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545B1 -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545B1
KR102201545B1 KR1020200072219A KR20200072219A KR102201545B1 KR 102201545 B1 KR102201545 B1 KR 102201545B1 KR 1020200072219 A KR1020200072219 A KR 1020200072219A KR 20200072219 A KR20200072219 A KR 20200072219A KR 102201545 B1 KR102201545 B1 KR 102201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pper
container
wiper
cosmetic
screw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235A (ko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김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태 filed Critical 김선태
Priority to KR102020007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54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며, 상부에 용기입구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입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크류캡, 상기 스크류캡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료를 인출하기 위한 스포이드부 및 상기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스포이드부 외면에 묻은 화장료를 훑어내는 와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는, 상기 용기입구의 상면에 걸리도록,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하단부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리브 및 상기 리브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포이드부를 가압하는 링 형상의 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부는 일측에 슬릿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HAVING A WIPER}
본 발명은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내용물, 기능, 화장품의 종류, 용도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화장품 내용물의 타입 별로도 파우더, 액체, 겔(gel) 또는 크림(cream), 고체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다양한 화장품 내용물을 담는 용기도 화장품 내용물이나 종류, 기능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스킨과 로션과 같은 액상 화장품 용기의 경우 내부에 내용물이 일정량 수용되고 입구 및 배출구인 용기입구는 좁게 형성되며 평상시에는 캡에 의하여 입구가 막힌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종래의 화장품 용기 사용시 캡을 분리하고 용기를 기울여서 사용하거나 또는 그 상태로 충격을 주어 용기입구를 통해 내용물을 손에 묻힌 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적정한 양의 화장품을 조절하여 배출하는 것이 힘들고 내용물이 손에 묻어 낭비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사용량이 적으면서 고가에 판매되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에는 내용물을 흡입하고 피부에 도포 가능하게 형성된 스포이드를 캡에 장착한 화장품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스포이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스포이드를 용기에서 인출할 때, 스포이드의 외면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떨어지거나, 용기의 주변에 묻어 오염될 수 있고, 오염된 내용물은 주변에서 굳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포이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스포이드가 용기로부터 인출될 때 스포이드의 외면을 훑어주는 와이퍼(Wiper)가 장착되었다. 그러나, 와이퍼를 장착함에 따라 화장품 용기의 용기입구가 좁아지고, 이에 따라 스포이드의 인출 및 인입이 용이하지 않게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스포이드의 단부가 만곡지거나 "L"자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스포이드의 인출 시 단부가 와이퍼에 걸리게 되면서, 와이퍼가 용기의 용기입구로부터 빠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포이드부에 화장료가 과도하게 묻어있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스포이드부의 인출 및 인입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며, 상부에 용기입구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입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크류캡, 상기 스크류캡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료를 인출하기 위한 스포이드부, 및 상기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스포이드부 외면에 묻은 화장료를 훑어내는 와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는, 상기 용기입구의 상면에 걸리도록,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하단부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리브 및 상기 리브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포이드부를 가압하는 링 형상의 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부는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는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포이드부는,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흡입 및 배출하는 관 형상의 스포이드관 및 상기 스포이드관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스포이드관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부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링부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링부의 슬릿이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링부가 서로 연결되어 사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는, 스포이드부가 와이퍼를 통해 인출 및 인입 시 화장료가 훑어지면서 과도하게 묻어있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용기본체 주변의 오염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는, 링부에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스포이드부의 인출 및 인입 시 스포이드부를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스포이드부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으며, 와이퍼가 용기본체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설명함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에서 덮개부재(70)쪽을 상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하고 덮개부재(70)에서 용기본체(10) 쪽을 하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본체(10), 스크류캡(30), 스포이드부(40), 덮개부재(70), 와이퍼(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화장품 용기(1)는 화장품, 특히 로션 등과 같은 액상의 화장품 도포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파운데이션, 에센스, 앰플 등의 화장품 용기일 수 있다.
용기본체(10)는 내부에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료가 일정량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화장료는 액상의 스킨, 로션, 에센스, 파운데이션과 같이 얼굴, 손, 입술 등 신체부위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용기본체(10)는 상부측이 개구된 용기 형상일 수 있다. 용기본체(10)는 저장된 화장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에 용기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입구(12)의 외측면에는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결합부(16)가 형성되며, 제1 결합부(16)는 나사산일 수 있다.
스크류캡(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캡(30)의 중심부 내측면에는 제1 결합부(16)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응나사산이 제1 결합부(16)와 나사결합되면서, 스크류캡(30)이 용기입구(12)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스크류캡(30)의 상부에는 제2 결합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는 스크류캡(30)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캡(30)에는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가능 하도록 스포이드부(4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포이드부(40)는 헤드부(41) 및 스포이드관(45)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41)는 하부측이 개구된 헤드부입구(42)가 형성되고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41)는 하단부 외측면에 끼움부(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41)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어, 가압 여부에 따라 탄성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부(41)가 스크류캡(30)에 결합될 때 끼움부(43)가 제2 결합부(32)의 내부에 끼워져서 헤드부(41)가 스크류캡(3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41)의 하부측에는 제1 경사면(43a) 및 제2 경사면(43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43a)은 헤드부입구(42)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제1 경사면(43a)과 연결되는 제2 경사면(43b)은 다시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포이드관(45)은 상단부가 헤드부입구(42)에 결합되어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관 형상일 수 있으며,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포이드관(45)은 용기입구(12)를 통해 용기본체(10) 내부로 삽입되어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빨아들여서 사용할 수 있다.
스포이드관(45) 상단부 외측면에 고정턱(46)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포이드관(45)이 헤드부입구(42)에 삽입될 경우, 고정턱(46)이 헤드부(41)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경사면(43a)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턱(46)이 제1 경사면(43a)을 따라 삽입된 후에는, 제2 경사면(43b)에 의해 고정턱(46)이 걸리게 되므로 스포이드관(45)이 헤드부(41)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41)는 사용자의 가압여부에 따라 형상을 변형시킴으로써 스포이드관(45)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스포이드관(45) 내부로 화장료를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포이드부(40)는 스크류캡(30)과 결합됨으로 사용자가 스크류캡(30)을 파지하여 용기본체(10)에서 분리시킬 때, 스포이드관(45)이 용기본체(10)에서 인출되어, 스포이드관(45) 내부에 머금어져 있던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덮개부재(7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재(70)는 내측면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덮개부재가 스크류캡(30)의 상면에 안착 시, 돌기가 제2 결합부(32)의 외측면에 의해 가압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부(41)는 덮개부재(70)에 의해 보호되어, 스포이드부(4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와이퍼(90)는 걸림부(91), 돌출부(93), 제1 리브(95) 및 제1 링부(97)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퍼(90)는 원통 형상으로,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와이퍼(90)는 용기입구(12)에 끼움 결합되어 스포이드부(40)의 인입 및 인출 시 스포이드관(45)의 외측면에 묻어 있는 화장료를 훑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걸림부(9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와이퍼(90)가 용기입구(12)에 삽입될 때 걸림부(91)에 의해 용기입구(12)의 상면에 걸려 안착될 수 있다. 걸림부(91)는 와이퍼(90)가 용기본체(1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93)는 걸림부(91)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와이퍼(90)가 용기입구(12)에 삽입될 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용기입구(12)의 상단 내측면에는 고정부(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용기입구(12)는 상단부 내경이 고정부(14)에 의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4)는 와이퍼(90)의 돌출부(9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와이퍼(90)가 용기입구(12)에 삽입될 때 돌출부(93)가 고정부(14)에 걸려 고정되므로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제1 리브(95)는 돌출부(93)의 하단부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리브(95)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1 리브(95)는 이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1 리브(95)가 이격된 공간은 화장료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홀(9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리브(95)는 6개 내지 10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리브(95) 중 한 쌍의 제1 리브(95)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93) 및 제1 리브(95)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와이퍼(90)는 전체적으로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브(95) 내측에 스포이드관(45)이 위치할 때, 제1 리브(95)와 스포이드관(45)이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브(95)의 하단부에는 각각의 제1 리브(95)가 연결되도록 링부(9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부(97)는 링 형상으로 외측면이 각각 제1 리브(95)의 하단 내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링부(97)는 스포이드관(45)이 인입 및 인출될 경우, 제1 링부(97)의 내측면이 스포이드관(45)의 외측면과 접촉하면서 스포이드관(45)에 묻은 화장료가 훑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스포이드관(45)의 외면에 묻은 화장료가 제1 링부(97)에 의해 긁어내지고, 긁어내진 화장료는 이동홀(98)을 통해 빠져나가 용기본체(10)로 회수될 수 있다.
한편, 제1 링부(97)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슬릿(9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릿(99)은 복수개의 제1 리브(95)가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릿(99)은 하나로 형성되어 스포이드관(45)이 인출 및 인입될 때 스포이드관(45)에 가압함으로써 스포이드관에 묻은 화장료를 긁어낼 수 있다.
스포이드관(45)의 외경이 제1 링부(97)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스포이드관(45)의 단부가 구부러져 형성되는 경우 등 스포이드관(45)이 와이퍼(90)를 통해 인출 및 인입될 때 제1 링부(97)가 슬릿(99)을 기준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링부(97)가 외측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제1 리브(95)의 하단부가 함께 외측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제1 리브(95)를 통해 제1 링부(97)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제1 리브(95) 사이에는 이동홀(98)이 형성되어 제1 리브(95)의 변형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포이드관(45)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스포이드관(45)이 인출 및 인입될 때 와이퍼(90)가 용기입구(1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1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90a)는 걸림부(91), 돌출부(93), 제2 리브(95a) 및 제1 링부(97)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91), 돌출부(93) 및 제1 링부(97)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변형예로서 와이퍼(90a)는 제2 리브(95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브(95a)는 돌출부(90a)의 하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화장료를 긁어내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2 리브(95a)는 4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 리브(95a)가 이격된 공간에는 이동홀(9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2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90b)는 걸림부(91), 돌출부(93), 제1 리브(95), 제2 링부(9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변형예로서 와이퍼(90b)는 제2 링부(97b)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제2 링부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링부(97b)를 통해서 스포이드관(45)의 외측면이 한 쌍의 제2 링부(97b)의 내측면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스포이드관(45)에 묻은 화장료가 훑어질 수 있다. 즉, 제2 링부(97b)가 2개로 형성됨으로써 스포이드관(45)에 묻은 화장료가 연속적으로 훑어지면서 효과적으로 훑어질 수 있다.
이때, 스포이드관(45)이 2개의 제2 링부(97b)를 통과하면서 긁어내진 화장료는 이동홀(98)을 통해 빠져나가 용기본체(10)로 회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제3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90c)는 걸림부(91), 돌출부(93), 제1 리브(95), 제3 링부(97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3 변형예로서 와이퍼(90c)는 제3 링부(97c)는 제2 링부(97b)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슬릿(99)이 형성된 위치가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각 슬릿(99)은 어긋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스포이드관(45)이 통과할때 와이퍼(90c)의 일측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스포이드관(45)의 외면이 균일하게 훑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4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90d)는 걸림부(91), 돌출부(93), 제1 리브(95), 제4 링부(97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4 변형예로서 와이퍼(90d)는 제4 링부(97d)가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링부(97d)는 리브(95)의 내측 하단부에서부터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리브(95)의 내측 상단부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포이드관(45)의 외측면이 나선형 제4 링부(97d)의 내측면에 연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스포이드관(45)에 묻은 화장료가 효과적으로 훑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5 변형예에 따른 와이퍼(90e)는 걸림부(91), 돌출부(93), 리브(95), 제5 링부(97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5 변형예로서 와이퍼(90e)는 제5 링부(97e)에 사선의 슬릿(99e)이 형성될 수 있다. 제5 링부(97e)는 제1 링부(97)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슬릿(99e)이 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릿(99e)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스포이드관(45)이 통과할때 와이퍼(90e)의 일측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고, 스포이드관(45)의 외면을 더 강하게 가압하여 효과적으로 훑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용기본체 12: 용기입구
14: 고정부 16: 제1 결합부
30: 스크류캡 32: 제2 결합부
40: 스포이드부 41: 헤드부
42: 헤드부입구
43: 끼움부 43a: 제1 경사면
43b: 제2 경사면
45: 스포이드관 46: 고정턱
70: 덮개부재
90,90a,90b,90c,90d,90e: 와이퍼 91: 걸림부
93: 돌출부 95,95a: 리브
97,97b.97c,97d,97e: 링부 98: 이동홀
99,99e: 슬릿

Claims (5)

  1. 내부에 화장료가 수용되고 상부에 용기입구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입구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중심부가 관통 형성된 스크류캡;
    상기 스크류캡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료를 인출하기 위한 스포이드부; 및
    상기 용기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스포이드부 외면에 묻은 화장료를 훑어내는 와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입구의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캡의 중심부 내측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나사결합되는 대응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캡의 상부에는 돌출 형성되고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류캡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스크류캡을 덮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제2 결합부의 외측면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된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포이드부는,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를 흡입 및 배출하는 관 형상의 스포이드관; 및
    하부측에 개구된 헤드부입구가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스포이드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부가 형성되며,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스포이드관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헤드부입구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연결되며 상부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스포이드관의 상단부 외측면에는 상기 제2 경사면에 걸려 상기 헤드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입구의 상면에 걸리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하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걸리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에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복수개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는 리브; 및
    나선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리브의 내측 하단부에서부터 상기 리브의 내측 상단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스포이드부를 가압하는 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및 리브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부는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은 사선 형태로 형성되는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72219A 2020-06-15 2020-06-15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201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219A KR102201545B1 (ko) 2020-06-15 2020-06-15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219A KR102201545B1 (ko) 2020-06-15 2020-06-15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021 Division 2019-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235A KR20200135235A (ko) 2020-12-02
KR102201545B1 true KR102201545B1 (ko) 2021-01-11

Family

ID=73791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219A KR102201545B1 (ko) 2020-06-15 2020-06-15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5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821A (ko) 2022-06-03 2023-12-12 원세연 와이퍼를 장착한 화장품 앰플용기
KR200497848Y1 (ko) * 2022-09-29 2024-03-18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7321B1 (fr) * 2020-12-14 2022-12-23 Qualipac Sa Essoreur pour applicateur de produit liquide
KR102382964B1 (ko) * 2021-08-30 2022-04-08 주식회사 파우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KR200496017Y1 (ko) * 2022-05-16 2022-10-13 임승근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뚜껑
WO2024039179A1 (ko) * 2022-08-16 2024-02-22 주식회사 신우 자동 충전 기능을 갖는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212B1 (ko) * 2015-02-03 2021-10-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714348B1 (ko) * 2015-06-22 2017-03-09 (주)연우 스폰지 와이퍼가 구비된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7821A (ko) 2022-06-03 2023-12-12 원세연 와이퍼를 장착한 화장품 앰플용기
KR200497848Y1 (ko) * 2022-09-29 2024-03-18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화장품 용기
WO2024071962A1 (ko) * 2022-09-29 2024-04-04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235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545B1 (ko)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US6305861B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and a refill element for such a device
US4483825A (en) Pipette and filter combination
US6244776B1 (en) Applicators for health and beauty products
US4784505A (en) Container with stripper
EP0749759B1 (de) Vorrichtung zur Abgabe eines fliessfähigen Stoffes aus einem Behälter
US4168032A (en) Expandable syringe and sprinkler cap therefor
WO1999029585A1 (en) Package for dispensing flowable cosmetics
US4974981A (en) Cosmetic powder brush with metered powder dispenser
US4189245A (en) Suction producing disposable pump and dispenser
KR20140005218U (ko)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EP3107417B1 (en) Applicator having a lid usable as a handle
KR20200112921A (ko) 압착 병(squeeze bottle)으로부터 마이크로-용량의 드롭렛(droplet)을 제공하기 위한 어셈블리 및 방법
DE3425900A1 (de) Vorrichtung mit tropfenzaehler zum abgeben einer fluessigen oder pastoesen substanz
JP2011518598A (ja) チューブ型化粧品容器
US6174099B1 (en) Device for applying liquid cosmetic products
KR200469855Y1 (ko) 스포이드 결합형 분말 혼합 화장용기
US20190281953A1 (en) Material dispenser/applicator
US4190180A (en) Liquid dispenser
EP4327693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utomatic dropper
KR101010154B1 (ko) 스포이드
US20150104236A1 (en) Liquid applicator
KR200436166Y1 (ko) 페인팅 솔이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US3073319A (en) Nail polish applicator
KR20230167821A (ko) 와이퍼를 장착한 화장품 앰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