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906Y1 -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906Y1
KR200495906Y1 KR2020200004110U KR20200004110U KR200495906Y1 KR 200495906 Y1 KR200495906 Y1 KR 200495906Y1 KR 2020200004110 U KR2020200004110 U KR 2020200004110U KR 20200004110 U KR20200004110 U KR 20200004110U KR 200495906 Y1 KR200495906 Y1 KR 200495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idewall
lid
pedestal
concav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848U (ko
Inventor
린 시엔-창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28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8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9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26Bases, e.g. strip, block, panel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flat strip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wires or componen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페디스털과, 단자와, 뚜껑과, 잠금 고정 조립 부재를 구비한다. 뚜껑은 페디스털의 오목홈과 결합되는 축 돌기부를 제공함으로써, 뚜껑과 페디스털에 의해 협지된 각도를 발생시킨다. 각도가 0도에 가까워질 때, 페디스털의 제1 걸림 부재와 뚜껑의 제2 걸림 부재를 상호 걸어맞추고, 뚜껑을 페디스털에 고정해서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플랫 도선이 수용 공간에 진입한 후에, 플랫 도선의 선두단은 잠금 고정 조립 부재에 작용해서 플랫 도선을 수용 공간에 잠금한다. 뚜껑과 페디스털에 의해 협지되는 각도가 소정 각도보다 클 때, 제1 걸림 부재와 제2 걸림 부재와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플랫 도선을 수용 공간으로부터 대피시킨다.

Description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CONNECTOR WITH AN AUTOMATIC LOCK STRUCTURE}
본 고안은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랫 도선을 빗장 잠금(latch lock)하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전선 대 기판(wire-to-board) 커넥터는 도선과 회로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엘리먼트로서 구성되고, 그의 이점은 실체적인 납땜 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회로판 상에 납땜 봉지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간이하게 삽입하고(꽂고) 뺌으로써 전기적인 접속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커넥터와 도선을 안정하게 접촉시키기 위해, 지금까지 많은 종류의 접속 방식이 개발되고, 예를 들면, 커넥터와 도선을 간이하게 접속해서 탈락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자동 빗장 잠금 방식을 들 수 있다. 이 방식은 전술한 동작과 같이 도선을 커넥터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빗장 잠금할 수 있고, 커넥터와 도선과의 접속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자동 빗장 잠금을 가지는 전통적인 커넥터는 자동 빗장 잠금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두께가 더 두꺼워지기 때문에, 박형화의 응용 분야에 적합하지 않다.
이것을 감안해서, 본 고안은 전통적인 커넥터에 의해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를 제안한다.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플랫 도선의 빗장 잠금 및 해방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에서, 페디스털(台座體)과 뚜껑의 투피스식의 조합을 제공하고, 플랫 도선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에서, 뚜껑에 잠금 고정 조립 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플랫 도선을 수용 공간에 빗장 잠금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4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에서, 뚜껑의 축 돌기부가 페디스털의 오목홈에 작용하는 것에 의해, 플랫 도선의 빗장 잠금과 잠금 해제를 결정하기 위한 각도를 협지해도 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5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에서, 오목홈에 간이하게 삽입해서 오목홈에서 회동하기 위한 복수의 사면을 포함하는 축 돌기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6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에서, 뚜껑을 페디스털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걸림 부재와 제2 걸림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7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에서, 뚜껑에 끼워넣어지는 잠금 고정 조립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잠금 고정 조립 부재에 의해 잠금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8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에서, 뚜껑은 뚜껑을 페디스털의 접촉면까지 반전시키는 위치 제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뚜껑을 특정 각도의 범위 내에 반전시키도록 제한할 수 있으므로, 뚜껑의 반전으로 플랫 도선을 협지하고 밀고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9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에서, 분리 부품의 접촉 부분에 모따기각을 형성해서 걸림이나 미끄러져 들어감 등의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제1 목적 및 그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플랫 도선과 접속가능하게 구성되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를 제공한다. 플랫 도선은 도선을 가지는 선두단을 제공하고, 또한 선두단의 양측에 절결이 각각 형성된다.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는 페디스털과, 단자와, 뚜껑과, 잠금 고정 조립 부재를 구비한다. 페디스털은,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가진다.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는 플랫 도선을 설치가능한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그 중에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에는 오목홈과, 제1 걸림 부재가 각각 형성된다. 오목홈은 제1 측벽의 앞가장자리와, 제2 측벽의 앞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제1 걸림 부재는 제1 측벽의 뒷가장자리와 제2 측벽의 뒷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앞가장자리는 페디스털의 삽입구에 위치되어 있다. 단자는 수용 공간에 설치된다. 단자는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된다. 뚜껑은 축 돌기부와, 제2 걸림 부재를 가진다. 축 돌기부는 오목홈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제2 걸림 부재는 제1 걸림 부재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잠금 고정 조립 부재는 뚜껑과 결합된다. 잠금 고정 조립 부재, 탄성 암과, 잠금 고정 돌기부를 가진다. 탄성 암, 잠금 고정 돌기부와 접속된다. 그 중에서, 뚜껑의 축 돌기부는 오목홈과 결합되는 것에 의해, 뚜껑과 페디스털에 의해 협지되는 각도를 발생시킨다. 각도가 0도에 가까워질 때, 제1 걸림 부재와 제2 걸림 부재를 상호 걸어맞춘다. 플랫 도선이 삽입구를 통해서 수용 공간에 진입한 후에, 선두단은 잠금 고정 조립 부재에 작용함으로써, 잠금 고정 돌기부가 절결에 걸릴 때까지 탄성 암에 변형을 발생시키고, 탄성 암을 위치 복귀시킨 후에, 잠금 고정 돌기부는 플랫 도선을 수용 공간에 잠금할 수 있다. 그 이외에, 뚜껑과 페디스털에 의해 협지되는 각도가 소정 각도보다 클 때, 제1 걸림 부재와 제2 걸림 부재와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삽입구를 통해서 플랫 도선을 대피시킨다.
종래의 기술에 비해, 본 고안은 박형화의 커넥터로 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형태의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의 페디스털을 설명하는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도 1의 페디스털을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도 1의 뚜껑을 설명하는 전면도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도 1의 뚜껑을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도 1의 잠금 고정 조립 부재를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의 도 1의 잠금 고정 조립 부재와 플랫 도선과의 결합을 설명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도 1의 제1 걸림 부재와 제2 걸림 부재와의 걸어 맞춤을 설명하는 결합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도 1의 뚜껑의 축 돌기부와 페디스털의 오목홈과의 결합을 설명하는 결합 모식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하나」 또는 「1개」는 본문에 기재된 유닛, 엘리먼트 및 컴퍼넌트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게다가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 대해서 일반적인 의의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특별한 의미가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이와 같은 기술은 1개, 적어도 1개를 포함하고, 또한 단수형은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 「구비한다」, 「포함한다」, 「가진다」, 「함유한다」고 하는 용어, 또는 다른 어떠한 유사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 관계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말하면, 복수의 요건을 함유하는 엘리먼트, 구조, 제품 또는 장치는 본문에 열거된 그들의 요건에만 한정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명시적으로는 열거되어 있지 않은 또는 본래 구비되어 있어야 할 다른 요건이 그와 같은 엘리먼트, 구조, 제품 또는 장치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 이외에, 반대의 명확한 설명이 없는 한, 「또는」이라고 하는 용어는 배타적인 「또는」이 아니라, 포괄적인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형태의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인 도 1을 참조한다. 도 1에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10)는 플랫 도선(2)과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에 대해서는 도 5b의 모식도를 참조할 수가 있다. 플랫 도선(2)은 도선(6)을 가지는 선두단(8)을 제공하고, 또한 선두단(8)의 양측에 절결(4)이 각각 형성된다.
도 1로 다시 참조하면,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10)는 페디스털(12)과, 단자(14)와, 뚜껑(16)과, 잠금 고정 조립 부재(18)를 구비한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의 페디스털을 설명하는 전면도이고, 도 3, 본 고안의 도 1의 페디스털을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디스털(12)은 제1 측벽(122)과, 제2 측벽(124)을 가진다. 제1 측벽(122)과 제2 측벽(124) 사이에는 플랫 도선(2)을 설치 가능한 수용 공간(SP)이 형성된다. 제1 측벽(122)과 제2 측벽(124)에는 오목홈(128)과, 제1 걸림 부재(1210)가 각각 형성된다. 오목홈(128)은 제1 측벽(122)의 앞가장자리와, 제2 측벽(124)의 앞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제1 걸림 부재(1210)는 제1 측벽(122)의 뒷가장자리와, 제2 측벽(124)의 뒷가장자리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앞가장자리와 뒷가장자리는 서로 대응 관계를 갖는 것을 가리키고, 앞가장자리는 플랫 도선(2)이 삽입되는 일단을 가리키고, 즉, 앞가장자리는 페디스털(12)의 삽입구(126)에 위치되어 있다.
제1 측벽(122)에서의 오목홈(128) 부분의 두께는 제1 측벽(122)에서의 남은 부분의 두께보다도 크거나, 혹은 그것과 동일하다. 여기에서, 제1 측벽(122)에서의 오목홈(128) 부분의 두께가 제1 측벽(122)에서의 남은 부분의 두께보다도 큰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고, 그것은 주로 오목홈(128)의 강도를 보다 강하게 할 수 있고, 나중에 설명되는 축 돌기부(162)에 맞추어 설치됨으로써, 뚜껑(16)의 회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게다가 간이하게 단열(斷裂)하는 일이 없다. 마찬가지로, 제2 측벽(124)의 구조는 제1 측벽(122)에 대칭으로 배치하여 마련되어도 좋다.
그 이외에, 제1 측벽(122)과 제2 측벽(124)은, 변 가장자리 개소에도 모따기각을 형성해도 좋고, 그 밖의 부품과 접촉할 때, 위치결정 또는 장착을 원활하게 행하는 등의 목적을 제공할 수 있다.
단자(14)는 수용 공간(SP)에 설치되고, 단자(14)는, 도선(6)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제1 측벽(122)에서의 오목홈(128)의 폭을 제1 걸림 부재(1210) 부분의 폭보다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점차 지름이 축소하게 형성되는 하나의 구조에, 나중에 언급하는 뚜껑(16)을 원활하게 미끄러져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측벽(124)에서의 그의 오목홈(128)의 폭도 제1 걸림 부재(1210) 부분의 폭보다도 크게 한다.
도 4a와 도 4b를 아울러 참조한다. 도 4a는 본 고안의 도 1의 뚜껑을 설명하는 전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도 1의 뚜껑을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뚜껑(16)은 축 돌기부(162)와, 제2 걸림 부재(164)를 가진다. 축 돌기부(162)는 오목홈(128)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제2 걸림 부재(164)는 제1 걸림 부재(1210)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여기에서, 축 돌기부(162)는 오목홈(128)에 삽입해서 오목홈(128)에서 선회하기 위한 복수의 사면을 포함하고, 조작자는 다른 사면에 의해 현재의 뚜껑(16)의 회동 상태 또는 위치 제한의 목적을 자세히 알 수 있고, 예를 들면, 다른 사면에 의해 선회 시의 각도를 구별할 수 있는 점이다. 본 고안의 도 1의 뚜껑의 축 돌기부와 페디스털의 오목홈과의 결합을 설명하는 결합 모식도인 도 7을 함께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 부재(1210)와 제2 걸림 부재(164)와의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서는 제1 걸림 부재(1210)에, 제2 걸림 부재(164)에, 또는 이들 양자에 모따기각을 형성해도 좋으므로, 위치결정 또는 장착을 원활하게 행하는 등의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뚜껑(16)에는 나중에 언급하는 잠금 고정 조립 부재(18)를 수용하는 개구(166)가 더 형성되므로, 잠금 고정 조립 부재(18)에 의해 생기는 변형량을 제거할 수 있고, 뚜껑(16)에도 변형이 발생하는 영향의 우려를 없앨 수가 있다.
그 이외에, 뚜껑(16)에는 제1 측벽(122)과 제2 측벽(124)에 대응하는 위치 제한 구조(168)를 형성해도 좋고, 여기에서, 위치 제한 구조(168)에 대해 1개의 L자 모양의 오목함몰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위치 제한 구조(168)가 제1 측벽(122)과 제2 측벽(124)에 각각 작용하는 것에 의해, 각도 θ의 회동 범위를 결정하고, 다시 말해, 위치 제한 구조(168)의 내벽면이 제1 측벽(122)과 제2 측벽(124)에 접촉할 때, 내벽면의 저항을 받아서 반전이 저지된다.
도 5a와 도 5b를 함께 참조한다. 도 5a는 본 고안의 도 1의 잠금 고정 조립 부재를 설명하는 상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도 1의 잠금 고정 조립 부재와 플랫 도선과의 결합을 설명하는 단면 모식도이다. 잠금 고정 조립 부재(18)는 뚜껑(16)과 결합된다. 도 5a와 도 5b에서, 잠금 고정 조립 부재(18)는 탄성 암(182)과, 잠금 고정 돌기부(184)를 가진다. 탄성 암(182)은 잠금 고정 돌기부(184)와 접속된다. 그 중에서, 뚜껑(16)의 축 돌기부(162)는 오목홈(128)과 결합되는 것에 의해, 뚜껑(16)과 페디스털(12)에 의해 각도 θ를 협지하도록 만든다. 각도 θ가 0도에 가까워질 때, 제1 걸림 부재(1210)와 제2 걸림 부재(164)를 상호 걸어 맞추고, 이것은 본 고안의 도 1의 제1 걸림 부재와 제2 걸림 부재와의 걸어 맞춤을 설명하는 결합 모식도인 도 6에 도시하는 대로이다. 도 6에서, 제1 걸림 부재(1210)와 제2 걸림 부재(164)를 걸어맞춘 후, 뚜껑(16)은, 페디스털(12)에서 안정적으로 제한된다.
여기에서, 탄성 암(182)의 말단이 뚜껑(16)에 끼워넣어짐으로써, 탄성 암(182)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우선, 탄성 암(182)의 말단은 콜로이드(즉, 본 고안에서는 뚜껑(16)이라 지칭함)에 맞추는 주형 성형에 의해 탄성 암(182)이 뚜껑(16)에 포위된다.
또한, 잠금 고정 돌기부(184)의 변 가장자리의 형상은 호 형상의 곡선이더라도 좋으므로, 플랫 도선(2)의 선두단(8)이 잠금 고정 돌기부(184)에 의해 간이하게 밀어 열려서 수용 공간(SP)에 진입하고, 절결(4) 또한 호 형상의 곡선을 갖는 잠금 고정 돌기부(184)에 의한 규제를 받아 수용 공간(SP)에서 위치 제한된다.
이로 인해 플랫 도선(2)이 삽입구(126)를 통해서 수용 공간(SP)에 진입한 후에 선두단(8)은 잠금 고정 조립 부재(18)에 작용함으로써, 잠금 고정 돌기부(184)가 절결(4)에 걸릴 때까지 탄성 암(182)에 변형을 발생시키고, 탄성 암(182)을 위치 복귀시킨 후에, 잠금 고정 돌기부(184)는 플랫 도선(2)을 수용 공간(SP)에 잠금할 수가 있다. 반대로, 뚜껑(16)과 페디스털(12)에 의해 협지되는 각도 θ가 소정 각도보다 클 때, 제1 걸림 부재(1210)와 제2 걸림 부재(164)와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삽입구(126)를 통해서 플랫 도선(2)을 대피시킬 수가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전술한 각도 θ의 범위가 예를 들면, 0도 내지 90도의 사이에 있어도 좋고, 전술한 소정 각도의 범위가, 예를 들면, 3도 내지 90도의 사이에 있어도 좋다는 점이다.
2 : 플랫 도선
4 : 절결
6 : 도선
8 : 선두단
10 :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12 : 페디스털
122 : 제1 측벽
124 : 제2 측벽
126 : 삽입구
128 : 오목홈
1210 : 제1 걸림 부재
14 : 단자
16 : 뚜껑
162 : 축 돌기부
164 : 제2 걸림 부재
166 : 개구
168 : 위치 제한 구조
18 : 잠금 고정 조립 부재
182 : 탄성 암
184 : 잠금 고정 돌기부
SP : 수용 공간
θ : 각도

Claims (5)

  1. 플랫 도선을 접속하기 위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로서,
    상기 플랫 도선은 도선을 가지는 선두단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선두단의 양측에 절결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는, 페디스털과, 단자와, 뚜껑과, 잠금 고정 조립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페디스털은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는 상기 플랫 도선을 설치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에는 오목홈과, 제1 걸림 부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은 상기 제1 측벽의 앞가장자리와 상기 제2 측벽의 앞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걸림 부재는 상기 제1 측벽의 뒷가장자리와 상기 제2 측벽의 뒷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상기 앞가장자리는 상기 페디스털의 삽입구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단자는 상기 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뚜껑은 축 돌기부와, 제2 걸림 부재를 가지고, 상기 축 돌기부는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 걸림 부재는 상기 제1 걸림 부재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뚜껑과 결합되는 상기 잠금 고정 조립 부재는, 탄성 암과, 잠금 고정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 암은, 상기 잠금 고정 돌기부와 접속되고,
    상기 뚜껑의 상기 축 돌기부는, 상기 오목홈과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뚜껑과 상기 페디스털에 의해 협지된 각도를 발생시키고, 상기 각도가 0도에 가까워질 때, 상기 제1 걸림 부재와 상기 제2 걸림 부재를 상호 걸어맞추고, 상기 플랫 도선이 상기 삽입구를 통해서 상기 수용 공간에 진입한 후, 상기 선두단은 상기 잠금 고정 조립 부재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잠금 고정 돌기부가 상기 절결에 걸릴 때까지 상기 탄성 암에 변형을 발생시키고, 상기 탄성 암을 위치 복귀시킨 후에, 상기 잠금 고정 돌기부는 상기 플랫 도선을 상기 수용 공간에 잠금하기 위해 이용되고, 그 이외에 상기 뚜껑과 상기 페디스털에 의해 협지되는 상기 각도가 소정 각도보다 클 때, 상기 제1 걸림 부재와 상기 제2 걸림 부재와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플랫 도선을 대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측벽에서의 상기 오목홈이 형성된부분에서 외측면과 내측면을 사이에 형성된 두께는 상기 제1 측벽에서의 남은 부분의 두께보다도 작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탄성 암의 말단이 상기 뚜껑에 끼워 넣어져, 상기 뚜껑이 상기 탄성 암의 말단을 포위함으로써, 상기 탄성 암의 강도를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에서의 상기 뚜껑과 접촉하는 부분에 모따기각을 형성하고, 또 상기 제1 걸림 부재와 상기 제2 걸림 부재와의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 모따기각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에 대응하는 위치 제한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 제한 구조가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에 각각 작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각도의 회동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에서의 상기 오목홈이 형성된 부분에서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두께는 상기 제1 걸림 부재 부분의 폭보다도 크고, 상기 제2 측벽에서의 상기 오목홈의 두께는 상기 제1 걸림 부재 부분의 폭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KR2020200004110U 2020-06-11 2020-11-13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KR2004959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9207478U TWM603214U (zh) 2020-06-11 2020-06-11 具有自動鎖扣結構的連接器
TW109207478 2020-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848U KR20210002848U (ko) 2021-12-21
KR200495906Y1 true KR200495906Y1 (ko) 2022-09-15

Family

ID=74095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110U KR200495906Y1 (ko) 2020-06-11 2020-11-13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30227U (ko)
KR (1) KR200495906Y1 (ko)
CN (1) CN213425250U (ko)
TW (1) TWM60321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7619B (zh) * 2020-06-11 2022-12-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自動鎖扣結構的連接器
TWI768747B (zh) * 2021-03-03 2022-06-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超薄型易鎖易解鎖連接器
TWI778540B (zh) * 2021-03-09 2022-09-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超薄型易鎖易解鎖連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6338A (ja) 2013-09-13 2015-03-23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416B1 (ko) * 2011-08-04 2013-02-22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JP5813411B2 (ja) * 2011-08-10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5809203B2 (ja) * 2013-07-04 2015-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6338A (ja) 2013-09-13 2015-03-23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3425250U (zh) 2021-06-11
KR20210002848U (ko) 2021-12-21
TWM603214U (zh) 2020-10-21
JP3230227U (ja)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5906Y1 (ko)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US5516984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train relief
JP510546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198342B2 (ja) シールド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そのコネクタ本体及びこの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709051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US5492485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US20190097330A1 (en) Electrical Contact Device, Electrical Connect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 Cable
JP2641661B2 (ja) オーバモールドシールドコネクタ
CA2276770C (en) Connector with lever
TW200805818A (en) Boardmount header to cable connector assembly
US5160279A (en) Double lock connector
US11764520B2 (en) Board en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729561B2 (ja) コネクタ
US6328606B1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system
KR20220000457U (ko)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JP3094009B2 (ja) コンタクト保持装置付き電気コネクタ
KR0138837B1 (ko) 전기 커넥터용 터미널 위치 보장 시스템
CN108199200B (zh) 连接器
KR100240856B1 (ko) 개선된 단자 래칭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CN107732516B (zh) 线缆连接器组件
JP2000294335A (ja) コネクタの係止構造
US20230402786A1 (en) Hinged Connector Feature for Terminal Retainment and Position Assurance for High Mating Cycle Applications
US20230238752A1 (en) Coaxial connector with an improved locking structure
US1085502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es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projections provided on hinged cover
CN220672922U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