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0470A - 천막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천막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0470A
KR20150040470A KR20130119023A KR20130119023A KR20150040470A KR 20150040470 A KR20150040470 A KR 20150040470A KR 20130119023 A KR20130119023 A KR 20130119023A KR 20130119023 A KR20130119023 A KR 20130119023A KR 20150040470 A KR20150040470 A KR 20150040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astening
support pipe
bol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환
신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티앤에이치
신영환
신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티앤에이치, 신영환, 신영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티앤에이치
Priority to KR2013011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0470A/ko
Publication of KR2015004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막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앙카볼트로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에 의해 천막부재를 받쳐 설치하되, 천막부재의 내측면에는 삽입용 천막부재가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삽입용 천막부재 내에는 지지파이프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체결용 앙카볼트가 더 설치되고, 체결용 앙카볼트에 결합되는 한편 지지파이프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체결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너트부재를 체결부재에 체결함에 따라 지지파이프가 하강되어 천막부재를 당긴 상태로 설치되는 천막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막 고정구조{tent fixing structure}
본 발명은 야외에 설치되는 천막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막부재를 균일하게 분포된 고장력으로 견고하게 당겨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천막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막을 설치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가설되는 다수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1)(2)으로 이루어진 골조 구조물 위에 천막부재(10)를 덮어 설치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천막부재(10)를 골조 구조물을 이루는 다수의 수평프레임(2) 중 후술될 연결띠(20)보다 하부에 구비된 수평프레임(2)(이하 "수평프레임" 이라 한다)에 로프(30)를 이용하여 고정되게 설치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천막부재(10)의 내측면에는 일정간격마다 로프(30)를 걸 수 있는 고리(21)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띠(20)가 형성되어, 연결띠(20)의 고리(21)와 수평프레임(2)이 로프(30)로서 연결되어 천막부재(10)를 골조 구조물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로프(30)를 골조 구조물의 하부 수평프레임(2) 측으로 당겨 천막부재(10)를 평평하게 편 상태로 설치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천막 고정구조에서는 로프(30)가 천막부재(10) 내의 연결띠(20)에 일정간격마다 형성된 고리(21)에 연결된 상태로 천막부재(10)를 당기게 됨으로써 작업성이 매우 안좋고, 로프(30)의 장력이 고리(21)가 있는 천막부재(10)의 일측에만 집중적으로 작용되는 단점이 있으며, 천막부재(10)에 작용하는 집중 응력과 천막부재(10)의 노후 등으로 인해 천막부재(10)가 쉽게 찢어져 파손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찢김의 발생 시에는 그 주변부가 연쇄적으로 찢어져 훼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천막부재(10)의 사용 시는 천막부재(10)가 최초 설치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처지거나 늘어질 수 있고, 이와 같이 천막부재(10)에 처짐이나 늘어짐이 발생된 경우에는 전술한 로프(30)를 풀어낸 후 다시 연결하여 천막부재(10)를 당기게 되는데, 이러한 로프(30)의 연결작업은 숙련된 전문 기술자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불편하여 사후관리가 안좋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막부재에 지지파이프를 삽입한 상태에서 지면에 고정된 체결용 앙카볼트에 체결함으로써 지지파이프가 체결용 앙카볼트에 체결됨에 따라 천막부재를 균일하게 분포된 고장력으로 고르게 당겨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천막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지면에 앙카볼트로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에 의해 천막부재를 받쳐 설치하되, 천막부재의 내측면에는 삽입용 천막부재가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삽입용 천막부재 내에는 지지파이프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체결용 앙카볼트가 더 설치되고, 체결용 앙카볼트에 결합되는 한편 지지파이프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체결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너트부재를 체결부재에 체결함에 따라 지지파이프가 하강되어 천막부재를 당긴 상태로 설치되는 천막 고정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체결부재는, 체결용 앙카볼트에 체결되는 소켓너트부와, 소켓너트부에서 돌출되게 구비되어 지지파이프를 관통한 그 단부에 너트부재가 체결되는 볼트부와, 볼트부와 소켓너트부를 연결하도록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한다.
또, 상술한 목적은, 지면에 앙카볼트로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에 의해 천막부재를 받쳐 설치하되, 천막부재의 내측면에는 삽입용 천막부재가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삽입용 천막부재 내에는 지지파이프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천막부재와 마주하는 지주에는 고정브라켓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한편 지지파이프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체결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너트부재를 체결부재에 체결함에 따라 지지파이프가 하강되어 천막부재를 당긴 상태로 설치되는 천막 고정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는, 고정브라켓과 지지파이프를 관통한 단부에 너트부재가 체결되는 볼트부와, 볼트부의 일단부에 볼트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고정브라켓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머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천막 고정구조에 따르면, 천막부재에 삽입된 지지파이프가 지면에 고정된 체결용 앙카볼트에 체결됨에 따라 천막부재가 지지파이프에 의해서 고르게 분포된 고장력으로 당겨져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천막부재의 주름이나 중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람이나 비 또는 눈에 의해서도 천막부재가 펄럭이거나 또는 처짐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천막부재에 삽입된 지지파이프가 지면에 고정된 체결용 앙카볼트에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천막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주변 구조물에 연결하는 것보다 훨씬 더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천막부재는 이에 면접촉된 상태로 천막부재를 당겨 지지하는 지지파이프에 의해서 천막부재에 작용하는 응력이 지지파이프의 길이만큼 고르게 분산되어 작용됨으로써 종래의 로프에 의한 연결방법과 같이 천막부재의 일측에만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천막부재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천막부재의 사용 시 천막부재에 처짐이나 늘어짐이 발생된 경우는 지지파이프의 상부에 위치한 너트부재를 체결부재의 볼트부에 더 체결하여 주면 그 체결량만큼 지지파이프가 더 하강 이동되면서 천막부재를 재차 당겨 평평하게 펼치게 됨으로써 비전문가도 손쉽게 천막부재를 유지보수할 수 있어 사후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막 고정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막 고정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막 고정구조를 보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막 고정구조를 보인 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막 고정구조를 보인 요부 확대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고정구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막부재(100)와, 지주(200)와, 지지파이프(300) 및 체결부재(400)를 포함한다.
지주(200)는 지면에 수직 및 수평하게 설치되어 천막부재(100)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와 같은 다수의 지주(200) 중에서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지주(200)의 하단부에는 사각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210)가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210)의 각 코너부위에는 베이스플레이트(21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앙카볼트(220)가 설치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측에는 지면에 베이스플레이트(2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전술한 앙카볼트(220)와는 별개의 체결용 앙카볼트(230)가 더 설치되고, 체결용 앙카볼트(230)에는 후술될 체결부재(400)가 결합 고정된다.
이때, 체결용 앙카볼트(230)는 천막부재(100)의 내측면 측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천막부재(10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지지파이프(3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지주(200)에 의해 세워져 설치되는 천막부재(100)는 그 내측면에 천막부재(100)의 가로방향 즉 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삽입용 천막부재(110)가 구비되고, 삽입용 천막부재(110)는 그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천막부재(100)의 내측면에서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반대편 측의 단부가 다시 천막부재(100)의 내측면으로 접혀서 재봉이나 초음파 또는 고주파 용접 등의 접착수단으로 접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삽입용 천막부재(110)는 그 내부에 양단부가 개구된 형태의 삽입구멍(111)이 형성되고, 이 삽입구멍(111)이 지면과 나란하도록 다수의 삽입용 천막부재(110)가 천막부재(100)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며, 이러한 삽입용 천막부재(110)의 삽입구멍(111)에는 후술될 지지파이프(300)가 삽입되어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삽입용 천막부재(110)는 천막부재(100)의 내측면보다 짧게 형성되어, 후술될 지지파이프(300)가 삽입용 천막부재(110)를 관통하여 돌출된다.
또한, 지지파이프(300)는 상기와 같은 삽입용 천막부재(110)의 삽입구멍(111)에 삽입되는 중량부재로서, 천막부재(100)를 지면 방향으로 평평하게 당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지파이프(300)는 다각형상의 중공파이프로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그 일례로서 중공의 사각파이프를 예시하였다.
그리고, 체결부재(400)는 체결용 앙카볼트(230)와 지지파이프(300)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하단부에는 체결용 앙카볼트(230)에 체결되는 소켓너트부(420)가 형성되고, 소켓너트부(420)의 상단부에는 원형의 고리부(430)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고리부(430)의 상단부에는 지지파이프(30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부(410)가 형성된다.
한편, 고리부(430)는 하부의 소켓너트부(420)와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부의 볼트부(410)와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볼트부(410)와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결된 고리부(430)와 볼트부(410)는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삽입용 천막부재(110)에서 돌출되는 지지파이프(300)의 상면부에는 지지파이프(30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400)의 볼트부(410)에 체결되는 너트부재(500)가 구비된다.
따라서, 너트부재(500)를 지지파이프(300)를 관통한 체결부재(400)의 볼트부(410)에 체결함에 따라 지지파이프(300)가 지면 쪽으로 하향 이동되고, 지지파이프(300)의 이동에 의해 천막부재(100)가 지면 쪽으로 평평하게 당겨져 펼쳐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고정구조는, 천막부재(100)를 세우기 위한 다수의 지주(200)를 지면에 세우고, 지면에 접한 지주(200)의 베이스플레이트(210)의 각 코너부위에 앙카볼트(220)를 설치하여 지주(200)를 지면에 수직하게 세운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외측단부에는 전술한 앙카볼트(220)와는 별도의 체결용 앙카볼트(230)를 더 설치한다.
이후, 수직하게 세워진 지주(200) 위에 수평한 지주(200)를 더 설치한 후, 지주(200) 위에 천막부재(100)를 덮어씌워 설치하되, 이때 삽입용 천막부재(110)가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천막부재(100)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천막부재(100)의 각 내측면에 위치한 삽입용 천막부재(110)의 삽입구멍(111)에는 중공의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 지지파이프(300)를 각각 삽입하여 설치하고, 삽입용 천막부재(110)에 삽입된 지지파이프(300)에는 체결부재(400)의 볼트부(410)를 관통시켜 결합한다.
이후, 체결부재(40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소켓너트부(420)를 체결용 앙카볼트(230)에 체결한 후, 지지파이프(300)를 관통한 체결부재(400)의 볼트부(410)에 너트부재(500)를 체결하고, 너트부재(500)를 지지파이프(300) 측으로 더 체결하면 지지파이프(300)가 지면 쪽으로 밀려 하강 이동되어 천막부재(100)가 평평하게 당겨져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는 천막부재(100)는 그 전면에 고르게 분포된 고장력에 의해 평평하게 당겨져 천막부재(100)의 주름이나 중첩을 방지할 수 있고, 바람이나 비 또는 눈에 의해서도 천막부재(100)의 펄럭임이나 또는 처짐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천막부재(100)를 당겨 지지하는 지지파이프(300)에 의해서 천막부재(100)의 장력이 지지파이프(300)의 전 길이로 분산됨으로써 기존의 줄을 연결하는 방법과 같이 천막부재(100)의 특정부위에만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천막부재(100)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천막부재(100)를 지면에 박혀 설치되는 체결용 앙카볼트(230)로서 고정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최대한 안정적인 지지 및 고정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천막부재(100)의 사용 시 천막부재(100)에 처짐이나 늘어짐이 발생된 경우에는 지지파이프(300)의 상부에 위치한 너트부재(500)를 체결부재(400)의 볼트부(410)에 더 체결하여 주면, 그 체결량만큼 지지파이프(300)가 더 하강 이동되면서 천막부재(100)를 재차 평평하게 당겨 펼치게 됨으로써 전문 기술자 이외의 비전문가도 손쉽게 천막부재(100)를 유지보수할 수 있어 사후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막 고정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막 고정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막부재(10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지주(200)의 외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브라켓(700)과, 고정브라켓(700)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부재(600)를 포함한다.
특히, 고정브라켓(700)은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 일면이 지주(200)의 외측면에 용접 등의 수단을 통해서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체결부재(600)는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고정브라켓(700)에 관통 결합되는 볼트부(610)와, 볼트부(610)의 일단부에 볼트부(6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머리부(620)를 포함한다. 특히, 이와 같이 형성되는 체결부재(600)는 볼트부(610)가 고정브라켓(700)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체결부재(600)의 머리부(620)가 고정브라켓(700)에 용접 등의 수단을 통해서 고정되게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전술한 두 가지 경우가 병행되어 체결부재(600)를 고정브라켓(700)에 고정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체결부재(600)의 머리부(620)와 고정브라켓(700) 간의 고정방법으로는 체결부재(600)의 머리부(620)를 다각형상으로 형성하고, 고정브라켓(700)에는 체결부재(600)의 머리부(620)와 대응한 다각홈을 형성함으로써 체결부재(600)를 고정브라켓(700) 상에 회전불가한 상태로 결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고정브라켓(700)을 관통한 체결부재(600)의 볼트부(61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천막부재(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용 천막부재(110)에 삽입된 지지파이프(300)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지지파이프(300)의 상부로 돌출된 볼트부(610)에는 너트부재(500)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체결부재(600)의 볼트부(610)에 너트부재(500)를 더 체결하면, 그 체결량만큼 지지파이프(300)가 더 하강 이동되면서 천막부재(100)를 재차 당겨 평평하게 펼칠 수 있게 되고, 체결부재(600)가 고정브라켓(7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너트부재(500)의 체결 시에 체결부재(6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천막부재 110 : 삽입용 천막부재
111 : 삽입구멍 200 : 지주
210 : 베이스플레이트 220 : 앙카볼트
230 : 체결용 앙카볼트 300 : 지지파이프
400,600 : 체결부재 410,610 : 볼트부
420 : 소켓너트부 430 : 고리부
500 : 너트부재 620 : 머리부
700 : 고정브라켓

Claims (4)

  1. 지면에 앙카볼트로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에 의해 천막부재를 받쳐 설치하되,
    천막부재의 내측면에는 삽입용 천막부재가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삽입용 천막부재 내에는 지지파이프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체결용 앙카볼트가 더 설치되고,
    체결용 앙카볼트에 결합되는 한편 지지파이프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체결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너트부재를 체결부재에 체결함에 따라 지지파이프가 하강되어 천막부재를 당긴 상태로 설치되는 천막 고정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체결부재는, 체결용 앙카볼트에 체결되는 소켓너트부와, 소켓너트부에서 돌출되게 구비되어 지지파이프를 관통한 그 단부에 너트부재가 체결되는 볼트부와, 볼트부와 소켓너트부를 연결하도록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천막 고정구조.
  3. 지면에 앙카볼트로서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에 의해 천막부재를 받쳐 설치하되,
    천막부재의 내측면에는 삽입용 천막부재가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삽입용 천막부재 내에는 지지파이프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천막부재와 마주하는 지주에는 고정브라켓이 돌출되게 설치되고,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한편 지지파이프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재 및 체결부재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너트부재를 체결부재에 체결함에 따라 지지파이프가 하강되어 천막부재를 당긴 상태로 설치되는 천막 고정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체결부재는, 고정브라켓과 지지파이프를 관통한 단부에 너트부재가 체결되는 볼트부와, 볼트부의 일단부에 볼트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고정브라켓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천막 고정구조.
KR20130119023A 2013-10-07 2013-10-07 천막 고정구조 KR20150040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023A KR20150040470A (ko) 2013-10-07 2013-10-07 천막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023A KR20150040470A (ko) 2013-10-07 2013-10-07 천막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470A true KR20150040470A (ko) 2015-04-15

Family

ID=5303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023A KR20150040470A (ko) 2013-10-07 2013-10-07 천막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04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096U (ko) * 2016-05-26 2017-12-06 허만홍 천막용 장력조절장치
KR102073582B1 (ko) * 2019-10-17 2020-03-02 주식회사 동아스트 내부 공기 밀폐 및 빗물 침투 방지용 막구조 고정시스템
KR102099771B1 (ko) * 2019-04-23 2020-04-10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의 텐션 조절 장치
KR200497808Y1 (ko) 2022-11-15 2024-03-06 (주)Gy텐트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096U (ko) * 2016-05-26 2017-12-06 허만홍 천막용 장력조절장치
KR102099771B1 (ko) * 2019-04-23 2020-04-10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조립식 천막의 텐션 조절 장치
KR102073582B1 (ko) * 2019-10-17 2020-03-02 주식회사 동아스트 내부 공기 밀폐 및 빗물 침투 방지용 막구조 고정시스템
KR200497808Y1 (ko) 2022-11-15 2024-03-06 (주)Gy텐트 천막창고 하부고정 및 개폐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0470A (ko) 천막 고정구조
WO1992012312A1 (en) Nest-like tent
KR100820369B1 (ko) 장력보강수단이 구비된 막구조물
KR102181473B1 (ko) 지주대의 아암 결합 장치
KR102091131B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막 구조물 및 이의 설치방법
JP2013243201A (ja) ソーラーパネルユニット、ソーラーパネル装置、およびソーラーパネルの設置方法
KR102377916B1 (ko) 막구조체의 지붕막 인장설치구조
JP2013079536A (ja) 支柱の設置構造
KR20130127084A (ko) 광고용 배너 거치대
KR20170000167A (ko) 조립식 천막
KR102122178B1 (ko) 기지국용 위장 장치
CN220315312U (zh) 一种圆形太阳翼悬吊实验装置
JP5984034B1 (ja) テントおよびテントの組立方法
JP2008007943A (ja) テントシートの張設装置及び張設方法
JP2013146520A (ja) 防球用等のネット体又はシート体、及び防球用等のネット体又はシート体の吊り張り方法
JP2002081227A (ja) テント
JP2005146772A (ja) 屋根支持構造体ユニットおよび大空間屋根構造物並びにこれらの施工法
KR100276396B1 (ko) 방조망설치용와이어고정구
JP2623072B2 (ja) ドーム型仮設テントとその組立方法
JP2018017106A (ja) ネットを張る為の装置及び方法
KR200172587Y1 (ko) 건축용 안전망의 지지구조체
JP2009150083A (ja) テントフレーム
KR20130010540A (ko) 복합 지주구조를 갖춘 파라솔
CN217364415U (zh) 一种配电线路防护用驱鸟装置
JP3244969U (ja) 植物栽培用ネット固定金物及び蔓性植物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