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432Y1 - 캠핑용 난로 - Google Patents

캠핑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432Y1
KR200496432Y1 KR2020210000491U KR20210000491U KR200496432Y1 KR 200496432 Y1 KR200496432 Y1 KR 200496432Y1 KR 2020210000491 U KR2020210000491 U KR 2020210000491U KR 20210000491 U KR20210000491 U KR 20210000491U KR 200496432 Y1 KR200496432 Y1 KR 200496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pace
cover
main body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051U (ko
Inventor
이건철
Original Assignee
이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철 filed Critical 이건철
Priority to KR2020210000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32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0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6Stov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9/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24B9/04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in closed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10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plates
    • F24H3/10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plates using sol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ker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내부에 펠릿 또는 나무목재 등의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접힘상태 또는 펼침상태가 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펼침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연소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배기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부의 일측면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접거나 펼 수 있는 난로의 덮개부를 구비하여 음식 조리와 안전한 난방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캠핑용 난로{Camping stove}
본 고안은 캠핑용 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 조리와 안전한 난방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거나 펼 수 있는 난로의 덮개부를 구비하여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한 캠핑용 난로에 관한 것이다.
캠핑이나 낚시 등과 같은 야외 레저 활동에는 음식을 하거나 고기를 굽는 등의 조리 행위와 추운 날씨의 야외 활동에 대비하여 난방을 위한 화기 관련 용품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야외 레저 활동이나 공장같은 건물 실내외에서의 난방 및 취사용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캠핑용 난로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캠핑용 난로는 큰 부피에 따라 이동 및 설치가 불편하거나 부피에 비하여 음식 조리를 위한 공간이 한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캠핑용 난로는 난방을 위하여 한 다양한 난방기구와의 결합구조가 제공되지 아니하여 활용성이 떨어지고 난방 효율을 위하여 텐트 안에 난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배기가스의 누출에 의하여 질식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캠핑 등 야외 레저 활동을 위하여 이동 및 설치가 가능한 구조이면서 음식 조리 및 난방에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고 특히 인명사고의 위험이 없이 안전한 난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캠핑용 난로의 개발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3093호 (2012.01.10.)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식 조리와 안전한 난방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접거나 펼 수 있는 난로의 덮개부를 구비하여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한 캠핑용 난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펠릿 또는 나무목재를 연료로 하는 캠핑용 난로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접힘상태 또는 펼침상태가 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펼침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연소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배기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덮개부; 상기 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부의 일측면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덮개부의 펼침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와 대면하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연통구; 및 상기 덮개부의 펼침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연소공간과 상기 덮개부의 배기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연통구에 대향하는 덮개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연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본체는, 상기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 투입구; 및 상기 연소공간 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분리부재와, 상기 분리부재에 의하여 상기 연소공간과 분리되어 발열공간이 형성되는 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상기 난방부를 덮는 난방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상기 난방부의 발열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분리부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 각각은, 상기 분리부재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 및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을 연결하되, 상기 연소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발열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상기 난방부의 발열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난방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상기 관통부는 둘 이상이고,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온수가 유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온수가 유입되는 2개의 코일단부를 포함하는 온수코일; 상기 2개의 코일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온수관; 및 상기 제1 및 제2 온수관을 따라 순환하는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상기 제1 및 제2 온수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온수관 내에 수압차를 발생시키는 펌프; 및 상기 온수의 흐름에 의하여 난방을 수행하는 온수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상기 난방커버에는 상기 난방커버를 관통하여 온풍구가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난방커버의 온풍구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공간에서 가열된 온풍이 이송되는 온풍관; 및 상기 온풍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외부공기가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발열공간으로 유입된 후 상기 온풍관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동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연소공간에서 상기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기공간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기구; 및 상기 배기구에 삽입되어 상기 배기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공간으로부터 유입된 연소열과 배기가스에 의한 열기를 이용하여 조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배기공간과 외부가 연통되게 형성되는 조리구; 및 상기 조리구를 덮는 조리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상기 연료 투입구로 연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연료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연료를 투입하고 저장하는 저장호퍼; 상기 저장호퍼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연료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연료 투입관; 및 상기 연료 투입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된 연료의 연소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연료를 지지하는 연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상기 본체와 덮개부의 상기 접힘상태가 유지되도록 접힘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덮개부의 마주보는 측면에 구성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접거나 펼 수 있는 난로의 덮개부를 구비하여 넓은 조리공간 및 난방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접거나 펼 수 있는 난로의 덮개부를 구비함으로써 난로를 이동하거나 설치하기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연소공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로부터 분리된 난방부를 구비하여 난방을 다양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접힘상태에서의 캠핑용 난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난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캠핑용 난로에 대하여 A-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온수코일을 사용하는 실시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방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난방커버를 적용한 경우에 도 4의 B-B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한 것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가 펼침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접힘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펠릿 또는 나무목재를 연료로 하는 캠핑용 난로로서, 내부에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공간(110)이 마련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대하여 접힘상태 또는 펼침상태가 되도록 본체(100)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펼침상태에서는 본체(100)의 연소공간(110)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배기공간(210)이 내부에 마련되는 덮개부(200)와, 본체(100)의 일측면과 본체(100)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덮개부(200)의 일측면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00)는, 내부에 형성된 연소공간(110)에서 연료의 연소로 인하여 연소열 및 배기가스가 발생한다. 이때, 연료는 펠릿이나 나무목재가 활용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연료 공급부(60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연료로서 펠릿이나 펠릿과 유사한 크기의 잔가지의 목재가 바람직할 수 있다.
덮개부(200)는, 본체(100)와 힌지결합하여 회동가능한 구조로서 본체(100)에 접힌 접힘상태로 보관 또는 이동하거나 본체(100)에서 덮개부(200)를 펼친 펼침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체(100)와 덮개부(200)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덮개부(200)의 펼침상태에서 덮개부(200)와 대면하는 본체(100)의 측면에는 제1 연통구(160)가 형성되고, 덮개부(200)를 펼친 상태에서 본체(100)의 제1 연통구(160)에 대향하는 덮개부(200)의 측면에 제2 연통구(240)를 형성함으로써, 덮개부(200)를 펼쳤을 때 본체(100)의 연소공간(110)과 덮개부(200)의 배기공간(210)이 제1 및 제2 연통구(160, 240)를 통하여 연통되어 연료의 연소에 의한 열기와 배기가스가 본체(100)에서 덮개부(200) 측으로 확산되므로 덮개부(200)에도 조리구(220)를 형성하여 음식 조리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덮개부(200)에는 본체(100)의 연소공간(110)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구(230)를 형성할 수 있고, 덮개부(200)의 배기구(230)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본체(100)의 연소공간(110)에서 발생한 연소열 및 배기가스의 열기가 대류에 의하여 덮개부(200)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의 본체(100)에는,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 투입구(120)와, 음식 조리 및 난방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난방부(130)를 형성하고, 덮개부(200)에는 연소공간(110)으로부터 유입된 연소열과 배기가스에 의한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 조리가 가능하도록 배기공간(210)과 외부가 연통되게 조리구(22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캠핑용 난로는,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본체(10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지지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료 투입구(120)에 연료를 직접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나, 후술하는 연료 공급부(600)를 통하여 연료 투입구(120)에 연료를 투입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전자와 같이 연료 공급부(600)를 이용하지 않고 연료 투입구(120)에 직접 연료를 투입하는 경우에는 점화 후 배기가스의 누출을 막기 위하여 연료 투입구(120)를 덮을 수 있는 커버(도면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난방부(130)는, 음식 조리 및 난방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연소공간(110) 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분리부재(131)에 의하여 연소공간(110)과 분리되는 발열공간(140)을 형성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면에는 난방부(130)가 본체(100)에 구비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체(100)에 조리구(220)를 형성하는 난방부(130)를 덮개부(200) 측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조리구(220)와 달리 난방부(130) 내의 발열공간(140)은 분리부재(131)에 의하여 연소공간(110) 내의 열기와 배기가스가 차단되는 구조이므로 덮개부(200)보다는 연소공간(110)이 구비된 본체(100) 측에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난방부(130)의 발열공간(140)은 본체(100) 내의 연소공간(110)과 공간적으로 분리된 구조로 인하여 배기가스가 차단되기 때문에 난방부(130)를 이용하여 온수를 데워 온수 및 온수매트로 활용하거나 차가운 외부의 공기를 데워 온풍으로 난방에 활용할 때 배기가스에 의한 질식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를 위에서 바라다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난방부(130)의 발열공간(140)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관통부(150)가 난방부(130)의 분리부재(131)에 형성되는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가 난방부(130)를 덮을 수 있는 난방커버(170)를 더 구비하는 구성일 때에는 관통부(150)가 난방커버(17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본 고안이 캠핑용 난로는, 본체(100)와 덮개부(200)를 접었을 때 접힘상태가 유지되도록 접힘상태에서 본체(100)와 덮개부(200)의 마주보는 측면에 잠금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는 잠금수단이 잠금걸쇠(510)와 잠금걸쇠(510)에 걸려 잠금이 수행되는 잠금후크(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잠금수단의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잠금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잠금수단에 의하여 본 고안의 캠핑용 난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덮개부(200)를 접은 상태로 고정해둘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이동 시에 편리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난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연료 투입구(120)로 연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연료 공급부(600)와, 난방부(130)를 덮을 수 있는 난방커버(170)와, 조리구(220)를 덮는 조리구 커버(250)와, 배기구(230)에 삽입되어 배기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관(2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료 공급부(600)는, 연료 투입구(120)를 통하여 본체(100)에 연료를 직접 투입하는 대신에 연료의 저장과 투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서 이때 연료는 큰 사이즈의 목재보다는 펠릿(640)이거나 잔가지 목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료 공급부(600)는, 연료를 투입하고 저장하는 저장호퍼(610)와, 저장호퍼(610)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연료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연료 투입관(620)과, 연료 투입관(620)의 타단에 연결되어 투입된 연료의 연소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연료를 지지하는 연소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료는 연소부(630)에서 연소가 일어나며, 연소에 의하여 크기가 작아지거나 재가 되면 연소부(630)에서 본체(100)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조리구 커버(250)는, 조리구(220)를 커버하여 배기공간(210) 내의 배기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조리구(220)에서 음식 조리를 하는 때에는 냄비 등의 조리기구가 커버 역할을 하여 조리구(220)를 통하여 배기가스의 유출을 억제하게 되고, 음식 조리를 하지 않는 때에는 조리구 커버(250)로 조리구(220)를 막아 배기가스가 배기구(230)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배기관(260)은, 일종의 난로 연통으로서, 연료의 연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해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본체(100)에서 배기구(230)를 통하여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연료의 연소열과 배기가스의 열기가 덮개부(200)에 고루 퍼질 수 있도록 배기구(230)는 조리구(220)보다 본체(100)에서 더 먼 덮개부(200) 끝단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4의 캠핑용 난로에 대하여 A-A선에 따른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본체(100)와 덮개부(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되고 이때 본체(100)의 연소공간(110)과 덮개부(200)의 배기공간(210)은 서로 맞대어진 제1 및 제2 연통구(160, 240)에 의하여 연통되므로 열기 및 배기가스가 출입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연소공간(110)이 마련되고 연료 공급부(600)로부터 투입된 펠릿(640) 또는 잔가지 목재 등의 연료가 연소공간(110)에서 연소되어 연소열 및 배기가스를 발생시킨다. 연소에 의한 연소열 및 배기가스의 열기는 도 5에 도시된 굵은 화살표를 따라 본체(100)에서 덮개부(200)의 배기구(230)까지 흘러 배기관(26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연료 공급부(600)의 연소부(630) 근방에서부터 배기구(230) 사이에 위치한 난방부(130)와 조리구(220)에는 연소열과 배기가스의 대류에 의하여 음식 조리 및 난방 용도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열기가 전달된다.
난방부(130)는, 연소공간(110) 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분리부재(131)에 의하여 연소공간(110)과 분리되는 발열공간(140)을 구비한 구조로 형성되어 음식 조리 및 난방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난방부(130)는, 조리구(220)와 달리 난방부(130) 내의 발열공간(140)은 분리부재(131)에 의하여 연소공간(110) 내의 열기와 배기가스가 차단되는 구조이므로 덮개부(200)보다는 연소공간(110)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는 본체(100) 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난방부(130)는, 발열공간(140) 내에 또는 위에 조리기구를 거치하여 음식 조리용으로 사용되거나, 발열공간(140)을 이용하여 온수를 데우거나 데운 온수를 온수매트(850)로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열공간(140)에서 차가운 외부의 공기를 데워 온풍으로 난방에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난방부(130)의 발열공간(140)은 분리부재(131)에 의하여 연소공간(110)의 배기가스가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구조이므로 난방부(130)에 난방기구를 설치하여 난방용으로 사용하더라도 배기가스에 의한 질식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난방부(130)의 발열공간(140)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관통부(150) 각각은, 분리부재(131)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151)과,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152)과, 제1 및 제2 관통홀(151, 152)을 연결하되 연소공간(110)을 관통하여 발열공간(140)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연결부재(1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난방부(130)를 덮을 수 있는 난방커버(170)가 더 구비된 구조에서 관통부(150)는, 도 5에 도시된 구조와는 달리 본체(100)의 발열공간(140)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난방커버(170)를 관통하는 관통홀(도면 미도시)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난방부(130)에 형성하는 관통부(150)는, 난방부(130) 내에 온수코일(700)을 설치하였을 때 온수가 출입할 수 있는 통로가 되거나, 발열공간(140) 내의 뜨거워진 공기를 이용하여 온풍 난방을 하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난방부(130) 내의 발열공간(140)으로 차가운 외부공기(900)가 유입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부(150)는 발열공간(140)이 외부와 연통할 수 있는 통로이면 족하므로 그 위치가 분리부재(131)나 난방커버(170) 중 어느 하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온수코일(700)을 사용하는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여기에 도시된 본 고안의 캠핑용 난로는, 도 4의 캠핑용 난로에 대하여 B-B선에 따른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외부로 온수가 유출되거나 유입되는 2개의 코일단부(710)를 포함하는 온수코일(700)과, 온수코일(700)로 온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통로로서 둘 이상으로 형성된 관통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코일단부(710) 각각에는 제1 및 제2 온수관(810, 820)이 연결되고, 제1 및 제2 온수관(810, 820)의 단부에는 제1 및 제2 온수관(810, 820)을 따라 순환하는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통(84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온수관(810)으로는 온수가 온수코일(700)로 유입되고 제2 온수관(820)으로는 온수가 유출되는 구성이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제1 및 제2 온수관(810, 82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온수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제1 및 제2 온수관(810, 820) 내에 수압차를 발생시키는 펌프(830)와, 제1 및 제2 온수관(810, 820)에 연결되어 온수의 흐름에 의하여 난방을 수행하는 온수매트(8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펌프(830)는 온수코일(700)로 온수가 유입되는 방향이나 유출되는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으나, 온수코일(700)에서 유출되는 고온의 온수에 의하여 펌프(830)가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수코일(700)로 온수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펌프(830)를 설치하여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는, 단순히 온수만을 사용하거나 온수를 이용하여 온수매트(850)로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캠핑용 난로를 이용하여 온수매트(850)에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나, 온풍을 이용한 온풍 난방도 가능하다.
도 7은 온풍 난방을 위한 난방커버(17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난방커버(170)를 적용한 경우에 도 4의 B-B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따르면, 난방커버(170)에는 난방커버(170)를 관통하여 온풍구(171)가 형성되고, 발열공간(140)에서 가열된 온풍을 외부로 안내하도록 온풍구(171)에는 온풍관(180)의 일단이 연결되고, 온풍관(180)의 타단에는 발열공간(140)으로부터 가열된 온풍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동되는 송풍팬(190)이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난방커버(170)로 난방부(130)를 덮고 송풍팬(190)을 작동시키면, 차가운 외부공기(900)가 관통부(150)를 통하여 난방부(130)의 발열공간(140)으로 유입되고, 발열공간(140)에 유입된 외부공기(900)는 가열된 후 난방커버(170)의 온풍구(171)에 연결된 온풍관(180)을 따라 이동하여 송풍팬(190)이 설치된 공간에 배출되어 온풍난방이 수행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외부공기(900)가 발열공간(140)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가열되도록 하기 위하여 발열공간(140) 내에는 열교환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열교환 수단은 부피에 비하여 높은 표면적을 갖도록 방열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캠핑용 난로는, 연소공간(110)으로부터 배기가스가 차단된 난방부(130)의 발열공간(140)에서 외부공기(900)를 가열하여 온풍을 제공하는 구조이므로, 만약 텐트 외부에 본 고안의 캠핑용 난로를 설치하고 송풍팬(190)은 텐트 안쪽에 설치하여 가동하는 경우에는 배기가스에 의한 질식사고 등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난방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캠핑용 난로는, 접거나 펼 수 있는 난로의 덮개부(200)를 구비하여 넓은 조리공간 및 난방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난로를 이동하거나 설치하기가 간편할 뿐 아니라, 연소공간(110)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로부터 분리된 난방부(130)를 구비하여 난방을 다양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초로 본 고안을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110: 연소공간
120: 연료 투입구 130: 난방부
131: 분리부재 140: 발열공간
150: 관통부 151, 152: 제1 및 제2 관통홀
153: 홀연결부재 160, 240: 제1 및 제2 연통구
170: 난방커버 171: 온풍구
180: 온풍관 190: 송풍팬
200: 덮개부 210: 배기공간
220: 조리구 230: 배기구
250: 조리구 커버 260: 배기관
300: 힌지부 400: 지지부
510: 잠금걸쇠 520: 잠금후크
600: 연료 공급부 610: 저장호퍼
620: 연료 투입관 630: 연소부
640: 펠릿
700: 온수코일 710: 코일단부
810, 820: 제1 및 제2 온수관 830: 펌프
840: 온수통 850: 온수매트
900: 외부공기

Claims (13)

  1. 펠릿 또는 나무목재를 연료로 하는 캠핑용 난로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하여 접힘상태 또는 펼침상태가 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펼침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연소공간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배기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는 덮개부;
    상기 본체의 일측면과,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상기 덮개부의 일측면을 서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덮개부의 펼침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와 대면하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연통구; 및
    상기 덮개부의 펼침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연소공간과 상기 덮개부의 배기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연통구에 대향하는 덮개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연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는,
    상기 연료가 투입되는 연료 투입구; 및
    상기 연소공간 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분리부재와, 상기 분리부재에 의하여 상기 연소공간과 분리되어 발열공간이 형성되는 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난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부를 덮는 난방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난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부의 발열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분리부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 각각은,
    상기 분리부재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 및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을 연결하되, 상기 연소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발열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난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부의 발열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난방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난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둘 이상이고,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온수가 유출되거나 외부로부터 온수가 유입되는 2개의 코일단부를 포함하는 온수코일;
    상기 2개의 코일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온수관; 및
    상기 제1 및 제2 온수관을 따라 순환하는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난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온수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온수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온수관 내에 수압차를 발생시키는 펌프; 및
    상기 온수의 흐름에 의하여 난방을 수행하는 온수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난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부를 덮는 난방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난방커버에는 상기 난방커버를 관통하여 온풍구가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난방커버의 온풍구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공간에서 가열된 온풍이 이송되는 온풍관; 및
    상기 온풍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외부공기가 상기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발열공간으로 유입된 후 상기 온풍관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동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난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연소공간에서 상기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기공간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기구; 및
    상기 배기구에 삽입되어 상기 배기가스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난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공간으로부터 유입된 연소열과 배기가스에 의한 열기를 이용하여 조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배기공간과 외부가 연통되게 형성되는 조리구; 및
    상기 조리구를 덮는 조리구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난로.
  11. 삭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투입구로 연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연료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연료를 투입하고 저장하는 저장호퍼;
    상기 저장호퍼의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연료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연료 투입관; 및
    상기 연료 투입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투입된 연료의 연소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연료를 지지하는 연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난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덮개부의 상기 접힘상태가 유지되도록 접힘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덮개부의 마주보는 측면에 구성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난로.
KR2020210000491U 2021-02-15 2021-02-15 캠핑용 난로 KR200496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91U KR200496432Y1 (ko) 2021-02-15 2021-02-15 캠핑용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491U KR200496432Y1 (ko) 2021-02-15 2021-02-15 캠핑용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51U KR20220002051U (ko) 2022-08-23
KR200496432Y1 true KR200496432Y1 (ko) 2023-01-27

Family

ID=8306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491U KR200496432Y1 (ko) 2021-02-15 2021-02-15 캠핑용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43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35Y1 (ko) * 2016-03-07 2016-11-09 강희찬 캠핑용 팰릿 난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093A (ko) 2010-07-02 2012-01-10 김종면 캠핑용 조립식 난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35Y1 (ko) * 2016-03-07 2016-11-09 강희찬 캠핑용 팰릿 난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51U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0389A (en) Grill
KR101642792B1 (ko) 휴대형 야외 취사팩
US5921229A (en) Hand-portable, light-weight cooker/heating device
KR200469514Y1 (ko) 캠핑용 화로대 겸용 난로
NZ205455A (en) Superposed collapsible cooking units of truncated pyramidal configuration: combination with carrying unit, grills etc
US4672944A (en) Mini-kitchen
KR101622312B1 (ko) 난로
KR200496432Y1 (ko) 캠핑용 난로
US4185611A (en) Fireplace heating unit
KR200471265Y1 (ko) 펠릿난로
KR101786730B1 (ko) 화목난로
US4138985A (en) Portable heating and cooking stove
US11248804B2 (en) Stove
KR10193245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US3395691A (en) Portable barbecue
JP2021004711A (ja) 調理機能付きストーブ
KR101782594B1 (ko)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RU2713539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печь "охота"
KR102508607B1 (ko) 캠핑용 조립식 화목 그릴 겸용 난방장치
KR101735639B1 (ko) 야외용 연소통
KR101380464B1 (ko) 오븐실을 겸비한 하향연소식 난로
KR102528094B1 (ko) 캠핑 난로용 연소기
KR101265485B1 (ko) 복합 휴대 구이기
KR200416297Y1 (ko) 직화식 조리용기
US10012391B2 (en) Burner and modular heat utilizing appliances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