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303Y1 -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303Y1
KR200497303Y1 KR2020230001108U KR20230001108U KR200497303Y1 KR 200497303 Y1 KR200497303 Y1 KR 200497303Y1 KR 2020230001108 U KR2020230001108 U KR 2020230001108U KR 20230001108 U KR20230001108 U KR 20230001108U KR 200497303 Y1 KR200497303 Y1 KR 200497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air circulation
seat
blowers
circul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1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대선
Original Assignee
차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대선 filed Critical 차대선
Priority to KR2020230001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6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or in or below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64The ventilator being of the axi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26Rigid partitions inside vehicles, e.g. between passengers and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차량 실내의 전방 좌석과 후방 좌석 사이에 배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부로 구성된 안전 칸막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에 배치된 차단 브라켓; 상기 차단 브라켓에 배치된 제1 송풍기; 및 상기 안전 칸막이의 바디부에 배치된 제2 및 제2 송풍기를 포함하고, 차단 브라켓에는 상기 제1 송풍기의 송풍팬과 대응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제2 및 제3 송풍기와 대응되는 제3 및 제4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송풍기는 전방 좌석의 공기를 흡기한 후, 상기 후방 좌석 방향으로 배기하며, 상기 제2 및 제3 송풍기는 상기 후방 좌석의 공기를 흡기한 후, 상기 전방 좌석 방향으로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Air circulation system for vehicle indoor}
본 고안은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 칸막이가 설치된 차량 내부에서도 전방 좌석과 후방 좌석 간의 원활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에어컨 및 히터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어 운행 중 차량 실내 온도 조절이 가능하다. 차량 공조 시스템 중 에어컨은 공기를 냉매 필터에서 냉각시킨 후, 이를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또한, 히터 장치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시킨 후 이를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차량 실내를 가열한다.
최근에는 택시와 같이 임의의 탑승객으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거나 범죄 피의자 등을 운송하는 순찰자에서 피의자로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 칸막이가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전 칸막이는 전방 좌석(운전석과 조수석)의 상측과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콘솔박스 사이에 설치되어 전방 좌석과 후방 좌석의 사이를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즉, 안전 칸막이는 실질적으로 차량 내부에 후방 좌석을 차량 실내에서 격리시키는 형태로 설치된다.
특허문헌 1(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0843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칸막이는 운전석의 후면에 후방 차단부를 설치하고, 운전자의 측면에 측면 차단부를 설치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하였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안전 칸막이는 차량에 설치된 공조 시스템의 원활한 기능 수행 여부는 고려하지 않고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따라서, 안전 칸막이는 전방 좌석과 후방 좌석 사이를 물리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차량 공조 시스템의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그 기능을 상실시킬 가능성이 크다.
특히, 차량에 설치된 차량 공조 시스템은 전방 좌석(운전석과 조수석)으로부터 후방 좌석으로 공기가 순환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안전 칸막이는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을 차단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 좌석 영역에서 온도 조절 또는 공기 순환을 위해 배기 되는 공기는 안전 칸막이로 인하여 후방 좌석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차량은 엔진룸과 근접하고 운행 조작 장치들이 대부분 전방 좌석 영역에 배치되기 때문에 후방 좌석에만 배치된 일부 공조 시스템의 구성들로는 차량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없다.
또한, 안전 칸막이의 지지부는 전방 좌석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콘솔 박스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후방 좌석 영역에 배치된 일부 공조 시스템이 지지부에 의해 차단될 경우, 후방 좌석은 공조 시스템에 의한 온도 조절 등을 전혀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0843호
본 고안은 후방 좌석의 탑승자로부터 전방 좌석의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칸막이를 배치하면서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안전 칸막이에 전방 좌석의 공기를 후방 좌석으로 공급하는 제1 송풍기와, 후방 좌석의 공기를 전방 좌석으로 공급하는 제2 및 제3 송풍기를 배치하여 안전 칸막이 배치로 인한 차량 공조 시스템의 기능이 저하를 방지한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 내지 제3 송풍기에 각각 마그네트로 구성된 고정수단을 배치하여 안전 칸막이로부터 송풍기들의 탈부착을 용이하도록 한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안전 칸막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송풍기의 회전 방향, 송풍 방향 등을 감지하고 제1 내지 제3 송풍기의 송풍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여 전방 좌석 영역과 후방 좌석 영역의 공기 순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차량 실내의 전방 좌석과 후방 좌석 사이에 배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부로 구성된 안전 칸막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에 배치된 차단 브라켓; 상기 차단 브라켓에 배치된 제1 송풍기; 및 상기 안전 칸막이의 바디부에 배치된 제2 및 제2 송풍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의 차단 브라켓에는 상기 제1 송풍기의 송풍팬과 대응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제2 및 제3 송풍기와 대응되는 제3 및 제4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송풍기는 전방 좌석의 공기를 흡기한 후, 상기 후방 좌석 방향으로 배기하며, 상기 제2 및 제3 송풍기는 상기 후방 좌석의 공기를 흡기한 후, 상기 전방 좌석 방향으로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의 제1 및 제2 가이드 홀은 상기 차단 브라켓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홀들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가이드 홀은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홀들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송풍기의 배면 가장자리 모서리 영역에는 상기 차단 브라켓과 자기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로 구성된 제1 고정수단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의 제2 및 제3 송풍기 각각은 상기 바디부와 자기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제2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배치된 제3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 시스템은, 상기 제1 송풍기의 송풍 방향을 감지한 후, 상기 제2 및 제3 송풍기의 송풍 방향을 감지된 상기 제1 송풍기의 송풍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절하는 송풍 조절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의 송풍 조절기는 상기 제1 송풍기의 송풍 속도와 상기 제2 및 제3 송풍기의 송풍 속도를 감지한 후, 상기 제1 내지 제3 송풍기의 송풍 속도가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후방 좌석의 탑승자로부터 전방 좌석의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칸막이를 배치하면서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안전 칸막이에 전방 좌석의 공기를 후방 좌석으로 공급하는 제1 송풍기와, 후방 좌석의 공기를 전방 좌석으로 공급하는 제2 및 제3 송풍기를 배치하여 안전 칸막이 배치로 인한 차량 공조 시스템의 기능이 저하를 방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제1 내지 제3 송풍기에 각각 마그네트로 구성된 고정수단을 배치하여 안전 칸막이로부터 송풍기들의 탈부착을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안전 칸막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송풍기의 회전 방향, 송풍 방향 등을 감지하고 제1 내지 제3 송풍기의 송풍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여 전방 좌석 영역과 후방 좌석 영역의 공기 순환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에 배치되는 제1 송풍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송풍기가 안전 칸막이에 조립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이 차량 실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에 의해 공기가 차량의 전방 좌석과 후방 좌석 사이에서 순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1000)은, 차량의 좌석 상측(운전석과 조수석 상측)에 배치되는 바디부(120)와, 바디부(120)를 지지 및 고정하는 제1 및 제2 지지부(161, 162)를 포함하는 안전 칸막이(100)와, 안전 칸막이(100)에 배치되어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제1 내지 제3 송풍기(200, 210, 220)를 포함한다.
안전 칸막이(100)의 바디부(120)는 공간적으로 전방 좌석을 구성하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상측에 배치되어 전방 좌석과 차량 실내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1000)에 배치된 안전 칸막이(100)의 바디부(12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바디부(120)의 중앙 영역은 전방 좌석과 후방 좌석 간의 시야 확보를 위한 격자 관통부(130)와 격자 관통부(130)를 중심으로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는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을 위해 제3 및 제4 가이드 홀(H3, H4)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3 및 제4 가이드 홀(H3, H4)은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에 의해 배기 또는 흡기 되는 공기를 전방 좌석 또는 후방 좌석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 순환 통로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서는 안전 칸막이(100)가 모두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시야 확보를 위한 바디부(120)의 격자 관통부(130) 영역은 투명 재질(유리, 합성수지, 탄소 섬유 등)로 형성하고, 바디부(120)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은 금속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칸막이(100)를 투명 재질로 제작하고,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가 체결되는 영역만을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칸막이(100)의 제1 및 제2 지지부(161, 162)는 바디부(120)를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의 전방 좌석은 운전석, 조수석 및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콘솔박스가 배치된다. 제1 및 제2 지지부(161, 162)는 콘솔 박스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 지지부(161, 162) 사이에는 콘솔 박스의 상부 공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브라켓(140)이 배치된다. 즉, 차단 브라켓(140)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을 차단한다.
또한, 차단 브라켓(140)은 제1 송풍기(200)가 부착되는 고정부 역할을 하고, 제1 송풍기(200)의 동작에 의해 전방 좌석 영역의 공기를 후방 좌석 영역으로 배기하는 통로 기능도 한다. 따라서, 차단 브라켓(140)에는 제1 송풍기(200)의 송풍팬과 대응되도록 복수의 관통 홀들이 형성된 제1 및 제2 가이드 홀(H1, H2)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도시하였지만 설명하지 않은 141은 슬릿 홀이고 150은 손잡이 이다.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1000)에 배치되는 안전 칸막이(100)는 차량의 전방 좌석과 후방 좌석의 사이에 설치되어 전방 좌석과 후방 좌석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후방 좌석의 탑승자에 의한 전방 좌석의 운전자가 받을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1000)은 안전 칸막이(100)에 의해 운전자를 보호하면서 차량 실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공조 시스템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안전 칸막이(100)의 바디부(120)가 플레이트 형상을 하고, 제1 및 제2 지지부(161, 162)와 차단 브라켓(140)이 바디부(12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T'자 구조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전방 좌석의 후면 구조와 콘솔 박스의 구조에 따라 바디부(120)와 제1 및 제2 지지부(161, 162), 차단 브라켓(14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절곡 구조 또는 유선형 구조 등).
특히,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1000)은 전방 좌석에 위치한 운전자를 후방 좌석의 탑승자로부터 보호하면서 전방 좌석 영역과 후방 좌석 영역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송풍기(200, 210, 220)를 배치한다.
후술하겠지만,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1000)은 제1 내지 제3 송풍기(200, 210, 220)에 각각 배치된 모터들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여 제1 송풍기(200)가 전방 좌석 영역의 공기를 흡기하여 후방 좌석 영역으로 배기할 때,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는 후방 좌석 영역의 공기를 흡기하여 전방 좌석 영역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후방 좌석의 탑승자로부터 전방 좌석의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칸막이를 배치하면서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안전 칸막이에 전방 좌석의 공기를 후방 좌석으로 공급하는 제1 송풍기와, 후방 좌석의 공기를 전방 좌석으로 공급하는 제2 및 제3 송풍기를 배치하여 안전 칸막이 배치로 인한 차량 공조 시스템의 기능이 저하를 방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제1 내지 제3 송풍기에 각각 마그네트로 구성된 고정수단을 배치하여 안전 칸막이로부터 송풍기들의 탈부착을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안전 칸막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송풍기의 회전 방향, 송풍 방향 등을 감지하고 제1 내지 제3 송풍기의 송풍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여 전방 좌석 영역과 후방 좌석 영역의 공기 순환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에 배치되는 제1 송풍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송풍기가 안전 칸막이에 조립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이 차량 실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에 의해 공기가 차량의 전방 좌석과 후방 좌석 사이에서 순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함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1000)은 차량의 실내를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안전 칸막이(100)와 안전 칸막이(100)에 의해 서로 차단된 전방 좌석 영역과 후방 좌석 영역의 공기 순환을 위한 제1 내지 제3 송풍기(200, 210, 22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1000)에 배치되는 제1 송풍기(200)는 제1 송풍팬(203)과 제2 송풍팬(204)을 수납하는 송풍 케이스(202)와, 송풍 케이스(202)와 체결되는 송풍 커버(201)를 포함한다. 송풍 커버(201)와 송풍 케이스(202)는 제1 송풍팬(203)과 제2 송풍팬(204)에 의해 흡기 또는 배기되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송풍홀(205, 206)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송풍기(200)는 송풍 커버(201)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속도 조절버튼(207), 제1 및 제2 송풍팬(203, 20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208) 및 전원 커넥터(20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6에 도시한 제어부(800)와 제1 내지 제3 송풍기(200, 210, 220)의 회전 속도 또는 각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송풍 속도를 계산하고 조절할 수 있는 송풍 조절기(700)가 집적회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송풍기(200)의 송풍 커버(201) 또는 송풍 케이스(202)에는 제1 송풍기(200)를 차단 브라켓(140)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수단(21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수단(213)은 자기력에 의해 제1 송풍기(200)를 차단 브라켓(140)에 고정하기 위한 마그네트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안전 칸막이(100)와 차단 브라켓(140)이 유리와 같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진공 부착수단 또는 고정 힌지 수단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1000)은 제1 송풍기(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를 포함한다.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송풍기(220)를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 송풍기(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 칸막이(100)의 바디부(120)에 배치된 제4 가이드 홀(H4)에 고정 및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송풍기(210)는 제3 가이드 홀(H3)에 고정 및 부착될 수 있다.
제3 송풍기(220)는 제1 송풍기(200)와 같이 내부에 송풍팬이 배치되어 있고, 송풍 케이스와 송풍 커버에는 공기가 관통할 수 있는 송풍홀들이 형성된다.
여기서는 원형 케이스(221)로 지칭하나 원형 케이스(221)는 제1 송풍기(2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풍팬을 수납하는 송풍 케이스와, 송풍 케이스와 체결되는 송풍 커버를 포함한다.
원형 케이스(221)에는 제3 송풍홀(222)이 형성되어 있어 후방 좌석 영역의 공기를 흡기한 후 제4 가이드 홀(H4)을 통해 전방 좌석 영역으로 공기를 배기할 수 있다.
또한,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의 원형 케이스(221)에는 바디부(120)와 마주하는 면을 따라 제2 및 제3 고정수단(223a, 223b)이 배치된다. 제2 및 제3 고정수단(223a, 223b)은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를 바디부(120)에 고정 및 부착하기 위한 마그네트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 케이스(221)의 중앙 영역에 제2 고정수단(223a) 만을 배치하거나 제2 고정수단(223a)을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분기한 제2 고정수단(223b)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는 제1 송풍기(200)에 비해 크기가 작기 때문에 제2 고정수단(223a)의 크기도 작다. 따라서, 제2 고정수단(223a)의 자기력만으로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를 바디부(120)에 부착하기 어려울 경우, 제3 고정수단(223b)을 추가로 배치하여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가 견고하게 바디부(120)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 시스템(1000)의 안전 칸막이(100)는 전방 좌석의 운전석 시트(501)와 조수석 시트(502)의 상측 영역에 조립된다. 안전 칸막이(100)의 바디부(120)는 운전석 시트(501)와 조수석 시트(502)의 구조에 대응하여 체결됨으로써 차량의 전방 좌석 영역과 후방 좌석 영역을 물리적으로 분리한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 시스템(1000)에 배치되는 안전 칸막이(100)의 차단 브라켓(140)은 운전석 시트(501)와 조수석 시트(502) 사이의 콘솔 박스(미도시) 영역에 배치되고, 차단 브라켓(140) 상에는 제1 송풍기(200)가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제1 송풍기(200)를 전방 좌석 영역에 노출되도록 배치하였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제1 송풍기(200)는 후방 좌석 영역에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전 칸막이(100)의 제3 및 제4 가이드 홀(H3, H4)에는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는 전방 좌석 영역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후방 좌석 영역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 시스템(1000)은 제1 송풍기(200)가 운전석과 조수석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공조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배기 되는 공기를 흡기한 후, 이를 후방 좌석 영역으로 배기한다.
이때, 본 고안의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 시스템(1000)의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는 후방 좌석 영역의 공기를 흡기한 후, 전방 좌석 영역으로 배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V)은 외관 프렘임과 내측에 좌석 시트들이 배치되는 차량 실내(600)로 구분된다. 안전 칸막이(100)는 전방 좌석 영역과 후방 좌석 영역의 중앙에 배치되고, 차량 실내(600)의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제1 송풍기(200)는 차량 실내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는 안전 칸막이(100)의 바디부(120)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송풍기(200)의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제1 송풍기(200)는 전방 좌석 영역에서 공급되는 제1 공기(C1)를 흡기한 후, 이를 후방 좌석 영역으로 배기한다. 마찬가지로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는 후방 좌석 영역의 제2 공기(C2)를 흡기한 후, 이를 전방 좌석 영역으로 배기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 시스템(1000)은 운전자 보호를 위해 차량 실내(600)를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안전 칸막이(100)가 배치되지만 공기는 차량 실내(600)에서 원활하게 순환되는 공기 흐름(AF)을 구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안전 칸막이(100)의 설치로 인해 후방 좌석 영역에서 차량 공조 시스템이 기능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후방 좌석의 탑승자로부터 전방 좌석의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칸막이를 배치하면서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안전 칸막이에 전방 좌석의 공기를 후방 좌석으로 공급하는 제1 송풍기와, 후방 좌석의 공기를 전방 좌석으로 공급하는 제2 및 제3 송풍기를 배치하여 안전 칸막이 배치로 인한 차량 공조 시스템의 기능이 저하를 방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제1 내지 제3 송풍기에 각각 마그네트로 구성된 고정수단을 배치하여 안전 칸막이로부터 송풍기들의 탈부착을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안전 칸막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송풍기의 회전 방향, 송풍 방향 등을 감지하고 제1 내지 제3 송풍기의 송풍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여 전방 좌석 영역과 후방 좌석 영역의 공기 순환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1000)은, 안전 칸막이(100), 제1 내지 제3 송풍기(200, 210, 220), 송풍 조절기(700) 및 송풍 제어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1000)은, 송풍 조절기(700)에 의해 제1 내지 제3 송풍기(200, 210, 220)의 모터 회전 방향, 송풍 방향 또는 송풍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 조절기(700)는 제1 송풍기(200)의 송풍 방향(또는 모터의 회전 방향, 회전 토크, 송풍 방향, 송풍 속도 등)을 감지한 후,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의 송풍 방향(또는 모터의 회전 방향, 회전 토크, 송풍 방향, 송풍 속도 등)을 감지된 제1 송풍기(200)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송풍 조절기(700)는 제1 내지 제3 송풍기(200, 210, 220)에 배치되는 모터의 회전 방향, 회전 토크, 송풍 방향, 송풍 속도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과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연산 작업을 수행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 조절기(700)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송풍기(200, 210, 220)에 대한 센싱 정보와 연산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3 송풍기(200, 210, 220)에 대한 송풍 방향, 송풍 속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송풍 조절기(700)에서 생성된 송풍 조절 신호에 기초하여 송풍 제어부(800)는 제1 내지 제3 송풍기(200, 210, 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제1 송풍기(200)를 동작시키면 송풍 조절기(700)는 제1 송풍기(200)의 송풍 방향, 모터의 회전 방향, 회전 토크, 송풍 속도 등을 감지한다. 송풍 조절기(700)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송풍 제어부(800)는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의 회전 방향을 제1 송풍기(20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송풍기(200, 210, 220)는 송풍 제어부(800)에 의해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에게 제1 송풍기(200)의 회전 방향과 제2 및 제3 송풍기(210, 220)의 회전 방향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제1 내지 제3 송풍기(200, 210, 220)의 송풍 방향 및 송풍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후방 좌석의 탑승자로부터 전방 좌석의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칸막이를 배치하면서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안전 칸막이에 전방 좌석의 공기를 후방 좌석으로 공급하는 제1 송풍기와, 후방 좌석의 공기를 전방 좌석으로 공급하는 제2 및 제3 송풍기를 배치하여 안전 칸막이 배치로 인한 차량 공조 시스템의 기능이 저하를 방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제1 내지 제3 송풍기에 각각 마그네트로 구성된 고정수단을 배치하여 안전 칸막이로부터 송풍기들의 탈부착을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은, 안전 칸막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송풍기의 회전 방향, 송풍 방향 등을 감지하고 제1 내지 제3 송풍기의 송풍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여 전방 좌석 영역과 후방 좌석 영역의 공기 순환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고안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고안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고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고안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안전 칸막이
120: 바디부
130: 격자 관통부
140: 차단 브라켓
150: 손잡이
161: 제1 지지부
162: 제2 지지부
200: 제1 송풍기
210: 제2 송풍기
220: 제3 송풍기
H1: 제1 가이드 홀
H2: 제2 가이드 홀
H3: 제3 가이드 홀
H4: 제4 가이드 홀
1000: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Claims (7)

  1. 차량 실내의 전방 좌석과 후방 좌석 사이에 배치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부로 구성된 안전 칸막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에 배치된 차단 브라켓;
    상기 차단 브라켓에 배치된 제1 송풍기; 및
    상기 안전 칸막이의 바디부에 배치된 제2 및 제3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전방 좌석을 구성하는 운전석과 조수석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는 상기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단 브라켓은 상기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된 콘솔 박스 및 상기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차단 브라켓은 상기 제1 송풍기의 송풍팬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2 및 제3 송풍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3 및 제4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및 제4 가이드 홀 영역과 대응되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차단 브라켓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송풍기 또는 상기 제3 송풍기는 상기 바디부의 제3 가이드 홀 또는 상기 제4 가이드 홀 영역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 중앙 영역에는 마그네트 재질의 제2 고정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십자 형태로 분기되며 마그네트 재질로 구성된 제3 고정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송풍기는 전방 좌석의 공기를 흡기한 후, 상기 후방 좌석 방향으로 배기하며,
    상기 제2 및 제3 송풍기는 상기 후방 좌석의 공기를 흡기한 후, 상기 전방 좌석 방향으로 배기하는,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홀은 상기 차단 브라켓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홀들로 형성된,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가이드 홀은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홀들로 형성된,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기의 배면 가장자리 모서리 영역에는 상기 차단 브라켓과 자기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로 구성된 제1 고정수단이 배치된,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실내의 공기 순환 시스템은, 상기 제1 송풍기의 송풍 방향을 감지한 후, 상기 제2 및 제3 송풍기의 송풍 방향을 감지된 상기 제1 송풍기의 송풍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절하는 송풍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조절기는 상기 제1 송풍기의 송풍 속도와 상기 제2 및 제3 송풍기의 송풍 속도를 감지한 후, 상기 제1 내지 제3 송풍기의 송풍 속도가 동일하도록 조절하는,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KR2020230001108U 2023-06-01 2023-06-01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KR200497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108U KR200497303Y1 (ko) 2023-06-01 2023-06-01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108U KR200497303Y1 (ko) 2023-06-01 2023-06-01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303Y1 true KR200497303Y1 (ko) 2023-09-27

Family

ID=88190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108U KR200497303Y1 (ko) 2023-06-01 2023-06-01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30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256A (ko) *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엔씨파워텍 컴퓨터본체용 외장형 송풍장치
KR20100090843A (ko) 2009-02-09 2010-08-1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오티오 택시 운전자 보호대
JP2018140687A (ja) * 2017-02-27 2018-09-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送風装置
CN106671929B (zh) * 2016-08-25 2020-04-14 凯珀瑞润滑科技(东台)有限公司 出租车隔离防护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256A (ko) * 2007-07-06 2009-01-12 주식회사 엔씨파워텍 컴퓨터본체용 외장형 송풍장치
KR20100090843A (ko) 2009-02-09 2010-08-1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오티오 택시 운전자 보호대
CN106671929B (zh) * 2016-08-25 2020-04-14 凯珀瑞润滑科技(东台)有限公司 出租车隔离防护栏
JP2018140687A (ja) * 2017-02-27 2018-09-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送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1428B1 (en) Vehicle ventilation system
JP4683062B2 (ja) 車載装置
US10926604B2 (en) Air conditioner
US20100248605A1 (en) Integrated blower grid
KR200497303Y1 (ko) 차량 실내 공기 순환 시스템
JP6772892B2 (ja) シート送風装置
US20160229265A1 (en) Vehicle speed induced ventilation for motor vehicle
JP2000247261A (ja) 車体フロア構造
US7380623B2 (en) Cooling structure for engine exhaust system
JP7081474B2 (ja) シート空調装置
JP679495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2012169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551253B2 (ja) 防曇装置
JP6225686B2 (ja) バッテリ冷却装置
JP2884762B2 (ja) 車輌用空気調和装置
JP2022002924A (ja) 電装部品の支持構造
JP2021095032A (ja) 車載空調装置
JP2018127098A (ja) シート送風装置
JP2009001161A (ja) 外気導入構造
JP4083597B2 (ja) Ecuの放熱構造
JP4718932B2 (ja)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パネル構造
JP3873810B2 (ja) 車両用ダクト構造
JP2001138754A (ja) 車両の外気導入構造
JP2024036162A (ja) 燃料電池車両の冷却装置
JP3242772B2 (ja) 車両のエアコン吹出口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