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029B1 - 육상용 해삼 양식장 - Google Patents

육상용 해삼 양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029B1
KR102301029B1 KR1020190095046A KR20190095046A KR102301029B1 KR 102301029 B1 KR102301029 B1 KR 102301029B1 KR 1020190095046 A KR1020190095046 A KR 1020190095046A KR 20190095046 A KR20190095046 A KR 20190095046A KR 102301029 B1 KR102301029 B1 KR 102301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sea cucumber
water tank
shel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809A (ko
Inventor
문의리
Original Assignee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천해물산
(주)디에코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천해물산, (주)디에코에너지 filed Critical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천해물산
Priority to KR102019009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10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3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ponges, sea urchins or sea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용 해삼 양식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상에 해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해삼이 부착되어 생장하는 쉘터가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는 양식공간을 갖는 육상용 해삼 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육상용 해삼 양식장은 다수의 쉘터가 수조부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어 수조부 공간대비 해삼이 부착되어 생장되는 다수의 부착공간이 확보되므로 해삼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육상용 해삼 양식장은 쉘터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해삼채집부에 의해 쉘터가 해수의 유속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므로 쉘터 간 균일한 서식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다수의 해삼의 생장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육상용 해삼 양식장{Sea cucumber culture farms for land use}
본 발명은 육상용 해삼 양식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상에 해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해삼이 부착되어 생장하는 쉘터가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는 양식공간을 갖는 육상용 해삼 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 수조식 양식은 구성된 각각 요소들의 기능에 요점을 두었으며, 해삼의 경우 생태 습성에 따른 먹이 활동의 구체적 실현이 부족하였다. 해삼은 전복처럼 이가 없어서 빨면서 흡입을 통하여 먹이를 섭취하는 것으로, 어류처럼 유영하면서 먹이를 섭취하지 못하는 해삼은 바닷속 저질지역인 바위, 모래, 해조류에 붙어서 주로 먹이 활동을 한다.
한편, 기존의 육상수조의 한정된 공간에서의 양식은 부족한 면적으로 인하여 대상물로 되는 어류들의 산란과 전복 및 해삼을 부착기구인 파판을 이용하여 종묘배양과 어린 치어 양성에 국한됨이 많았다.
게다가, 국내에서는 인공어초를 이용한 방류사업 즉 씨 뿌림만 하는 해삼양식은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957호에는 육상수조에 부착면적을 양식공간 대비 넓은 부착면적을 부여하여, 부착성 동물인 해삼을 밀집양식 육상수조를 이용한 해삼양식장이 개시되어 있다. 육상수조를 이용한 해삼양식장은 육상수조의 내부에는 다수의 쉘터가 수조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조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해삼양식장의 수조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쉘터는 각 하부에 중량물체가 설치되어 초기에 평평하게 유지되어 일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 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수조 하부에 뻘치 퇴적되고 유속에 의해 셀터의 하부가 점차 움직이게 되어 상호 간 간격 유지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쉘터들 사이의 유속이 각각 다르게 형성되면서 균일한 해삼 서식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5957호 : 육상수조를 이용한 해삼양식장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수의 유속에 의해 쉘터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어 지속적으로 쉘터 간 균일한 해삼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육상용 해삼 양식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쉘터의 하부로 해삼이 이동되어 하면 또는 동면하거나 지속적으로 생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해삼이 안정적으로 생장할 수 있는 육상용 해삼 양식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육상용 해삼 양식장은 육상에 상방으로 개방되며 일정한 폭으로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양식공간이 형성되게 설치되며 해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수조부와; 상기 수조부의 상부에 상기 수조부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수조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쉘터거치바를 포함하는 쉘터거치유닛과; 상기 수조부 내에 양측면에 해삼이 부착되어 생장될 수 있는 부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각각 길이 연장되며 상기 양식공간의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나란하도록 상단에 상기 쉘터거치바에 거치되는 다수의 쉘터;를 구비하고, 상기 쉘터는 상기 수조부의 저면과 인접한 하부에 양측이 상기 제1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수조부 내에 흐르는 해수의 온도에 따라 해삼이 상부에서 내려와 하면 또는 동면을 하거나 생장할 수 있는 유입공간을 각각 형성하여 해삼이 모일 수 있도록 유도하며 해삼이 개방된 양측으로 유입되게 상기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해삼채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쉘터거치유닛은 상기 수조부의 폭 방향 중심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쉘터거치바를 연결하는 센터지지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육상용 해삼양식장은 상기 센터지지바에 상부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쉘터가 제1그룹과 제2그룹으로 분리되게 상기 수조부의 길이방향 중심을 구획하는 분리막과, 상기 수조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그룹을 이루는 복수의 상기 쉘터들 사이로 해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기관을 갖는 해수공급부와, 상기 제1그룹의 일측으로 공급되어 상기 제2그룹의 타측을 지나 상기 수조부의 일측으로 돌아오는 해수를 상기 수조부 외측으로 배수되는 해수배수부를 구비한다.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그룹으로 공급된 해수가 수조부의 타측에서 돌아 상기 제2그룹의 다수의 상기 쉘터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가 상기 수조부의 길이방향 양측 내주면에 대해 동일길이 이격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조부는 해수가 유입되는 일측으로 모이는 해삼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해수가 유입되는 일측이 타측보다 깊게 형성되도록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육상용 해삼 양식장은 상기 해삼채집부의 상기 유입공간이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어 해수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제1방향으로 관 부재가 나선연장되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형태로 나선연장되어 상기 해삼채집부 내에 삽입되는 공간형성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상용 해삼 양식장은 각 상기 해삼채집부 내로 해삼이 생장하기 적합한 온도의 해수를 개별공급하여 상기 쉘터의 상부에서 상기 해삼채집부 내로 해삼을 이동유도하는 해삼이동유도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상용 해삼 양식장은 다수의 쉘터가 수조부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어 수조부 공간대비 해삼이 부착되어 생장되는 다수의 부착공간이 확보되므로 해삼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육상용 해삼 양식장은 쉘터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해삼채집부에 의해 쉘터가 해수의 유속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므로 쉘터 간 균일한 서식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다수의 해삼의 생장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육상용 해삼 양식장은 쉘터의 하부에 수온에 따라 해삼이 유입되어 하면 또는 동면을 하거나 생장할 수 있는 유입공간이 형성되는 해삼채집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수조부가 해수가 유입되는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해삼 수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육상용 해삼 양식장은 해삼채집부에 해삼이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의 해수를 개별공급하여, 해삼을 유도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해삼의 하면 또는 동면 기간을 단축시켜 해삼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양식효율을 높일 수 있고, 해삼을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육상용 해삼 양식장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육상용 해삼 양식장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육상용 해삼 양식장의 셀터부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양식장(1)은 수조부(10)와, 다수의 쉘터(30)와, 쉘터거치유닛(20)과, 분리막(50)과, 해수공급부(60)과, 해수배수부(65)를 구비한다.
수조부(10)는 육상에 상방으로 개방되며 일정한 폭으로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양식공간(11)이 내부에 형성되게 설치된다.
수조부(10)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나, 육상에 일정한 폭으로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굴착된 굴착공간(9)를 형성한 후, 부직포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어 굴착공간(P)의 내주면을 덮는 덮개부재(13)와, 비닐이나 방수포와 같은 방수기능이 있는 제1방수부재(15)와 제2방수부재(17)가 덮개부재(13)의 상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재(13)와 제1 및 제2방수부재(15,1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공간(9)의 둘레를 덮을 수 있도록 연장되며 단부가 굴착된 흙이나 골재 등에 의해 덮혀 고정될 수 있다.
수조부(10)는 지면에 땅을 파서 인입된 부분에 덮개부재(13)와, 제1 및 제2방수부재(15,17)를 덮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방으로 개방되는 양식공간이 일방향으로 일정한 폭으로 길게 형성되게 제작되어 육상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수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수조부(10)는 해수가 유입되는 일측으로 모이는 해삼의 특성을 이용하여 해삼 수확 시기에 수확이 용이하도록, 해수가 유입되는 일측이 타측보다 깊게 형성되도록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쉘터거치유닛(20)은 수조부(10)의 상방에 수조부(1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수조부(10)의 폭 방향 양측에 지지되며 수조부(10)의 길이방향으로 동일간격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쉘터거치바(21)와, 수조부(10)의 폭 방향 중심측 상단에서 수조부(10)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다수의 쉘터거치바(21)를 연결하는 센터지지바(24)를 구비한다.
센터지지바(24)는 수조부(10)보다 짧게 연장되어 있으나, 수조부(10)보다 길게 연장되어 양측이 수조부(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지지될 수도 있다.
다수의 쉘터(30)는 수조부(10) 내에 양측면에 해삼이 부착되어 생장될 수 있는 부착공간(31)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으로 각각 길이 연장된다.
다수의 쉘터(30)는 상기 양식공간의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쉘터거치바(21)에 거치되며, 쉘터거치바(21)에 거치 될 수 있도록 상단에 일정간격마다 이격된 고리(33)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쉘터(30)는 다수의 고리(33)들 사이의 상단에 일정간격마다 부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부표(36)가 설치된다.
쉘터(30)는 해삼의 먹이가 될 수 있는 해수 내의 기조류 및 뻘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될 수 있도록 2mm ~ 4mm 크기의 다수의 그물코가 형성된 그물망 형태이다.
쉘터(30)는 적용되는 소재가 한정되지 않으나 PE사로 짜여진 라셀 그물(raschel net)이 적용될 수 있다. PE사는 서로 짜여져 2mm ~ 4mm 크기의 그물코가 형성되도록 12 ~ 18가닥 범위의 PE소재로 된 필리멘트사가 엮어진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막(50)은 센터지지바(24)에 상단이 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쉘터(30)가 제1그룹(A)과 제2그룹(B)으로 분리되게 수조부(10)의 길이방향 중심을 구획한다.
분리막(50)은 제1그룹(A)으로 공급된 해수가 수조부(10)의 타측에서 U 턴 형태로 돌아 제2그룹(B)의 다수의 쉘터(30)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수조부(10)의 양측에 U턴 구간(11a.11b)이 형성되게 양측 단부가 수조부(10)의 길이방향 양측 내주면에 대해 동일길이 이격되게 연장된다.
분리막(50)은 일반적인 방수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방수기능이 있어 해수가 순환되게 수조부(10)을 구획할 수 있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분리막(50)은 해수의 흐름에 움직이지 않도록 하단에 중량물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부(10)는 해수가 U턴 구간(11a.11b)에서 유속이 감소되거나 부유물이 침전되지 않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내주면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둥근 형태로 형성된다.
해수공급부(60)는 바다에서 제1그룹의 다수 쉘터(30)가 위치되는 수조부(10)의 일측 상방으로 연장된 제1해수메인공급관(61)과, 제1해수메인공급관(61)의 단부에서 수조부(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매니폴드부(63)와, 수조부(10)의 타측 방향의 제1매니폴드부(63) 측부에서 각각 돌출되며 제1그룹의 다수의 쉘터들 사이를 향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쉘터(30)들 사이로 해수를 토출하는 다수의 제1분기관(64)을 구비한다. 제1해수메인공급관(61)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측에 해수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된다. 해수공급부(60)는 다수의 제1분기관(64)이 쉘터들 사이로 해수를 공급하므로 해수의 순환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해수배수부(65)는 수조부(10)의 일측에 형성되는 U턴 구간(11b)에 설치되어, 제1그룹(A)의 일측으로 공급되어 제2그룹(B)의 타측을 지나 수조부(10)의 일측으로 돌아오는 해수를 수조부(10) 외부로 배수한다.
해수배수부(65)는 수조부 외측으로 연장된 메인해수배수관(66)과, 메인해수배수관(66)의 상방으로 적층되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단위해수배수관(67,68)을 구비한다.
수조부(10)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위해수배수관(67,68) 중 하나만 메인해수배수관(66)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결합 될 수 도 있다. 복수의 단위해수배수관(67,68)은 도시된 바와 다르게 두 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해삼의 수확, 선별 또는 수조부(10)의 청소 시에는 수조부(10)의 해수를 전량을 배출할 수 있도록, 메인해수배관(66)에서 복수의 단위해수배수관(67,68)은 분리된다. 그리고, 최상단에 위치되는 단위해수배수관(68)의 입구에는 해삼이 들어가지 못 하도록 스크린(69)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천시 수조부(10)로 유입되는 담수는 밀도차에 의해 해수의 흐름에 편승되지 않고 바로 수조부(10)의 하부로 이동되어 해수배수부(60)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수조부(10) 내의 해수 염도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쉘터(30)는 수조부(10)의 저면과 인접한 하부에 양측이 제1방향으로 개방되어, 수조부(10) 내에 흐르는 해수의 온도가 20℃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4℃ 이하로 하강 시 해삼이 쉘터(30) 상부에서 내려와 하면 또는 동면을 하거나, 생장할 수 있는 유입공간(41)을 각각 형성하여 해삼이 모일 수 있도록 유도하며 해삼이 개방된 양측으로 유입되게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해삼채집부(40)를 구비한다.
다수의 해삼채집부에는 해수의 유속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게 제1방향 양측으로 개방된 유입공간(41)이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게 형성되도록 공간형성틀(46)이 삽입된다.
공간형성틀(46)은 관 형상의 부재가 제1방향으로 나선연장된 것으로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형태로 나선연장되어 해삼채집부(40) 내에 삽입된다.
공간형성틀(46)은 수조부의 저면에 나란하게 수조부(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되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수조부(10)의 타측에 인접하게 연장되며 수조부(10)의 길이방향으로 동일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수평연장부(47)와, 수평연장부(47)의 타측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수평연장부(47)의 중심 측을 향하며 상단으로 갈수록 수조부(10)의 타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다수의 제1경사연장부(48)와, 다수의 제1경사연장부(48)의 상단에서 수조부(10)의 타측 방향으로 인접한 수평연장부(47)의 일단으로 연장되거나 하방으로 연장되되 수평연장부(47)의 일단측을 향하되 수조부(10)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2경사연장부(49)를 구비한다. 즉 공간형성틀(46)은 삼각기둥 형상의 스프링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1)은 다수의 쉘터(30)가 수조부(1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어 수조부(10) 공간대비 해삼이 부착되어 생장되는 다수의 부착공간(31)이 확보되므로 해삼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1)은 쉘터(30)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해삼채집부(40)에 의해 쉘터(30)가 해수의 유속에 의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므로 쉘터 간 균일한 서식환경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다수의 해삼의 생장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1)은 쉘터(30)의 하부에 수온이 상승하거나 하강시 해삼이 유입되어 하면 또는 동면을 하거나, 생장할 수 있는 유입공간(41)이 형성되는 해삼채집부(40)가 마련되어 있으며, 수조부(10)가 해수가 유입되는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해삼 수확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2)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2)은 해수가 수조부(10)의 일측으로 공급되어 타측으로 배수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1)의 분리막(50)을 구비하지 않으며, 다수의 쉘터(30)는 수조부(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인접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수조부(10)는 해수가 일측에서 타측으로만 이동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단부도 중심측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단부 내주면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수배수부(60)는 수조부(10)의 타측 단부 중심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해수공급부(160)는 메인공급관(61)과, 수조부(10)의 폭 만큼 연장된 매니폴드부(163)와, 수조부(10)의 타측을 향하는 매니폴드부(163)의 측부에서 다수의 쉘터들 사이를 향하도록 돌출되어 쉘터(30)들 사이로 해수가 토출되는 다수의 분기관(64)을 구비한다. 또한, 해수공급관(66)은 수조부(10)의 타측에 설치된다.
쉘터거치유닛(20)의 센터지지바(24)는 분리막(50) 대신 쉘터(30)를 지지한다. 다수의 쉘터(30) 중 센터지지바(24)의 하방에 위치하는 쉘터(30)는 센터지지바(24)에 거치될 수 있도록 수조부(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고리(13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이 일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양식장의 구조에 해삼이동유도수단을 더 구비한다.
해삼이동유도수단은 다수의 해삼을 쉘터의 하부로 모아 수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해삼채집부(40) 내로 해삼이 생장하기 적합한 온도의 해수를 개별공급하여 쉘터(30)의 상부에서 해삼채집부(40) 내로 해삼을 이동유도한다.
해삼이동유도수단은 해삼채집부(40)에 삽입되는 공간형성틀(146)과, 13 ~ 18도의 저온 해수가 저장되는 저온해수저장탱크(171)와, 저온해수저장탱크(171)에서 해삼채집부(40) 내로 연장되어 공간형성틀(146)과 연결되어 해수를 유입공간(41)으로 공급하는 저온해수공급부(173)와, 저온해수저장탱크(171)의 저장된 저온 해수를 해수채집부(40)로 펌핑하는 저온해수공급펌프(미도시)와, 저온해수공급부(173)와 공간형성틀(146)을 연결하는 결합부재(170)를 구비한다.
저온해수저장탱크(171)는 바다에서 연장된 탱크해수공급관(178)과 연결된다. 탱크해수공급관(178)은 일측에 해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수중펌프(미도시)가 장착된다.
저온해수저장탱크(171)는 내부에 13 ~18도의 해수 온도 유지를 위한 열교환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탱크해수공급관(178)은 저온해수저장탱크(171) 내부로 저장되는 해수가 수조부(10)로 공급되는 해수보다 낮은 온도를 가질 수 있도록, 심해의 해수가 공급되게 심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해삼이동유도수단은 수조부(10)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온센서(미도시)와, 수온센서의 측정된 정보를 전달받아 저온해수공급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저온해수공급부(173)는 저온해수 저장탱크에서 수조부(10)의 일측 하부로 연장되며 저온해수공급펌프가 일측에 연결되는 제2해수메인공급관(174)과, 저온해수메인공급관(174)의 단부와 연결되며 수조부(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2매니폴드부(177)와, 제2매니폴드부(175)의 측부에서 수조부(10)의 타측을 향하도록 돌출되되되 다수의 쉘터(10)들의 해삼채집부(40)로 연장된 다수의 제2분기관(177)을 구비한다.
다수의 제2분기관(177)의 외주면에는 후술되는 다수의 결합부재(170)와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선이 각각 형성된다.
공간형성틀(146)은 다수의 수평연장부(47)와, 다수의 제1경사연장부(48)와, 다수의 제2경사연장부(49)와, 제1결합부(151)와, 제2결합부(153)를 구비하며 내측에 해수가 흐를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연장된 중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공간형성틀(146)의 다수의 수평연장부(47)와, 다수의 제1경사연장부(48)와, 다수의 제2경사연장부(49)에는 중공과 연통되며 유입공간(41)의 외측을 향하도록 관통형성되어 해수가 토출되는 다수의 분사공(146a)이 형성된다.
제1결합부(151)는 수평연장부(47)의 일단에서 수조부(1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분기관(177)과 마주하거나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공간형성틀(146)의 후술되는 제2결합부(153)와 마주한다.
제2결합부(153)는 제2경사연장부(49)의 타단에서 수조부(10)의 타측에서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공간형성틀(146)의 제1결합부(151)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결합부(151)와 제2결합부(153)는 각 외주면에 결합부재와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된다.
결합부재(170)는 저온해수메인공급부(173)으로 부터 전달된 저온 해수가 수조부(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유입공간(41)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저온해수메인공급부(173)와 공간형성틀(170)을 연결하거나, 상호 인접하는 공간형성틀(146)들을 연결하여, 내측으로 저온 해수가 이동될 수 있게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부재(170)는 제2분기관(177), 제1결합부(151), 또는 제2결합부(153)와 나사결합을 위해 양측 내주면에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된다.
한편, 해삼채집부(40)는 쉘터(30)의 상부에 부착된 해삼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유입공간(41)으로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부에 유입공간(41)과 연통되게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유입구(143)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은 해삼채집부(40)에 해삼이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의 해수를 개별공급하여, 해삼을 유도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해삼의 하면 또는 동면 기간을 단축시켜 해삼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양식효율을 높일 수 있고, 해삼을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의 구조에 부표간격유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각 쉘터(30)에 설치되는 부표(36)는 수조부(10)의 폭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데, 마주하는 부표(36)의 양측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인입된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부표간격유지부재는 소정길이 연장된 바(bar) 형상으로서, 양측이 인접하는 부표(36)의 마주하는 결합홈에 결합된어, 쉘터간 간격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은 다수의 쉘터(30)들의 상부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쉘터 사이의 해수 유속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균일한 서식 환경을 유지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육상용 해삼 양식장은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셜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저야 할 것이다.
1 : 육상용 해삼 양식장 10 : 수조부
20 : 쉘터지지유닛 21 : 쉘터지지바
24 : 센터지지바 30 : 쉘터
40 : 해삼채집부 41 : 유입공간
46 : 공간형성틀 50 : 분리막

Claims (5)

  1. 육상에 상방으로 개방되며 일정한 폭으로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양식공간이 형성되게 설치되며 해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수조부와;
    상기 수조부의 상부에 상기 수조부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수조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쉘터거치바를 포함하는 쉘터거치유닛과;
    상기 수조부 내에 양측면에 해삼이 부착되어 생장될 수 있는 부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각각 길이 연장되며 상기 양식공간의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나란하도록 상단에 상기 쉘터거치바에 거치되는 다수의 쉘터;를 구비하고,
    상기 쉘터는
    상기 수조부의 하부에 양측이 상기 제1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수조부 내에 흐르는 해수의 온도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해삼이 상부에서 내려와 하면 또는 동면을 하거나 생장할 수 있는 유입공간을 각각 형성하여 해삼이 모일 수 있도록 유도하며, 해삼이 개방된 양측으로 유입되게 상기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해삼채집부를 구비하고,
    상기 해삼채집부의 상기 유입공간이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1방향으로 관 부재가 나선연장되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형태로 나선연장되어 상기 해삼채집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쉘터가 해수의 유속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는 공간형성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용 해삼 양식장.
  2. 삭제
  3. 육상에 상방으로 개방되며 일정한 폭으로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양식공간이 형성되게 설치되며 해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수조부와;
    상기 수조부의 상부에 상기 수조부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수조부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쉘터거치바를 포함하는 쉘터거치유닛과;
    상기 수조부 내에 양측면에 해삼이 부착되어 생장될 수 있는 부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각각 길이 연장되며 상기 양식공간의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나란하도록 상단에 상기 쉘터거치바에 거치되는 다수의 쉘터;를 구비하고,
    상기 쉘터는
    상기 수조부의 하부에 양측이 상기 제1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수조부 내에 흐르는 해수의 온도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해삼이 상부에서 내려와 하면 또는 동면을 하거나 생장할 수 있는 유입공간을 각각 형성하여 해삼이 모일 수 있도록 유도하며, 해삼이 개방된 양측으로 유입되게 상기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다수의 해삼채집부를 구비하고,
    상기 쉘터거치유닛은
    상기 수조부의 폭 방향 중심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쉘터거치바를 연결하는 센터지지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센터지지바에 상부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쉘터가 제1그룹과 제2그룹으로 분리되게 상기 수조부의 길이방향 중심을 구획하는 분리막과, 상기 수조부의 일측에서 상기 제1그룹을 이루는 복수의 상기 쉘터들 사이로 해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분기관을 갖는 해수공급부와, 상기 제1그룹의 일측으로 공급되어 상기 제2그룹의 타측을 지나 상기 수조부의 일측으로 돌아오는 해수를 상기 수조부 외측으로 배수되는 해수배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제1그룹으로 공급된 해수가 상기 수조부의 타측에서 돌아 상기 제2그룹의 다수의 상기 쉘터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가 상기 수조부의 길이방향 양측 내주면에 대해 동일길이 이격되게 연장되며,
    상기 수조부는 해수가 유입되는 일측으로 모이는 해삼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해수가 유입되는 일측이 타측보다 깊게 형성되도록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용 해삼 양식장.
  4.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해삼채집부 내로 해삼이 생장하기 적합한 온도의 해수를 개별공급하여 상기 쉘터의 상부에서 상기 해삼채집부 내로 해삼을 이동유도하는 해삼이동유도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용 해삼양식장.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해삼이동유도수단은
    저온의 해수가 저장되는 저온해수저장탱크와,
    상기 저온해수저장탱크에서 상기 해삼채집부 내로 연장되어 상기 공간형성틀과 결합되어,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중공과 상기 중공과 연통된 다수의 분사공 형성된 상기 공간형성틀을 통해 상기 유입공간 내로 저온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메인공급관과,
    상기 해수메인공급관으로 부터 전달된 저온 해수가 상기 수조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유입공간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호 인접하는 공간형성틀들을 연결하며 내측으로 저온해수가 이동될 수 있게 내부가 관통된 관 형상의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해삼채집부는
    상기 쉘터의 상부에 부착된 해삼이 하방으로 이동되어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유입공간과 연통되는 유입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용 해삼 양식장.
KR1020190095046A 2019-08-05 2019-08-05 육상용 해삼 양식장 KR10230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046A KR102301029B1 (ko) 2019-08-05 2019-08-05 육상용 해삼 양식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046A KR102301029B1 (ko) 2019-08-05 2019-08-05 육상용 해삼 양식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09A KR20210016809A (ko) 2021-02-17
KR102301029B1 true KR102301029B1 (ko) 2021-09-10

Family

ID=7473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046A KR102301029B1 (ko) 2019-08-05 2019-08-05 육상용 해삼 양식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1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882B1 (ko) * 2022-01-18 2024-05-09 박재근 새우 밀식 구조물
KR102542581B1 (ko) * 2022-08-02 2023-06-13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성게 양성용 사행식 사육장치
KR102653458B1 (ko) * 2023-10-30 2024-03-29 차미영 육상 해수 양식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130B1 (ko) 2011-03-18 2013-05-06 박송범 해삼양식용 그물망조립체
KR101562061B1 (ko) 2013-11-30 2015-10-20 김도영 전복 가두리 양식장을 이용한 해삼 양식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9160A (ko) * 2011-10-11 2013-04-19 박송범 해삼양식용 인공어초
KR200485957Y1 (ko) * 2016-02-11 2018-03-16 김도영 육상수조를 이용한 해삼양식장
KR102044634B1 (ko) * 2017-12-04 2019-11-13 김도영 육상수조를 이용한 전복 및 해삼양식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130B1 (ko) 2011-03-18 2013-05-06 박송범 해삼양식용 그물망조립체
KR101562061B1 (ko) 2013-11-30 2015-10-20 김도영 전복 가두리 양식장을 이용한 해삼 양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09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4251B2 (en) Multi-layered aquaponics system and method
KR102301029B1 (ko) 육상용 해삼 양식장
ES2248999T3 (es) Cultivo de animales marinos sesiles.
KR102355838B1 (ko) 피양식 생물의 양식 방법 및 그 양식 시설
KR100981486B1 (ko) 갯지렁이 양식 방법
US6089191A (en) Marine habitat systems
JP2005065562A (ja) ドジョウの養殖方法
KR101642778B1 (ko) 해상 가두리 양성용 입체형 전복쉘터
KR102044634B1 (ko) 육상수조를 이용한 전복 및 해삼양식장
KR20050005219A (ko) 참게를 위한 양식 방법과 양식장
KR100769122B1 (ko) 전복 해삼 사육기
KR101657774B1 (ko) 육상 수조용 부착생물 육성 장치
CN202085589U (zh) 鳗鱼栖息架
KR200406763Y1 (ko) 참게 양식장
RU273061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трепангов
CN102318569A (zh) 一种池塘养殖池用双层立体海参栖息笼
JP3836771B2 (ja) 池内生態系保全方法並びに同方法に用いる浮体構造及びその付属設備
CN214299503U (zh) 一种基于喷锚结构的消落带生态礁石装置
KR101261130B1 (ko) 해삼양식용 그물망조립체
KR100261437B1 (ko) 가상(架床)세트식굴양식구조물및이를위한하나굴종패생산및굴의양성방법
KR101678475B1 (ko) 부유 침수형 동물플랑크톤 배양장치
KR102301028B1 (ko) 해삼용 쉘터
CN212184724U (zh) 海参养殖网箱
CN109090050B (zh) 一种免泥沙的沙蚕养殖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060864B1 (ko) 노지양식용 해삼 양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