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604Y1 -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604Y1
KR200496604Y1 KR2020210000404U KR20210000404U KR200496604Y1 KR 200496604 Y1 KR200496604 Y1 KR 200496604Y1 KR 2020210000404 U KR2020210000404 U KR 2020210000404U KR 20210000404 U KR20210000404 U KR 20210000404U KR 200496604 Y1 KR200496604 Y1 KR 200496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aterial
expanded graphite
sheet
delete delete
sandwic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997U (ko
Inventor
신승용
Original Assignee
신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용 filed Critical 신승용
Priority to KR2020210000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60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9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9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6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32B2255/1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synthetic resin or rubber layer being a foam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축자재인 샌드위치패널에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지연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샌드위치패널의 심재로 사용되는 단열소재의 발화에 의한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사람들이 화재현장으로부터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초기 대피시간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개량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은, 중심부 심재(100)의 양면에 철판(200)이 접착되어 일체로써 형성되되, 상기 심재(100)는, 소정 두께의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을 복수겹 이상 다수겹을 적층접합하여 전체적으로 다층 구조의 시루떡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판(200)은, 금속필름, 비철금속박막필름 또는 부직포시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로 대체 가능하고, 상기 심재(100)와 철판(200)의 접착면은, 팽창흑연혼합액(310)을 도포 또는 분사하거나 소정 두께의 팽창흑연시트(330)가 융착되어 팽창흑연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심재(100)의 상하좌우측변(111)(112)(113)(114)은, 팽창흑연혼합액(310)이 도포 또는 분사 및 응고시켜 마감하거나 소정 두께의 팽창흑연띠(320)가 부착되어 마감하여 폐쇄되고, 상기 팽창흑연시트(330)의 좌우폭은, 심재(100)인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폭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부(120)를 형성하여, 상기 연장부(120)가 각각의 상기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측변(113)(114)에 하향 절곡되어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측변(113)(114)을 덮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흑연층(300)은, 화재발생시 팽창흑연층(300)의 팽창에 의해 난연층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팽창흑연층(300)의 팽창시 그 팽창압력에 의해 시트형상으로 된 단열패널(110)의 가장자리를 압착하여 밀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염이 심재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틈새를 차단하거나 또는 좁혀줌으로써 심재(100) 내부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 내지 지연시킬 수 있도록, 심재(100)의 중앙부 영역 보다 가장자리 소정 영역이 더 두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에 의하면,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축자재인 샌드위치패널에 화염이 전파되어 발화되는 것을 지연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샌드위치패널의 심재로 사용되는 단열소재의 발화에 의한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사람들이 화재현장으로부터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초기 대피시간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개량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이 제공되게 된다.

Description

건축용 샌드위치패널{Sandwich panels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축자재인 샌드위치패널에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지연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샌드위치패널의 심재로 사용되는 단열소재의 발화에 의한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사람들이 화재현장으로부터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초기 대피시간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개량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샌드위치패널이란 절연재료와 결합된 단열패널을 중간에 위치시키고 단열재패널의 양면에 철판이 접착되어 형성된 건축용 판넬을 일컫는 말이다.
위와 같은 샌드위치패널은, 건축물의 시공성이 우수하여 건축재료로써 각광을 받고 있다.
즉, 상기 샌드위치패널은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모양을 쉽게 연출할 수 있는 건축 마감재로써 설치의 용이성과 건축비용의 경제성 및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최근 환영을 받고 있는 건축자재이다.
이와 같은 샌드위치패널의 중간 심재로서 사용되고 있는 단열패널은, 가볍고 단열효과가 우수한 스틸로폼 패널 또는 우레탄폼 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샌드위치패널의 심재로 사용되고 있는 스틸로폼 패널이나 우레탄폼 패널은, 값이 저렴하고 가볍고 단열효과가 우수하여 단열패널로서 널리 사랑을 받고 있으나,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심재인 스티로폼 패널이나 우레탄 패널은 쉽게 발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발화될 경우에는 화재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르고 화염에 의해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므로 사람들이 대피할 사이도 없이 유독가스에 질식되어 사망에 이르게 되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축자재인 샌드위치패널에 화염이 전파되어 발화되는 것을 지연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샌드위치패널의 심재로 사용되는 단열소재의 발화에 의한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사람들이 화재현장으로부터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초기 대피시간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개량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은, 중심부 심재(100)의 양면에 철판(200)이 접착되어 일체로써 형성되되, 상기 심재(100)는, 소정 두께의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을 복수겹 이상 다수겹을 적층접합하여 전체적으로 다층 구조의 시루떡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판(200)은, 금속필름, 비철금속박막필름 또는 부직포시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로 대체 가능하고, 상기 심재(100)와 철판(200)의 접착면은, 팽창흑연혼합액(310)을 도포 또는 분사하거나 소정 두께의 팽창흑연시트(330)가 융착되어 팽창흑연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심재(100)의 상하좌우측변(111)(112)(113)(114)은, 팽창흑연혼합액(310)이 도포 또는 분사 및 응고시켜 마감하거나 소정 두께의 팽창흑연띠(320)가 부착되어 마감하여 폐쇄되고, 상기 팽창흑연시트(330)의 좌우폭은, 심재(100)인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폭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부(120)를 형성하여, 상기 연장부(120)가 각각의 상기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측변(113)(114)에 하향 절곡되어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측변(113)(114)을 덮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흑연층(300)은, 화재발생시 팽창흑연층(300)의 팽창에 의해 난연층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팽창흑연층(300)의 팽창시 그 팽창압력에 의해 시트형상으로 된 단열패널(110)의 가장자리를 압착하여 밀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염이 심재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틈새를 차단하거나 또는 좁혀줌으로써 심재(100) 내부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 내지 지연시킬 수 있도록, 심재(100)의 중앙부 영역 보다 가장자리 소정 영역이 더 두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에 의하면,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축자재인 샌드위치패널에 화염이 전파되어 발화되는 것을 지연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샌드위치패널의 심재로 사용되는 단열소재의 발화에 의한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사람들이 화재현장으로부터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초기 대피시간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개량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이 제공되게 된다.
첨부된 도1 내지 도3 및 도5 내지 도9는, 첨부된 도4의 AA'선을 절단한 상태의 단명형상을 예를 들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은, 단열패널 양면에 철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일반적인 샌드위치패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2는, 양 철판의 사이에 발포원액을 주입하고 발포하여 형성되는 샌드위치패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4는, 도3의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사측면 설명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인 샌드위치패널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다층구조의 심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6은, 상기 도5의 상하좌우측변을 마감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구조 설명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인 샌드위치패널의 다른 실시예의 팽창흑연층을 팽창흑연시트에 의해 형성할 때 시트형상 단열패널의 폭보다 소정폭 연장부를 길게 형성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8은, 도7의 연장부를 하향 절곡하여 단열패널의 측변을 덮은 다음 다시 상하좌우측변을 마감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구조 설명도이다.
도9는, 본 고안인 샌드위치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다층구조의 심재를 형성할 때 심재의 중앙부 영역 보다 가장자리 소정영역을 더 두텁게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원 고안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 동일한 명칭으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1 내지 도3 및 도5 내지 도9는, 첨부된 도4의 AA'선을 절단한 상태의 단명형상을 예를 들어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써, 첨부한 도1은, 단열패널 양면에 철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일반적인 샌드위치패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2는, 양 철판의 사이에 발포원액을 주입하고 발포하여 형성되는 샌드위치패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4는, 도3의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사측면 설명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인 샌드위치패널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다층구조의 심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6은, 상기 도5의 상하좌우측변을 마감한 상태의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구조 설명도이고, 도7은, 본 고안인 샌드위치패널의 다른 실시예의 팽창흑연층을 팽창흑연시트에 의해 형성할 때 시트형상 단열패널의 폭보다 소정폭 연장부를 길게 형성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8은, 도7의 연장부를 하향 절곡하여 단열패널의 측변을 덮은 다음 다시 상하좌우측변을 마감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9는, 본 고안인 샌드위치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인 다층구조의 심재를 형성할 때 심재의 중앙부 영역 보다 가장자리 소정영역을 더 두텁게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첨부한 도1 내지 도9에 나타 낸 것과 같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은, 중심부 심재(100)의 양면에 철판(200)이 접착되어 일체로써 형성되되, 상기 심재(100)는, 소정 두께의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을 복수겹 이상 다수겹을 적층접합하여 전체적으로 다층 구조의 시루떡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판(200)은, 금속필름, 비철금속박막필름 또는 부직포시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로 대체 가능하고, 상기 심재(100)와 철판(200)의 접착면은, 팽창흑연혼합액(310)을 도포 또는 분사하거나 소정 두께의 팽창흑연시트(330)가 융착되어 팽창흑연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심재(100)의 상하좌우측변(111)(112)(113)(114)은, 팽창흑연혼합액(310)이 도포 또는 분사 및 응고시켜 마감하거나 소정 두께의 팽창흑연띠(320)가 부착되어 마감하여 폐쇄되고, 상기 팽창흑연시트(330)의 좌우폭은, 심재(100)인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폭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부(120)를 형성하여, 상기 연장부(120)가 각각의 상기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측변(113)(114)에 하향 절곡되어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측변(113)(114)을 덮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흑연층(300)은, 화재발생시 팽창흑연층(300)의 팽창에 의해 난연층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팽창흑연층(300)의 팽창시 그 팽창압력에 의해 시트형상으로 된 단열패널(110)의 가장자리를 압착하여 밀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염이 심재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틈새를 차단하거나 또는 좁혀줌으로써 심재(100) 내부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 내지 지연시킬 수 있도록, 심재(100)의 중앙부 영역 보다 가장자리 소정 영역이 더 두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1은 단열패널 양면에 철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일반적인 샌드위치패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2는 양 철판의 사이에 발포원액을 주입하고 발포하여 형성되는 샌드위치패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첨부한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은, 심재(100)인 소정 두께의 단열패널(110) 양면에 외피로써 상기 단열패널(110)의 폭보다 소정폭 더 큰 소정 두께의 철판(200)이 각각 접합되고, 상기 철판(200)의 좌우측변 중 일측변은 삽입부(210)를 형성하고 타측변은 끼움부(22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210)와 끼움부(220)의 형상은 서로 삽입 결합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하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심재(100)인 단열패널(110)은, 단열성이 우수한 우레탄폼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심재(100)는,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 철판(200)의 사이에 우레탄폼 발포원액을 주입하여 단열패널(110)의 형상으로 발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양 철판(200)의 좌우측변(113)(114) 영역에는 소정 형상의 마감재(230)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발포원액의 누액을 방지한다.
상기 마감재(230)는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하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3은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4는 도3의 사측면 설명도로써, 도4의 310(320)은,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의 상하좌우 4측변에 도포, 분사 또는 접합되어 형성되는 팽창흑연혼합액(또는 팽창흑연띠)을 별도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대표적으로 일측변만을 도시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은, 화재발생시 화재의 확산을 저지 내지 지연시킴으로써 사람들이 화재 현장으로부터 신속히 탈출할 수 있는 초기대피시간을 확보하여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도록 개량한 것으로써,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을 개량한 것이다.
첨부된 도3 및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은, 소정 두께의 단열패널(110)을 중간에 위치시켜 심재(100)로 하고, 상기 단열패널(110)의 양면에 외피인 철판(200)이 접착되어 형성되는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에 있어서, 상기 심재(100)와 철판(200) 사이의 접합면에는 팽창흑연층(300)이 형성되고, 상기 심재(100)인 단열패널(110)의 상하좌우측변(111)(112)(113)(114)에는, 팽창흑연혼합액(310)이 도포 또는 분사되거나 또는 팽창흑연띠(320)가 부착되어 일체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재(100)가 되는 단열패널(110)인 우레탄폼패널에는, 재료의 연소를 억제하거나 현저히 감소 또는 지연시키기 위해 절연재인 팽창흑연, 규산소다, 글라스울 또는 암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혼합되어 단열성 및 난연성을 높여 줄 수도 있다.
즉, 상기 우레탄폼패널은, 우레탄폼 발포원액 100증량부에 팽창흑연 1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팽창흑연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단열성능은 좋으나 화재시 유독가스 발생량이 높아 사람의 생존가능성이 낮아져 적절치 않고, 팽창흑연이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열성능이 약해져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우레탄폼패널은, 우레탄폼 발포원액 100증량부에 규산소다 1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규산소다가 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단열성능은 좋으나 화재시 유독가스 발생량이 높아 사람의 생존가능성이 낮아져 적절치 않고, 규산소다가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열성능이 약해져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우레탄폼패널은, 우레탄폼 발포원액 100증량부에 팽창흑연과 규산소다의 등량 혼합액을 1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팽창흑연과 규산소다의 등량 혼합액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단열성능은 좋으나 화재시 유독가스 발생량이 높아 사람의 생존가능성이 낮아져 적절치 않고, 팽창흑연과 규산소다의 등량 혼합액이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열성능이 약해져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심재(100) 양면에 접착되는 외피인 철판(200)은 0.5mm 내지 2mm두께의 철판을 사용하되 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한 소정의 디자인을 가미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철판(200)의 두께가 0.5mm미만인경우에는 경도가 약하여 건축재로서 적절치 못하고 상기 철판의 두께가 2mm이상인 경우에는 지나치게 무거워 설치공정이 원활치 못하고 건축비용의 증가로 이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외피인 상기 철판(2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필름, 비철금속박막필름 또는 부직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외피를 철판(200)이 아닌 금속필름, 비철금속박막필름 또는 부직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샌드위치패널이라기 보다는 샌드위치보드 형태가 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외피의 소재에 불문하고 통칭 철판(200)으로 칭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심재(100)와 철판(200) 사이의 일측 접합면에는, 팽창흑연층(300)이 형성된다.
상기 팽창흑연층(300)은, 바인더 100 중량부에 팽창흑연분말 5 내지 10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 팽창흑연혼합액(310)이 도포, 분사, 응고시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팽창흑연혼합액(310)은, 바인더 100 중량부에 팽창흑연분말 5 내지 10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팽창흑연층(300)은, 심재(100)인 단열패널(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팽창흑연혼합액(310)을 도포, 분사 및 응고시켜 형성할 수도 있고, 일측 철판(200)의 내면 또는 양측 철판(200)의 내면에 팽창흑연혼합액(310)을 도포 또는 분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팽창흑연층(300)은, 소정 두께의 팽창흑연시트(330)가 융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시트(330)는, 소정 두께의 부직포시트에 팽창흑연혼합액(310)을 함침 경화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팽창흑연시트(330)의 두께는 0.1mm이상 3mm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흑연시트(330)의 두께가 0.1mm미만일 경우에는 팽창효과가 미미하여 샌드위치패널의 단열층 형성 효과가 적어 화재의 전파 위험성이 존재하고, 3mm이상일 경우에는 단열층 형성에는 효과적이나 건축원가 상승요인으로 작용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팽창흑연층(300)은 상기 심재(100)와 철판(200) 사이의 양측 접합면에 형성하는 것도 샌드위치패널의 단열효과를 높여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심재(100)인 단열패널(110)의 상하좌우측변(111)(112)(113)(114)에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팽창흑연혼합액(310)이 도포 또는 분사되어 마감된다.
또한, 상기 심재(100)인 단열패널(110)의 상하좌우측변(111)(112)(113)(114)에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팽창흑연띠(320)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팽창흑연띠(320)는, 소정 두께의 부직포시트에 팽창흑연혼합액(310)을 함침 경화하여 소정의 띠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팽창흑연띠(320)의 두께는 0.1mm이상 3mm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흑연띠(320)의 두께가 0.1mm미만일 경우에는 팽창효과가 미미하여 샌드위치패널의 단열층 형성 효과가 적어 화재의 전파 위험성이 존재하고, 3mm이상일 경우에는 단열층 형성에는 효과적이나 건축원가 상승요인으로 작용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의 팽창흑연혼합액(310)과 팽창흑연띠(320)는, 본 고안의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을 절단하여 시공하게 되는 경우 그 절단부에 도포, 분사 또는 부착하여 사용하기에도 매우 유용하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의 심재(100)인 단열패널(110)의 상하좌우측변(111)(112)(113)(114)에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팽창흑연혼합액(310)을 도포 또는 분사 하거나 또는 소정 두께의 팽창흑연띠(320)를 부착하여 마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샌드위치패널의 심재(100)인 단열패널(110)의 상하좌우측변(111)(112)(113)(114)을 폐쇄함으로써 심재(100) 안으로 화염의 침투를 저지 내지 지연시킬 수 있고, 특히 심재(100) 안으로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5는 본 고안인 샌드위치패널의 다른 실시예인 다층구조의 심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6은 상기 도5의 상하좌우측변을 마감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첨부된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심재(100)는, 소정 두께의 시트형 단열패널(110)을 복수겹 이상 다수겹을 적층 융착하여 형성된 소정 두께의 심재(100)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의 심재(100)는, 소정 두께의 시트형상으로 된 단열패널(110)을 복수겹 이상 다수겹을 적층하고 그 적층접합면에 팽창흑연혼합액(310)을 도포, 분사 및 응고시켜 팽창흑연층(300)을 형성함으로써, 도5에 나타낸 것처럼, 전체적으로 시루떡 형상으로 된 다층구조의 심재(10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적층접합면에는, 소정 두께의 팽창흑연시트(330)를 융착 하여 팽창흑연층(30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때, 상기 시트형상으로 된 단열패널(110)의 두께는 1cm이상으로 형성되되, 제조하고자 하는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의 두께를 참작하여 가변적인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제조공정의 편의상 바람직하다.
상기한 시트형상으로 된 단열패널(110)의 두께를 1cm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과다한 팽창흑연혼합액(310) 사용으로 인한 재료비의 증가로 건축원가 상승요인이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에도, 상기와 같이 형성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의 다층구조의 심재(100)의 상하좌우측변(111)(112)(113)(114)에는,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팽창흑연혼합액(310)을 도포, 분사 및 응고시켜 마감할 수 있다.
또한 이때에도, 상기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 심재(100)의 상하좌우측변(111)(112)(113)(114)에는 소정 두께의 팽창흑연띠(320)를 부착하여 마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샌드위치패널(1)심재(100)의 상하좌우측변(111)(112)(113)(114)을 폐쇄함으로써 심재(100) 안으로 화염이 침투되는 것을 저지 내지 지연시킬 수 있고 특히 심재(100) 안으로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7은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의 다른 실시예의 팽창흑연층을 팽창흑연시트에 의해 형성할 때 시트형상 단열패널의 폭(여기에서의 폭은 도면에 나타난 가로 길이를 일컫는다.)보다 소정폭 연장부(120)를 길게 형성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8은 도7의 연장부(120)를 하향 절곡하여 단열패널의 도면상의 좌우측변을 덮은 다음 다시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의 상하좌우측변을 마감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의 적층접합면을 형성하는 팽창흑연시트(330)의 좌우폭은, 첨부된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심재(100)인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폭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부(120)를 형성하여 상기 연장부(120)가 상기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측변(113)(114)에 하향 절곡되어 상기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측변(113)(114)을 덮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때 상기 팽창흑연시트(330)의 좌우폭은,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폭에 상기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두께를 합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9는,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으로써, 다층구조의 심재를 형성할 때,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의 팽창흑연층(300)은, 도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심재(100)의 중앙부 영역 보다 가장자리 소정 영역이 더 두텁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소정 두께의 시트형상으로 된 단열패널(110)을 복수겹 이상 다수겹을 적층하고, 적층접합면에 팽창흑연혼합액(310)을 도포, 분사 및 응고시켜 팽창흑연층(300)을 형성하거나, 상기 적층접합면에 소정 두께의 팽창흑연시트(330)를 융착하여 팽창흑연층(300)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시루떡 형상으로 된 다층구조의 심재(100)를 형성할 때, 상기 팽창흑연층(300)은, 심재(100)의 중앙부 영역 보다 가장자리의 소정 영역을 더 두텁게 형성한다.
이는, 화재발생시 팽창흑연층(300)의 팽창에 의해 난연층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팽창흑연층(300)의 팽창시 그 팽창압력에 의해 시트형상으로 된 단열패널(110)의 가장자리를 압착하여 밀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염이 심재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틈새를 차단하거나 또는 좁혀줌으로써 심재(100) 내부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 내지 지연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에 의하면,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축자재인 샌드위치패널에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지연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샌드위치패널의 심재로 사용되는 단열소재의 발화에 의한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사람들이 화재현장으로부터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초기 대피시간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개량된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인 건축용 샌드위치패널(1)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특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100 심재 110 단열패널 111 상변 112하변 113좌변 114우변 120 연장부
200 철판 210 삽입부 220 끼움부 230 마감재
300 팽창흑연층 310 팽창흑연혼합액 320 팽창흑연띠 330 팽창흑연시트

Claims (19)

  1. 중심부 심재(100)의 양면에 철판(200)이 접착되어 일체로써 형성되되, 상기 심재(100)는, 소정 두께의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을 복수겹 이상 다수겹을 적층접합하여 전체적으로 다층 구조의 시루떡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철판(200)은, 금속필름, 비철금속박막필름 또는 부직포시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로 대체 가능하고, 상기 심재(100)와 철판(200)의 접착면은, 팽창흑연혼합액(310)을 도포 또는 분사하거나 소정 두께의 팽창흑연시트(330)가 융착되어 팽창흑연층(300)을 형성하고, 상기 심재(100)의 상하좌우측변(111)(112)(113)(114)은, 팽창흑연혼합액(310)이 도포 또는 분사 및 응고시켜 마감하거나 소정 두께의 팽창흑연띠(320)가 부착되어 마감하여 폐쇄되고, 상기 팽창흑연시트(330)의 좌우폭은, 심재(100)인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폭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부(120)를 형성하여, 상기 연장부(120)가 각각의 상기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측변(113)(114)에 하향 절곡되어 시트형상 단열패널(110)의 좌우측변(113)(114)을 덮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팽창흑연층(300)은, 화재발생시 팽창흑연층(300)의 팽창에 의해 난연층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팽창흑연층(300)의 팽창시 그 팽창압력에 의해 시트형상으로 된 단열패널(110)의 가장자리를 압착하여 밀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염이 심재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틈새를 차단하거나 또는 좁혀줌으로써 심재(100) 내부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 내지 지연시킬 수 있도록, 심재(100)의 중앙부 영역 보다 가장자리 소정 영역이 더 두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2020210000404U 2021-02-06 2021-02-06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KR200496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04U KR200496604Y1 (ko) 2021-02-06 2021-02-06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04U KR200496604Y1 (ko) 2021-02-06 2021-02-06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97U KR20220001997U (ko) 2022-08-17
KR200496604Y1 true KR200496604Y1 (ko) 2023-03-13

Family

ID=8306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404U KR200496604Y1 (ko) 2021-02-06 2021-02-06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6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837B1 (ko) 2023-07-10 2024-03-21 김병민 화재지연 및 확산방지용 샌드위치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804B1 (ko) * 2018-09-28 2019-05-14 에프알코리아(주) 외부 벽체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08211B1 (ko) * 2020-10-27 2021-02-01 (주)에이디비앤에이치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219B1 (ko) * 2015-07-20 2017-11-13 이승희 내화 방화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804B1 (ko) * 2018-09-28 2019-05-14 에프알코리아(주) 외부 벽체용 단열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08211B1 (ko) * 2020-10-27 2021-02-01 (주)에이디비앤에이치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837B1 (ko) 2023-07-10 2024-03-21 김병민 화재지연 및 확산방지용 샌드위치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97U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5386A (en) Fire-retardant low temperature insulating building panel
KR102093562B1 (ko)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화염 확산 방지기능이 향상된 세라믹울 내장형 복합단열재
KR20180033675A (ko) 난연, 흡음 및 방습기능을 겸비한 복합기능성 단열재
KR200496604Y1 (ko)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KR20090066087A (ko) 건축용 복합기능의 진공 방화심재
KR101398423B1 (ko) 뒤틀림 방지 불연성 패널을 적용한 방화문
KR101558953B1 (ko) 단열성이 개선된 반사형 단열재
KR20150041273A (ko) 단열 특성이 우수한 샌드위치 타입의 단열재 구조물
KR102073626B1 (ko) 방화문의 구조
JP2019218853A (ja) 耐火構造
GB1583744A (en) Cavity barrier insulation
JP4938359B2 (ja) 防火断熱パネル
TWI458878B (zh) 複合鋼板(二)
JP4205535B2 (ja) 耐火断熱複合パネル
JP5441878B2 (ja) 間仕切用パネル及びその取付構造
JP3215222U (ja) 金属屋根用遮熱断熱積層体
KR101007757B1 (ko) 슬림형 단열 복합패널
JP5777056B2 (ja) 防火パネルおよびパネル建材
JPH11229527A (ja) 防火パネル
CN215829893U (zh) 一种透气性高的聚氨酯夹芯板
KR102649837B1 (ko) 화재지연 및 확산방지용 샌드위치패널
JP2004108082A (ja) 木製防火扉
CN209637001U (zh) 一种稳定高效的防火泄爆板
CN213626134U (zh) 一种防火效果好的保温挤塑板
JP7217437B2 (ja) 内装パネル及び内装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