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394B1 - 밀봉 링 - Google Patents

밀봉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394B1
KR101900394B1 KR1020177019773A KR20177019773A KR101900394B1 KR 101900394 B1 KR101900394 B1 KR 101900394B1 KR 1020177019773 A KR1020177019773 A KR 1020177019773A KR 20177019773 A KR20177019773 A KR 20177019773A KR 101900394 B1 KR101900394 B1 KR 10190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ring
tapered surface
angle
housing
tap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516A (ko
Inventor
박남선
요시유키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Publication of KR2017010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87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the sealing effect being obtained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1Free-space packings with floating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1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stuffing-boxes for elastic or plastic 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1Free-space packings with floating ring
    • F16J15/442Free-space packings with floating ring segme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6Sealings with packing ring expanded or pressed into place by fluid pressure, e.g. inflatable packings

Abstract

밀봉 링은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된 외주면 및 측면을 구비한다. 상기 외주면은 탑부와, 제1 테이퍼면과, 제2 테이퍼면을 갖는다. 상기 탑부는 상기 평면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테이퍼면은 상기 탑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작은 직경이 되고,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제1 각도를 이룬다. 상기 제2 테이퍼면은 상기 제1 테이퍼면보다도 상기 측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테이퍼면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작은 직경이 되고,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상기 제1 각도보다도 큰 제2 각도를 이룬다.

Description

밀봉 링{SEAL RING}
본 발명은 유압기기에 이용 가능한 밀봉 링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자동변속기 등의 유압기기에서는 오일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밀봉 링이 사용된다. 밀봉 링은 예를 들면, 샤프트가 하우징에 삽입되는 구성을 가지는 유압기기에 있어서, 샤프트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한다. 이 경우, 밀봉 링은 하우징에 삽입되기 전의 샤프트 홈부에 장착된다.
일반적인 밀봉 링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밀봉 링에서는 유압이 가해지면 수압(受壓)측면과는 반대측의 측면이 샤프트의 홈부에 접촉하는 동시에, 외주면이 하우징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밀봉 링은 샤프트 및 하우징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샤프트와 하우징 사이를 실링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55495호
밀봉 링에 가해지는 유압이 높아지면, 수압측면 및 내주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밀봉 링이 샤프트 및 하우징에 대해서 한쪽으로 기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밀봉 링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의 접촉이 불충분하게 되고, 밀봉 링에 의한 실링성이 저하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의 높음에 관계없이 뛰어난 실링성이 수득되는 밀봉 링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1형태에 따른 밀봉 링은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된 외주면 및 측면을 구비한다.
상기 외주면은 탑부와, 제1 테이퍼면과, 제2 테이퍼면을 갖는다.
상기 탑부는 상기 평면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테이퍼면은 상기 탑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작은 직경이 되고,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제1 각도를 이룬다.
상기 제2 테이퍼면은 상기 제1 테이퍼면보다도 상기 측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테이퍼면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작은 직경이 되고,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상기 제1 각도보다도 큰 제2 각도를 이룬다.
이 구성의 밀봉 링에서는 유압이 낮은 경우에 제1 테이퍼면이 하우징의 내주면에 면 접촉하고, 유압이 높은 경우에 제2 테이퍼면이 하우징의 내주면에 면 접촉한다. 즉, 상기 밀봉 링에서는 유압의 높음에 관계없이 하우징의 내주면에 면 접촉하기 때문에 높은 실링성이 수득된다.
상기 제1 각도는 0.1° 이상 1.0° 이하이고, 상기 제2 각도는 1.0° 이상 5.0° 이하일 수 있다.
이 구성의 밀봉 링에서는 제1 테이퍼면 및 제2 테이퍼면이 보다 확실하게 하우징의 내주면에 면 접촉되도록 되기 때문에, 특히 높은 실링성이 수득된다.
상기 중심축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 테이퍼면보다 상기 제2 테이퍼면쪽이 클 수도 있다.
이 구성의 밀봉 링에서는 제2 테이퍼면의 면적이 크고, 즉 제2 테이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의 접촉면의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유압이 높은 경우에 있어서 보다 안정된 실링성이 수득된다.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외주면과 상기 측면을 접속하는 R면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밀봉 링이 샤프트나 하우징에 대해서 부드럽게 슬라이딩(미끄럼) 가능하게 된다.
상기 측면은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평면에 근접할 수 있다.
상기 측면은 상기 평면에 대해서 상기 제2 각도보다도 큰 제3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밀봉 링의 측면이 홈부의 측면에 면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상기 밀봉 링에서는 샤프트의 홈부에 대한 미끄럼 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에 샤프트의 홈부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프릭션 로스가 저감된다.
유압의 높음에 관계없이 뛰어난 실링성이 수득되는 밀봉 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링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상기 밀봉 링의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상기 밀봉 링의 도 2의 1점 쇄선으로 둘러싼 영역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밀봉 링이 샤프트 및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상기 밀봉 링이 낮은 유압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상기 밀봉 링의 도 4a의 1점 쇄선으로 둘러싼 영역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상기 밀봉 링이 높은 유압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상기 밀봉 링의 도 5a의 1점 쇄선으로 둘러싼 영역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의 디자인예에 따른 밀봉 링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밀봉 링(1)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1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링(1)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링(1)은 유압식의 자동차용 자동변속기 등, 여러 유압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밀봉 링(1)은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환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10)과, 내주면(20)과, 2개의 측면(30a, 30b)을 갖는다.
밀봉 링(1)에는 그 주방향의 일부에 맞댐자리(40)가 설치되어 있다. 밀봉 링(1)에 힘이 가해지지 않고 있는 밀봉 링(1)의 자유상태에서는 맞댐자리(40)가 약간 열려 있다. 밀봉 링(1)의 직경은 맞댐자리(40)를 넓히는 것에 의해 커지고, 맞댐자리(40)을 좁히는 것에 의해 작아진다.
맞댐자리(40)의 형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형상을 채용 가능하다. 맞댐자리(40)로서는 예를 들면, 직각(스트레이트) 맞댐자리, 경사(앵글) 맞댐자리, 단이 있는(스텝) 맞댐자리, 더블앵글 맞댐자리, 더블커트 맞댐자리, 트리플 스텝 맞댐자리 등이 채용 가능하다.
또, 맞댐자리(40)는 맞댐자리(40)에서의 오일 누설이 억제되도록,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으로부터, 맞댐자리(40)는 예를 들면, 단이 있는 맞댐자리, 더블앵글 맞댐자리, 더블 커트 맞댐자리, 트리플 스텝 맞댐자리 등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밀봉 링(1)을 형성하는 재료는 구동환경 등에 의해 적당하게 결정 가능하다. 밀봉 링(1)의 프릭션 로스(마찰손실)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밀봉 링(1)을 형성하는 재료는 미끄럼 특성이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밀봉 링(1)을 형성하는 재료는 내열성이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링(1)에 이용 가능한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ㆍ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ㆍ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비닐리덴디플루오라이드(PVDF),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등을 들 수 있다.
도 2a는 밀봉 링(1)의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밀봉 링(1)의 도 2a의 1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밀봉 링(1)은 중심축(C)에 수직의 평면인 중앙면(D)에 대해서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이 때문에, 밀봉 링(1)에 의한 실링성은 밀봉 링(1)의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밀봉 링(1)에서는 그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샤프트(S)의 홈부(G)로의 장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밀봉 링(1)에서는 외주면(10)과 2개의 측면(30a, 30b)이 각각 제1 R면(15)에 의해 접속되고, 내주면(20)과 2개의 측면(30a, 30b)이 각각 제2 R면(2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R면(15, 21)은 볼록형상의 곡면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밀봉 링(1)에서는 네 모퉁이가 R면(15, 21)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각부(角部)가 배제되고 있기 때문에, 샤프트(S)나 하우징(H)에 대해서 부드럽게 슬라이딩 가능하다.
밀봉 링(1)의 외주면(10)에는 그 주방향을 타라서 탑부(13)과, 제1 테이퍼면(11)과, 제2 테이퍼면(12)이 설치되어 있다.
탑부(13)는 중앙면(D)을 따라서 따라 설치되고, 외주면(10)에 있어서 가장 큰 직경을 갖는다. 제1 테이퍼면(11)은 탑부(13)로부터, 중앙면(D)과 측면(13a, 13b)의 중간 위치에 있는 각 경계부(14)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테이퍼면(12)은 각 경계부(14)로부터 R면(15)까지 연장되어 있다. 탑부(13) 및 경계부(14)는 각 평면이 교차하는 각부(角部)로 구성될 수도 있고, R면 등의 곡면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도 2b에는 중심축(C)에 평행한 축(C')이 1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제1 테이퍼면(11)은 중심축(C)에 대해서 제1 각도(θ1)를 이루고, 제2 테이퍼면(12)은 중심축(C)에 대해서 제2 각도(θ2)를 이룬다. 제2 테이퍼면(12)에 따른 제2 각도(θ2)는 제1 테이퍼면(11)에 따른 제1 각도(θ1)보다도 크다. 즉, 외주면(10)은 탑부(13)로부터 측면(30a, 30b)를 향해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고, 경계부(14)에 있어서 경사가 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테이퍼면(11)에 따른 제1 각도(θ1), 및 제2 테이퍼면(12)에 따른 제2 각도(θ2)는 밀봉 링(1)에 가해지는 유압의 높음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유압기기에 사용되는 밀봉 링(1)에서는 제1 각도(θ1)가 0.1°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2 각도(θ2)가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테이퍼면(11)의 중심축(C) 방향에서의 제1 길이는 L1이고, 제2 테이퍼면(12)의 중심축(C) 방향에서의 제2 길이는 L2이다. 제1 테이퍼면(11)에 따른 제1 길이(L1), 및 제2 테이퍼면(12)에 따른 제2 길이(L2)는 적당하게 결정 가능하다.
그러나 높은 유압에서 보다 안정된 실링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제2 테이퍼면(12)에 따른 제2 길이(L2))가 제1 테이퍼면(11)에 따른 제1 길이(L1)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 길이(L2)는 제1 길이(L1)에 1.2배 이상 1.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링(1)에 2개의 측면(30a, 30b)은 외주면(10)측으로부터 내주면(20)측을 향해서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면(30a)이 샤프트(S)의 홈부(G)의 상단부에 접촉하는 실링측면(30a)으로 구성되고, 측면(30b)이 주로 유압을 받는 수압(受壓)측면(30b)으로 구성된다.
도 2b에는 중앙면(D)에 평행한 평면(D')이 1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각 측면(30a, 30b)는 중앙면(D)에 대해서 제3 각도(θ3)를 이루는 평면으로 구성된다. 각 측면(30a, 30b)에 따른 제3 각도(θ3)는 상기의 제2 테이퍼면(12)에 따른 제2 각도(θ2)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유압기기에 설치된 밀봉 링(1)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밀봉 링(1)이 유압기기의 샤프트(S)의 홈부(G)에 장착되고, 샤프트(S)가 밀봉 링(1)과 함께 하우징(H)에 삽입되어 있다.
유압기기에 구비된 밀봉 링(1)의 직경은 자유상태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즉, 밀봉 링(1)은 자유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서 외주면(10)에 의해 하우징(H)의 내주면(H1)을 가압하고 있다.
도 3은 하우징(H)과 샤프트(S) 사이에 오일이 유입되어 있지 않고, 밀봉 링(1)에 유압이 가해지지 않은 무유압 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무유압 시에는 밀봉 링(1)의 외주면(10)이 탑부(13)에 있어서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대해서 선 접촉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하우징(H)과 샤프트(S) 사이에 오일이 유입하고, 밀봉 링(1)에 낮은 유압이 가해지고 있는 저유압 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저유압 시에 있어서의 유압은 밀봉 링(1)의 사용조건 등에 따라서 설정 가능한 제1 범위에 있는 것으로 한다.
하우징(H)과 샤프트(S) 사이에 오일이 유입하면, 주로 수압측면(30b) 및 내주면(20)에 유압이 가해진다. 즉, 수압측면(30b)에서는 실링측면(30a)보다도 오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크다. 이 때문에, 유압이 가해진 밀봉 링(1)은 그 전주(全周)에 걸쳐서 탑부(13)를 중심으로 해서 실링측면(30a)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탄성 변형한다.
저유압 시에서의 밀봉 링(1)은 제1 테이퍼면(11)이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면 접촉할 때까지 기울고, 제1 테이퍼면(11)이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면 접촉하는 제1 안정상태가 된다. 즉, 밀봉 링(1)에 유압이 가해지면, 밀봉 링(1)에 의한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대한 접촉형태가 도 3에 나타내는 선 접촉으로부터,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면 접촉으로 변화된다.
제1 안정상태에 있는 밀봉 링(1)에서는 제1 테이퍼면(11)이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면 접촉하고 있고, 즉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의해 제1 테이퍼면(11)이 꽉 눌려 있다. 따라서 제1 안정상태에 있는 밀봉 링(1)은 그 형상이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변형되기 어렵다.
또, 제1 안정상태에 있는 밀봉 링(1)에는 탄성 변형된 밀봉 링(1)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 탄성력은 오일에 의한 압력과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제1 안정상태에 있는 밀봉 링(1)은 유압을 받아도, 추가적인 탄성 변형이 발생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저유압 시에서의 밀봉 링(1)에서는, 제1 테이퍼면(11)이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대해서 면 접촉하는 제1 안정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뛰어난 실링성이 수득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하우징(H)와 샤프트(S) 사이에 오일이 더욱 유입하려고 하고, 밀봉 링(1)에 높은 유압이 가해져 있는 고유압 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고유압 시에서의 유압은 밀봉 링(1)의 사용조건 등에 따라서 설정 가능한 제2 범위에 있는 것으로 한다. 단, 고유압 시에서의 유압의 제2 범위는 상기의 저유압 시에서의 유압의 제1 범위보다도 높다.
밀봉 링(1)에 가해지는 유압이 제1 범위에서 제2 범위까지 상승하면, 밀봉 링(1)은 상기의 제1 안정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그 전주에 걸쳐서 탑부(13)를 중심으로 해서 실링측면(30a) 측으로 더욱 기울어지도록 탄성 변형한다.
고유압 시에서의 밀봉 링(1)은 제2 테이퍼면(12)이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면 접촉할 때까지 기울고, 제2 테이퍼면(12)이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면 접촉하는 제2 안정상태가 된다. 즉, 밀봉 링(1)에 가해지는 유압이 제1 범위에서 제2 범위로 상승해도, 밀봉 링(1)에 의한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대한 면 접촉이 유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실링측면(30a)에 따른 제3 각도(θ3)가 제2 테이퍼면(12)에 따른 제2 각도(θ2)보다도 크기 때문에, 제2 안정상태에 있는 밀봉 링(1)에서는 실링측면(30a)과 샤프트(S)의 홈부(G)의 측면이 면 접촉하지 않고 이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밀봉 링(1)에서는 샤프트(S)의 홈부(G)에 대한 미끄럼 저항이 작게 유지되기 때문에 샤프트(S) 사이에서의 프릭션 로스가 저감된다.
제2 안정상태에 있는 밀봉 링(1)에서는 제2 테이퍼면(12)이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면 접촉하고 있고, 즉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의해 제2 테이퍼면(12)이 꽉 눌려 있다. 따라서 제2 안정상태에 있는 밀봉 링(1)은 그 형상이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변형되기 어렵다.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의해서 밀봉 링(1)의 형상이 규제되는 작용은, 제2 테이퍼면(12)의 면적이 크고, 즉 제2 테이퍼면(12)과 하우징(H)의 내주면(H1) 접촉면의 면적이 클수록 효과적으로 수득된다. 따라서, 도 2b에 나타내는 제2 테이퍼면(12)에 따른 제2 길이(L2)를 제1 테이퍼면(11)에 따른 제1 길이(L1)보다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밀봉 링(1)이 더욱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또, 제2 안정상태에 있는 밀봉 링(1)에서는 탄성 변형한 밀봉 링(1)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탄성력이 상기의 제1 안정상태보다도 커진다. 이 때문에, 제2 안정상태에 있는 밀봉 링(1)은 높은 유압을 받아도, 추가적인 탄성 변형이 발생되기 어렵다.
이렇게, 고유압 시에서의 밀봉 링(1)에서는 제2 테이퍼면(12)이 하우징(H)의 내주면(H1)에 대해서 면 접촉하는 제2 안정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뛰어난 실링성이 수득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밀봉 링(1)은 저유압 시에 제1 안정상태가 되고, 고유압 시에 제2 안정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저유압 시에도 고유압 시에도 뛰어난 실링성을 발휘할 수 있다. 즉, 밀봉 링(1)에서는 유압의 높음에 관계 없이 뛰어난 실링성이 수득된다.
[밀봉 링(1)의 디자인 예]
밀봉 링(1)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와는 다른 디자인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링(1)의 디자인 1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디자인예에 따른 밀봉 링(1a, 1b, 1c)은 측면(30a, 30b)의 구성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밀봉 링(1)과 다르다.
도 6(a)에 나타내는 밀봉 링(1a)에서는 측면(30a, 30b)이 볼록형상의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실링측면(30a)이 샤프트(S)의 홈부(G)의 측면에 대해서 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밀봉 링(1a)에서는 샤프트(S) 사이에서의 프릭션 로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6(b)에 나타내는 밀봉 링(1b)에서는 측면(30a, 30b)의 중앙면(D)에 대한 각도가 일정하지 않고, 내주면(20)측에서 크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내주면(20)측에 있어서 실링측면(30a) 측으로 유입하는 오일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실링측면(30a)에 오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커진다. 이것에 의해, 실링측면(30a)과 샤프트(S)의 홈부(G)와의 접촉압력이 억제되기 때문에, 밀봉 링(1b)과 샤프트(S) 사이에 있어서의 프릭션 로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6(c)에 나타내는 밀봉 링(1c)에서는 측면(30a, 30b)의 내주면(20)측에 오목형상의 포켓(Pa, P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실링측면(30a) 측의 포켓(Pa)에 오일이 유입하는 것에 의해, 실링측면(30a)에 오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커진다. 이것에 의해, 실링측면(30a)과 샤프트(S)의 홈부(G)와의 접촉압력이 억제되기 때문에, 밀봉 링(1c)과 샤프트(S) 사이에서의 프릭션 로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밀봉 링
10: 외주면
11: 제1 테이퍼면
12: 제2 테이퍼면
13: 탑부
14: 경계부
15: R면
20: 내주면
30a, 30b: 측면
C: 중심축
D: 중앙면

Claims (6)

  1. 중심축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된 외주면 및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외주면은,
    상기 평면을 따라서 설치된 탑부와,
    상기 탑부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작은 직경이 되고,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제1 각도를 이루는 제1 테이퍼면과,
    상기 제1 테이퍼면보다도 상기 측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테이퍼면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작은 직경이 되고, 상기 중심축에 대해서 상기 제1 각도보다도 큰 제2 각도를 이루는 제2 테이퍼면을 가지며,
    상기 중심축 방향의 길이가 상기 제1 테이퍼면보다 상기 제2 테이퍼면 쪽이 큰 밀봉 링.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0.1° 이상 1.0° 이하이고, 상기 제2 각도는 1.0° 이상 5.0° 이하인 밀봉 링.
  3. 삭제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과 상기 측면을 접속하는 R면을 추가로 구비하는 밀봉 링.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평면에 근접하는 밀봉 링.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상기 평면에 대해서 상기 제2 각도보다도 큰 제3 각도를 이루는 밀봉 링.
KR1020177019773A 2015-01-08 2015-12-15 밀봉 링 KR101900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02344 2015-01-08
JP2015002344A JP6491885B2 (ja) 2015-01-08 2015-01-08 シールリング
PCT/JP2015/085056 WO2016111121A1 (ja) 2015-01-08 2015-12-15 シールリ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516A KR20170105516A (ko) 2017-09-19
KR101900394B1 true KR101900394B1 (ko) 2018-09-20

Family

ID=56355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773A KR101900394B1 (ko) 2015-01-08 2015-12-15 밀봉 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78651B2 (ko)
JP (1) JP6491885B2 (ko)
KR (1) KR101900394B1 (ko)
CN (1) CN107110361B (ko)
WO (1) WO20161111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4701A1 (de) * 2018-06-19 2019-12-19 Konzelmann Gmbh Hydrodynamisch wirksamer Dichtring und Drehdurchführung mit einem solchen Dichtring
JP7153161B2 (ja) * 2019-12-11 2022-10-13 Ntn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および油圧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701Y2 (ja) 1991-03-27 1997-10-27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オイルシールリング
KR100219767B1 (ko) * 1995-02-16 1999-09-01 오구찌 구니히코 시일링 및 시일장치
JP2012154387A (ja) * 2011-01-25 2012-08-16 Nippon Valqua Ind Ltd シール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60574A (en) * 1966-08-05 1969-08-06 Dowty Seals Ltd Seal
US3727927A (en) * 1968-09-06 1973-04-17 Int Harvester Co Ring manufacture, productive of line contact seal
US3771801A (en) * 1972-06-05 1973-11-13 Greene Tweed & Co Inc Sealing device
US4350352A (en) * 1981-07-24 1982-09-21 Mack Trucks, Inc. Piston ring and groove assemblies
US5524905A (en) * 1994-09-28 1996-06-11 Greene, Tweed Of Delaware, Inc. Sealing assembly with T-shaped seal ring and anti-extrusion rings
US6450502B1 (en) * 1998-11-14 2002-09-17 Ti Specialty Polymer Products, Inc. Rotary seal with relief angle for controlled tipping
JP2002295692A (ja) * 2001-04-02 2002-10-09 Nok Corp シールリング
JP2005003130A (ja) * 2003-06-12 2005-01-06 Nok Corp ガスケットの組付け方法及びガスケット
JP2006316947A (ja) * 2005-05-16 2006-11-24 Mitsubishi Cable Ind Ltd 塗装機用ピストンパッキン
JP2012255495A (ja) 2011-06-09 2012-12-27 Nok Corp シールリング
JP2014202221A (ja) * 2013-04-01 2014-10-27 Nok株式会社 シールリング及び密封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701Y2 (ja) 1991-03-27 1997-10-27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オイルシールリング
KR100219767B1 (ko) * 1995-02-16 1999-09-01 오구찌 구니히코 시일링 및 시일장치
JP2012154387A (ja) * 2011-01-25 2012-08-16 Nippon Valqua Ind Ltd シール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10361B (zh) 2019-06-18
US20180274679A1 (en) 2018-09-27
CN107110361A (zh) 2017-08-29
JP2016125644A (ja) 2016-07-11
KR20170105516A (ko) 2017-09-19
WO2016111121A1 (ja) 2016-07-14
US10378651B2 (en) 2019-08-13
JP6491885B2 (ja)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2660B2 (en) Gasket
JP5352007B2 (ja) シールリング
JP5548312B2 (ja) シールリング
JP6847888B2 (ja) ガスケットの装着構造
JP6191689B2 (ja) シールリング
JP6314689B2 (ja) 密封装置
CN109642675B (zh) 密封装置
WO2016148048A1 (ja) シールリング
US8720901B2 (en) Seal ring
KR101927598B1 (ko) 밀봉 장치
KR102391390B1 (ko) 밀봉 링
US9303767B2 (en) Seal ring
KR102362482B1 (ko) 실 링
KR101900394B1 (ko) 밀봉 링
JP5807095B2 (ja) シールリング及びシール装置
JP5545420B1 (ja) シールリング
JP6718346B2 (ja) ヘルールガスケット
JP2010265937A (ja) シールリング
US11614169B2 (en) Seal ring
WO2016132981A1 (ja) 密封装置及び密封構造
JP6839148B2 (ja) シールリング
JP6910260B2 (ja) 密封構造体
JP7474632B2 (ja) シール部材
KR102038238B1 (ko) 실 링
JP2018004027A (ja) 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