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572B1 - 휴대용 로스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572B1
KR101981572B1 KR1020180145989A KR20180145989A KR101981572B1 KR 101981572 B1 KR101981572 B1 KR 101981572B1 KR 1020180145989 A KR1020180145989 A KR 1020180145989A KR 20180145989 A KR20180145989 A KR 20180145989A KR 101981572 B1 KR101981572 B1 KR 101981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upport
bolt fastening
support bar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석
Original Assignee
이홍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석 filed Critical 이홍석
Priority to KR1020180145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 F24B1/205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6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제1지지 막대부의 양 단부에 제1지지 막대부를 지지하는 제1다리부가 위치된 제1지지 다리부재, 상기 제1지지 막대부와 나란하게 위치되는 제2지지 막대부와 상기 제2지지 막대부의 양 단부에 제1다리부와 교차되어 상기 제1다리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 막대부를 지지하는 제2다리부가 위치되는 제2지지 다리부재, 일측이 상기 제1지지 막대부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제2지지 막대부에 고정되고 접힘부를 중심으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고, 내부에 발열체가 삽입될 수 있는 화로 공간을 형성하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여 간편하게 화로용 플레이트부재를 접어 사용하거나 사용 후 화로용 플레이트부재를 간편하게 펼쳐 보관할 수 있어 보관 시 적은 공간을 차지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 시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로스터{Portable roaster}
본 발명은 휴대용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한 휴대용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등산이나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등산이나 캠핑과 같이 야외에서 텐트를 이용하여 숙박하는 야외활동은 고기를 굽거나 취사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등산이나 캠핑 등의 텐트를 이용한 야외활동에서 고기를 굽거나 야외에서 취사하는 경우 휴대용 로스터를 이용하고 있다.
휴대가 가능하여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로스터는 대부분 사각 또는 원통형의 용기 형태로 된 동체 내부에 숯이나 착화탄을 담아 연소시킬 수 있는 숯 용기를 넣어 사용할 수 있게끔 구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다리를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동체 상부에 석쇠를 올려 안착시킬 수 있게끔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구성은 동체 자체가 원통 또는 사각인 입체적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는데다가 단지 다리만이 절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높이 외에는 부피축소가 거의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로스터는 큰 부피로 인하여 휴대, 운반, 보관이 불편하면서 번거로운 폐단이 따랐다.
종래 휴대용 로스터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431786호 '휴대용 화로구이기'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431786호 '휴대용 화로구이기'는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착화탄이 안착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광하협 형태의 화로와, 상기 화로의 저면에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화로 및 받침대가 접을 수 없는 구조를 가져 보관시 많은 부피를 차지하어 휴대 시 부피에 따른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특허문헌)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431786호 '휴대용 화로구이기'(2006년 11월 17일)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펼쳐 보관할 수 있어 보관 시 적은 공간을 차지하여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로스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접고, 간편하게 펼쳐 사용할 수 있어 사용 시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로스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 시 편의성을 더 향상시킨 휴대용 로스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지지 막대부의 양 단부에 제1지지 막대부를 지지하는 제1다리부가 위치된 제1지지 다리부재, 상기 제1지지 막대부와 나란하게 위치되는 제2지지 막대부와 상기 제2지지 막대부의 양 단부에 제1다리부와 교차되어 상기 제1다리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 막대부를 지지하는 제2다리부가 위치되는 제2지지 다리부재, 일측이 상기 제1지지 막대부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제2지지 막대부에 고정되고 접힘부를 중심으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고, 내부에 발열체가 삽입될 수 있는 화로 공간을 형성하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로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힘부는 두께가 감소된 홈형태로 상기 화로용 플레이트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라인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접힘부는 힌지축을 포함한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로용 플레이트부재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 막대부와 상기 제2지지 막대부를 연결해서 상기 제1지지 막대부와 상기 제2지지 막대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측면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로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 지지부재는 상기 화로용 플레이트부재의 양 단부 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화로 공간의 개방된 양 단부 측을 적어도 일부분 커버하는 측면 커버패널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 커버패널체는 일측에 상기 제1지지 막대부에 걸어지는 제1플레이트 고리부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지지 막대부에 걸어지는 제2플레이트 고리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 커버패널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화로용 플레이트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받침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화로용 플레이트부재의 화로 공간 내에서 상기 화로 공간의 바닥과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부에 발열체가 올려지는 발열체용 석쇠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로스터를 제공하며, 상기 측면 커버패널체에는 상기 발열체용 석쇠부재가 올려지는 보조 석쇠 받침부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 커버 패널체는 상기 보조 석쇠 받침부의 하부 측에 상기 화로 공간 내로 공기를 유입하는 측면 공기구멍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 커버 패널체는 일측에 상기 제1지지 막대부에 막대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제2지지 막대부에 걸리는 막대 고리부가 위치된 커버 지지부재, 상기 커버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화로용 플레이트부재의 양 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를 커버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버 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 지지부재는 자유롭게 휘어지고 상기 제1지지 막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제2지지 막대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줄부재 및 상기 연결 줄부재의 타단부 측에 위치되어 제2지지 막대부에 걸어지는 줄 고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 줄부재는 방염 코팅 처리한 줄 또는 금속재질의 체인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와 제2지지 다리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 조절 다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로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높이 조절 다리부재는 한쌍의 제1다리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제3다리부가 제1연결 프레임으로 연결된 제1높이 조절 다리부재 및 한쌍의 제2다리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다리부와 교차되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제4다리부가 제2연결 프레임으로 연결된 제2높이 조절 다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다리부의 하단부와 상기 제2다리부의 하단부에는 각각 제1볼트 체결공과 제2볼트 체결공이 위치되고, 상기 제3다리부의 상단부와 제4다리부의 상단부에는 제1볼트 체결공과 제2볼트 체결공과 일치되는 제3볼트 체결공과 제4볼트 체결공이 위치되며, 복수의 다리 결합볼트는 상기 제1볼트 체결공과 상기 제3볼트 체결공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됨으로써 제1다리부와 제3다리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볼트 체결공과 상기 제4볼트 체결공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됨으로써 제2다리부와 제4다리부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다리부의 단부와 상기 제2다리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볼트 체결공과 상기 제2볼트 체결공을 보호하는 캡부재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편하게 화로용 플레이트부재를 펼쳐 보관할 수 있어 보관 시 적은 공간을 차지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로용 플레이트부재를 간편하게 펼쳐 보관하고, 간편하게 접혀 사용할 수 있어 사용 시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 시 편의성을 더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에서 측면 지지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에서 측면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에서 높이 조절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 분해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의 일 실시예는 서로 다리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다리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X자 형태로 위치되어 지반에 세워질 수 있고, 다리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서로 포개지게 접혀질 수 있는 제1지지 다리부재(100)와 제2지지 다리부재(200)를 포함한다.
제1지지 다리부재(100)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일측이 고정되는 제1지지 막대부(110)를 포함하고, 제1지지 막대부(110)의 양 단부 측에는 제1지지 막대부(110)의 높이를 지지하는 제1다리부(120)가 각각 위치된다.
또한, 제2지지 다리부재(200)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타측이 고정되는 제2지지 막대부(210)를 포함하고, 제2지지 막대부(210)의 양 단부 측에는 제2지지 막대부(210)의 높이를 지지하는 제2다리부(220)가 각각 위치된다.
제1다리부(120)의 단부와 제2다리부(220)의 단부에는 각각 캡부재(4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캡부재(400)는 제1다리부(120)의 단부와 제2다리부(220)의 단부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어 제1다리부(120)의 단부와 제2다리부(220)의 단부에서 각각 분리 가능한 것을 일 예로 한다.
캡부재(400)는 지반 상에 접촉되는 면적을 증대시켜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가 지반에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합성 고무, 합성 수지 등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조되어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일부 흡수하는 역할도 함과 동시에 지반 즉, 땅에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의 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캡부재(400)는 지반 즉, 땅에 직접 접촉되어 더러워지거나 손상되더라도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에서 분리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는 서로 교차되어 교차된 지점에서 다리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는 다리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 1에서와 같이 세워질 수 있게 X자형태로 위치될 수 있고, 다리 힌지부를 중심으로 반대편으로 회전되어 도 4에서와 같이 대부분이 서로 겹쳐지게 위치되면서 거의 일자형으로 배치되도록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가 펼쳐지면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일측에 꺾여져 제1지지 막대부(110)와 겹쳐져 제1지지 막대부(110)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300a)가 위치되고, 타측에 꺾여져 제2지지 막대부(210)와 겹쳐져 제2지지 막대부(210)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300b)가 위치된다.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한 금속판인 것을 일예로 하고, 내부에 위치되는 숯 등의 발열체를 넣고 고기 등의 음식물을 익힐 수 있도록 불을 지필 수 있는 공지의 재질 즉, 공지의 화로대를 제조하는 재질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1고정부(300a)는 제1지지 막대부(110)에 복수의 볼트로 볼트 체결로 고정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제2고정부(300b)는 제2지지 막대부(210)에 복수의 볼트로 볼트 체결로 고정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접힘부(310)는 도 2에서 확대된 부분을 참고하면 하프커팅되어 두께가 감소된 홈형태로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가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도 2에서와 같이 복수의 접힘부(310)를 구비할 수도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중앙에 하나의 접힘부(31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접힘부(310)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중앙부 양 측에 위치되고 하프커팅되어 두께가 감소된 홈형태로 형성된 부분으로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라인 홈부(311)와 제2라인 홈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제1라인 홈부(311)와 제2라인 홈부(312)를 중심으로 접혀져 내부에 사다리꼴 형상의 화로 공간을 형성하여 숯 등의 발열체를 넣어 사용할 수 있다.
미 사용 시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제1라인 홈부(311)와 제2라인 홈부(312)를 중심으로 펼쳐져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접힘부(310)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중앙에 위치되며 하프커팅되어 두께가 감소된 홈형태로 형성된 부분으로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앙 라인 홈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중앙 라인 홈부(313)를 중심으로 접혀져 내부에 삼각형상의 화로 공간을 형성하여 숯 등의 발열체를 넣어 사용할 수 있다.
미사용 시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중앙 라인 홈부(313)를 중심으로 펼쳐져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의 일 실시예는 제1지지 막대부(110)와 제2지지 막대부(210)를 연결해서 제1지지 막대부(110)와 제2지지 막대부(21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측면 지지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지지부재(500)는 제1지지 막대부(110)와 제2지지 막대부(210)를 연결해서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가 X자 형태로 유지되어 안정적으로 세워져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측면 지지부재(500)는 제1지지 막대부(110)와 제2지지 막대부(210)를 연결해서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가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가 X자 형태로 세워져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측면 지지부재(500)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양 단부 측에 각각 위치되어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개방된 양 단부 측을 적어도 일부분 커버하는 측면 커버패널체(510)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측면 커버패널체(510)는 일측에 제1지지 막대부(110)에 걸어지는 제1플레이트 고리부(510a)가 위치되고 타측에 제2지지 막대부(210)에 걸어지는 제2플레이트 고리부(510b)가 위치되어 제1지지 다리부재(100)와 제2지지다리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 고리부(510a)와 제2플레이트 고리부(510b)는 각각 복수로 꺾여진 형태를 가져 제1지지 막대부(110)와 제2지지 막대부(210)를 감싸 안정적으로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측면 커버패널체(510)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가 접힘부(310)를 중심으로 접혀져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내부에 화로 공간이 형성될 때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양 단부 측에 각각 위치되어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는 화로 공간의 개방부를 적어도 일부분 커버한다.
측면 커버패널체(510)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가 접힘부(310)를 중심으로 접혀져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내부에 화로공간이 형성될 때 즉,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가 X자 형태로 위치되어 지반에 세워진 후 제1플레이트 고리부(510a)와 제2플레이트 고리부(510b)를 각각 제1지지 막대부(110)와 제2지지 막대부(210)에 걸어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양 측에 결합시켜 사용한다.
그리고,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가 접혀져 즉, 제1지지 다리부재(100)와 제2지지 다리부재(200)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될 때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와 분리되어 보관된다.
측면 커버패널체(510)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가 접혀지면서 형성된 화로 공간의 개방된 양 측을 각각 커버하여 숯 등의 발열체가 화로 공간의 개방된 양 측을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숯 등의 발열체가 화로 공간 내에서 안정적으로 발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로 한다.
측면 커버패널체(510)의 하단부에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하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받침부(510c)가 돌출된다.
플레이트 받침부(510c)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하부를 지지하여 화로 공간 내에 위치되는 숯 등의 발열체의 무게로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 내에서 숯 등의 발열체가 안정적으로 발화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의 일 실시예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상부 측에 위치되는 조리용 석쇠부재(600)를 더 포함한다.
조리용 석쇠부재(600)는 고기, 생선 등의 불로 구울 수 있는 식재료가 올려져 지는 공지의 석쇠로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조리용 석쇠부재(600)는 제1지지 막대부(110)와 제2지지 막대부(210) 상에 올려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내측면에는 조리용 석쇠부재(600)의 양 측을 지지하는 한쌍의 메인 석쇠 받침부(320)가 위치될 수 있다.
한쌍의 메인 석쇠 받침부(320)는 화로용 플레이트가 접혀져 내부에 화로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화로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고 돌출되게 위치되어 조리용 석쇠부재(600)의 양 측을 지지한다.
조리용 석쇠부재(600)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화로 공간 내로 삽입되어 메인 석쇠 받침부(320) 상에 올려져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화로 공간 내에서 화로 공간의 바닥과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부에 숯 등의 발열체가 올려지는 발열체용 석쇠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용 석쇠부재(700)는 숯 등의 발열체의 아래 측으로 공간을 형성하여 화로 공간 내에서 공기 순환을 확보하여 숯 등의 발열체가 원활하게 발화되고 발화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면 커버패널체(510)에는 발열체용 석쇠부재(700)가 올려지는 보조 석쇠 받침부(510d)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석쇠 받침부(510d)는 플레이트 받침부(510c)의 상부 측으로 이격되게 측면 커버 패널체의 안쪽면 즉, 화로 공간을 향한 측면 커버 패널체의 안쪽면에 돌출되게 위치된다.
측면 커버 패널체는 보조 석쇠 받침부(510d)의 하부 측에 화로 공간 내로 공기를 유입하는 측면 공기구멍(510e)이 위치된다.
측면 공기구멍(510e)은 발열체용 석쇠부재(700)의 하부 측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발열체용 석쇠부재(700) 상에 올려진 숯 등의 발열체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접힘부(310)는 힌지축을 포함한 힌지부를 포함하고,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분할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접힘부(310)는 도 5에서와 같이 복수의 힌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도 4의 (b)에서와 같이 중앙에 하나의 힌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을 참고하면 힌지부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중앙부 양 측에 위치되는 제1힌지부(314)와 제2힌지부(315)를 포함하고,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중앙 플레이트부(301), 중앙 플레이트부(301)의 일측에서 제1힌지부(314)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측면 플레이트부(302), 중앙 플레이트부(301)의 타측에서 제2힌지부(315)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측면 플레이트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제1힌지부(314)와 제2힌지부(315)를 중심으로 제1측면 플레이트부(302)와 제2측면 플레이트부(303)가 접혀져 내부에 사다리꼴 형상의 화로 공간을 형성하여 숯 등의 발열체를 넣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 사용 시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제1힌지부(314)와 제2힌지부(315)를 중심으로 제1측면 플레이트부(302)와 제2측면 플레이트부(303)가 펼쳐져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접힘부(310)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중앙에 위치되는 중앙 힌지부(316)를 포함할 수 있고,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중앙 힌지부(316)를 중심으로 연결된 제1플레이트부(304)와 제2플레이트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중앙 힌지부(316)를 중심으로 제1플레이트부(304)와 제2플레이트부(305)가 접혀져 내부에 삼각형상의 화로 공간을 형성하여 숯 등의 발열체를 넣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 사용 시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는 중앙 힌지부(316)를 중심으로 제1플레이트부(304)와 제2플레이트부(305)가 펼쳐져 보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에서 측면 지지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을 참고하면 측면 커버 패널체는 일측에 제1지지 막대부(110)에 막대 힌지부(511a)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제2지지 막대부(210)에 걸리는 막대 고리부(511b)가 위치된 커버 지지부재(511), 커버 지지부재(5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양 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512), 커버부재(512)를 커버 지지부재(5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버 힌지부재(51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힌지부재(513)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 측의 브라켓이 커버 지지부재(511)에 고정되고, 타 측의 브라켓이 커버부재(512)에 고정되는 경첩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커버 힌지부재(513)는 경첩 이외의 공지의 힌지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측면 커버패널체(510)는 커버 지지부재(511)의 일측에 구비되는 막대 힌지부(511a)로 제1지지 막대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커버 지지부재(511)의 타측에 구비되는 막대 고리부(511b)로 제2막대부에 걸어져 커버부재(512)가 화로 공간의 측면을 가리도록 위치될 수 있다.
막대 고리부(511b)는 각각 복수로 꺾여진 형태를 가져 제2지지 막대부(210)를 감싸 안정적으로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측면 커버패널체(510)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가 접힘부(310)를 중심으로 접혀져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내부에 화로공간이 형성될 때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양 단부 측에 각각 위치되어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되는 화로 공간의 개방부를 적어도 일부분 커버한다.
측면 커버패널체(510)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가 접힘부(310)를 중심으로 접혀져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내부에 화로공간이 형성될 때 즉,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가 X자 형태로 위치되어 지반에 세워진 후 막대 고리부(511b)를 제2지지 막대부(210)에 걸어 커버부재(512)를 화로 공간을 커버하도록 위치시킴과 아울러 제1지지 막대부(110)와 제2지지 막대부(210)의 간격을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유지시킨다.
그리고,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가 접혀져 즉, 제1지지 다리부재(100)와 제2지지 다리부재(200)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될 때 커버 패널은 타측의 막대 고리부(511b)가 제2지지 막대부(210)와 분리된 후 경첩 즉, 커버 힌지부재(513)를 중심으로 접혀져 화로 플레이트부재와 겹쳐진 상태로 보관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에서 측면 지지부재(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측면 지지부재(500)는 자유롭게 휘어지고 제1지지 막대부(110)에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제2지지 막대부(2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줄부재(520), 연결 줄부재(520)의 타단부 측에 위치되어 제2지지 막대부(210)에 걸어지는 줄 고리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줄 고리부재(530)는 제2지지 막대부(210)에 걸어질 수 있는 고리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연결 줄부재(520)는 방염 코팅 처리한 줄 또는 금속재질의 체인으로 화로 공간 내에서 숯 등의 발열체로 인한 불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재질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다.
연결 줄부재(520)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가 접힘부(310)를 중심으로 접혀져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의 내부에 화로공간이 형성될 때 즉,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가 X자 형태로 위치되어 지반에 세워진 후 줄 고리부재(530)가 제2지지 막대부(210)에 걸어 제1지지 막대부(110)와 제2지지 막대부(210)의 간격을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유지시킨다.
또한, 그리고,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가 접혀져 즉, 제1지지 다리부재(100)와 제2지지 다리부재(200)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될 때 연결 줄부재(520)는 타측의 줄 고리부재(530)가 제2지지 막대부(210)와 분리된 후 말아져 보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에서 높이 조절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 분해사시도이고,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는 제1지지 다리부재(100)와 제2지지 다리부재(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 조절 다리부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 다리부재(800)는 한쌍의 제1다리부(1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제3다리부(811)가 제1연결 프레임(812)으로 연결된 제1높이 조절 다리부재(810), 한쌍의 제2다리부(2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다리부(811)와 교차되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제4다리부(821)가 제2연결 프레임(822)으로 연결된 제2높이 조절 다리부재(820)를 포함한다.
높이 조절 다리부재(800)는 다리 결합볼트(830)로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다리부(120)의 하단부와 제2다리부(220)의 하단부에는 각각 제1볼트 체결공(121)과 제2볼트 체결공(221)이 위치되고, 제3다리부(811)의 상단부와 제4다리부(821)의 상단부에는 제1볼트 체결공(121)과 제2볼트 체결공(221)과 일치되는 제3볼트 체결공(811a)과 제4볼트 체결공(821a)이 위치된다.
다리 결합볼트(830)는 제1볼트 체결공(121)과 제3볼트 체결공(811a)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됨으로써 제1다리부(120)와 제3다리부(811)를 연결하고, 제2볼트 체결공(221)과 제4볼트 체결공(821a)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됨으로써 제2다리부(220)와 제4다리부(821)를 연결한다.
제1다리부(120)의 하단부와 제2다리부(220)의 하단부에는 각각 캡부재(4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볼트 체결공(121)과 제2볼트 체결공(221)을 보호한다.
캡부재(400)는 제1다리부(120)의 단부와 제2다리부(220)의 단부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어 제1볼트 체결공(121)과 제2볼트 체결공(221)을 커버하여 보호한다.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는 캡부재(400)를 분리한 후 제3다리부(811)와 제4다리부(821)와 볼트 체결로 결합되어 화로 플레이트부재의 사용 높이를 더 높게 위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다리부(120)와 제2다리부(220)에 제1높이 조절 다리부재(810)와 제2높이 조절 다리부재(82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로스터 사용 시 화로 공간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를 간편하게 펼쳐 보관할 수 있어 보관 시 적은 공간을 차지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화로용 플레이트부재(300)를 간편하게 펼쳐 보관하고, 간편하게 접어 사용할 수 있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 시 편의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제1지지 다리부재 110 : 제1지지 막대부
120 : 제1다리부 121 : 제1볼트 체결공
200 : 제2지지 다리부재 210 : 제2지지 막대부
220 : 제2다리부 221 : 제2볼트 체결공
300 : 화로용 플레이트부재 300a : 제1고정부
300b : 제2고정부 301 : 중앙 플레이트부
302 : 제1측면 플레이트부 303 : 제2측면 플레이트부
304 : 제1플레이트부 305 : 제2플레이트부
310 : 접힘부 311 : 제1라인 홈부
312 : 제2라인 홈부 313 : 중앙 라인 홈부
314 : 제1힌지부 315 : 제2힌지부
316 : 중앙 힌지부 320 : 메인 석쇠 받침부
400 : 캡부재 500 : 측면 지지부재
510 : 측면 커버패널체 510a : 제1플레이트 고리부
510b : 제2플레이트 고리부 510c : 플레이트 받침부
510d : 보조 석쇠 받침부 510e : 측면 공기구멍
511 : 커버 지지부재 511a : 막대 힌지부
511b : 막대 고리부 512 : 커버부재
513 : 커버 힌지부재 520 : 연결 줄부재
530 : 줄 고리부재 600 : 조리용 석쇠부재
700 : 발열체용 석쇠부재 800 : 높이 조절 다리부재
810 : 제1높이 조절 다리부재 811 : 제3다리부
811a : 제3볼트 체결공 812 : 제1연결 프레임
820 : 제2높이 조절 다리부재 821 : 제4다리부
821a : 제4볼트 체결공 822 : 제2연결 프레임
830 : 다리 결합볼트

Claims (16)

  1. 제1지지 막대부의 양 단부에 제1지지 막대부를 지지하는 제1다리부가 위치된 제1지지 다리부재;
    상기 제1지지 막대부와 나란하게 위치되는 제2지지 막대부와 상기 제2지지 막대부의 양 단부에 제1다리부와 교차되어 상기 제1다리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 막대부를 지지하는 제2다리부가 위치되는 제2지지 다리부재;
    일측이 상기 제1지지 막대부에 고정되고 타측에 상기 제2지지 막대부에 고정되고 접힘부를 중심으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고, 내부에 발열체가 삽입될 수 있는 화로 공간을 형성하는 화로용 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제1지지 막대부와 상기 제2지지 막대부를 연결해서 상기 제1지지 막대부와 상기 제2지지 막대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측면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지지부재는 상기 화로용 플레이트부재의 양 단부 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화로 공간의 개방된 양 단부 측을 적어도 일부분 커버하는 측면 커버패널체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커버 패널체는,
    일측에 상기 제1지지 막대부에 막대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제2지지 막대부에 걸리는 막대 고리부가 위치된 커버 지지부재;
    상기 커버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화로용 플레이트부재의 양 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를 커버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버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로스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두께가 감소된 홈형태로 상기 화로용 플레이트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라인 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로스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힌지축을 포함한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로용 플레이트부재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분할된 구조를 가지는 휴대용 로스터.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 커버패널체는 일측에 상기 제1지지 막대부에 걸어지는 제1플레이트 고리부가 위치되고 타측에 상기 제2지지 막대부에 걸어지는 제2플레이트 고리부가 위치되는 휴대용 로스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 커버패널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화로용 플레이트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받침부가 돌출되는 휴대용 로스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로용 플레이트부재의 화로 공간 내에서 상기 화로 공간의 바닥과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부에 발열체가 올려지는 발열체용 석쇠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 커버패널체에는 상기 발열체용 석쇠부재가 올려지는 보조 석쇠 받침부가 돌출되게 위치되는 휴대용 로스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면 커버 패널체는 상기 보조 석쇠 받침부의 하부 측에 상기 화로 공간 내로 공기를 유입하는 측면 공기구멍이 위치되는 휴대용 로스터.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재는 자유롭게 휘어지고 상기 제1지지 막대부에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제2지지 막대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줄부재; 및
    상기 연결 줄부재의 타단부 측에 위치되어 제2지지 막대부에 걸어지는 줄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로스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줄부재는 방염 코팅 처리한 줄 또는 금속재질의 체인인 휴대용 로스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다리부재와 제2지지 다리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 조절 다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로스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다리부재는 한쌍의 제1다리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제3다리부가 제1연결 프레임으로 연결된 제1높이 조절 다리부재; 및
    한쌍의 제2다리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다리부와 교차되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제4다리부가 제2연결 프레임으로 연결된 제2높이 조절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로스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의 하단부와 상기 제2다리부의 하단부에는 각각 제1볼트 체결공과 제2볼트 체결공이 위치되고, 상기 제3다리부의 상단부와 제4다리부의 상단부에는 제1볼트 체결공과 제2볼트 체결공과 일치되는 제3볼트 체결공과 제4볼트 체결공이 위치되며,
    복수의 다리 결합볼트는 상기 제1볼트 체결공과 상기 제3볼트 체결공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됨으로써 제1다리부와 제3다리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볼트 체결공과 상기 제4볼트 체결공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됨으로써 제2다리부와 제4다리부를 연결하는 휴대용 로스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의 단부와 상기 제2다리부의 단부에는 상기 제1볼트 체결공과 상기 제2볼트 체결공을 보호하는 캡부재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로스터.
KR1020180145989A 2018-11-23 2018-11-23 휴대용 로스터 KR101981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989A KR101981572B1 (ko) 2018-11-23 2018-11-23 휴대용 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989A KR101981572B1 (ko) 2018-11-23 2018-11-23 휴대용 로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572B1 true KR101981572B1 (ko) 2019-05-23

Family

ID=6668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989A KR101981572B1 (ko) 2018-11-23 2018-11-23 휴대용 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1268B1 (ja) 2021-10-08 2023-03-01 株式会社タナクロ 焚火台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75A (ko) * 1999-12-31 2000-04-06 심영섭 숯불 고기구이기
KR200431786Y1 (ko) 2006-08-24 2006-11-27 전정귀 휴대용 화로구이기
KR100879805B1 (ko) * 2007-09-06 2009-01-22 강영길 휴대용 바비큐 구이기
KR101017640B1 (ko) * 2008-08-28 2011-02-25 정도민 휴대용 바베큐 장치
KR200457675Y1 (ko) * 2009-07-24 2011-12-29 홍성훈 휴대용 숯불 구이기
KR20120084543A (ko) * 2011-01-20 2012-07-30 유형겸 휴대용 구이장치
KR20120124181A (ko) *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파세코 캠핑용 로스터
KR101304895B1 (ko) * 2013-05-28 2013-09-06 이희정 바베큐 구이장치
KR101357186B1 (ko) * 2013-05-28 2014-02-05 이희정 바베큐 구이기용 지지장치
KR101364433B1 (ko) * 2012-07-31 2014-02-17 이광모 바람막이가 구비된 휴대용 가스레인지 케이스
KR101466142B1 (ko) * 2013-12-06 2014-11-28 이희정 접철식 바베큐 구이 장치
KR101532771B1 (ko) * 2014-10-30 2015-06-30 김대명 휴대용 숯불 로스터
KR101718905B1 (ko) * 2014-11-07 2017-03-22 한성웅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75A (ko) * 1999-12-31 2000-04-06 심영섭 숯불 고기구이기
KR200431786Y1 (ko) 2006-08-24 2006-11-27 전정귀 휴대용 화로구이기
KR100879805B1 (ko) * 2007-09-06 2009-01-22 강영길 휴대용 바비큐 구이기
KR101017640B1 (ko) * 2008-08-28 2011-02-25 정도민 휴대용 바베큐 장치
KR200457675Y1 (ko) * 2009-07-24 2011-12-29 홍성훈 휴대용 숯불 구이기
KR20120084543A (ko) * 2011-01-20 2012-07-30 유형겸 휴대용 구이장치
KR20120124181A (ko) *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파세코 캠핑용 로스터
KR101364433B1 (ko) * 2012-07-31 2014-02-17 이광모 바람막이가 구비된 휴대용 가스레인지 케이스
KR101304895B1 (ko) * 2013-05-28 2013-09-06 이희정 바베큐 구이장치
KR101357186B1 (ko) * 2013-05-28 2014-02-05 이희정 바베큐 구이기용 지지장치
KR101466142B1 (ko) * 2013-12-06 2014-11-28 이희정 접철식 바베큐 구이 장치
KR101532771B1 (ko) * 2014-10-30 2015-06-30 김대명 휴대용 숯불 로스터
KR101718905B1 (ko) * 2014-11-07 2017-03-22 한성웅 구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1268B1 (ja) 2021-10-08 2023-03-01 株式会社タナクロ 焚火台
JP2023056841A (ja) * 2021-10-08 2023-04-20 株式会社タナクロ 焚火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5188B2 (en) Convertible grill and fireplace
US8915238B2 (en) Portable collapsible cooking grill
CN109312928B (zh) 便携式炉子
US10598384B2 (en) Collapsible cooking stove
KR101347535B1 (ko) 휴대용 화로
KR101304895B1 (ko) 바베큐 구이장치
KR101655959B1 (ko) 캠핑용 접이식 그릴 구조
KR101212659B1 (ko) 접철식 휴대용 로스터
KR101981572B1 (ko) 휴대용 로스터
KR101628715B1 (ko) 점화 효율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화로대
US11181278B2 (en) Gas collapsible cooking stove
KR101718905B1 (ko) 구이장치
CN213983669U (zh) 一种支持烧烤的户外折叠焚火台
KR20150006153A (ko) 슬라이드 다단 전개가 가능한 크기 조절형 바비큐 구이기
US3898980A (en) Outdoor cooking apparatus
KR101357186B1 (ko) 바베큐 구이기용 지지장치
KR200433298Y1 (ko) 야외용 로스터의 절첩다리
KR200468894Y1 (ko) 바베큐 구이기용 회전구이장치
CN214341895U (zh) 一种便携户外烤架和便携户外烤架的烤架配件
CN215837731U (zh) 一种折叠遮热桌
KR102569092B1 (ko) 구이 장치
KR200497918Y1 (ko) 휴대용 보일러 바람막이
KR200370294Y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200372585Y1 (ko) 야외용 로스터
KR20210000068U (ko) 휴대용 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