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040B1 - 버너 바람막이 - Google Patents

버너 바람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040B1
KR102369040B1 KR1020200045675A KR20200045675A KR102369040B1 KR 102369040 B1 KR102369040 B1 KR 102369040B1 KR 1020200045675 A KR1020200045675 A KR 1020200045675A KR 20200045675 A KR20200045675 A KR 20200045675A KR 102369040 B1 KR102369040 B1 KR 10236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plate
plates
standing
e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052A (ko
Inventor
이영창
Original Assignee
이영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창 filed Critical 이영창
Priority to KR102020004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04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8Draught sh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버너를 감쌀 수 있는 버너 바람막이가 개시된다. 버너 바람막이는 버너를 둘러싸고 불꽃 높이보다 높게 연장하며, 서로 절접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세움판을 가진 세움판어셈블리와, 상기 버너를 올려 놓는 바닥판과, 상기 세움판어셈블리를 상기 바닥판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움판어셈블리는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를 가진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세움판어셈블리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절곡편과, 상기 복수의 절곡편을 수용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절곡편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너 바람막이{BURNER WINDBREAK}
본 발명은 버너 바람막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져 활동, 예를 들면 캠핑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야외 취사 기구로서 버너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야외에서 버너는 바람의 영향에 따라 충분화력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판재를 이어서 만든 바람막이로 주위를 감싼 상태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바람막이로 버너를 둘러싼 상태에서 용기를 올려 놓으면, 버너의 불꽃 상태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화력을 조절하거나 버너의 온오프 조작을 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야외에서 바닥이 고르지 못한 경우, 버너 위에 올려진 용기가 기울어져 넘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꽃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너의 조작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버너 바람막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람막이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버너를 편평한 상태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버너 바람막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버너를 감쌀 수 있는 버너 바람막이가 제공된다. 버너 바람막이는 상기 버너를 둘러싸고 불꽃 높이보다 높게 연장하며, 서로 절접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세움판을 가진 세움판어셈블리와, 상기 버너를 올려 놓는 바닥판과, 상기 세움판어셈블리를 상기 바닥판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움판어셈블리는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를 가진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세움판어셈블리의 하단부에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절곡편과, 상기 복수의 절곡편을 수용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절곡편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세움판어셈블리는 상기 개방부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 세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는 상하로 연장하는 불꽃확인구 및 버너를 조작하는 버너조작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절곡편 수용부는 상기 세움판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영역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세움판 중 첫번째 또는 마지막 세움판이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절곡편은 상기 복수의 세움판을 중첩시켜 접었을 때 서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오프셋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너 바람막이는 버너를 둘러싸면서 버너 위에 놓인 조리용기를 커버하도록 충분히 높게 설치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높게 설치되더라도 버너의 불꽃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버너의 화력 및 온오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버너 바람막이는 경사진 바닥에도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너 바람막이가 버너와 조리용기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버너 바람막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버너 바람막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체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세움판어셈블리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공기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버너 바람막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세움판어셈블리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버너 바람막이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너 바람막이(10)가 버너(1)와 조리용기(2)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버너 바람막이(1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버너 바람막이(10)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체결부(12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세움판어셈블리(110)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공기조절부(16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버너 바람막이(10)는 버너를 둘러싸는 세움판어셈블리(110)와, 버너를 올려 놓는 바닥판(120)과, 세움판어셈블리(110)을 바닥판(12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130), 밀림방지부(140), 높이조절부(150), 및 공기조절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움판어셈블리(110)는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 및 커버세움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은 4각형 박스 형상으로 내측 영역을 형성하여 버너(1) 및 조리용기(2)를 감쌀 수 있다. 여기서, 세움판어셈블리(110)는 5개 이상으로 이루어져 오각형 또는 6각형으로 버너(1)를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 및 커버세움판(115)은 각각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버너(1)를 충분히 둘러싸고, 버너(1)의 불꽃보다 높은, 바람직하게는 버너(1) 위에 놓여진 조리용기(2)를 둘러쌀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 및 커버세움판(115)은 가로 방향을 따라 힌지체결부(116)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 및 커버세움판(115)은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접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 중 하나, 예를 들면 제4세움판(114)은 개방부(1142)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1142)는 외부에서 버너(1)의 불꼿 상황을 볼 수 있는 불꽃확인구(1143) 및 버너(1)를 조작, 예를 들면 버너(1)의 온 또는 오프, 화력 조절 등을 위한 버너조작구(114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세움판(115)은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이 바닥판(120)에 4각 박스 형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제4세움판(114)에 중첩되어 개방부(1142)를 페쇄할 수 있다. 커버세움판(115)은 제4세움판(114)과 연결되는 좌측 모서리 하부에 개구부(1152)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152)는 커버세움판(115)이 개방부(1142)를 개폐동작을 위해 회전할 때 후술하는 바닥판(120)에 위치한 스토퍼핀(1142)으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닥판(120)은 버너(1)가 놓인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이 체결부(13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바닥판(120)은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영역의 외곽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체결부(130)의 절곡편 수용부(134), 밀림방지부(140)의 스토퍼공(144), 높이조절부(150)의 나사공(154) 및 공기조절부(160)의 핀공(1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닥판(120)은 휴대의 편리성을 위해 3 이상의 바닥부재를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체결부(130)는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 및 커버세움판(115)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괴어 연장하는다수의 절곡편(132) 및 바닥판(120)에 마련된 절곡편 수용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절곡편(132)은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를 박스 형상으로 조립할 때 내측을 향해 연장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다수의 절곡편(132)에 대응하는 다수의 절곡편 수용부(134)는 바닥판(120)을 펀칭 또는 프레스에 의해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다수의 절곡편 수용부(134)는 다수의 절곡편(132)가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 내측 영역에서 외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다수의 절곡편 수용부(134)의 폭은 다수의 절곡편(132)이 경사진 상태에서도 삽입될 수 있도록 절곡편(13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절곡편 수용부(134)의 높이는 절곡편(132)의 두께와 거의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체결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의 모든 절곡편(132)은 휴대를 위해 접혀질 때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오프셋될 수 있다.
모든 절곡편(132)이 내측 영역을 향해 체결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는 순서대로 또는 역순으로 하나씩 바닥판(120)에 체결되는 것이 좋다. 제1 내지 제4세움판(111~114)의 모든 절곡편(132)이 바닥판(120)의 절곡편 수용부(134)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제1세움판(111) 및 제4세움판(114)이 후방으로 밀려 빠질 수 있다.
밀림방지부(140)는 제1세움판(111) 및 제4세움판(114)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림방지부(140)는 확자오딘 머리를 가진 스토퍼핀(142) 및 바닥판(120)에 형성된 스토퍼공(14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핀(142)은 제1세움판(111) 및 제4세움판(114)이 바닥판(1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스토퍼공(144)에 끼워질 수 있다.
높이조절부(150)는 바닥판(120)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150)는 제1나사산이 마련된 볼트(152)와 바닥판(120)의 4 코너 부분에 마련되어 제2나사산이 마련된 나사공(154)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152)는 뾰족한 양단부(1522,1524) 및 제1나사산이 형성된 몸체(1526)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공(154)은 바닥판(120)이 두껍은 금속인 경우 자체적으로 제2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만일, 바닥판(120)이 얇고 연질인 경우 너트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볼트(152)는 바닥의 경사도에 따라 나사공(154)의 상측에서 끼워지거나 하측에서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사도가 큰 경우, 하측에서 끼우는 것이 편리하고, 경사도가 작은 경우 상측에서 끼워지는 것이 편리하다. 물론, 바닥이 평평한 경우 볼트(152)를 끼울 필요가 없다.
공기조절부(160)는 세움판어셈블리(110)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에 공기가 적절히 주입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세움판어셈블리(110)는 버너(1)에 높인 조리용기(2)를 덮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화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부에서 적절하게 공기가 유입될 필요가 있다.
공기조절부(160)는 고정핀(162)과 다수의 핀공(16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핀공(164)은 개방부(1142)가 마련된 제4세움판(114)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핀(162)은 커버세움판(115)이 제4세움판(114)에 밀착하도록 고정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커버세움판(115)이 제4세움판(114)으로부터 떨어지도록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절부(160)는 다수의 핀공(164)의 간격에 따라 개방부(1142)로 들어가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따른 버너 바람막이(2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세움판어셈블리(210)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버너 바람막이(20)의 평면도이다. 도 내지 도 6에 나타낸 제1실시에에 따른 버너 바람막이(10)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버너 바람막이(20)는 세움판어셈블리(210), 바닥판(220), 체결부(230), 밀림방지부(240-1~240-4), 높이조절부(250) 및 공기조절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움판어셈블리(210)는 힌지체결부(271)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내지 제4 내측세움판(211~214), 연결세움판(215) 및 제1 내지 제4 외측세움판(216~2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내측세움판(211~214)는 내측에 4각 박스 형상의 제1공간부(27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외측세움판(216~219)는 제1공간부(272)를 일정 간격을 두고 둘러싸는 4각 박스 형상의 제2공간부(273)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세움판(215)은 제1공간부(272)와 제2공간부(273)를 연결할 수 있다. 도 8에서, 제1 내지 제4 내측세움판(211~214)과 제1 내지 제4 외측세움판(216~219)을 동일한 크기로 나타내었으나, 실제로 제1 내지 제4 외측세움판(216~219)가 제1 내지 제4 내측세움판(211~214)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가로 방향의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제4내측세움판(214)은 개방부(2142)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2142)는 외부에서 버너(1)의 불꼿 상황을 볼 수 있는 불꽃확인구(2143) 및 버너(1)를 조작, 예를 들면 버너(1)의 온 또는 오프, 화력 조절 등을 위한 버너조작구(214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3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내측세움판(211~214)의 하단에 마련된 다수의 절곡편(232) 및 다수의 절곡편(232)에 대응하도록 바닥판(220)에 마련된 절곡편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30)는 실질적으로 제1공간부(27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2개의 밀림방지부(240-1, 240-2)는 제1내측세움판(211) 및 제4내측세움판(214)이 체결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개의 밀림방지부(240-3, 240-4)는 제1외측세움판(216) 및 제3내측세움판(218)이 내측으로부터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외측세움판(219)는 제1실시예의 커버세움판(115)와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공기조절부(260)는 제4외측세움판(219)이 열리는 각도를 조절하여 개방부(2142)로 들어가는 공기양을 조절하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제2실시예 따른 버너 바람막이(20)는 2중으로 조리공간을 둘러쌈으로써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공간부(273)가 직접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화상 등으로부터 보호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명세서에서, 본 발명 및 그 장점들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아래의 청구항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이 기술 분야에서 보통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에 따라, 명세서와 도면은 한정 보다는 본 발명의 예시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모든 이러한 가능한 수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1: 버너
2: 조리용기
10: 바람막이
110: 세움판어셈블리
111~114: 제1 내지 제4세움판
1142: 개방부
1143: 불꽃확인구
1144: 버너조작구
115: 커버 세움판
1152: 개구부
116: 힌지체결부
120: 바닥판
130: 체결부
132: 절곡편
134: 절곡편 수용부
140: 밀림방지부
142: 스토퍼핀
144: 스토퍼공
150: 높이조절부
152: 볼트
154: 나사공
160: 공기조절부
162: 고정핀
164: 핀공

Claims (5)

  1. 버너를 감쌀 수 있는 버너 바람막이에 있어서,
    서로 절접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세움판을 가진 세움판어셈블리와;
    상기 버너를 올려 놓는 바닥판과;
    상기 세움판어셈블리를 상기 바닥판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움판어셈블리는 상기 버너를 둘러싸는 복수의 내측세움판, 상기 복수의 내측세움판을 둘러싸는 복수의 내측세움판 및 상기 내측세움판과 외측세움판을 연결하는 연결세움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내측세움판 중 하나는 개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외측세움판 중 하나는 상기 개방부로 들어가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바람막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하로 연장하는 불꽃확인구 및 버너를 조작하는 버너조작구를 포함하는 버너 바람막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곡편 수용부는 상기 세움판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영역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세움판 중 첫번째 또는 마지막 세움판이 상기 내측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버너 바람막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곡편은 상기 복수의 세움판을 중첩시켜 접었을 때 서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오프셋되어 있는 버너 바람막이.
KR1020200045675A 2020-04-16 2020-04-16 버너 바람막이 KR10236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675A KR102369040B1 (ko) 2020-04-16 2020-04-16 버너 바람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675A KR102369040B1 (ko) 2020-04-16 2020-04-16 버너 바람막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052A KR20210128052A (ko) 2021-10-26
KR102369040B1 true KR102369040B1 (ko) 2022-03-02

Family

ID=7826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675A KR102369040B1 (ko) 2020-04-16 2020-04-16 버너 바람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0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591Y1 (ko) * 2005-04-29 2005-07-21 이영민 휴대용버너의 바람막이
JP2013167147A (ja) 2012-01-16 2013-08-29 Ricoh Co Ltd 耐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227U (ja) * 1992-08-27 1994-03-22 ダイワラクダ工業株式会社 組立式収納箱
US5495845A (en) * 1994-12-21 1996-03-05 Pyromid, Inc. Compact outdoor cooking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591Y1 (ko) * 2005-04-29 2005-07-21 이영민 휴대용버너의 바람막이
JP2013167147A (ja) 2012-01-16 2013-08-29 Ricoh Co Ltd 耐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052A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9921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바람막이
US7802565B2 (en) Barbecue grill
US20200305642A1 (en) Fluid optimization mechanisms for cooking devices
US4524751A (en) Portable cooking device
US5823099A (en) Grill
US7600998B1 (en) Portable heater with roll cage
KR102369040B1 (ko) 버너 바람막이
KR20150131871A (ko) 휴대용 화로대
KR100688015B1 (ko) 가스레인지용 그레이트 패킹구조
KR102165095B1 (ko) 가스 스토브
US9808116B1 (en) Camp stove
KR101699503B1 (ko) 가스렌지용 바람막이
EP0626055B1 (fr) Petit four pour griller des aliments sur les bruleurs des cuisinieres a gaz
KR200497918Y1 (ko)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
US20110283988A1 (en) Barbecue
US20010017132A1 (en) Burner case
KR200282858Y1 (ko) 스토브 버너
KR20100138456A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바람막이
JP3546391B2 (ja) 組立式バーベキューコンロ
KR101951756B1 (ko) 지지판을 이용한 커버판 이격 구조를 갖는 일회용 난로캔
KR200213284Y1 (ko) 가스렌지용 방풍구
KR200390591Y1 (ko) 휴대용버너의 바람막이
KR920003277Y1 (ko) 휴대용 가스버어너
JP2663340B2 (ja) 携帯用ガスコンロ
CN215077739U (zh) 多功能取暖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