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093A - 캠핑용 조립식 난로 - Google Patents

캠핑용 조립식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093A
KR20120003093A KR1020100063750A KR20100063750A KR20120003093A KR 20120003093 A KR20120003093 A KR 20120003093A KR 1020100063750 A KR1020100063750 A KR 1020100063750A KR 20100063750 A KR20100063750 A KR 20100063750A KR 20120003093 A KR20120003093 A KR 20120003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ove
side plates
communication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면
Original Assignee
김종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면 filed Critical 김종면
Priority to KR102010006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093A/ko
Publication of KR2012000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6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0/00Combustion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ility or trans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2Closed stoves easily collapsible or easily remov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8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solely adapted for radia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용 조립식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캠핑용 난로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의 간편성과 사용 후 내부의 청소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 깨끗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캠핑용 조립식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부의 화실에서 원료를 소각시킬 때 발생하는 화기에 의해 실내를 난방하는 난로에 있어서,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단에 안착되면서 내측에 화실을 구성하도록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판과 상기 측판들이 이웃하는 부분에 상호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측판들을 절첩할 수 있는 힌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측판 중 어느 하나에 화구가 마련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마련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 또는 상판의 어느 일측에는 연통이 연결되는 연통구;가 구성되고; 상기 하판과 프레임 및 상판은 상호 분리되는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캠핑용 조립식 난로{A prefabricated stove}
본 발명은 캠핑용 조립식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캠핑용 난로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의 간편성과 사용 후 내부의 청소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 깨끗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캠핑용 조립식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로는 실내를 데워주는 난방기구의 일종으로서, 농업, 축산업 등과 같은 산업용으로 대형난로에서부터 야영 등의 실외 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소형난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최근에는 여가활동 중 하나로 가족단위의 야영 즉, 캠핑(camping)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고, 이로 인해 캠핑용품이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캠핑용품 중 겨울철이나 낮과 밤의 기온차가 심한 환절기 등에 주로 이용되는 화목난로가 제공되고 있었으나, 종래의 화목난로는 일체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보관 및 이동시 화목난로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체화된 구성에 의해 내부 청소가 불편하였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 의해 내부의 부식이나, 또는 재 등이 내부공간에 방치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 가능 년도가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캠핑용 난로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의 간편성과 사용 후 내부의 청소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 깨끗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캠핑용 조립식 난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캠핑용 조립식 난로는 내부의 화실에서 원료를 소각시킬 때 발생하는 화기에 의해 실내를 난방하는 난로에 있어서,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단에 안착되면서 내측에 화실을 구성하도록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판과 상기 측판들이 이웃하는 부분에 상호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측판들을 절첩할 수 있는 힌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측판 중 어느 하나에 화구가 마련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마련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 또는 상판의 어느 일측에는 연통이 연결되는 연통구;가 구성되고; 상기 하판과 프레임 및 상판은 상호 분리되는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판 및 상판 각각에는 프레임을 조립한 후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임의 회동 또는 상기 프레임이 상단 또는 하판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판 및 상판의 끝단에서 프레임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띄움간격을 가지며 일정높이 세워지는 지지벽;이거나 또는 상기 지지부는 하판 및 상판의 모서리부분에 통공 또는 내측에 통공이 형성된 소켓;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측판이 이웃하는 부분에 마련된 힌지부에는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돌출핀;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힌지부는 경첩; 또는 상기 프레임의 측판 양끝단을 말아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드로잉부가 형성되고; 상기 드로잉부는 복수의 측판을 이웃시킬 때 상기 드로잉부가 상호간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드로잉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측판들이 상호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판 양끝단을 절곡시켜 이웃하는 측판들이 상호 끼움 및 분리되도록 하는 절곡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는 연통을 조립할 때 상기 연통의 조립 및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일정높이 돌출된 돌출연통; 또는 연통을 조립할 때 상기 연통의 조립 및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의 끝단에 마련되고 상기 융기부보다 지름이 큰 연장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판에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결합연통; 및 상기 결합연통이 조립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연통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연통을 지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핀;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판 및 상판의 외주연에는 상기 하판과 프레임 및 상판을 분리한 후 상기 하판 및 상판 사이에 상기 절첩된 프레임을 수용하여;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고도 분리된 난로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판 및 상판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캠핑용 난로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의 간편성과 사용 후 내부의 청소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 깨끗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난로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난로의 조립상태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펼친 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절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하, 상판 및 프레임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상판과 결합연통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성된 난로의 분리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난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난로의 조립상태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펼친 상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절첩상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난로는 하판(10)과, 상기 하판(10)의 상단에 안착되고 내부에 화실(22)이 마련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상단에 안착되는 상판(3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판(10), 프레임(20), 및 상판(30)은 각각 분리 조립되는 구조로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공간차지를 최소화함에 따라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캠핑용으로 사용함에 더욱 효과를 가진다.
상기 하판(10)은 바닥면(12), 및 상기 바닥면(12)의 테두리에서 일정높이 세워지는 외벽(14)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판(10)의 저면에는 지면과 일정높이 유지시켜 난방 중 난로의 화기에 의해 지면이 가열되거나 또는 캠핑의 경우 지면 주변에 널려있는 건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하도록 다리(16)를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다리(16)는 생략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리(16)는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난로를 보관할 경우에는 바닥면(12) 밀착시킬 수 있어, 공간차지를 최소화하도록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30)은 바닥면(32), 및 바닥면(32)의 테두리에서 일정높이 세워지는 외벽(34)으로 구성되며, 이 경우, 상기 상판(30)의 바닥면(32)은 조립시 최상부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하판(10), 및 상판(30)에는 절첩되는 프레임(20)이 조립 후 외부충격 또는 진동 등에 의해 임의 절첩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20)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하판(10), 및 상판(30)의 외벽(12)(32)에서 프레임(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 띄워진 띄움공간을 가지며 일정높이 세워지는 하 및 상지지벽(18)(38)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 및 상지지벽(18)(38)은 외벽(12)(32)의 높이와 같게 하여도 무방하나 보관을 위해 절첩된 프레임(20)을 상기 하 및 상판(10)(30) 사이에 수용하고 계합할 때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0)을 지지할 수 있는 최소의 높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하판(10) 및 상판(30) 사이에 마련되어 내측에 화실(22)이 마련되도록 하는 다수의 측판(24)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측판(24)들이 상호 이웃하는 모서리부분에는 측판(24)들이 상호 회동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가 구성되어, 사용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절첩시켜 최소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는 구매가 용이한 경첩(262)인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다수의 측판(24)을 절첩할 때 하판(10)의 외벽(12)의 내측에 수용가능한 크기의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측판(24)에는 보조힌지부(28)가 마련된다.
이 경우, 상기 보조힌지부(28)는 힌지부와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힌지부로 치환하여 병행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의 어느 일측에는 화구(29)가 마련되고, 상기 화구(29)는 화실(22)의 내부로 외부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하방에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화구(2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공기의 유입 또는 차단이 가능하도록 덮개가 마련됨이 바람직하고, 또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리개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화구의 조리개타입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성은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구(29)는 화실(22) 내부로 원료(화목이나 갈탄 등)를 투입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프레임(20) 또는 상판(20) 일측에 원료를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투입구는 일반적인 기술적 사상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한편, 상기 프레임(20) 또는 상판(30) 중 어느 하나에는 연통(40)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연통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구는 연통(40)의 착탈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일정높이 돌출된 돌출연통(210)이다.
한편, 프레임(20)의 화실(22) 내에는 연료의 소각이 용이하도록 하판(10)의 바닥면(12)에서 일정높이 띄움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받침대(52), 및 상기 받침대(52)의 상단에 안착되고 연료가 얹혀지는 석쇠(54)가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판재를 교차되게 구성하여 상단에 얹혀지는 석쇠(54)가 일정높이에 위치됨에 따라 프레임(20)의 화구(29)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연료의 소각이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연료란 장작 또는 갈탄, 연탄과 같이 탄화되면서 화기를 발산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난로의 사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난로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판(10)의 상단에 프레임(20)을 설치하되, 상기 하판(10)의 외벽(12)과 하지지벽(18) 사이에 펼쳐진 프레임(20)의 하단을 끼워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 화실(22)을 형성한다.
그리고, 프레임(20)의 내측에 마련된 화실(22)에 받침대(52), 및 석쇠(54)를 설치하고, 상기 석쇠(54)의 상단에 연료를 얹힌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20)의 상단에 상판(30)을 안착하는데, 이 경우 상기 상판(30)의 외벽(32)과 상지지벽(38) 사이 공간에 상기 프레임(20)의 상단이 끼워지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20) 또는 상판(3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돌출연통(210)에 연통(40)을 삽입 고정하면 난로의 조립이 완료된다.
더불어, 프레임(20)의 화구(29)를 통해 연료에 불을 붙인다.
한편, 난로의 사용이 완료된 후 난로를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술한 역순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프레임(20)에서 상판(30)을 분리하고, 상기 프레임(20)을 하판(10)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이렇게 분리된 프레임(20)은 측판(24)들의 코너에 마련된 힌지부인 경첩(262)을 중심으로 상호 회동 절첩시켜 최소의 크기로 형성한다.
또한, 절첩된 프레임(20)은 하판(10) 및 상판(30) 사이에 수용되도록 마련한 후 별도의 케이스에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제2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하, 상판 및 프레임의 분리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20a)의 복수의 측판(24a)들에 마련되는 힌지부는 상기 측판(24a)들의 끝단에 드로잉부(242)를 형성하고, 상기 측판(24a)의 드로잉부(242) 내측에 삽입되어 이를 중심으로 상기 측판(24a)들이 상호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폴(26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24a)들에 마련되는 드로잉부(242)는 복수의 측판(24a)을 이웃시킬 때 상기 드로잉부(242)가 상호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어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폴(264)은 측판(24a)들에 용접에 의해 융착 고정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264)의 양단에 수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는 너트(266)를 체결시킴으로써, 측판(24a)들의 상, 하단을 지지 고정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264)은 측판(24a)의 상단 및 하단으로 더 연장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하판(10) 및 상판(30)에는 상기 폴(264)과 대응하는 위치에 내측에 통공(184)이 형성된 소켓(182)을 한다.
따라서, 상기 연장된 폴(264)이 상기 소켓(182)의 통공(184)에 삽입 지지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20a)이 하판(10) 및 상판(30) 사이에 용이하게 지지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소켓(182)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상기 폴(264)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판(10) 및 상판(30)에 통공(184)을 형성하여, 상기 폴(264)이 상기 통공(184)에 삽입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제1실시 예의 하 및 상지지벽(18)(38)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제1실시 예에 접목시켜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3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부 분해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20b)에 마련된 힌지부는 복수의 측판(24b)의 끝단을 절곡시켜, 이웃하는 측판(24b)들이 상호 끼움 및 분리 결합되도록 하는 절곡부(244)가 형성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절곡부(2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형상으로 형성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측판(24b)들 상호가 회동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절곡부(244)는 상호 끼움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각 측판(24b)들을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는 것이고, 상호 회동가능하게 형성될 경우에는 분리하지 않고, 제1 및 제2실시 예의 힌지부처럼 측판(24b)을 회동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4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상판과 결합연통의 분리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제1 내지 제3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통구는 상판(30a)의 어느 일측에 구성되어, 연통(40)이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통구는 상판(30a) 일측에 연통(40)으로 연기가 배출되도록 통기구(332)가 형성되고 상기 통기구(332)의 주변에는 복수의 결합핀(334)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핀(334)이 삽입되도록 복수의 삽입공(226)이 형성되고 연통(40)이 고정되는 결합연통(220)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결합핀(334)은 상기 결합연통(220)이 착탈되는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면서, 결합시 상기 결합연통(22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이러한, 상기 결합핀(334)은 'T'형상으로 상단은 지름이 크고 하단은 그보다 지름을 작게하면서 상기 작은 지름부분에 상기 결합연통(220)이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결합연통(220)은 연통(40)의 일단이 삽입고정되도록 일정높이를 가지는 융기부(222)와, 상기 융기부(222)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융기부(222) 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연장판(224)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판(224)에는 복수의 삽입공(226)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공(226)은 크기를 달리하는 형상의 결합핀(334)과 같이 크기를 달리하는 이중의 지름을 가지는 형상이면서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결합핀(334)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핀(334)과 결합연통(220)으로 구성된 연통구는 상판(30a)에 분해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난로의 보관시 최소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한다.
(제5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고정수단이 구성된 난로의 분리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제1 내지 제4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판(10) 및 상판(30)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하판(10)과 상판(30)을 계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60)을 구성한다.
이러한, 고정수단(60)은 난로를 보관할 때 상기 하판(10)과 상판(30) 사이에 프레임(20) 및 받침대(52)와 석쇠(54)를 수용한 후 상기 고정수단(50)에 의해 상기 하판(10)과 상판(30)을 고정시켜,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상기 하판(10)과 상판(30)에 의해 케이싱되어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60)은 하판(10)과 상판(3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판(10) 및 상판(30)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각각에 손잡이(62)를 구성하여, 휴대가 간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조립식 난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하판 12: 바닥면
14: 외벽 16: 다리
18: 하지지벽 20, 20a, 20b: 프레임
22: 화실 24, 24a, 24b: 측판
28: 보조힌지부 29: 화구
30, 30a: 상판 32: 바닥면
34: 외벽 38: 상지지벽
40: 연통 52: 받침대
54: 석쇠 60: 고정수단
62: 손잡이 182: 소켓
184: 통공 210: 돌출연통
220: 결합연통 222: 융기부
224: 연장판 226: 삽입공
242: 드로잉부 244: 절곡부
262: 경첩 264: 폴
266: 너트 332: 통기구
334: 결합핀

Claims (10)

  1. 내부의 화실에서 원료를 소각시킬 때 발생하는 화기에 의해 실내를 난방하는 난로에 있어서,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단에 안착되면서 내측에 화실을 구성하도록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판과 상기 측판들이 이웃하는 부분에 상호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측판들을 절첩할 수 있는 힌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측판 중 어느 하나에 화구가 마련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마련되는 상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 또는 상판의 어느 일측에는 연통이 연결되는 연통구;가 구성되고;
    상기 하판과 프레임 및 상판은 상호 분리되는 조립식;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조립식 난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판 및 상판 각각에는 프레임을 조립한 후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힌지부를 중심으로 임의 회동 또는 상기 프레임이 상단 또는 하판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조립식 난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판 및 상판의 끝단에서 프레임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띄움간격을 가지며 일정높이 세워지는 지지벽;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조립식 난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하판 및 상판의 모서리부분에 통공 또는 내측에 통공이 형성된 소켓;을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측판이 이웃하는 부분에 마련된 힌지부에는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돌출핀;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조립식 난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경첩;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조립식 난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판 양끝단을 말아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드로잉부가 형성되고;
    상기 드로잉부는 복수의 측판을 이웃시킬 때 상기 드로잉부가 상호간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드로잉부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측판들이 상호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조립식 난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판 양끝단을 절곡시켜 이웃하는 측판들이 상호 끼움 및 분리되도록 하는 절곡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조립식 난로.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는
    연통을 조립할 때 상기 연통의 조립 및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일정높이 돌출된 돌출연통;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조립식 난로.
  9.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는
    연통을 조립할 때 상기 연통의 조립 및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융기부와 상기 융기부의 끝단에 마련되고 상기 융기부보다 지름이 큰 연장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장판에는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결합연통; 및
    상기 결합연통이 조립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연통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연통을 지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결합핀;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조립식 난로.
  10.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판 및 상판의 외주연에는
    상기 하판과 프레임 및 상판을 분리한 후 상기 하판 및 상판 사이에 상기 절첩된 프레임을 수용하여;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고도 분리된 난로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판 및 상판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조립식 난로.
KR1020100063750A 2010-07-02 2010-07-02 캠핑용 조립식 난로 KR20120003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750A KR20120003093A (ko) 2010-07-02 2010-07-02 캠핑용 조립식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750A KR20120003093A (ko) 2010-07-02 2010-07-02 캠핑용 조립식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093A true KR20120003093A (ko) 2012-01-10

Family

ID=4561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750A KR20120003093A (ko) 2010-07-02 2010-07-02 캠핑용 조립식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093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14Y1 (ko) * 2012-05-09 2013-10-16 김용태 캠핑용 화로대 겸용 난로
KR101420506B1 (ko) * 2012-10-09 2014-07-17 김영동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난로용 안전망
KR101499410B1 (ko) * 2013-05-29 2015-03-10 박훈근 화로대 기능을 가진 휴대용 조립식 화목 난로
KR200477557Y1 (ko) * 2013-11-14 2015-06-23 김인욱 야외용 난로
GB2530273A (en) * 2014-09-16 2016-03-23 Glyn Hughes Method of constructing a heating stove body
KR20160088104A (ko) 2015-01-15 2016-07-25 임준일 펠릿 스토브
KR101688538B1 (ko) 2016-02-04 2016-12-21 박광옥 야외용 다용도 화롯대
KR20190086203A (ko) * 2018-01-12 2019-07-22 손태창 연소시간에 따라 발열량을 균일하게 하는 장치가 구비된 일회용 숯불난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4701A (ko) * 2018-03-02 2019-09-11 (주) 대화이에스 화목난로
KR20190141429A (ko) * 2018-06-14 2019-12-24 주식회사 조은바람 공기냉각용 흡습패드 조립체
KR102290289B1 (ko) * 2020-09-11 2021-08-13 박연정 캠핑용 화로대 겸용 화목 난로
KR20220002051U (ko) 2021-02-15 2022-08-23 이건철 캠핑용 난로
WO2022178524A1 (en) * 2021-02-18 2022-08-25 Tkip Holdings, Llc Modular heating devic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14Y1 (ko) * 2012-05-09 2013-10-16 김용태 캠핑용 화로대 겸용 난로
KR101420506B1 (ko) * 2012-10-09 2014-07-17 김영동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난로용 안전망
KR101499410B1 (ko) * 2013-05-29 2015-03-10 박훈근 화로대 기능을 가진 휴대용 조립식 화목 난로
KR200477557Y1 (ko) * 2013-11-14 2015-06-23 김인욱 야외용 난로
GB2530273B (en) * 2014-09-16 2017-02-15 Hughes Glyn Method of constructing a heating stove body
GB2530273A (en) * 2014-09-16 2016-03-23 Glyn Hughes Method of constructing a heating stove body
KR20160088104A (ko) 2015-01-15 2016-07-25 임준일 펠릿 스토브
KR101688538B1 (ko) 2016-02-04 2016-12-21 박광옥 야외용 다용도 화롯대
KR20190086203A (ko) * 2018-01-12 2019-07-22 손태창 연소시간에 따라 발열량을 균일하게 하는 장치가 구비된 일회용 숯불난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4701A (ko) * 2018-03-02 2019-09-11 (주) 대화이에스 화목난로
KR20190141429A (ko) * 2018-06-14 2019-12-24 주식회사 조은바람 공기냉각용 흡습패드 조립체
KR102290289B1 (ko) * 2020-09-11 2021-08-13 박연정 캠핑용 화로대 겸용 화목 난로
KR20220002051U (ko) 2021-02-15 2022-08-23 이건철 캠핑용 난로
WO2022178524A1 (en) * 2021-02-18 2022-08-25 Tkip Holdings, Llc Modular hea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3093A (ko) 캠핑용 조립식 난로
US3809051A (en) Portable barbecue oven
US1187964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ssembly that is convertible between a fire pit, grill, griddle, smoker, and/or table
KR101462774B1 (ko) 조립식 화로
US4539973A (en) Portable outdoor cooking unit with device for extinguishing the flame of canned jelly alcohol and the like
US20140261394A1 (en) Portable gas cooking unit with foldable base
US20140007860A1 (en) Smokeless portable roaster
WO2007095832A1 (en) Foldable and portable frame
KR101451367B1 (ko) 캠핑용 경량 화로대
US6439225B2 (en) Collapsible portable outdoor fireplace
KR100825494B1 (ko) 절첩식 화로
KR200460999Y1 (ko) 조립식 야외용 구이 테이블
JP2022532711A (ja) 携帯型ファイヤピットおよびグリルアセンブリ
JP3216170U (ja) 折り畳み可能なコンロ
KR200483862Y1 (ko) 다기능 캠핑그릴
KR200389623Y1 (ko) 휴대용 조립식 숯불구이기
KR102562843B1 (ko) 조립식 캥핑 화로
JP2023056841A (ja) 焚火台
KR20240037454A (ko) 캠핑용 조립식 난로
KR200228993Y1 (ko) 절첩식 숯불구이장치
JP3223631U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及びバーベキューセット
CN219797277U (zh) 一种折叠式焚火台
CN218009414U (zh) 一种折叠式烧烤炉
KR200372585Y1 (ko) 야외용 로스터
KR100683537B1 (ko) 조립식 바비큐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