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916Y1 -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916Y1
KR200497916Y1 KR2020230001856U KR20230001856U KR200497916Y1 KR 200497916 Y1 KR200497916 Y1 KR 200497916Y1 KR 2020230001856 U KR2020230001856 U KR 2020230001856U KR 20230001856 U KR20230001856 U KR 20230001856U KR 200497916 Y1 KR200497916 Y1 KR 200497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irror
vehicle side
folding device
receiv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1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대용
Original Assignee
에스디아이테크 주식회사
오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디아이테크 주식회사, 오대용 filed Critical 에스디아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30001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받침부로 형성된 연결유닛; 및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모터에 삽입되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금속 재질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2개가 평행하게 형성되며, 터미널의 상단에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핀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Connector device for vehicle side mirror folding device}
본 고안은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폴딩 장치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이드 미러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사이드미러의 각도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근래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운전석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차안에서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식 사이드 미러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식 사이드 미러에는 사이드 미러의 미러구동을 위한 장치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전동식 폴딩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2808호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아웃사이드 미러의 전동 폴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커버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구동기어가 장착된 구동모터; 커버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클러치 기어가 장착된 샤프트; 상기 구동기어와 클러치 기어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감속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는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제1 감속기어와, 일측은 상기 제1 감속기어와 치합되고 타측은 클러치기어와 치합되는 제2 감속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감속기어는 상기 클러치 기어와 치합되는 웜기어와 제1 감속기어와 치합되는 평기어가 연결 형성된 감속기어부, 일단은 상기 감속기어부의 축선을 따라 형성된 관통홀의 양측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커버 내부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내벽
에 스틸 플레이트가 구비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지지봉, 및 상기 관통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및 제2 지지봉을 대응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된다.
이러한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는 모터 구동을 위해 전원이 공급되는데, 전원 공급시 PCB 기판에 코드 형태의 터미널을 결합하고 터미널이 모터에 삽입되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PCB 기판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 기능만을 수행하는데 불필요하게 부피가 크고 비용도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KR 10-2012-0052808 A KR 10-2005270 B1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비용을 절감하고 제작을 쉽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는 외부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받침부로 형성된 연결유닛; 및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모터에 삽입되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금속 재질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2개가 평행하게 형성되며, 터미널의 상단에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핀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외부 커넥터 결합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는 슬릿 모양의 제1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에는 슬릿 모양의 제2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터미널이 결합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의 커버에 접촉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는 PCB를 사용하지 않음로써, 종래에 비해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는 결로 등으로 인해 습기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기적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는 터미널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는 수용부의 상부에 오목홈이 있어 외부 커넥터를 끼우거나 뺄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의 분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이 적용된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는 사이드 미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기어 장치가 장착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구동모터(20),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커넥터 장치(1000), 및 상기 하우징, 구동모터, 커넥터 장치를 보호하는 커버(30)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1000)는 외부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11)이 형성된 수용부(110)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받침부(120)로 형성된 연결유닛(100); 및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모터에 삽입되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금속 재질의 터미널(200);을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200)은 110V용 플러그 형성과 유사하게 2개가 평행하게 형성되며, 터미널의 상단에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핀(210)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200)은 일측이 모터에 삽입되는 삽입부(201), 상기 삽입부의 타측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용홈까지 연장 형성되어 수용부와 연결된 연결부(202), 및 상기 연결부에서 수용홈의 상부 방향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핀(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201) 방향을 x축으로 보면 연결부(202)는 수직인 y축 방향으로 절곡되고, 핀(210)은 상부 방향인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위쪽을 의미한다.
상기 핀(210)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암커넥트(40)가 상기 연결유닛(100)의 수용홈(111)에 결합될 때, 암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핀은 두개의 터미널 각각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10)의 수용홈 내측면에는 외부 커넥터(40) 결합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12)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은 아래 부분에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 커넥터가 결합된 후, 외부 커넥터가 단턱에 걸려 무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0)의 저면에는 슬릿 모양의 제1 관통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20)의 저면에는 슬릿 모양의 제2 관통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관통홈(113)과 제2 관통홈(121)은 서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장치에 결로가 생기거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경우 상기 제1 관통홈(113)과 제2 관통홈(121)을 통해 수분과 이물질이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관통홈과 제2 관통홈을 통해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0)는 상기 터미널(200)이 결합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의 커버(30)에 접촉되는 돌출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5)는 수용홈(111)에서 커버(30) 방향으로 연장되어 커버(30)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돌출부(115)는 커버(30)에 의해 지지되며 터미널(200)이 구동모터(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터미널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0)의 상부에는 오목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오목홈(116)은 수용홈 측벽의 양쪽 상부에 형성되어 있어 외부 커넥터(40)를 끼우거나 뺄때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다. 외부 커넥터(40)는 크기가 작고 수용홈(111)에 삽입되기 때문에 분리하고자 할때 손에 잡히지 않아 분리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오목홈(116)을 양쪽에 형성함으로써 잡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PCB 없이도 연결유닛과 터미널만으로 구성된 간단한 구조에 의해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체결된 상태에서 터미널이 무단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연결유닛 110 : 수용부
111 : 수용홈 112 : 걸림턱
113 : 제1 관통공 115 : 돌출부
116 : 오목홈 120 : 받침부
121 : 제2 관통공 200 : 터미널
210 : 핀

Claims (5)

  1. 외부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일체로 수용부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양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부로 형성된 연결유닛; 및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고 일측이 모터에 삽입되어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금속 재질의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은 2개가 평행하게 형성되며,
    일측이 모터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타측 끝단에서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용홈까지 연장 형성되어 수용부와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수용홈의 상부 방향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터미널이 결합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의 커버에 접촉되어 연결유닛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외부 커넥터 결합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저면에는 슬릿 모양의 제1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에는 슬릿 모양의 제2 관통홈이 상기 제1 관통홈과 수직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

  4. 삭제
  5. 삭제
KR2020230001856U 2023-09-04 2023-09-04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 KR200497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856U KR200497916Y1 (ko) 2023-09-04 2023-09-04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856U KR200497916Y1 (ko) 2023-09-04 2023-09-04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916Y1 true KR200497916Y1 (ko) 2024-04-05

Family

ID=9065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856U KR200497916Y1 (ko) 2023-09-04 2023-09-04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916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9275A (ja) * 1987-12-16 1989-06-22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JPH0720858A (ja) * 1993-06-30 1995-01-24 Keiko Shigehisa 譜面表示装置
JP2011238403A (ja) * 2010-05-07 2011-11-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装置
KR20120052808A (ko) 2010-11-16 2012-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웃사이드 미러의 전동 폴딩 구조
KR20170073468A (ko)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05270B1 (ko) 2019-01-22 2019-07-31 에스디아이테크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전동식 폴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9275A (ja) * 1987-12-16 1989-06-22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
JPH0720858A (ja) * 1993-06-30 1995-01-24 Keiko Shigehisa 譜面表示装置
JP2011238403A (ja) * 2010-05-07 2011-11-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装置
KR20120052808A (ko) 2010-11-16 2012-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웃사이드 미러의 전동 폴딩 구조
KR20170073468A (ko) * 2015-12-18 2017-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05270B1 (ko) 2019-01-22 2019-07-31 에스디아이테크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미러의 전동식 폴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8260B2 (en) Shielded connector
US6919509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10892584B2 (en) Socket-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US20160050779A1 (en) Mounting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US20080113530A1 (en) Electronic unit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7442064B2 (en) Board connecting body
US7390207B2 (en) Self-aligning connector
JP2019169654A (ja) 電子部品モジュール、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
WO2011040419A1 (ja) 基板用コネクタの実装構造
US20190245293A1 (en) Terminal module and connector
GB2359930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electrical component holder
KR200497916Y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폴딩 장치용 커넥터 장치
US11025007B2 (en) Electronic component
US9967443B2 (en) Imag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case, a substrate, and a second case
JP6605341B2 (ja) コネクタ
US10862229B2 (en) Fuse clip and connector
US10404015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mounting surface
JP2011165348A (ja) ワイヤハーネスとプリント基板の接続構造
KR101859028B1 (ko) 적어도 2개 이상의 감합구를 가지는 쉘의 연결 구조 및 이 연결 구조에 의해 형성된 쉘, 이 쉘을 구비하는 커넥터
JP5999638B2 (ja) 電子ユニット取付構造
JP6179475B2 (ja) コネクタユニット
JP7362545B2 (ja) 固定ハウジングと可動ハウジングを備えたコネクタ
JP6807369B2 (ja) 電気接続箱
JP2012014862A (ja) コネクタ
US20230076927A1 (en) Cable-end connector, board-end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