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013Y1 - 제초매트 - Google Patents

제초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013Y1
KR200496013Y1 KR2020220001234U KR20220001234U KR200496013Y1 KR 200496013 Y1 KR200496013 Y1 KR 200496013Y1 KR 2020220001234 U KR2020220001234 U KR 2020220001234U KR 20220001234 U KR20220001234 U KR 20220001234U KR 200496013 Y1 KR200496013 Y1 KR 200496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mat body
rainwater
ridge
w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호
Original Assignee
김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호 filed Critical 김주호
Priority to KR2020220001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0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0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1/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unwanted vegetation, e.g. we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fibrous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Abstract

본 고안은 차광효과가 뛰어나면서 배수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제초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초매트는 위사(11)와 경사(12)를 상호 직조방식으로 결합하여 넓은 시트형상으로 제작됨으로, 밭의 두둑(1)을 덮도록 배치할 경우,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사(11)와 경사(12)의 사이에 다수개의 틈이 발생되어, 이틈을 통해 빗물이 통과하여 하측의 두둑(1)으로 공급됨으로, 배수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제초매트{weed mat}
본 고안은 차광효과가 뛰어나면서 배수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제초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의 두둑부분을 덮도록 배치되어 잡초가 자라지 못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제초매트는 플랙시블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부에는 다수개의 슬릿(2)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초매트를 두둑을 덮도록 배치하면, 제초매트가 햇빛을 가려 키가 작은 잡초가 자라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빗물이 상기 슬릿(2)을 통해 지면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작물이 원활하게 생장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제초매트는 슬릿(2)을 통해 빗물이 통과하게 됨으로, 빗물이 통과하는 배수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슬릿(2)의 폭을 넓게 구성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제초매트의 차광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2313499호,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광효과가 뛰어나면서 배수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제초매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스트립형태의 위사(11)와 경사(12)를 길이가 긴 매트형상으로 직조하여 구성되며, 위사(11)의 양단은 상기 경사(12)에 열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매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초매트는 위사(11)와 경사(12)로 구성된 매트본체(10)와, 상기 매트본체(10)의 길이방향 양단에 열융착되어 고정된 보강스트립(13)과, 상기 보강스트립(13)과 매트본체(10)를 관통하도록 고정된 다수개의 고정구(14)와, 상기 매트본체(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구(14)에 결합되어 상기 매트본체(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와이어(15)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와이어(15)는 양측에 절곡부(15a)를 갖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되어 절곡부(15a)가 상기 고정구(14)에 결합되어, 두둑(1)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하면 상기 탄성와이어(15)가 매트본체(10)의 하측면을 지지지하여 매트본체(10)가 터널형태를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매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매트본체(10)의 양단 상면에 구비된 빗물수집관(21)과, 상기 빗물수집관(21)에 연결된 연결관(22)과, 상기 연결관(22)의 중간부에 구비된 펌프(23)와, 상기 연결관(22)에 연결되며 일측 상부에는 배수관(24a)이 연결된 저수탱크(24)와, 상기 빗물수집관(21)의 내부에 구비된 수위센서(25)와, 상기 매트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습도센서(26)와, 상기 수위센서(25)와 습도센서(26)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펌프(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7)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빗물수집관(21)에는 제초매트가 두둑(1)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개방된 유입구(21a)가 형성되어 비가 내릴 경우 매트본체(10)의 상면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이 내부에 수집되도록 구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매트본체(10)의 내측으로 개방된 급수공(21b)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수단(27)은 상기 수위센서(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빗물수집관(21)의 내부에 빗물이 저장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펌프(23)를 구동시켜 빗물수집관(21)에 수집된 빗물을 상기 저수탱크(24)로 배출하고, 상기 습도센서(26)에 의해 측정된 두둑(1)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펌프(23)를 제어하여 저수탱크(24)에 저장된 빗물이 상기 빗물수집관(21)으로 공급되어 상기 급수공(21b)을 통해 매트본체(10)가 덮고 있는 두둑(1)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매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초매트는 위사(11)와 경사(12)를 상호 직조방식으로 결합하여 넓은 시트형상으로 제작됨으로, 밭의 두둑(1)을 덮도록 배치할 경우,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사(11)와 경사(12)의 사이에 다수개의 틈이 발생되어, 이틈을 통해 빗물이 통과하여 하측의 두둑(1)으로 공급됨으로, 배수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초매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초매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초매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하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초매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초매트의 제2 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초매트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초매트의 제3 실시예의 블록도,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초매트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초매트를 도시한 것으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스트립형태의 위사(11)와 경사(12)를 길이가 긴 매트형상으로 직조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사(11)는 제초매트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을 지칭하며, 상기 경사(12)는 제초매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을 지칭하는 것으로, 위사(11)와 경사(12)가 상ㅎ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교차되도록 직조하여, 긴 매트형상의 제초매트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위사(11)의 양단은 상기 경사(12)에 열융착된다.
따라서, 위사(11)의 양단이 가장 외측에 위치된 경사(12)에 고정되어, 위사(11)와 경사(12)가 풀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초매트는 위사(11)와 경사(12)를 상호 직조방식으로 결합하여 넓은 시트형상으로 제작됨으로, 밭의 두둑(1)을 덮도록 배치할 경우, 햇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사(11)와 경사(12)의 사이에 다수개의 틈이 발생되어, 이틈을 통해 빗물이 통과하여 하측의 두둑(1)으로 공급됨으로, 배수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초매트는 위사(11)와 경사(12)로 구성된 매트본체(10)와, 상기 매트본체(10)의 길이방향 양단에 열융착되어 고정된 보강스트립(13)과, 상기 보강스트립(13)과 매트본체(10)를 관통하도록 고정된 다수개의 고정구(14)와, 상기 매트본체(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구(14)에 결합되어 상기 매트본체(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와이어(15)로 구성되다.
상기 매트본체(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난 제초매트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보강스트립(13)은 상기 매트본체(10)를 구성하는 위사(11)와 경사(12)에 비해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매트본체(10)의 양단을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정구(14)는 상기 보강스트립(13)의 중간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고정되는 것으로, 하측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4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14)는 전후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탄성와이어(15)는 탄성이 있는 금속재의 와이어를 양측에 절곡부(15a)를 갖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절곡부(15a)가 상기 고정구(14)의 관통공(14a)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초매트는 상기 탄성와이어(15)의 양단이 고정구(14)에 결합되어, 매트본체(10)가 팽팽하게 펴지도록 지지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둑(1)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하면 상기 탄성와이어(15)가 매트본체(10)의 하측면을 지지지하여 매트본체(10)가 터널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초매트를 설치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매트본체(10)의 양단 상면에 구비된 빗물수집관(21)과, 상기 빗물수집관(21)에 연결된 연결관(22)과, 상기 연결관(22)의 중간부에 구비된 펌프(23)와, 상기 연결관(22)에 연결되며 일측 상부에는 배수관(24a)이 연결된 저수탱크(24)와, 상기 빗물수집관(21)의 내부에 구비된 수위센서(25)와, 상기 매트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습도센서(26)와, 상기 수위센서(25)와 습도센서(26)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펌프(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7)이 더 구비된다.
상기 빗물수집관(21)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전후단이 밀폐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매트본체(10)에 수밀하게 결합된 것으로, 제초매트가 두둑(1)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개방된 유입구(21a)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비가 내릴 경우 매트본체(10)의 상면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이 내부에 수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빗물수집관(21)의 일측, 즉, 상기 매트본체(10)에 결합된 쪽 면에는 상기 매트본체(10)의 내측으로 개방된 급수공(21b)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공(21b)은 지름이 작은 원형으로 구성되며 다수개가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빗물수집관(21)에 빗물이 수집되면 빗물이 상기 급수공(21b)을 통해 매트본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매트본체(10)가 덮고 있는 두둑(1)으로 공급된다.
상기 펌프(23)는 상기 제어수단(27)의 제어에 따라 정역회전되어, 빗물수집관(21)에 수집된 빗물을 저수탱크(24)로 배출하거나, 저수탱크(24)에 저장된 빗물을 빗물수집관(21)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수관(24a)은 일단은 상기 저수탱크(24)의 상단에 근접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밭과 멀리 떨어진 곳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저수탱크(24)에 최대한의 빗물이 저장도록 하면서, 저수탱크(24)에 저장된 빗물의 수위가 상기 배수관(24a)의 연결부위보다 높아질 경우, 빗물이 배수관(24a)을 통해 외부로 밭에서 먼 곳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수위센서(25)는 상기 빗물수집관(21)의 내부에 수집된 빗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제어수단(27)에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습도센서(26)는 상기 매트본체(10)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두둑(1)에서 증발되는 수분의 습도를 측정하여, 두둑(1)의 건조상태를 측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초매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수단(27)은 상기 수위센서(25)의 신호를 수신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가 와서 상기 빗물수집관(21)의 내부에 수집된 빗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펌프(23)를 제어하여 빗물수집관(21)에 수집된 빗물이 상기 저수탱크(24)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매트본체(10)를 통과하지 못하고, 매트본체(10)의 상면을 따라 흘러내린 물이 저수탱크(24)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두둑(1)의 사이에 형성된 골을 따라 흐르면서 토양유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저수탱크(24)에 빗물이 가득 찰 경우, 여분의 빗물은 배수관(24a)을 통해 밭에서 먼 곳으로 배출됨으로써, 빗물이 흘러넘쳐 다시 밭으로 흘러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비가 그쳐 빗물수집관(21)에 수집된 빗물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 상기 제어수단(27)은 펌프(23)를 정지시킨다.
이때, 상기 빗물수집관(21)에 남아있는 빗물은 상기 급수공(21b)을 통해 매트본체(10)가 덮고 있는 두둑(1)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7)은 상기 습도센서(26)의 신호를 수신하여, 두둑(1)의 습도가 미리 설정된 습도 이하로 낮아질 경우, 비가 오지 않아서 두둑(1)이 마른 것으로 판단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펌프(23)를 구동시켜 상기 저수탱크(24)에 저장된 빗물이 상기 빗물수집관(21)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빗물수집관(21)으로 공급된 빗물은 상기 급수공(21b)을 통해 매트본체(10)가 덮고 있는 두둑(1)으로 공급됨으로써, 매트본체(10)가 덮고 있는 두둑(1)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초매트는 비가 많이 내리면, 빗물을 수집하여 저수탱크(24)로 저장함으로써, 빗물에 의해 토양유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가 내리지 않아서 두둑(1)이 건조하게 될 경우, 저수탱크(24)에 저장된 빗물을 두둑(1)에 공급함으로써, 두둑(1)에 식생된 작물에 항상 적절한 수분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매트본체 11. 위사
12. 경사 13. 보강스트립
14. 고정구 15. 탄성와이어

Claims (3)

  1.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스트립형태의 위사(11)와 경사(12)를 길이가 긴 매트 형상으로 직조하여 구성되며,
    위사(11)의 양단은 상기 경사(12)에 열융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위사(11)와 경사(12)로 구성된 매트본체(10)를 포함하되,
    상기 매트본체(10)의 양단 상면에 구비된 빗물수집관(21)과,
    상기 빗물수집관(21)에 연결된 연결관(22)과,
    상기 연결관(22)의 중간부에 구비된 펌프(23)와,
    상기 연결관(22)에 연결되며 일측 상부에는 배수관(24a)이 연결된 저수탱크(24)와,
    상기 빗물수집관(21)의 내부에 구비된 수위센서(25)와,
    상기 매트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습도센서(26)와,
    상기 수위센서(25)와 습도센서(26)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펌프(2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7)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빗물수집관(21)에는 제초매트가 두둑(1)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개방된 유입구(21a)가 형성되어 비가 내릴 경우 매트본체(10)의 상면을 따라 흘러내린 빗물이 내부에 수집되도록 구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매트본체(10)의 내측으로 개방된 급수공(21b)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수단(27)은 상기 수위센서(2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빗물수집관(21)의 내부에 빗물이 저장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펌프(23)를 구동시켜 빗물수집관(21)에 수집된 빗물을 상기 저수탱크(24)로 배출하고, 상기 습도센서(26)에 의해
    측정된 두둑(1)의 습도가 설정된 습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펌프(23)를 제어하여 저수탱크(24)에 저장된 빗물이 상기 빗물수집관(21)으로 공급되어 상기 급수공(21b)을 통해 매트본체(10)가 덮고 있는 두둑(1)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초매트는
    상기 매트본체(10)의 길이방향 양단에 열융착되어 고정된 보강스트립(13)과,
    상기 보강스트립(13)과 매트본체(10)를 관통하도록 고정된 다수개의 고정구(14)와,
    상기 매트본체(1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구(14)에 결합되어 상기 매트본체(1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와이어(15)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와이어(15)는 양측에 절곡부(15a)를 갖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되어 절곡부(15a)가 상기 고정구(14)에 결합되어,
    두둑(1)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하면 상기 탄성와이어(15)가 매트본체(10)의 하측면을 지지지하여 매트본체(10)가 터널형태를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매트.
  3. 삭제
KR2020220001234U 2022-05-19 2022-05-19 제초매트 KR200496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34U KR200496013Y1 (ko) 2022-05-19 2022-05-19 제초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234U KR200496013Y1 (ko) 2022-05-19 2022-05-19 제초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013Y1 true KR200496013Y1 (ko) 2022-10-14

Family

ID=83596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234U KR200496013Y1 (ko) 2022-05-19 2022-05-19 제초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01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2940U (ko) * 1990-11-30 1992-07-20
JPH10262472A (ja) * 1997-03-28 1998-10-06 Hagiwara Kogyo Kk 透水性防草シート
KR101603006B1 (ko) * 2014-02-19 2016-03-11 박만기 토양작물용 시트
KR102313499B1 (ko) 2020-07-17 2021-10-15 주식회사 하경 시공설치가 용이한 친환경 제초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2940U (ko) * 1990-11-30 1992-07-20
JPH10262472A (ja) * 1997-03-28 1998-10-06 Hagiwara Kogyo Kk 透水性防草シート
KR101603006B1 (ko) * 2014-02-19 2016-03-11 박만기 토양작물용 시트
KR102313499B1 (ko) 2020-07-17 2021-10-15 주식회사 하경 시공설치가 용이한 친환경 제초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7740C (en) Reinforced composite matting
JP4877974B2 (ja) 垂直面の緑化装置
KR200496013Y1 (ko) 제초매트
KR101187689B1 (ko) 지면 녹화장치
KR101187686B1 (ko) 점적관수용 호스 및 점적관수장치
KR101819041B1 (ko) 소형 배수로용 친환경 매트 어셈블리 및 그 시공방법
JP2018130062A (ja) 連棟型ハウス内の落水防止装置
CN107849833A (zh) 用于减小细微粉尘负载的壁以及功能元件
KR102301029B1 (ko) 육상용 해삼 양식장
JPH09151458A (ja) 植生用マット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906218B2 (ja) 道路舗装体の排水装置
CN208346798U (zh) 一种防变形防堵塞可固定的排水管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JPH10140571A (ja) 植生用マット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516612B2 (ja) 勾配部の植栽構造と苗植え付け構造
JPH08228600A (ja) 水はけ用マット
KR102118346B1 (ko) 인공지반 경사면의 잔디식재 활착공법
JP2507612Y2 (ja) 砂杭形成用網袋の構造
CN210857766U (zh) 一种屋顶雨水汇聚排水系统
CN209741764U (zh) 坡顶截留式护坡结构
KR940008631B1 (ko) 비탈면 보호용 합성수지 수로망
JP2007028908A (ja) 緑化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US1138370A (en) Irrigation-tile.
JP2538958Y2 (ja) 面排水材
JPS62197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