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808Y1 -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 - Google Patents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808Y1
KR200497808Y1 KR2020220002685U KR20220002685U KR200497808Y1 KR 200497808 Y1 KR200497808 Y1 KR 200497808Y1 KR 2020220002685 U KR2020220002685 U KR 2020220002685U KR 20220002685 U KR20220002685 U KR 20220002685U KR 200497808 Y1 KR200497808 Y1 KR 2004978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opening
closing
base membe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주)Gy텐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Gy텐트 filed Critical (주)Gy텐트
Priority to KR2020220002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8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8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곡물 등을 적재하는 천막창고에서 곡물 등이 수직벽체를 넘어 갔을 때 넘어 온 곡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쉽게 인출하도록 할 수 있는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안쪽에 배치된 내측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수직벽체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과 상기 수직벽체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를 포함한 창고의 외부를 덮으면서,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메인천막부재와; 상기 메인천막부재를 팽팽하게 전개시키는 천막전개부재와; 상단이 상기 메인천막부재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 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천막개폐부재와; 상기 천막개폐부재의 하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천막개폐부재가 상승함에 의해 상기 메인천막부재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형성된 개폐구는 외부로 개방되고, 상기 유동방지부재에 의해 상기 천막개폐부재는 임의로 개폐되거나 유동되는 것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 { Lower fixing and opening/closing structure of tent warehouse }
본 고안은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곡물 등을 적재하는 천막창고에서 곡물 등이 수직벽체를 넘어 갔을 때 넘어 온 곡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쉽게 인출하도록 할 수 있는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막을 설치할 때에는 지면에 가설되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골조 구조물 위에 천막부재를 덮어 설치한다.
이러한 천막부재는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천막전개부재를 사용한다.
한편, 곡물 등을 천막창고 내부에 적재할 경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벽체의 내부에 적재하게 된다.
곡물을 많이 적재되게 되면 곡물이 수직벽체를 넘어 갈 수가 있다.
이렇게 곡물이 많이 적재되어 수직벽체를 넘어가게 되면, 수직벽체를 넘어 온 곡물이 천막부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천막부재에 의해 막히면서 천막부재가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었다.
특히 천막부재의 하부가 베이스부재에 고정된 경우에는, 곡물의 측면하중에 의해 천막부재는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되게 되고, 이 경우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천막부재가 찢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이 수직벽체를 넘어 와 수직벽체와 천막부재 사이에 존재하는 곡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베이스부재에 고정 결합된 천막부재의 하부를 일일이 분리하여야 하는데 천막부재의 하부가 베이스부재에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작업이 쉽지 않았다.
공개특허 10-2015-0040470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벽체를 넘어 온 곡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벽체를 넘어 온 곡물을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쉽게 인출할 수 있는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안쪽에 배치된 내측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수직벽체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과 상기 수직벽체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를 포함한 창고의 외부를 덮으면서,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메인천막부재와; 상기 메인천막부재를 팽팽하게 전개시키는 천막전개부재와; 상단이 상기 메인천막부재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 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되는 천막개폐부재와; 상기 천막개폐부재의 하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천막개폐부재가 상승함에 의해 상기 메인천막부재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형성된 개폐구는 외부로 개방되고, 상기 유동방지부재에 의해 상기 천막개폐부재는 임의로 개폐되거나 유동되는 것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막개폐부재는 상기 메인천막부재와 동일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막개폐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 측면을 따라 포켓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천막개폐부재의 포켓에 삽입되는 중량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포켓에 삽입된 중량체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보다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포켓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중량체의 상부에서 상기 천막개폐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 측면에 밀착시키는 제1체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체1체결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천막개폐부재를 통한 상기 개폐구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1체결부재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 측면에 삽입 장착되고, 타단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외부로 돌출된 앙카볼트와; 상기 앙카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천막개폐부재에는 상기 앙카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는, 상기 천막개폐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중량체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 측면에 고정되는 제2체결부재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2체결부재에 결합되는 로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로프는 상기 제2체결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천막개폐부재를 통한 상기 개폐구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천막부재에는 걸림고리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천막개폐부재를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에는 상기 관통공이 끼워져 상기 천막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는, 상기 제1체결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천막개폐부재의 하단이 외측방향으로 가하는 힘을 측정하는 센서와; 알람을 외부로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에 측정된 힘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알람부는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수직벽체 안쪽에 곡물 등을 많이 적재하여 곡물 등이 상기 수직벽체를 넘어 상기 수직벽체와 상기 메인천막부재 사이에 쌓이게 되었을 때, 상기 유동방지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에 일단 측면에 밀착 결합된 상기 천막개폐부재에 의해 곡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막개폐부재를 개방하여 상기 수직벽체와 상기 메인천막부재 사이에 쌓인 곡물을 외부로 쉽게 인출시켜, 상기 메인천막부재 및 천막개폐부재가 곡물의 하중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막개폐부재를 상승시켜 개방하고자 할 경우, 상기 걸림고리에 관통공을 끼워 상기 개폐구를 통한 곡물의 배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의 측면구조도,
도 2는 도 1에서 천막개폐부재를 개방한 상태의 측면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의 측면구조도,
도 4는 도 3에서 천막개폐부재를 개방한 상태의 측면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의 주요부분의 측면구조도,
제1실시예
본 고안의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와, 수직벽체(2)와, 수직지지대(3)와, 메인천막부재(4)와, 천막전개부재(5)와, 천막개폐부재(6)와, 유동방지부재(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는 지면에 접하면서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부재(1)는 창고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상기 수직벽체(2)는 상기 베이스부재(1)의 일단으로부터 안쪽에 배치된 내측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부재(1)의 내측상면에 형성된 상기 수직벽체(2)와 상기 베이스부재(1)의 일단 사이에는 빈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대(3)는 상기 베이스부재(1)의 일단과 상기 수직벽체(2)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메인천막부재(4)는 상기 수직지지대(3)를 포함한 창고의 외부를 덮는다.
상기 메인천막부재(4)는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1)의 상면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천막전개부재(5)는 상기 베이스부재(1) 또는 수직지지대(3)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메인천막부재(4)를 팽팽하게 전개시킨다.
이러한 상기 천막전개부재(5)는 종래의 공지된 다양한 부품 및 기술을 이용하면 충분하다.
상기 메인천막부재(4)는 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1)의 상면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이에 개폐구(51)가 존재한다.
상기 천막개폐부재(6)는 상단이 상기 메인천막부재(4)에 일체로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1)의 일단 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된다.
상기 천막개폐부재(6)는 상기 메인천막부재(4)와 동일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천막개폐부재(6)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천막부재(4)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1)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개폐구(51)는 외부로 개폐된다.
즉, 상기 천막개폐부재(6)가 상승함에 의해 상기 메인천막부재(4)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1)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개폐구(51)는 외부로 개방되고, 상기 천막개폐부재(6)가 하강함에 의해 상기 메인천막부재(4)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1)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개폐구(51)는 외부로부터 차단되면서 폐쇄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7)는 상기 천막개폐부재(6)의 하부가 임의로 개폐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저지 및 방지한다.
상기 천막개폐부재(6)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의 일단 측면을 따라 포켓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방지부재(7)는 상기 천막개폐부재(6)의 포켓에 삽입되는 중량체(71)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켓에 삽입된 중량체(71)는 상기 베이스부재(1)의 상면보다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의 일단 측면에 배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포켓이 삽입된 상기 중량체(71)의 자중에 의해, 상기 천막개폐부재(6)는 팽팽하게 전개되면서 상기 개폐구(51)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막게 된다.
이때, 상기 포켓은 상기 베이스부재(1)의 일단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중량체(71)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포켓에 상기 중량체(71)를 넣었을 때, 상기 포켓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베이스부재(1)의 일단 측면에 잘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유동방지부재(7)는 제1체결부재(7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72)는 상기 중량체(71)의 상부에서 상기 천막개폐부재(6)를 상기 베이스부재(1)의 일단 측면에 밀착시킨다.
상기 체1체결부재는 상기 베이스부재(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천막개폐부재(6)를 통한 상기 개폐구(51)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제1체결부재(72)는, 앙카볼트(73)와 너트(74)로 이루어진다.
상기 앙카볼트(73)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1)의 일단 측면에 삽입 장착되고, 타단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베이스부재(1)의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된다.
상기 너트(74)는 상기 앙카볼트(73)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천막개폐부재(6)에는 상기 앙카볼트(73)가 관통하는 관통공(6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앙카볼트(73)가 상기 관통공(61)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너트(74)를 상기 천막개폐부재(6)의 외부에서 체결함으로서, 상기 천막개폐부재(6)를 상기 베이스부재(1)의 일단 측면에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관통공(61)은 상기 앙카볼트(73)의 직경에 맞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다수개의 앙카볼트(73)의 설치 높이가 약간 다르더라도, 상기 앙카볼트(73)가 상기 관통공(61)을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천막부재(4)의 외표면에는 걸림고리(4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천막개폐부재(6)를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41)에는 상기 관통공(61)이 끼워져 상기 천막개폐부재(6)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수직벽체(2) 안쪽에 곡물 등을 많이 적재하여 곡물 등이 상기 수직벽체(2)를 넘어 상기 수직벽체(2)와 상기 메인천막부재(4) 사이에 쌓이게 되었을 때, 상기 유동방지부재(7)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1)에 일단 측면에 밀착 결합된 상기 천막개폐부재(6)에 의해 곡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막개폐부재(6)를 개방하여 상기 수직벽체(2)와 상기 메인천막부재(4) 사이에 쌓인 곡물을 외부로 쉽게 인출시켜, 상기 메인천막부재(4) 및 천막개폐부재(6)가 곡물의 측면하중에 의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막개폐부재(6)를 상승시켜 개방하고자 할 경우, 상기 걸림고리(41)에 관통공(61)을 끼워 상기 개폐구(51)를 통한 곡물의 배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부재(7)를 구성하는 구성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천막개폐부재(6)에는 관통공(6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방지부재(7)는 상술한 중량체(71) 이외에 제2체결부재(75)와 로프(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체결부재(75)는 상기 중량체(71)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의 일단 측면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상기 로프(76)는 상기 관통공(61)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2체결부재(75)에 결합된다.
상기 로프(76)는 상기 제2체결부재(7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천막개폐부재(6)를 통한 상기 개폐구(51)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8)와 알람부(9)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센서(8)는 상기 제1체결부재(72)에 장착되어 상기 천막개폐부재(6)의 하단이 외측방향으로 가하는 힘을 측정한다.
즉, 상기 수직벽체(2)와 상기 메인천막부재(4) 사이에 곡물이 쌓이게 되면, 쌓인 곡물은 상기 천막개폐부재(6)를 외측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때, 상기 천막개폐부재(6)는 상기 제1체결부재(72)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천막개폐부재(6)를 외측방향으로 미는 힘은 상기 제1체결부재(72)에 가해지게 되고, 이는 상기 제1체결부재(72)에 장착된 상기 센서(8)에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알람부(9)는 알람을 외부로 발생시킨다.
상기 센서(8)에 측정된 힘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제어부는 상기 알람부(9)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수직벽체(2)와 상기 메인천막부재(4) 사이에 곡물이 많이 쌓여 상기 천막개폐부재(6)를 미는 힘이 크게 될 경우, 상기 센서(8)와 알람부(9)를 통해 외부로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상기 메인천막부재(4) 및 천막개폐부재(6)가 찢어지거나 손상되기 전에 작업자가 상기 개폐구(51)를 통해 곡물을 외부로 인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인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베이스부재,
2 : 수직벽체,
3 : 수직지지대,
4 : 메인천막부재, 41 : 걸림고리,
5 : 천막전개부재, 51 : 개폐구,
6 : 천막개폐부재, 61 : 관통공,
7 : 유동방지부재, 71 : 중량체, 72 : 제1체결부재, 73 : 앙카볼트, 74 : 너트, 75 : 제2체결부재, 76 : 로프,
8 : 센서, 9 : 알람부.

Claims (9)

  1.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안쪽에 배치된 내측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수직벽체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과 상기 수직벽체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를 포함한 창고의 외부를 덮으면서,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메인천막부재와; 상기 메인천막부재를 팽팽하게 전개시키는 천막전개부재와; 상단이 상기 메인천막부재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 측면에 대면하여 배치되며, 상기 메인천막부재와 동일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천막개폐부재와; 상기 천막개폐부재의 하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천막개폐부재가 상승함에 의해 상기 메인천막부재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형성된 개폐구는 외부로 개방되고, 상기 유동방지부재에 의해 상기 천막개폐부재는 임의로 개폐되거나 유동되는 것이 저지되며,
    상기 천막개폐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 측면을 따라 포켓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천막개폐부재에는 상기 포켓보다 상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천막개폐부재의 포켓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면보다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 측면에 배치되는 중량체와;
    상기 중량체의 하부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 측면에 고정되는 제2체결부재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2체결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중량체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로프는 상기 포켓에 삽입된 상기 중량체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제2체결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
  2. 삭제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단 측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메인천막부재에는 걸림고리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천막개폐부재를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에는 상기 관통공이 끼워져 상기 천막개폐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
  9. 삭제
KR2020220002685U 2022-11-15 2022-11-15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 KR2004978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685U KR200497808Y1 (ko) 2022-11-15 2022-11-15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685U KR200497808Y1 (ko) 2022-11-15 2022-11-15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808Y1 true KR200497808Y1 (ko) 2024-03-06

Family

ID=9024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685U KR200497808Y1 (ko) 2022-11-15 2022-11-15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80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210Y1 (ko) * 1987-05-09 1990-10-06 배진산업 주식회사 신축식 텐트
KR100582264B1 (ko) * 2005-03-29 2006-05-23 (주)지엠지 와이어가 상호 연결된 낙석 방지 펜스의 낙석 감지 시스템
KR101030702B1 (ko) * 2008-09-19 2011-04-26 (주)Gy텐트 천막의 고정구조
KR20150040470A (ko) 2013-10-07 2015-04-15 주식회사 한일티앤에이치 천막 고정구조
KR101938323B1 (ko) * 2018-06-21 2019-01-14 황정희 내재해형 이중막 에어 그린하우스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210Y1 (ko) * 1987-05-09 1990-10-06 배진산업 주식회사 신축식 텐트
KR100582264B1 (ko) * 2005-03-29 2006-05-23 (주)지엠지 와이어가 상호 연결된 낙석 방지 펜스의 낙석 감지 시스템
KR101030702B1 (ko) * 2008-09-19 2011-04-26 (주)Gy텐트 천막의 고정구조
KR20150040470A (ko) 2013-10-07 2015-04-15 주식회사 한일티앤에이치 천막 고정구조
KR101938323B1 (ko) * 2018-06-21 2019-01-14 황정희 내재해형 이중막 에어 그린하우스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082B2 (en) Fire fighting bucket suspendable from aircraft
US7506776B2 (en) Braceless liner
KR101184646B1 (ko) 맨홀용 추락방지 안전망
US20030047561A1 (en) Flexible liner for shipping bulk load inside shipping containers and method for placing said flexible liner for shipping bulk load into a shipping container
KR200497808Y1 (ko)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
EP2668440B1 (en) Gas accumulator
US20190291825A1 (en) Self-Deploying Float
US20150210470A1 (en) Semi-underground waste system using a quick replacement reinforced liner
JP4750338B2 (ja) 可燃性塵物用の収容サイロ装置
AU2015268606A1 (en) Improvements in Underground Mine Safety
AU2016302330A1 (en) Flexible liner system for discharging and aerating dry materials in a storage bin
JP6528151B2 (ja) 非常用安全装置
US10462975B2 (en) Portable grain silo
US4813200A (en) Large container for pourable, pasty and sludge-like materials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20091180A (ja) 防護構造物の試験装置及び試験方法
CN210882506U (zh) 一种船舶舷墙门结构
KR101789547B1 (ko) 해상 풍력 터빈에서의 사용을 위해 의도된 크레인을 운반 및 테스트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3144529A (ja) 船舶
US20090297288A1 (en) Restraint chain storage
KR102142496B1 (ko) 화물차 적재함용 덮개장치
CN219759207U (zh) 一种带防护网的掀盖式人孔保护罩及配置槽
JP3223675U (ja) フレコンバッグ自立用枠
US3513901A (en) Inner door for railway boxcars
EP2949816A1 (en) Safety anchorage for inspection wells
AU2003258353B2 (en) Fire fighting bucket suspendable from air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