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848Y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848Y1
KR200497848Y1 KR2020220002320U KR20220002320U KR200497848Y1 KR 200497848 Y1 KR200497848 Y1 KR 200497848Y1 KR 2020220002320 U KR2020220002320 U KR 2020220002320U KR 20220002320 U KR20220002320 U KR 20220002320U KR 200497848 Y1 KR200497848 Y1 KR 200497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coupling portion
peripheral surface
contai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Priority to KR2020220002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48Y1/ko
Priority to PCT/KR2023/014771 priority patent/WO202407196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품이 저장되도록 구성된 내부 공간과, 상단에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구획하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진 결합부를 포함하는 용기; 및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중앙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장부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장부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는 돌기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기 외주면의 상단보다 반경 외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고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와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가 반경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와이퍼 분리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 분리 공간은 상기 결합부의 상기 상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고, 상기 와이퍼 분리 공간의 상단은 상기 걸림부의 하단면이 정의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 {CONTAINER FOR COSMETICS}
본 개시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그 물성 및 사용방법 등의 차이로 인하여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 용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화장품이 저장된 용기의 주입구에는 화장품의 배송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화장품의 누액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퍼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와이퍼는 화장품의 누액 방지를 위해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어 있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 용기 내의 화장품은 와이퍼를 거쳐 외부로 토출된다. 와이퍼의 화장품 누액 방지라는 기능상, 와이퍼는 결합되는 용기와 이종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화장품이 저장되는 용기는 유리 소재 및 기타 이의 대체 소재들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와이퍼는 폴리에틸렌(PE) 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환경 문제로 분리 수거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와이퍼는 화장품이 저장되는 용기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므로 용기와는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와이퍼는 누액 방지를 위하여 용기와의 분리가 매우 어렵게 제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용기의 재활용률과 와이퍼의 분리 배출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진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와이퍼와 용기를 강하게 결합시켜 화장품의 누액을 방지하면서도, 와이퍼와 용기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사용자 입장에서 와이퍼의 둘레 부분 중 어느 위치에서나 편리하게 와이퍼에 힘을 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와이퍼를 용기로부터 보다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화장품 용기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품이 저장되도록 구성된 내부 공간과, 상단에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구획하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진 결합부를 포함하는 용기; 및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중앙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장부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장부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는 돌기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기 외주면의 상단보다 반경 외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고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와이퍼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가 반경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와이퍼 분리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 분리 공간은 상기 결합부의 상기 상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고, 상기 걸림부의 하단면은 상기 와이퍼 분리 공간의 상단을 정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는 상기 와이퍼의 상기 중앙 홀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의 화장품을 빨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된 스포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돌기부보다 하측의 위치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중앙 홀과 연통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와이퍼의 돌기부가 상측에서 걸림되도록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돌기는 상기 연장부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용기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와이퍼를 반경 외측 방향에서 가리는 내주면을 가지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와이퍼 분리 공간보다 하측의 위치에서 상기 커버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의 상기 내주면을 마주보는 커버 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단면 상에서, 상기 커버 대응부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의 말단은 상기 걸림부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의 돌출 말단의 위치보다 반경 외측 방향에 위치하거나 상기 돌출 말단과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와이퍼를 화장품 용기에 결합하여 화장품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와이퍼 분리 공간을 통해 와이퍼를 보다 편리하게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장품 용기의 재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와이퍼 분리 공간이 용기의 주위를 에워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으로 용기 주입구의 둘레 부분 중 어느 위치에서나 와이퍼에 힘을 가할 수 있음으로써, 와이퍼를 용기로부터 더욱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에서 커버 및 스포이드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용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화장품 용기를 A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화장품 용기를 스포이드가 제거된 상태에서 S1-S1`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장품 용기에서 커버 및 스포이드가 제거된 상태에서 와이퍼가 들어올려지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 6과 같은 방법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와이퍼가 용기에 결합되기 전 상태에서 와이퍼가 용기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반경방향"의 방향지시어는 용기의 개구부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축에 대한 방사상 방향(radial direc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경 외측 방향"의 방향지시어는 중심축에 대한 방사상 방향(radial direction) 중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반경 내측 방향"의 방향지시어는 반경 외측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면들에는 중심축(C), 상측 방향(U), 하측 방향(D), 반경 외측 방향(OR) 및 반경 내측 방향(IR)이 도시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1)에서 커버(30) 및 스포이드(4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화장품 용기(1)는 용기(10) 및 와이퍼(2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용기(1)는 커버(30) 및 스포이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용기(1)는 내부에 화장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화장품은 토너, 앰플 및 크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용기(10)의 결합부(110)가 구획하는 개구부(10h)에는 와이퍼(20)가 삽입될 수 있다. 와이퍼(20)는 용기(10)에 밀착되어 삽입되고 중앙 홀(20h)을 통해 내부 공간의 화장품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용기(10)는 유리 소재 및 기타 이의 대체 소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퍼(20)는 자체 탄성력이 있는 폴리에틸렌(PE) 등의 합성수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 및 스포이드(40)를 용기(10)에 결합시킴으로써, 화장품이 저장된 내부 공간을 폐쇄시킬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 및 스포이드(40)를 용기(10)와 결합 해제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화장품 용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장품 용기(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화장품 용기(1)를 A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화장품 용기(1)를 스포이드(40)가 제거된 상태에서 S1-S1`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장품 용기(1)에서 커버(30) 및 스포이드(40)가 제거된 상태에서 와이퍼(20)가 들어올려지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화장품 용기(1)는 용기(10), 와이퍼(20), 커버(30) 및 스포이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10)는 상기 내부 공간(120g)과 연통되는 개구부(10h)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10h)는 용기(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0h)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0h)는 상하 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형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10h)는 내부 공간(120g)과 외부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기(10)는 내부에 화장품이 저장되도록 구성된 내부 공간(120g)을 가질 수 있다. 내부 공간(120g)은 개구부(10h)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는 결합부(110) 및 수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0)는 용기(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0)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0)의 내주면은 개구부(10h)를 구획할 수 있다. 결합부(110)의 외주면은 커버 대응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대응부(111)는 커버(30)와 결합되는 나사산(112)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112)은 커버 대응부(11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대응부(111)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의 말단(111a)은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수용부(120)는 결합부(11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수용부(120)의 상단면의 중심 부분에 결합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20)의 내부에는 화장품이 저장되도록 구성된 내부 공간(120g)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공간(120g)은 상측에 위치한 개구부(10h)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수용부(120)는 내부 공간(120g)의 반경 외측 방향 일단 및 하단을 구획할 수 있다. 수용부(120)의 상하 방향에 수직한 단면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의 넓이는 결합부(110)의 같은 방법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의 넓이보다 클 수 있다.
와이퍼(20)는 내부 공간(120g)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중앙 홀(20h)이 형성될 수 있다. 중앙 홀(20h)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중앙 홀(20h)은 후술할 연장부(210) 및 걸림부(22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중앙 홀(20h)의 상단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중앙 홀(20h)의 하단은 내부 공간(120g)과 연통될 수 있다. 중앙 홀(20h)은 하단에 내부 공간(120g)을 바라보는 스포이드 홀(20s)을 포함할 수 있다. 스포이드 홀(20s)은 후술할 스포이드(40)의 관체(410)가 밀착하여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퍼(20)는 연장부(210), 돌기부(230) 및 걸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10)는 개구부(10h)에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210)는 개구부(10h)의 단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30)는 연장부(210)의 외주면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기부(230)는 연장부(210)의 하단보다 상단에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30)는 연장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30)는 반경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돌기부(230)는 결합부(11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돌기부(230)는 연장부(210)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쌀 수 있다. 돌기부(230)는 결합부(110)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써, 와이퍼(20)가 용기(1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부(230)와 결합부(110)의 내주면이 밀착됨으로써, 중앙 홀(20h)을 제외한 다른 공간을 통해서 내부 공간(120g)과 외부를 연통시킬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부(220)는 연장부(210)의 상단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220)는 결합부(110)의 외주면의 상단보다 더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220)는 결합부(110)의 상단에 걸릴 수 있다. 걸림부(220)의 하단면(220d)의 적어도 일부는 결합부(110)의 상단에 걸릴 수 있다. 걸림부(220)는 연장부(210)의 상단을 둘레 방향으로 에워쌀 수 있다. 걸림부(220)는 중앙 홀(20h)의 상단을 구획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결합부(110)는 반경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와이퍼 분리 공간(20g)을 형성할 수 있다. 와이퍼 분리 공간(20g)은 결합부(110)의 상단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0) 상단부의 외주면(110i)은 와이퍼 분리 공간(20g)의 반경 내측 방향 일단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외주면(110i)의 하단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분리 공간 하단부(110d)는 와이퍼 분리 공간(20g)의 하단을 구획할 수 있다. 분리 공간 하단부(110d)는 반경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상하 방향의 레벨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20)의 하단부(220d)는 와이퍼 분리 공간(20g)의 상단을 구획할 수 있다. 와이퍼 분리 공간(20g)은 결합부(110)의 상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쌀 수 있다. 와이퍼 분리 공간(20g)은 결합부(110)의 외주면이 반경 외측 방향으로 바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0)와 와이퍼(20)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인 와이퍼 분리 공간(20g)을 형성함으로써, 와이퍼 분리 공간(20g)을 통해 걸림부(220)에 상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와이퍼(20)는 연질 재료인 폴리에틸렌(P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퍼(20)는 연질 재료인 폴리에틸렌(PE)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걸림부(220)에 상측으로 힘을 가할 때, 반경 외측 방향 끝단 부분(220e)이 상측으로 탄성 휨 변형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와이퍼(20)의 반경 외측 방향 끝단 부분(220e)이 일부 변형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쉽게 와이퍼를 용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퍼 분리 공간(20g)이 결합부(110)의 상단부를 에워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 결합부(110)의 둘레 부분 중 어느 위치에서나 쉽게 손가락을 와이퍼 분리 공간(20g)으로 넣어 와이퍼(20)를 용기(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커버(30)는 결합부(110)와 탈부착 가능하게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커버(30)는 결합부(110)와 와이퍼(20)를 반경 외측 방향에서 가릴 수 있다. 커버(30)는 원통 형상을 가진 커버 바디(3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바디(31)는 결합부(110) 및 와이퍼(20)를 가리는 내주면을 가질 수 있다. 커버 바디(31)의 내주면은 반경 내측 방향을 바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바디(31)의 내주면에는 결합부(110)의 나사산(112)에 상호 대응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바디(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커버 홀(30h)이 형성되도록 상측면(31a)이 개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홀(30h)은 후술할 스포이드(4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0)의 외주면은 커버(30)의 내주면을 마주보는 커버 대응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0)의 상기 외주면은 와이퍼 분리 공간(20g)보다 하측의 위치에서 커버(3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10)의 나사산(112)과 커버 바디(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스포이드(40)는 내부 공간(120g)의 화장품을 빨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포이드(40)는 내부 공간(120g)의 화장품을 빨아들여 수용할 수 있는 관을 가진 관체(410)를 포함할 수 있다. 관체(4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와이퍼(20)의 중앙 홀(20h)을 관통하여 내부 공간(120g)의 액체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체(410)의 상부에는 내부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내부 공간(120g)의 화장품을 관체(410)로 빨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된 벌브(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장부(210)에는 반경 외측 방향으로 개구된 잔류 홀(210h)이 형성될 수 있다. 잔류 홀(210h)은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잔류 홀(210h)은 와이퍼(20)의 중앙 홀(20h)과 연통될 수 있다. 잔류 홀(210h)은 돌기부(230)보다 하측의 위치에서 개구될 수 있다. 관체(410)가 화장품 액체를 인출할 때, 관체(410)는 스포이드 홀(20s)을 통해 와이퍼(20)의 하단부에 밀착하여 이동함으로써 스포이드 홀(20s)을 구획하는 연장부(210)의 하단부는 관체(410)의 외주면에 묻은 화장품을 긁을 수 있고, 긁혀진 화장품은 연장부(210)의 잔류 홀(210h)을 통해 다시 용기(10)의 내부 공간(120g)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잔류하는 화장품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커버(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커버(30)가 결합부(11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커버 대응부(111)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의 말단(111a)은 나사산(112)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의 말단(111a)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대응부(111)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의 말단(111a)은 걸림부(220)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의 돌출 말단(111a)의 위치보다 반경 외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커버 대응부(111)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의 말단(111a)은 걸림부(220)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의 돌출 말단(220a)의 위치보다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한다는 것은 커버 대응부(111)의 상기 말단(111a)과 걸림부(220)의 상기 말단(220a)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수직선 상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이 구성하여, 걸림부(220)의 상기 말단(220a)이 커버 대응부(111)의 상기 말단(111a)보다 돌출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는 와이퍼 분리 공간(20g)을 통해 결합부(110)의 어느 위치에서나 와이퍼(20)에 쉽게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와이퍼 분리 공간(20g)의 상측에 걸림부(220)가 돌출되면서도, 이러한 와이퍼(20)의 걸림부(220)의 돌출 부분이 커버(30)와 용기(10)의 탈부착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여 와이퍼(20)가 용기(1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커버(30)와 용기(10)의 탈부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를 도 6과 같은 방법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화장품 용기(1)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들 구성 요소에 대한 공통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한다. 이하에서는, 결합부(1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결합부(110)의 내주면에는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110t)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110t)는 결합부(110)의 내주면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110t)는 반경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110t)는 와이퍼(20)의 돌기부(230)가 상측에서 걸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퍼(20)가 결합부(1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돌기(110t)는 돌기부(23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걸림 돌기(110t)는 연장부(210)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걸림 돌기(110t)를 구성함으로써, 와이퍼(20)를 보다 더 안정적이고 밀착성 있게 용기(1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와이퍼 분리 공간(20g)을 통해 와이퍼(20)를 용기(10)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화장품 용기, 10: 용기, 110: 결합부, 120: 수용부, 120g: 내부 공간, 20: 와이퍼, 20g: 와이퍼 분리 공간, 210: 연장부, 220: 걸림부, 230: 돌기부, 30: 커버, 40: 스포이드

Claims (6)

  1. 내부에 화장품이 저장되도록 구성된 내부 공간과, 상단에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구획하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진 결합부를 포함하는 용기; 및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중앙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기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연장부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장부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는 돌기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기 외주면의 상단보다 반경 외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고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와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가 반경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와이퍼 분리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 분리 공간은 상기 결합부의 상기 상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고,
    상기 와이퍼 분리 공간의 상단은 상기 걸림부의 하단면이 정의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의 상기 중앙 홀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의 화장품을 빨아들일 수 있도록 구성된 스포이드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돌기부보다 하측의 위치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중앙 홀과 연통된 홀이 형성된,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와이퍼의 돌기부가 상측에서 걸림되도록 반경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돌기는 상기 연장부를 둘레 방향으로 에워싸도록 구성된,
    화장품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와이퍼를 반경 외측 방향에서 가리는 내주면을 가지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와이퍼 분리 공간보다 하측의 위치에서 상기 커버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의 상기 내주면을 마주보는 커버 대응부를 포함하고,
    수직 단면 상에서, 상기 커버 대응부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의 말단은 상기 걸림부의 반경 외측 방향으로의 돌출 말단의 위치보다 반경 외측 방향에 위치하거나 상기 돌출 말단과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220002320U 2022-09-29 2022-09-29 화장품 용기 KR200497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20U KR200497848Y1 (ko) 2022-09-29 2022-09-29 화장품 용기
PCT/KR2023/014771 WO2024071962A1 (ko) 2022-09-29 2023-09-26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20U KR200497848Y1 (ko) 2022-09-29 2022-09-29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848Y1 true KR200497848Y1 (ko) 2024-03-18

Family

ID=9047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320U KR200497848Y1 (ko) 2022-09-29 2022-09-29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7848Y1 (ko)
WO (1) WO202407196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613B1 (ko) * 2015-10-02 2016-03-2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KR20190051818A (ko) * 2017-11-07 2019-05-15 람손 에스.피.에이. 와이퍼 장치
KR102201545B1 (ko) * 2020-06-15 2021-01-11 김선태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343446B1 (ko) * 2021-11-15 2021-12-27 주식회사 파우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420B1 (ko) * 2019-05-17 2021-01-04 펌텍코리아(주)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641865B1 (ko) * 2021-07-21 2024-02-29 (주)코스알엑스 용기로부터 패킹의 분리가 용이한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613B1 (ko) * 2015-10-02 2016-03-2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KR20190051818A (ko) * 2017-11-07 2019-05-15 람손 에스.피.에이. 와이퍼 장치
KR102201545B1 (ko) * 2020-06-15 2021-01-11 김선태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343446B1 (ko) * 2021-11-15 2021-12-27 주식회사 파우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962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3019B (zh) 用于自动填充和固定量分配的注射器式容器盖
CN101052571B (zh) 儿童防护性分配封闭物、包装和制造方法
US20050247714A1 (en) Closure for drink bottle
CN111542244A (zh) 化妆品的包装服务囊壳以及相关的包装装置
US20170267425A1 (en) Anti-glug device for liquid containers and pour spouts
CA1048443A (en) Containers with screw caps
KR200497848Y1 (ko) 화장품 용기
US5052595A (en) Closure cap having structure for minimizing dripping
WO2023216797A1 (zh) 一种瓶盖及容器
JP6639921B2 (ja) キャップ
KR20180127753A (ko) 리필 립스틱 용기
US20090139884A1 (en) Tube-type container
JP4840568B2 (ja) キャップ
JP2007145353A (ja) キャップ
US11530078B2 (en) Contents container
US2522832A (en) Liquid container and dropper
CA2597749C (en) Container applied in medical drugs and cosmetic items packaging
KR102356605B1 (ko) 화장품 용기
CN208248867U (zh) 一种单手操作的密封盒
US20220111994A1 (en) Bottle storing two different types of liquid
KR102404107B1 (ko) 펌프식 화장품 용기
JP7394616B2 (ja) 計量キャップ
KR20020026069A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CN217743965U (zh) 一种便携式食品加工机
KR102029097B1 (ko) 힌지결합부가 내측으로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