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911Y1 - 오일 밀봉 구조체 - Google Patents

오일 밀봉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911Y1
KR200497911Y1 KR2020220001066U KR20220001066U KR200497911Y1 KR 200497911 Y1 KR200497911 Y1 KR 200497911Y1 KR 2020220001066 U KR2020220001066 U KR 2020220001066U KR 20220001066 U KR20220001066 U KR 20220001066U KR 200497911 Y1 KR200497911 Y1 KR 200497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entral axis
positive
body region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665U (ko
Inventor
웬-핀 리
Original Assignee
푸이 오일 씰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10204784U external-priority patent/TWM616019U/zh
Priority claimed from TW110204785U external-priority patent/TWM616020U/zh
Application filed by 푸이 오일 씰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푸이 오일 씰 인더스트리얼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200026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having two or more 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6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the sealing action depending on movements; pressure difference, temperature or presence of lea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provided with tension elements, e.g. elastic rings
    • F16J15/321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provided with tension elements, e.g. elastic rings with meta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오일 밀봉 구조체는, 환 형상이며, 중심 축을 갖는다. 오일 밀봉 구조체는 제1 환형 요소를 포함한다. 제1 환형 요소는 제1 프레임워크부, 제1 커버부, 및 환형 탄성부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워크부는 제1 길이방향 영역과 제1 횡방향 영역을 포함한다. 제1 커버부는 제1 본체 영역과 제1 양의 접힘 영역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워크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본체 영역에 의해 커버된다. 제1 본체 영역은, 중심 축의 양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양의 접힘 영역보다 더 돌출된다. 제1 커버부의 제1 구별 블록은 제1 양의 접힘 영역에 구성된다.

Description

오일 밀봉 구조체{OIL SEAL STRUCTURE}
본 개시내용은 오일 밀봉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고속 회전 환경에 적합한 오일 밀봉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오일 밀봉부의 응용분야가 점점 더 광범위해지고 있으며, 직면한 요구 사항이 점점 더 엄격해지고 있다. 오일 밀봉부는, 액체 매체(기름, 물 등)를 밀봉하는 구성요소로서, 캐비티의 밀봉 성능을 보장해야 한다. 그러나, 오일 밀봉부가 극도의 고속 회전과 건식 회전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에서 사용되면, 오일 밀봉부의 밀봉 성능과 신뢰성 모두가 엄격한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상술한 점을 감안할 때, 극도의 고속 회전과 건조 회전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에서도 밀봉 성능과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오일 밀봉 구조체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오일 밀봉 구조체는, 환 형상이며, 중심 축을 갖는다. 양단부(positive end)와 음단부(negative end)는 중심 축에 따라 정의된다. 오일 밀봉 구조체는 제1 환형 요소를 포함한다. 제1 환형 요소는 제1 프레임워크부, 제1 커버부, 및 환형 탄성부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워크부는 제1 길이방향 영역과 제1 횡방향 영역을 포함한다. 제1 길이방향 영역은 중심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횡방향 영역은 제1 길이방향 영역의 음단부에 연결되고, 제1 횡방향 영역은, 중심 축에 수직이면서 중심 축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커버부는 제1 본체 영역과 제1 양의 접힘 영역(positive folding region)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워크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본체 영역에 의해 커버된다. 제1 양의 접힘 영역은 제1 본체 영역에서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제1 양의 접힘 영역은 중심 축의 양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면서 연장된다. 제1 본체 영역은 중심 축의 양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양의 접힘 영역보다 더 돌출된다. 제1 커버부의 제1 구별 블록은 제1 양의 접힘 영역에 구성된다. 제1 구별 블록의 재료와 제1 커버부의 제1 구별 블록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상이하다. 환형 탄성부는 제1 양의 접힘 영역의 외측 환형면에 계합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오일 밀봉 구조체는, 환 형상이며, 중심 축을 갖는다. 양단부와 음단부는 중심 축에 따라 정의된다. 오일 밀봉 구조체는 제1 환형 요소를 포함한다. 제1 환형 요소는 제1 프레임워크부와 제1 커버부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워크부는 제1 길이방향 영역과 제1 횡방향 영역을 포함한다. 제1 길이방향 영역은 중심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횡방향 영역은 제1 길이방향 영역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제1 횡방향 영역은, 중심 축에 수직이면서 중심 축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커버부는 제1 본체 영역과 제1 양의 접힘 영역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워크부는 제1 본체 영역에 의해 커버되고, 제1 본체 영역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제1 양의 접힘 영역은 제1 본체 영역에서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제1 양의 접힘 영역은 중심 축의 양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면서 연장된다. 제1 커버부의 제1 구별 블록은 제1 양의 접힘 영역에 구성된다. 제1 구별 블록의 재료와 제1 커버부의 제1 구별 블록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상이하다.
본 개시내용은 다음과 같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일 밀봉 구조체의 3차원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오일 밀봉 구조체의 라인 1B-1B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일 밀봉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일 밀봉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오일 밀봉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오일 밀봉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오일 밀봉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명확성을 위해, 몇 가지 실제 세부 사항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실제 세부사항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 즉, 일부 실시예에서 실제 세부사항은 불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종래의 일부 구조와 요소를 간략하게 예시하였으며, 반복되는 요소들은 동일한 명칭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일 밀봉 구조체(100)의 3차원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오일 밀봉 구조체(100)의 라인 1B-1B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일 밀봉 구조체(100)의 단면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해 볼 때,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각각의 오일 밀봉 구조체(100)는, 환 형상이고, 중심 축(z)(중심 축(z)은 도 1b 및 도 2에서 생략됨)를 갖는다. 양단부(a)와 음단부(b)(즉, 양의 방향과 음의 방향, 그리고 양단부(a)와 음단부(b)는 교환될 수 있음)는 중심 축(z)에 따라 정의된다. 오일 밀봉 구조체(100)는 제1 환형 요소(110)를 포함한다. 제1 환형 요소(110)는 제1 프레임워크부(120), 제1 커버부(130), 및 환형 탄성부(150)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워크부(120)는 제1 길이방향 영역(123)과 제1 횡방향 영역(124)을 포함한다. 제1 길이방향 영역(123)은 중심 축(z)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횡방향 영역(124)은 제1 길이방향 영역(123)의 음단부(123b)에 연결되고, 제1 횡방향 영역(124)은 중심 축(z)에 수직이면서 중심 축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커버부(130)는 제1 본체 영역(132)과 제1 양의 접힘 영역(142)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워크부(120)는, 제1 본체 영역(132)에 의해 커버되고, 제1 본체 영역(132)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제1 양의 접힘 영역(142)은 제1 본체 영역(132)에서 중심 축(z)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제1 양의 접힘 영역(142)은 중심 축(z)의 양단부(a) 방향을 따라 경사지면서 연장된다. 제1 커버부(130)의 제1 구별 블록(131)은 제1 양의 접힘 영역(142)에 구성된다. 제1 구별 블록(131)의 재료와 제1 커버 부분(130)의 제1 구별 블록(131)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상이하다. 환형 탄성부(150)는 제1 양의 접힘 영역(142)의 외측 환형면(144)에 계합(또는 매립)된다. 따라서, 오일 밀봉 구조체(100)는, 고속 회전과 건조 회전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에 적용하는 데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제1 본체 영역(132)은 중심 축(z)의 양단부(a)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양의 접힘 영역(142)보다 더 돌출된다. 따라서, 고속 회전이 있는 적용 환경에서 기밀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
제1 구별 블록(131)의 재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즉, PTFE)일 수 있고, 제1 커버부(130)의 제1 구별 블록(131)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니트릴 고무,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로카본 고무(즉, FKM) 중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오일 밀봉 구조체(100)는, 내화학성이 더 우수하고, 고온 및 저온 베어링 및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제1 구별 블록(131)은 제1 양의 접힘 영역(142)의 제1 내측 환형면(143)에 구성되고 노출된다. 따라서, 오일 밀봉 구조체(100)는 제조 복잡성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환형 탄성부(150)는 환형 스프링이다. 따라서, 환형 탄성부(150)는, 고속 회전이 있는 적용 환경에서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제1 커버부(130)의 재료 및 구조와 협력하는 데 유리하다.
도 1b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제1 커버부(130)는 제1 음의 접힘 영역(146)을 더 포함한다. 제1 음의 접힘 영역(146)은 제1 본체 영역(132)에서 중심 축(z)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제1 음의 접힘 영역(146)은 중심 축(z)의 음단부(b)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면서 연장된다. 제1 양의 접힘 영역(142)과 제1 음의 접힘 영역(146) 사이의 각도(A1)는, 80도 내지 120도(80도 및 120도를 포함하며, 제1 실시예에서 각도(A1)는 구체적으로 92.4도임)의 범위에 있다. 따라서, 이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데 유리하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일 밀봉 구조체(30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오일 밀봉 구조체(30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오일 밀봉 구조체(300)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 각각의 오일 밀봉 구조체(300)는, 환 형상이고, 중심 축을 갖는다. 양단부(a)와 음단부(b)는 중심 축에 따라 정의된다. 오일 밀봉 구조체(300)는 제1 환형 요소(310)를 포함한다. 제1 환형 요소(310)는 제1 프레임워크부(320), 제1 커버부(330), 및 환형 탄성부(350)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워크부(320)는 제1 길이방향 영역(323)과 제1 횡방향 영역(324)을 포함한다. 제1 길이방향 영역(323)은 중심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횡방향 영역(324)은 제1 길이방향 영역(323)의 음단부(323b)에 연결되고, 제1 횡방향 영역(324)은, 중심 축에 수직이면서 중심 축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커버부(330)는 제1 본체 영역(332)과 제1 양의 접힘 영역(342)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워크부(32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본체 영역(332)에 의해 커버된다. 제1 양의 접힘 영역(342)은 제1 본체 영역(332)에서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제1 양의 접힘 영역(342)은 중심 축의 양단부(a) 방향을 따라 경사지면서 연장된다. 제1 커버부(330)의 제1 구별 블록(331)은 제1 양의 접힘 영역(342)에 구성된다. 제1 구별 블록(331)의 재료와 제1 커버부(330)의 제1 구별 블록(331)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상이하다. 환형 탄성부(350)는 제1 양의 접힘 영역(342)의 외측 환형면(344)에 계합된다.
상세하게, 제1 본체 영역(332)은, 중심 축의 양단부(a)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양의 접힘 영역보다 더 돌출된다. 환형 탄성부(350)는 환형 스프링이다.
오일 밀봉 구조체(300)는 제2 프레임워크부(370)와 제2 커버부(380)를 포함하는 제2 환형 요소(360)를 더 포함한다. 제2 프레임워크부(370)는 제2 길이방향 영역(373)과 제2 횡방향 영역(374)을 포함한다. 제2 길이방향 영역(373)은 중심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횡방향 영역(374)은 제2 길이방향 영역(373)의 양단부(373a)에 연결되고, 제2 횡방향 영역(374)은, 중심 축에 수직이면서 중심 축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커버부(380)는 제2 본체 영역(382)과 제2 양의 접힘 영역(392)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워크부(370)는, 제2 본체 영역(382)에 의해 커버되고, 제2 본체 영역(382)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제2 양의 접힘 영역(392)은 제2 본체 영역(382)에서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제2 양의 접힘 영역(392)은 중심 축의 양단부(a)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면서 연장된다. 제2 커버부(380)의 제2 구별 블록(381)은 제2 양의 접힘 영역(392)에 구성된다. 제2 구별 블록(381)의 재료와 제2 커버부(380)의 제2 구별 블록(381)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상이하다. 제1 길이방향 영역(323)은 제2 길이방향 영역(373)을 둘러싸고, 제1 본체 영역(332)은 제2 본체 영역(382)을 둘러싸며 제2 본체 영역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중 오일 밀봉의 설계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데 유리하다.
제1 구별 블록(331)과 제2 구별 블록(381) 각각의 재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일 수 있고, 제1 커버부(330)의 제1 구별 블록(331)을 제외한 부분과 제2 커버부(380)의 제2 구별 블록(381)을 제외한 부분 각각의 재료는 니트릴 고무,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로카본 고무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구별 블록(331)은 제1 양의 접힘 영역(342)의 제1 내측 환형면(343)에 구성되고 노출된다. 제2 구별 블록(381)은 제2 양의 접힘 영역(392)의 제2 내측 환형면(393)에 구성되고 노출된다. 제1 프레임워크부(320)의 두께(H1)는 제2 프레임워크부(370)의 두께(H2)보다 크다. 따라서, 오일 밀봉 구조체(300)는 제조 복잡성을 줄이고 극도의 고속 회전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에 적용하는 데 유리하다.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의 각각에 있어서, 제1 프레임워크부(320)의 전체는 제1 본체 영역(332)에 의해 커버되고, 제1 프레임워크부(320)는 제1 본체 영역(332)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에 각각 도시된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의 각각에 있어서, 제1 커버부(330)는 제1 음의 접힘 영역(346)을 더 포함한다. 제1 음의 접힘 영역(346)은 제1 본체 영역(332)의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제1 음의 접힘 영역(346)은 중심 축의 음단부(b)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면서 연장된다. 제1 양의 접힘 영역(342)과 제1 음의 접힘 영역(346) 사이의 각도(A1)는 구체적으로 115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제5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워크부(320)의 제1 길이방향 영역(323)의 중심 축에 가까운 측은 제1 본체 영역(332)의 표면에 노출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오일 밀봉 구조체(60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오일 밀봉 구조체(600)는, 환 형상이고, 중심 축을 갖는다. 양단부(a)와 음단부(b)는 중심 축에 따라 정의된다. 오일 밀봉 구조체(600)는 제1 환형 요소(610)를 포함한다. 제1 환형 요소(610)는 제1 프레임워크부(620)와 제1 커버부(630)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워크부(620)는 제1 길이방향 영역(623)과 제1 횡방향 영역(624)을 포함한다. 제1 길이방향 영역(623)은 중심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횡방향 영역(624)은 제1 길이방향 영역(623)의 양단부(623a)에 연결되고, 제1 횡방향 영역(624)은, 중심 축에 수직이면서 중심 축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커버부(630)는 제1 본체 영역(632)과 제1 양의 접힘 영역(642)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워크부(620)는, 제1 본체 영역(632)에 의해 커버되고, 제1 본체 영역(632)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제1 양의 접힘 영역(642)은 제1 본체 영역(632)의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제1 양의 접힘 영역(642)은 중심 축의 양단부(a)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면서 연장된다. 제1 커버부(630)의 제1 구별 블록(631)은 적어도 제1 양의 접힘 영역(642)에 구성된다. 제1 구별 블록(631)의 재료와 제1 커버부(630)의 제1 구별 블록(631)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상이하다. 따라서, 오일 밀봉 구조체(600)는 극도의 고속 회전과 건식 회전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에 적용하는 데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제1 양의 접힘 영역(642)의 외측 환형면(644)은 외측 돌출 세그먼트(645)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는 밀봉 압력을 증가시키고 신뢰성을 개선하는 데 유리하다.
제1 길이방향 영역(623)의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제1 커버부(630)의 부분의 두께는, 제1 길이방향 영역(623)의 중심 축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에 위치하는 제1 커버부(630)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다. 따라서, 오일 밀봉 구조체(600)는 신뢰성 개선에 유리하다.
오일 밀봉 구조체(600)는 제2 프레임워크부(670)와 제2 커버부(680)를 포함하는 제2 환형 요소(660)를 더 포함한다. 제2 프레임워크부(670)는 제2 길이방향 영역(673)과 제2 횡방향 영역(674)을 포함한다. 제2 길이방향 영역(673)은 중심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횡방향 영역(674)은 제2 길이방향 영역(673)의 음단부(673b)에 연결되고, 제2 횡방향 영역(674)은, 중심 축에 수직이면서 중심 축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커버부(680)는 제2 본체 영역(682)과 제2 양의 접힘 영역(692)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워크부(670)는, 제2 본체 영역(682)에 의해 커버되고, 제2 본체 영역(682)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제2 양의 접힘 영역(692)은 제2 본체 영역(682)의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제2 양의 접힘 영역(692)은 중심 축의 양단부(a)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면서 연장된다. 제2 커버부(680)의 제2 구별 블록(681)은 적어도 제2 양의 접힘 영역(692)에 구성된다. 제2 구별 블록(681)의 재료와 제2 커버부(680)의 제2 구별 블록(681)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상이하다. 제2 길이방향 영역(673)은 제1 길이방향 영역(623)을 둘러싸고, 제2 본체 영역(682)은 제1 본체 영역(632)을 둘러싸며 제1 본체 영역에 연결된다. 따라서, 이중 오일 밀봉의 설계는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데 유리하다.
제1 구별 블록(631)과 제2 구별 블록(681) 각각의 재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일 수 있고, 제1 커버부(630)의 제1 구별 블록(631)을 제외한 부분과 제2 커버부(680)의 제2 구별 블록(681)을 제외한 부분 각각의 재료는 니트릴 고무,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로카본 고무 중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오일 밀봉 구조체(600)는 내화학성이 더 우수하고, 고온 및 저온 베어링 및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제1 구별 블록(631)은 제1 양의 접힘 영역(642)의 제1 내측 환형면(643)에만 구성 및 노출되고, 제2 구별 블록(681)은 제2 양의 접힘 영역(692)의 제2 내측 환형면(693)에만 구성 및 노출된다. 따라서, 오일 밀봉 구조체(600)는 제조 복잡성을 줄이고 극도의 고속 회전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에 적용하는 데 유리하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밀봉 구조에 의해, 첫째, 오일 밀봉 구조체의 밀봉 압력을 증가시켜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격리하고 극도의 고속 회전에서 밀봉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 유리하다. 둘째, 오일 밀봉 구조체는, 더 양호한 내화학성, 고온 및 저온 베어링 및 낮은 마찰 계수를 가져 극도의 고속 회전과 건식 회전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에 적용하여 신뢰성을 개선하고 서비스 수명을 연장하는 데 유리하다. 셋째, 오일 밀봉 구조체는 제조 복잡성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본 개시내용을 이의 특징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당히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과 범위는 본원에 포함된 실시예의 설명으로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내용의 구조에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내용을 고려할 때, 본 개시내용은 다음에 따르는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 속한다면 본 개시내용의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Claims (10)

  1. 환 형상이며, 중심 축, 및 상기 중심 축에 따라 정의되는 양단부(positive end)와 음단부(negative end)를 갖는 오일 밀봉 구조체로서, 상기 오일 밀봉 구조체는,
    제1 프레임워크부, 제1 커버부, 및 환형 탄성부를 포함하는 제1 환형 요소; 및
    제2 프레임워크부 및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제2 환형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워크부는 제1 길이방향 영역과 제1 횡방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길이방향 영역은 상기 중심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횡방향 영역은 상기 제1 길이방향 영역의 음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횡방향 영역은 상기 중심 축에 수직이면서 상기 중심 축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커버부는 제1 본체 영역과 제1 양의 접힘 영역(positive folding region)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워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본체 영역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제1 양의 접힘 영역은 상기 제1 본체 영역에서 상기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양의 접힘 영역은 상기 중심 축의 양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본체 영역은 상기 중심 축의 양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양의 접힘 영역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제1 커버부의 제1 구별 블록은 상기 제1 양의 접힘 영역에 구성되고, 상기 제1 구별 블록의 재료와 상기 제1 커버부의 상기 제1 구별 블록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상이하고, 상기 환형 탄성부는 상기 제1 양의 접힘 영역의 외측 환형면에 계합되며,
    상기 제2 프레임워크부는 제2 길이방향 영역과 제2 횡방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길이방향 영역은 상기 중심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횡방향 영역은 상기 제2 길이방향 영역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횡방향 영역은 상기 중심 축에 수직이면서 상기 중심 축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제2 본체 영역과 제2 양의 접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워크부는 상기 제2 본체 영역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제2 본체 영역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2 양의 접힘 영역은 상기 제2 본체 영역에서 상기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양의 접힘 영역은 상기 중심 축의 양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제2 커버부의 제2 구별 블록은 상기 제2 양의 접힘 영역에 구성되고, 상기 제2 구별 블록의 재료와 상기 제2 커버부의 상기 제2 구별 블록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상이하고,
    상기 제1 길이방향 영역은 상기 제2 길이방향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1 본체 영역은 상기 제2 본체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본체 영역에 연결된, 오일 밀봉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별 블록의 재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고, 상기 제1 커버부의 상기 제1 구별 블록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니트릴 고무,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로카본 고무 중 하나인, 오일 밀봉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별 블록은 상기 제1 양의 접힘 영역의 제1 내측 환형면에 구성 및 노출되는, 오일 밀봉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탄성부는 환형 스프링인, 오일 밀봉 구조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제1 음의 접힘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음의 접힘 영역은 상기 제1 본체 영역에서 상기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음의 접힘 영역은 상기 중심 축의 음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양의 접힘 영역과 상기 제1 음의 접힘 영역 사이의 각도는 80도 내지 120도 범위에 있는, 오일 밀봉 구조체.
  6. 환 형상이며, 중심 축, 및 상기 중심 축에 따라 정의되는 양단부와 음단부를 갖는 오일 밀봉 구조체로서, 상기 오일 밀봉 구조체는,
    제1 프레임워크부와 제1 커버부를 포함하는 제1 환형 요소; 및
    제2 프레임워크부와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제2 환형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워크부는 제1 길이방향 영역과 제1 횡방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길이방향 영역은 상기 중심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횡방향 영역은 상기 제1 길이방향 영역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횡방향 영역은 상기 중심 축에 수직이면서 상기 중심 축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커버부는 제1 본체 영역과 제1 양의 접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워크부는 상기 제1 본체 영역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제1 본체 영역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양의 접힘 영역은 상기 제1 본체 영역에서 상기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양의 접힘 영역은 상기 중심 축의 양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커버부의 제1 구별 블록은 상기 제1 양의 접힘 영역에 구성되고, 상기 제1 구별 블록의 재료와 상기 제1 커버부의 상기 제1 구별 블록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상이하며,
    상기 제2 프레임워크부는 제2 길이방향 영역과 제2 횡방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길이방향 영역은 상기 중심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횡방향 영역은 상기 제2 길이방향 영역의 음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횡방향 영역은 상기 중심 축에 수직이면서 상기 중심 축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제2 본체 영역과 제2 양의 접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워크부는 상기 제2 본체 영역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제2 본체 영역의 표면에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양의 접힘 영역은 상기 제2 본체 영역에서 상기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양의 접힘 영역은 상기 중심 축의 양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제2 커버부의 제2 구별 블록은 적어도 상기 제2 양의 접힘 영역에 구성되고, 상기 제2 구별 블록의 재료와 상기 제2 커버부의 상기 제2 구별 블록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상이하고,
    상기 제2 길이방향 영역은 상기 제1 길이방향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본체 영역은 상기 제1 본체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1 본체 영역에 연결된,
    오일 밀봉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별 블록의 재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고, 상기 제1 커버부의 상기 제1 구별 블록을 제외한 부분의 재료는 니트릴 고무, 실리콘 수지, 및 플루오로카본 고무 중 하나인, 오일 밀봉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방향 영역에서 상기 중심 축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일부의 두께는, 상기 제1 길이방향 영역에서 상기 중심 축으로부터 멀리 있는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커버부의 다른 일부의 두께보다 작은, 오일 밀봉 구조체.
  9. 삭제
  10. 삭제
KR2020220001066U 2021-04-29 2022-04-29 오일 밀봉 구조체 KR20049791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204784U TWM616019U (zh) 2021-04-29 2021-04-29 油封結構
TW110204785U TWM616020U (zh) 2021-04-29 2021-04-29 油封結構
TW110204784 2021-04-29
TW110204785 2021-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65U KR20220002665U (ko) 2022-11-07
KR200497911Y1 true KR200497911Y1 (ko) 2024-04-03

Family

ID=8404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066U KR200497911Y1 (ko) 2021-04-29 2022-04-29 오일 밀봉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91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236A (ja) * 1998-06-25 2000-01-11 Koyo Seiko Co Ltd オイルシール
JP2008169933A (ja) * 2007-01-12 2008-07-24 Nok Corp 密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739Y2 (ko) * 1987-08-31 1993-07-15
JP3807802B2 (ja) * 1996-12-11 2006-08-09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リブ付オイルシール
KR20110109281A (ko) * 2010-03-31 2011-10-06 평화오일씰공업주식회사 차량 크랭크축용 오일씰
US9103446B2 (en) * 2010-09-15 2015-08-11 Aktiebolaget Skf Fluid seal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236A (ja) * 1998-06-25 2000-01-11 Koyo Seiko Co Ltd オイルシール
JP2008169933A (ja) * 2007-01-12 2008-07-24 Nok Corp 密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65U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50490T3 (es) Junta energizada de bajo rozamiento de rotura
WO2010084853A1 (ja) シールリング
WO2011086887A1 (ja) 密封構造
JP5392436B2 (ja) 密封装置
JP5126995B2 (ja) 複合シール材
KR200497911Y1 (ko) 오일 밀봉 구조체
JP2000074223A (ja) オイルシ―ル
JP5545420B1 (ja) シールリング
CN215521963U (zh) 油封结构
KR101900394B1 (ko) 밀봉 링
JP2003329140A (ja) ガスケット
JP2017528656A (ja) 回転液圧アクチュエータのシール
KR20240000657U (ko) 오일 기밀 구조
TWM616019U (zh) 油封結構
JP2021156314A (ja) 密封装置
CN218440632U (zh) 油封结构
TWM616020U (zh) 油封結構
WO2018149274A1 (zh) 唇形密封件
JP2015148336A (ja) オイルシール
JP7383355B2 (ja) 金属ガスケット
JP2021167616A (ja) 金属ガスケット
KR102038238B1 (ko) 실 링
JP2021167615A (ja) 金属ガスケット
CN117570208A (zh) 弹性密封装置
JP2017133571A (ja) 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