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46Y1 -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 - Google Patents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46Y1
KR200497446Y1 KR2020210001702U KR20210001702U KR200497446Y1 KR 200497446 Y1 KR200497446 Y1 KR 200497446Y1 KR 2020210001702 U KR2020210001702 U KR 2020210001702U KR 20210001702 U KR20210001702 U KR 20210001702U KR 200497446 Y1 KR200497446 Y1 KR 200497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late
cap
handle
recycl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886U (ko
Inventor
윤일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광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광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광산업
Priority to KR2020210001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46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8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5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나사결합되는 캡과 본체부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의 내측에 플라스틱재의 밀폐판이 구비되며, 상기 밀폐판에는 파지수단이 구비되어 재활용시 손가락에 의한 밀폐판의 분리가 가능토록 설치되는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vessel cap which easy to recycling}
본 고안은 상호 나사결합되는 캡과 본체부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의 내측에 플라스틱재의 밀폐판이 구비되며, 상기 밀폐판에는 파지수단이 구비되어 재활용시 손가락에 의한 밀폐판의 분리가 가능토록 설치되는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또는 향수 등을 담기 위한 용기로는 합성수지재로 일체 성형한 것과 상기 합성수지재의 외부에 미려감을 창출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 케이스를 덧입혀 사용하였다.
그리고, 액상이나 겔상으로 이루어진 화장료를 포장하는 화장품 용기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구조로는, 뚜껑 본체의 내부저면에 압축 발포된 폴라이트 소재의 패킹을 일체로 접착하고, 동시에 주입구의 상면에 플라스틱소재의 보조덮개를 별도로 덮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통해 밀폐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1382883호에 화장품 용기 뚜껑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화장품 용기 뚜껑(10)은, 상부벽(21)과, 상기 상부벽의 가장자리 하단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22)과, 상기 측벽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3) 및 상기 측벽의 내주면으로는 끼움공간(24)을 마련하기 위한 걸림턱(25)이 형성된 경질소재의 뚜껑 본체(20)와; 상기 뚜껑 본체의 끼움공간에 유동자재 되게 끼워지고, 상기 뚜껑 본체가 화장품 용기의 주입구에 대하여 나사방식으로 개폐 조작시 상기 화장품 용기(1)의 주입구(2)에 대한 밀폐력을 제공 또는 해제하는 밀폐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밀폐부재는 경질의 원형 지지판(31)과, 상기 원형 지지판의 일 면에 일체로 인서트 성형되어 지고, 또한 상기 화장품 용기의 주입구 상면(3)에 탄성 접촉되는 밀폐부(32)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장품 용기 뚜껑은, 재활용시 상부벽(21)과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원형지지판(31)을 분리하여야 하나 내벽에 밀착될 때 걸림턱(25)에 의해 걸리게 되는 원형지지판의 분리가 힘들에 재활용이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작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고, 분리작업이 용이하여 재활용율을 높이도록 하며, 손잡이의 견고한 연결이 가능토록 하고,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나사결합되는 캡과 본체부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의 내측에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재의 밀폐판이 구비되며,
상기 밀폐판에는 파지수단이 구비되어 재활용시 손가락에 의한 밀폐판의 분리가 가능토록 설치되는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지수단은, 손가락의 투입이 가능토록 되는 파지홀의 구성, 밀폐판의 일부가 측면으로 돌출되는 손잡이의 구성중에서 선택되는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캡과 본체부는 적어도 하나가 금속재로 이루어진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를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파지홀은 밀폐판이 관통되거나 절개선을 통하여 밀폐판의 일부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상기 손잡이는, 둘레가 미리 절단되어 형성되거나 절단선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절달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는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는 둘레에 공기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절단성의 단부에 응력흡수홀이 구비되는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제작및 설치가 용이하고, 분리작업이 용이하여 재활용율을 높이며, 손잡이의 견고한 연결이 가능하고, 손잡이의 파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화장품 뚜껑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 용기의 밀폐판 분해상태도이다.
도4 내지 도8은 각각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판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 용기의 밀폐판 분해상태도이며, 도4 내지 도8은 각각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판의 사용상태도이고, 도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판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용기(100)는, 금속, 플라스틱제, 유리재질 등 재활용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호 나사결합되는 캡(110)과 본체부(13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캡(110)은,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고, 본체부(130)는, 금속, 플라스틱, 유리재질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캡(110)의 내측에는 캡과 본체부의 결합시 그 결합부에서 밀봉상태의 유지를 위하여 캡과 이질이면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밀폐판(2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밀폐판(200)에는 파지수단(300)이 구비되어 재활용시 손가락에 의한 밀폐판의 분리가 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파지수단(300)은, 도2 및 도3과 같이 밀폐판의 분리를 위하여 손가락의 투입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파지홀(310)의 구성, 도4 내지 도7, 도9에서와 같이 밀폐판(200)의 일부가 측면으로 돌출되어 밀폐판의 분리가 가능토록 하는 손잡이(330)의 구성, 도8에서와 같이 밀폐판의 분리를 위하여 손가락의 투입이 가능토록 되는 파지홀(310)이 밀폐판 일부의 분리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된다.
더하여, 상기 파지홀(310)은, 선행되는 작업을 통한 분리나 재활용시 후 분리작업을 통하여 밀폐판의 일부가 관통되거나, 미리 형성되는 절개선(311)을 통하여 밀폐판의 일부가 미리 분리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된다.
계속하여, 상기 손잡이(330)는, 둘레가 미리 절단되어 형성되거나 절단선(331)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절달하는 구성중에서 선택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330)는, 파지홀(310)의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손잡이(330)는, 절단선을 통한 파단을 위한 잡이홈(335)이 미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30)는, 밀폐판의 누름시 절단선(331)이 용이하게 분리토록 상부의 돌출되는 공기층(339)이 밀폐판의 일측 바람직하게로는 중앙부에 더 형성되고, 상기 절단선의 단부에 응력흡수홀(332)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용기(100)는, 상호 나사결합되는 캡(110)과 본체부(13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캡(110)은 반드시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져 재활용시 순수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재료만을 용이하게 분리시켜 재활용 하게된다.
즉, 상기 캡(110)은 내측에 밀봉상태의 유지를 위하여 캡과 이질재 이면서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재의 밀폐판(200)이 구비되어 재활용시 순수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재질만을 사용하기 힘들게 되나 본 발명은 상기 캡(110)에서 밀폐판(200)의 분리가 용이하게 되어 순수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재만의 수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폐판(200)에는 파지수단(300)이 구비되어 재활용시 밀폐판(200)을 용이하게 파지하게 됨으로써 손가락에 의한 밀폐판의 분리가 손쉽게 된다.
또한, 상기 파지수단(300)은, 손가락의 투입이 가능토록 밀폐판에서 분리되는 파지홀(310)의 구성, 밀폐판의 일부가 측면으로 돌출되는 손잡이(330)의 구성중에서 선택되어 손가락으로 밀폐판을 쉽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파지홀(310)은, 밀폐판(200)이 관통되거나 절개선(311)을 통하여 밀폐판의 일부가 분리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어 손가락으로 밀폐판(200)을 직접 파지하거나 절개선(311)을 통하여 분리하여 파지홀을 형성한 후 밀폐판을 잡도록 한다.
계속하여, 상기 손잡이(330)는, 역시 둘레가 미리 절단되어 형성되거나 절단선(331)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절달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어 밀폐판에서 손잡이를 돌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아 밀폐판을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30)는 둘레에 공기층(339)이 더 형성되어 이를 누르게 되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손잡이가 들뜨면서 쉽게 잡을 수 있게 되어 분리가 용이히게 된다.
또한, 상기 절단선(331) 또는 절개선(311)의 단부에 응력흡수홀(332)이 구비되어 손잡이의 분리시 응력을 흡수토록 함으로써 밀폐판에서 분리되는 손잡이가 밀폐판에서 완전분리되어 밀폐판을 캡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힘들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100...용기 110...캡
130...본체부 200...밀폐판
310...파지홀 311...절개선
330...손잡이 331...절개선
339...공기층

Claims (6)

  1. 상호 나사결합되는 캡과 본체부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캡의 내측에 탄성을 갖는 밀폐판이 구비되며,
    상기 밀폐판에는, 밀폐판을 손가락으로 잡기위한 파지수단이 구비되어 재활용시 손가락에 의한 밀폐판의 분리가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파지수단은, 밀폐판의 일부가 측면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는, 밀폐판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구비되는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둘레가 미리 절단되어 형성되거나 절단선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밀폐판에서 분리하는 구성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의 단부에 응력흡수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
KR2020210001702U 2021-05-31 2021-05-31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 KR200497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702U KR200497446Y1 (ko) 2021-05-31 2021-05-31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702U KR200497446Y1 (ko) 2021-05-31 2021-05-31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86U KR20220002886U (ko) 2022-12-07
KR200497446Y1 true KR200497446Y1 (ko) 2023-12-01

Family

ID=8439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702U KR200497446Y1 (ko) 2021-05-31 2021-05-31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4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127269U (zh) * 2018-11-22 2019-07-19 美弗实业股份有限公司 容器密封盖
US20200148426A1 (en) 2017-06-30 2020-05-14 Mario Gaia Screw cap for wine bottl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541Y2 (ja) * 1989-12-18 1995-11-08 株式会社柴崎製作所 隠し表示付き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48426A1 (en) 2017-06-30 2020-05-14 Mario Gaia Screw cap for wine bottles
CN209127269U (zh) * 2018-11-22 2019-07-19 美弗实业股份有限公司 容器密封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86U (ko)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2914A (en) Re-sealable container lid
KR101268157B1 (ko) 밀폐형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용 캡
KR101252567B1 (ko) 밀폐 용기
KR200497446Y1 (ko) 캡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
JP2975670B2 (ja) キャップ構造
JP5965039B1 (ja) 開封防止機能付き容器及び開封防止部材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US20130299447A1 (en) Bottle cap for cutting seal attached to spout of bottle
JP2009179347A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KR102641865B1 (ko) 용기로부터 패킹의 분리가 용이한 구조
JP3224712U (ja) 保存容器用密閉構造及び保存容器
JP2021187450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101049660B1 (ko) 힌지캡
KR200494775Y1 (ko) 화장품 용기용 중간 실링캡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78678Y1 (ko) 안전 캔
KR200235790Y1 (ko) 용기의 상단이나 측면을 누르면 내용물이 분출되는 용기.
JPH10167312A (ja) 樹脂製密封容器
CN211282089U (zh) 一种大包装饮用水按压式瓶盖
JP3233007U (ja) 安全性が改善された缶蓋
KR20110009209U (ko) 밀폐용기
KR20190000531U (ko) 다용도 용기
CN213800971U (zh) 一种防潮奶粉包装盒
CN218229854U (zh) 一种铝件与塑料件相互配合的包装罐
CN104684837A (zh) 用于容器密封件的开启装置
CN215324391U (zh) 梅形盖可堆叠罐装塑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