구성도와 같이 별도의 안전수단을 강구하여도 된다.
도 5에서는, 바람막이체(110)의 외부에 바람막이체(110)와 소정의 간격(3mm - 20mm)을 유지시켜 가열방지체(130)를 더 결합하여 공기층(131)을 가지도록 함으로서 휴대용 보일러(101) 버너(105)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이용자가 취급할 때 고온에 의하여 화상과 같은 신체적인 손상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가열방지체(130)는, 바람막이체(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여 받침체(111)와 결합되도록 하여도 되고, 원통체로 구성하여 바람막이체(110) 외부에 봉체 또는 판상체로 구성되는 서포터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휴대용 보일러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버너 또는 고화력의 버너를 조절하여 사용하더라도 바람에 의하여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 중 버너 또는 휴대용 보일러가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휴대용 보일러를 효율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는 고안이다.
100;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
101; 휴대용 보일러
105; 버너
110; 바람막이체
111; 받침체
112; 수용공간
115; 연접면
116; 통공
117; 안치턱
118; 통기공
119; 유입공
120; 호스홈

Claims (2)

  1. 휴대용 보일러(101)를 안치하여 가열하기 위한 버너(105)를 결합할 수 있는 바람막이체(110)와;
    상기 바람막이체(110)의 하부에 별도로 가공되어 결합(고정)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면 지면에 밀착되어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는 받침체(111)로 구성하고;
    상기 바람막이체(110)에는 휴대용 보일러(101)와 버너(10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2)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112)의 직경(D)은 휴대용 보일러(101)와 버너(105)를 수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보일러(101)와 버너(105)의 외경보다 크게 하고, 상기 수용공간(112)의 높이(H)는 버너(105)가 완전히 수용되고 휴대용 보일러(101)의 하부가 소용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바람막이체(110)의 하단과 받침체(111)의 상단에 라운드(114)를 가지면서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하는 연접면(115)과;
    상기 연접면(115)의 중앙에 버너(105)가 안치할 수 있게 형성하는 통공(116)과;
    상기 통공(116) 외주면에 형성되어 버너(105)의 측면에 형성되는 림(R)이 걸림되어 버너(105)가 안정되게 유지하는 안치턱(117)과;
    상기 통공(116) 주변의 연접면(115)과 받침체(111) 벽면에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버너(105)에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통기공(118) 및 유입공(119)과;
    상기 받침체(111)의 바닥면에서 벽면으로 요입되게 형성하여 버너(105)로부터 인출되는 가스연결호스(HS)를 위치시킬 수 있게 하는 호스홈(120)을 포함하고;
    상기 바람막이체(110)의 외부에는 휴대용 보일러(101) 및 버너(105)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취급 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람막이체(110)와 소정의 간을 유지시켜 공기층(131)을 가지도록 한 가열방지체(1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
  2. 삭제
KR2020230002154U 2023-10-23 2023-10-23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 KR200497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2154U KR200497918Y1 (ko) 2023-10-23 2023-10-23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2154U KR200497918Y1 (ko) 2023-10-23 2023-10-23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918Y1 true KR200497918Y1 (ko) 2024-04-04

Family

ID=9065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2154U KR200497918Y1 (ko) 2023-10-23 2023-10-23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918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254Y1 (ko) * 1980-11-29 1982-06-14 조성구 등산용 버너의 바람막이
KR880004013U (ko) * 1986-08-22 1988-05-06 정동열 가방끈용 어깨받침구
KR890008458U (ko) * 1987-10-23 1989-05-27 서경득 우유병의 젖꼭지
KR20080082890A (ko) * 2007-11-20 2008-09-12 이식호 가스레인지용 받침대
KR101359008B1 (ko) 2013-11-15 2014-02-25 나비아 주식회사 버너용 바람막이
KR20210001513A (ko) 2019-06-28 2021-01-0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교 아크릴 페인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254Y1 (ko) * 1980-11-29 1982-06-14 조성구 등산용 버너의 바람막이
KR880004013U (ko) * 1986-08-22 1988-05-06 정동열 가방끈용 어깨받침구
KR890008458U (ko) * 1987-10-23 1989-05-27 서경득 우유병의 젖꼭지
KR20080082890A (ko) * 2007-11-20 2008-09-12 이식호 가스레인지용 받침대
KR101359008B1 (ko) 2013-11-15 2014-02-25 나비아 주식회사 버너용 바람막이
KR20210001513A (ko) 2019-06-28 2021-01-0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교 아크릴 페인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362119U (zh) 燃气灶
EP3031368B1 (en) Portable gas oven with uniform temperature
US10598384B2 (en) Collapsible cooking stove
KR200399921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바람막이
KR101582538B1 (ko) 양방향조리기구
CN109312928B (zh) 便携式炉子
KR102180578B1 (ko) 난로기능을 겸한 다기능 휴대용 가스버너
US20120180784A1 (en) Gas-Fired Portable Unvented Infrared Heater
KR101786918B1 (ko) 휴대용 가스스토브
US7600998B1 (en) Portable heater with roll cage
KR200497918Y1 (ko)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
US11181278B2 (en) Gas collapsible cooking stove
KR101479401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
KR101628715B1 (ko) 점화 효율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화로대
KR20190073886A (ko) 휴대용 가스스토브
EP3726142B1 (en) Wood stove
JP5119410B2 (ja) 電気パネル暖房機
AU2008100276B4 (en) A Gas Heater
KR200412151Y1 (ko) 휴대용 버너의 절첩구조
KR101981572B1 (ko) 휴대용 로스터
KR102528094B1 (ko) 캠핑 난로용 연소기
US20010017132A1 (en) Burner case
WO1993014352A1 (fr) Petit four pour griller des aliments sur les bruleurs des cuisinieres a gaz
KR102369040B1 (ko) 버너 바람막이
KR101599759B1 (ko) 휴대용 부탄연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