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678Y1 - 안전 캔 - Google Patents

안전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678Y1
KR200478678Y1 KR2020130008136U KR20130008136U KR200478678Y1 KR 200478678 Y1 KR200478678 Y1 KR 200478678Y1 KR 2020130008136 U KR2020130008136 U KR 2020130008136U KR 20130008136 U KR20130008136 U KR 20130008136U KR 200478678 Y1 KR200478678 Y1 KR 200478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utting line
main body
protrusion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1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405U (ko
Inventor
이규택
Original Assignee
이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택 filed Critical 이규택
Priority to KR20201300081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678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6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1) 고안의 속한 기술분야.
식품류를 장기유통하기 위한 캔에서 덮개(30)가 분리가 되면, 노출되는 절단된 부위에 의하여 상해를 입는 것이 저하되는 안전 캔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의 구성.
측면과 하부면이 밀폐되게 형성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안착되는 덮개(30)와, 상기 덮개(30)에 형성되는 절단선(50)과, 상기 덮개(30)에 형성되는 손잡이(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30)에는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선(50)은 상기 돌출부(60)의 하단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3) 고안의 효과
절단선(50) 절단되면서 덮개(30)와 본체(20)에 형성되는 절단부위가 절곡되거나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안전 캔{A SAFETY CAN}
본 고안은 안전 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터치 캔의 뚜껑을 개방시켰을 때 뚜껑과 캔이 분리되면서 생기는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손을 다치는 것을 방지하여 캔 형태로 포장된 음식을 안심하고 취식할 수 있는 안전 캔에 관한 것이다.
보관된 내용물을 사용하거나 식음을 위해 원터치 캔을 개봉할 시 사용자는 두손중 한 손은 캔을 잡고 한 손의 손가락으로 원터치 캔의 부설된 고리를 잡아당겨 캔을 개봉하고 있다. 이러한 원터치 캔은 종래의 캔 나이프로 캔을 개봉하는 방법에 비해 월등히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원터치 캔의 개봉을 위한 절단선은 캔 내용 물의 보관 구조상 대단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절단되지 않는다. 이러한 원터치 캔의 개봉에는, 사용자가 덮개에 형성된 손잡이의 끝단을 이용하여 캔 덮개에 형성된 절단선의 일부를 절단한 후에 손잡이를 당겨서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에서 분리하게 된다.
문헌1: 공개특허공보 10-2013-0056257 (공개 2013.05.29) 문헌2: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38127 (공개 1999.10.15) 문헌3: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0-0006068 (공개 2010.06.15)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원터치 캔을 상기 절단선을 따라서 절단하여서 덮개를 상기 본체에서 분리하게 되는데, 상기 절단선에 의하여 절단된 면은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에 형성되어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노출되는 절단선이 날카롭게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다칠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또한 쓰레기 봉투에 넣는 경우에도 봉투를 찢기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구성품을 추가하지 않고, 상기 덮개의 형상 변형에 의하여 안전사고를 감소할 수 있는 안전 캔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안전 캔은 측면과 하부면이 밀폐되게 형성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안착되는 덮개(30)와, 상기 덮개(30)에 형성되는 절단선(50)과, 상기 덮개(30)에 형성되는 손잡이(40)로 이루어지는 안전 캔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3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선(50)은 상기 돌출부(60)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0)와 상기 본체(20) 사이의 상기 덮개(30)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부(70)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70)의 하부 단면은 반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날카롭게 형성되는 상기 절단선이 상기 덮개에서 절곡된 돌출부에 형성되어 어느 정도 은폐되게 된다. 따라서 측면에서 노출되는 종래의 절단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날에 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다치는 것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구성품이 추가되지 않으므로 안전 캔의 제조원가가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3은 분리된 덮개의 사시도와 본체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의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캔은 본체(20), 덮개(30), 돌출부(60), 탄성부(70) 및 절단선(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는 측면과 하부면이 밀폐되어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게 되고, 상기 덮개(30)는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안착 되어서 수용된 내용물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3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덮개(30)를 상기 본체(20)에서 분리할 수 있는 손잡이(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30)에는 돌출부(60)가 형성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60)는 상기 덮개(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된다.
그리고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60)의 하단부에 절단선(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60)와 상기 본체(20) 사이의 상기 덮개(30)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부(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70)의 하부는 도면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반원 형상을 이루어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탄성력이 증대되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안전 캔을 상기 손잡이(40)를 파지하고 상기 절단선(50)을 따라서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절단선(50)에 의하여 상기 덮개(30)가 상기 본체(20)에서 분리된 상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확대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선(50)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60)가 절단되며, 절단된 상기 돌출부(60)의 일부는 상기 덮개(30)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20)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되어 상기 본체(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절단선(50)은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저하되게 된다.
즉 종래기술의 원터치 캔에 형성되는 절단선(50)은 수평으로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본체(20)를 파지하는 경우에는 수평으로 형성된 절단선(50)에 의하여 손가락에 상해를 줄 수 있게 되나, 본 고안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절단선(50)은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본체(20)를 파지하는 경우에도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30)에 형성되는 절단선(50)에 의하여 절단된면은 상기 돌출부(60)에 의하여 하부로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덮개(30)를 파지하는 경우에도 절곡되게 형성되는 상기 절단선(50)에 의하여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저하되게 된다.
그리고 분리되어 폐기되는 상기 본체(20)와 상기 덮개(30)가 쓰레기 봉투에 투기 되는 경우에도 봉투가 손상되는 경우가 저하되게 된다.
또한 탄성력이 유지되는 상기 탄성부(70)에 의하여,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덮개(3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탄성력이 유지되므로 원형으로 용이하게 복원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30)가 상기 본체(20)와 분리된 후에는.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상기 절단선(50)이 하부를 향하도록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캔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안전 캔, 20: 본체,
30: 덮개, 40: 손잡이,
50: 절단선, 60: 돌출부,
70: 탄성부

Claims (3)

  1. 측면과 하부면이 밀폐되게 형성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안착되는 덮개(30)와, 상기 덮개(30)에 형성되는 절단선(50)과, 상기 덮개(30)에 형성되는 손잡이(40)로 이루어지는 안전 캔에 있어서,
    상기 덮개(3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선(50)은 상기 돌출부(60)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0)와 상기 본체(20) 사이의 상기 덮개(30)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탄성부(70)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70)의 하부 단면은 반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캔.



  2. 삭제
  3. 삭제
KR2020130008136U 2013-10-02 2013-10-02 안전 캔 KR200478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36U KR200478678Y1 (ko) 2013-10-02 2013-10-02 안전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136U KR200478678Y1 (ko) 2013-10-02 2013-10-02 안전 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05U KR20150001405U (ko) 2015-04-10
KR200478678Y1 true KR200478678Y1 (ko) 2015-11-04

Family

ID=5302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136U KR200478678Y1 (ko) 2013-10-02 2013-10-02 안전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6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802A1 (ko) * 2018-07-19 2020-01-23 손기정 안전성이 개선된 캔용 뚜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2854A1 (en) * 1987-01-23 1989-04-06 Weirton Steel Corporation Abuse resistant, safety-edge, controlled-opening convenience-feature endclosures
US20030116570A1 (en) * 2001-11-27 2003-06-26 Olson Christopher J. Easy-open container en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2854A1 (en) * 1987-01-23 1989-04-06 Weirton Steel Corporation Abuse resistant, safety-edge, controlled-opening convenience-feature endclosures
US20030116570A1 (en) * 2001-11-27 2003-06-26 Olson Christopher J. Easy-open container e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802A1 (ko) * 2018-07-19 2020-01-23 손기정 안전성이 개선된 캔용 뚜껑
US11434045B2 (en) 2018-07-19 2022-09-06 Kijung SON Safety-enhanced can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405U (ko)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678Y1 (ko) 안전 캔
KR101581017B1 (ko) 이물질 투입방지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JP4861660B2 (ja) 包装用容器
JP2008222286A (ja) 容器
KR200471767Y1 (ko) 커버캡을 가진 캔용기
KR101454323B1 (ko) 주방용 칼
KR102393487B1 (ko) 슬라이드 커터
KR101472863B1 (ko) 안전보호테가 부착된 캔과 그 제조방법
JP3233007U (ja) 安全性が改善された缶蓋
KR200355583Y1 (ko) 안전캡을 구비한 원터치 캔
JP5916681B2 (ja) 包装用容器
KR20100006068U (ko) 안전 원터치 캔
KR20120008820U (ko) 통조림 고무 덮개
KR102161636B1 (ko) 캔따개
KR200339815Y1 (ko) 절단형 플라스틱 병
KR20110102099A (ko) 통조림 안전 링
CN209463472U (zh) 一种使用安全性较高的饭盒
KR20080004483U (ko) 안전 캔따개
KR100733727B1 (ko) 배달용 음식용기
JP3180842U (ja) フードパッケージ開封器
JP3106762U (ja) 納豆容器
KR20240000233U (ko) 뜯어쓰는 뚜껑
KR200236908Y1 (ko) 박막뚜껑개봉안내장치
KR20190060498A (ko) 음식물 보관용기
KR200451875Y1 (ko) 캔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