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457U -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457U
KR20220000457U KR2020210000213U KR20210000213U KR20220000457U KR 20220000457 U KR20220000457 U KR 20220000457U KR 2020210000213 U KR2020210000213 U KR 2020210000213U KR 20210000213 U KR20210000213 U KR 20210000213U KR 20220000457 U KR20220000457 U KR 202200004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ayer
elastic member
case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784Y1 (ko
Inventor
린 시엔-창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0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4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7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랫 도선과 회로판을 접속할 수 있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케이스와, 고무 심지와, 뚜껑체와, 잠금 고정 조립 부재와, 단자를 구비한다. 케이스는,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와, 케이스 접지를 제공함으로써, 플랫 도선의 접지층은 회로판의 접지선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뚜껑체, 고무 심지 및 잠금 고정 조립 부재에 의해, 커넥터는 플랫 도선을 자동 빗장 잠금하는 목적과, 플랫 도선을 커넥터로부터 이탈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플랫 도선을 자동 빗장 잠금하는 경우, 단자는 플랫 도선의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HIGH FREQUENCY CONNECTOR WITH AN AUTOMATIC LOCK STRUCTURE}
본 고안은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주파 신호 전달에 적용되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전선 대 기판(wire-to-board) 커넥터는 도선과 회로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소자(element)로서 구성되고, 그 이점은 실체적인 납땜 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회로판 상에 납땜 봉지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는 간이하게 꽂고 빼냄으로써 전기적인 접속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커넥터와 도선을 안정되게 접촉시키기 위해 지금까지 많은 종류의 접속 방식이 개발되고, 예를 들면, 커넥터와 도선을 간이하게 접속해서 탈락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자동 빗장 잠금(latch lock) 방식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동작과 같이 도선을 커넥터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빗장 잠금할 수 있고, 커넥터와 도선의 접속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자동 빗장 잠금을 가지는 전통적인 커넥터는 자동 빗장 잠금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전체 두께가 보다 두꺼워지기 때문에, 박형화를 요구하는 응용 분야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전통적인 커넥터는 예를 들면, 전자파 등의 신호 간섭을 받음으로써 고속 전달을 유효하게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것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전통적인 커넥터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를 제안한다.
본 고안의 제1의 목적은 고주파 신호 전달의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또한 자동적으로 플랫 도선을 커넥터에 빗장 잠금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외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커넥터로부터 플랫 도선을 해방할 수 있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2의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에서,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와, 케이스 접지를 가지는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플랫 도선의 접지층을, 제1 탄성 부재, 제2 탄성 부재 및 케이스 접지를 거쳐서 회로판의 접지선에 접속시키는 것을 달성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3의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에서, 케이스와, 고무 심지와, 뚜껑체와, 잠금 고정 조립 부재를 제공하고, 뚜껑체에 잠금 고정 조립 부재를 설치하여 플랫 도선을 수용 공간에 빗장 잠금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4의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에서, 뚜껑체의 축 돌기부가 케이스의 오목홈에 작용하는 각도를 조정하여 플랫 도선의 빗장 잠금과 잠금해제를 결정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5의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에서, 뚜껑체를 고무 심지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걸림 부재와 제2 걸림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6의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에서, 케이스와 고무 심지, 각각 제지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고무 심지를 케이스의 제1 수용 공간에 고정하는 것을 달성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7의 목적은 전술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에서, 홈체와 축 돌기부로 간섭 구조가 형성되고, 간섭 구조에 의해 각도의 회동 범위를 결정함으로써, 뚜껑체를 특정 각도의 범위 내로 반전시키도록 제한할 수 있으므로, 뚜껑체의 반전으로 플랫 도선을 사이에 끼고 밀고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과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를 제공한다.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는 플랫 도선과 회로판을 접속할 수 있다. 플랫 도선은 적어도 도전층과, 제1 접지층과, 제2 접지층과, 절연층을 구비한다. 도전층은 제1 접지층과 제2 접지층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절연층으로 도전층, 제1 접지층 및 제2 접지층을 감싸덮고, 또한 플랫 도선의 앞가장자리에 선두단이 형성되고, 선두단의 양측에 절결이 각각 형성된다. 선두단으로부터 제1 접지층과 제2 접지층이 노출되어 있다.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는 케이스와, 고무 심지와, 뚜껑체와, 잠금 고정 조립 부재와, 단자를 구비한다. 케이스에는 제1 수용 공간과,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와, 삽입구와, 케이스 접지가 형성된다. 제1 수용 공간은 삽입구에 연통한다.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제1 탄성 부재는 제1 접지층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탄성 부재는 제2 접지층과 접촉할 수 있다. 케이스 접지는 회로판의 접지선과 접속가능하게 된다. 고무 심지는 제1 수용 공간에 설치된다. 고무 심지에는 제2 수용 공간과, 제1 걸림 부재와, 홈체와, 제1 절결과, 제2 절결이 형성된다. 제2 수용 공간은 삽입구에 연통해서 선두단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1 절결은 제2 탄성 부재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제2 절결은 제1 걸림 부재에 인접해 있다. 뚜껑체는 축 돌기부와, 개구와, 제2 걸림 부재를 가진다. 축 돌기부는 홈체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제2 걸림 부재는 제1 걸림 부재에 대응해서 설치된다. 잠금 고정 조립 부재는 뚜껑체에 설치된다. 잠금 고정 조립 부재는 고정부와, 탄성 암과, 잠금 고정 돌기부를 가진다. 탄성 암은 고정부와 잠금 고정 돌기부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 암은 개구에 대응해서 설치된다. 잠금 고정 돌기부는 선두단의 절결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고정부는 뚜껑체에 설치된다. 단자는 제2 수용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된다. 그 중, 뚜껑체의 축 돌기부는 고무 심지의 홈체와 결합됨으로써, 뚜껑체와 고무 심지에 의해 각도 θ를 사이에 형성하도록 한다. 각도 θ가 0도에 가까워질 때, 제1 걸림 부재와 제2 걸림 부재를 상호 걸어맞추고, 플랫 도선이 삽입구를 통해 제2 수용 공간에 진입한 후에, 제1 탄성 부재는 제1 접지층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탄성 부재는 제2 접지층과 접촉할 수 있음으로써, 제1 접지층을 제1 탄성 부재와 케이스 접지를 거쳐서 회로판의 접지선에 접속시키고, 그리고 제2 접지층을 제2 탄성 부재와 케이스 접지를 거쳐서 회로판의 접지선에 접속시킨다.
종래의 기술에 비해, 본 고안은 박형화의 커넥터로 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를 제공하고, 또한 특히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플랫 도선의 접지층을 회로판의 접지선에 접속할 수 있고, 따라서 커넥터는 고주파 신호 전달의 응용 분야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형태의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도 1의 케이스를 설명하는 상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도 1의 케이스를 설명하는 하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도 1의 고무 심지를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도 1의 뚜껑체를 설명하는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도 1의 잠금 고정 조립 부재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도 1의 커넥터를 설명하는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커넥터와 플랫 도선의 접속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8(a)는 본 고안의 도 7의 커넥터와 플랫 도선의 접속을 도시하는 A-A 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고안의 도 7의 커넥터와 플랫 도선의 접속을 도시하는 B-B 단면도이고, 도 8(c)는 본 고안의 도 7의 커넥터와 플랫 도선의 접속을 도시하는 C-C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하나」 또는 「1개」는 본문에 기재된 유닛, 소자 및 구성요소(component)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또한 한편 본 고안의 범주에 대해 일반적인 의의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특별한 의미가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이와 같은 설명은 1개, 적어도 1개를 포함하고, 또한 단수형은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 「구비한다」, 「포함한다」, 「가진다」, 「함유한다」라는 용어, 또는 다른 어떠한 유사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 관계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말하면, 복수의 요건을 함유하는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본문에 열거된 그들 요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는 열거되어 있지 않은 또는 본래 구비되어 있을 다른 요건이, 그와 같은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에 포함되어도 좋다. 그 외에, 반대의 명확한 설명이 없는 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인 「또는」이 아니라, 포괄적인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
본 고안의 제1 실시형태의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인 도 1을 참조한다. 도 1에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10)는 도 7에 도시하는 플랫 도선(2)과 회로판(4)을 접속할 수 있다. 그 중, 도 7에서, 플랫 도선(2)은 적어도 도전층(22)과, 제1 접지층(24)과, 제2 접지층(26)과, 절연층(28)을 구비하고, 그 외에, 주의할 만한 것은 단락(短絡) 회피나 구조 강화를 위해, 도전층(22)과 제1 접지층(24) 사이에 다른(별도의) 절연층과 플랫 케이블 보강판을 가지고, 도전층(22)과 제2 접지층(26) 사이에 다른 절연층을 가진다. 설명의 형편 상, 여기에서는 주로 플랫 도선(2)의 도전층(22), 제1 접지층(24), 제2 접지층(26)과 절연층(28)에 대해 간략화하여 나중에 설명한다. 도전층(22)은 제1 접지층(24)과 제2 접지층(26)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절연층(28)으로 도전층(22), 제1 접지층(24) 및 제2 접지층(26)을 감싸덮는다. 여기서 설명하는 플랫 도선(2)은 전통적인 플랫 도선과 같이 앞가장자리에 선두단(즉, 도 3에서, 플랫 도선(2)의 절연층(28)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부분)이 형성되고, 선두단의 양측에 절결(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선두단으로부터 제1 접지층(24)과 제2 접지층(26)이 노출되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10)는 케이스(12)와, 고무 심지(14)와, 뚜껑체(16)와, 잠금 고정 조립 부재(18)와, 단자(20)를 구비한다.
도 2(a)와 도 2(b)를 함께 참조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도 1의 케이스를 설명하는 상면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의 도 1의 케이스를 설명하는 하면도이다. 도 2(a)와 도 2(b)에서, 케이스(12)에는 제1 수용 공간(FSP)과, 제1 탄성 부재(122)와, 제2 탄성 부재(124)와, 삽입구(126)와, 케이스 접지(128)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케이스(12)의 재질로서는 금속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수용 공간(FSP)은 삽입구(126)에 연통한다.
제1 탄성 부재(122)와 제2 탄성 부재(124)는 케이스(12)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도 2(a)에는 제1 탄성 부재(122)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제2 탄성 부재(124)가 도시되어 있다. 제1 탄성 부재(122)는 제1 접지층(24)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탄성 부재(124)는 제2 접지층(26)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 탄성 부재(122)의 자유단과 제2 탄성 부재(124)의 자유단은 케이스(12)로부터 후술하는 제2 수용 공간(SSP)의 스페이스를 향해 연장한다.
케이스 접지(128)는 회로판(4)의 접지선과 접속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도 1의 고무 심지를 설명하는 상면도인 도 3을 함께 참조한다. 도 3에서, 고무 심지(14)는 제1 수용 공간(FSP)에 설치된다. 고무 심지(14)에는 제2 수용 공간(SSP)과, 제1 걸림 부재(142)와, 홈체(144)와, 제1 절결(146)과, 제2 절결(148)이 형성된다.
제2 수용 공간(SSP)은 도 1에 도시하는 삽입구(126)에 연통해서 선두단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1 절결(146)은 제2 탄성 부재(124)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제2 절결(148)은 제1 걸림 부재(142)에 인접해 있다.
본 고안의 도 1의 뚜껑체를 설명하는 상면도인 도 4를 함께 참조한다. 도 4에서, 뚜껑체(16)는 축 돌기부(162)와, 제2 걸림 부재(164)와, 개구(166)를 가진다. 축 돌기부(162)는 도 3에 도시하는 홈체(144)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제2 걸림 부재(164)는 도 3에 도시하는 제1 걸림 부재(142)에 대응해서 설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축 돌기부(162)는 복수의 사면 또는 매끄러운 면을 포함해도 좋다. 축 돌기부(162)를 도 3에 도시하는 홈체(144)에 꽂은 후에, 축 돌기부(162)는 도 3에 도시하는 홈체(144) 내를 선회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 3에 도시하는 홈체(144)와 축 돌기부(162)로 간섭 구조가 형성되어도 좋고, 간섭 구조에 의해 나중에 언급하는 각도 θ의 회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하면, 간섭 구조는 사면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 3에 도시하는 제1 걸림 부재(142)와 도 4에 도시하는 제2 걸림 부재(164)의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제1 걸림 부재(142)에, 제2 걸림 부재(164)에, 또는 이들 양자에 모따기각을 형성해도 좋고, 위치결정 또는 부착을 원활하게 하는 등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고안의 도 1의 잠금 고정 조립 부재를 설명하는 측면도인 도 5를 함께 참조한다. 도 5에서, 잠금 고정 조립 부재(18)는 뚜껑체(16)에 설치된다. 잠금 고정 조립 부재(18)는 고정부(182)와, 탄성 암(184)과, 잠금 고정 돌기부(186)를 가진다.
탄성 암(184)은 고정부(182)와 잠금 고정 돌기부(186) 사이에 형성되고, 탄성 암(184)은 도 4에 도시하는 개구(166)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잠금 고정 돌기부(186)는 선두단의 절결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고정부(182)는 뚜껑체(16)에 설치되고, 여기서, 고정부(182)를 뚜껑체(16)에 끼워넣을(감입할) 수 있다.
뚜껑체(16)의 개구(166)에 의해, 잠금 고정 조립 부재(18)에 의해 생기는 변형량을 제거할 수 있고, 따라서 뚜껑체(16)에 변형이 생길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잠금 고정 돌기부(186)의 변가장자리의 형상은 호 형상 곡선이더라도 좋고, 플랫 도선(2)의 선두단이 커넥터(10)에 삽입될 때, 잠금 고정 돌기부(186)에 의해 간이하게 밀어 열려져서 제2 수용 공간(SSP)에 진입할 수 있고, 또한 절결 또한 호 형상 곡선을 갖는 잠금 고정 돌기부(186)에 의한 규제를 받아서 제2 수용 공간(SSP)에서 위치 제한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단자(20)는 제2 수용 공간(SSP)에 설치되고, 도 7에 도시하는 도전층(22)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된다.
커넥터(10)의 조합 조작에 대해, 도 4에 도시하는 뚜껑체(16)의 축 돌기부(162)는 도 3에 도시하는 홈체(144)와 결합된 후에, 뚜껑체(16)와 케이스(12)에 의해 각도 θ를 사이에 형성하도록 하고, 예로서 각도 θ의 범위는 예를 들면, 0도 내지 90도 사이에 있어도 좋다. 각도 θ가 0도에 가까워질 때, 고무 심지(14)의 제1 걸림 부재(142)와 뚜껑체(16)의 제2 걸림 부재(164)를 상호 걸어맞추는 것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본 고안의 도 1의 커넥터를 설명하는 구조 모식도인 도 6을 참조한다. 도 6에서, 제1 걸림 부재(142)와 제2 걸림 부재(164)를 걸어맞춘 후, 뚜껑체(16)는 고무 심지(14)에 의해 안정적으로 제한된다. 또한, 뚜껑체(16)와 고무 심지(14)에 의해 협지되는(사이에 낀) 각도 θ가 소정 각도보다 클 때, 제1 걸림 부재(142)와 제2 걸림 부재(164)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플랫 도선(2)을 삽입구(126)를 통해 물러나게 할 수 있고, 예로서 소정 각도의 범위는 예를 들면, 3도 내지 90도 사이에 있어도 좋다.
그 외에, 플랫 도선(2)이 삽입구(126)를 통해 제2 수용 공간(SSP)에 진입한 후에, 제1 탄성 부재(122)는 제1 접지층(24)과 접촉할 수 있고, 제2 탄성 부재(124)는 제2 접지층(26)과 접촉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제1 접지층(24)을 제1 탄성 부재(122)와 케이스 접지(128)를 거쳐서 회로판(4)의 접지선에 접속시키고, 제2 접지층(26)을 제2 탄성 부재(124)와 케이스 접지(128)를 거쳐서 회로판(4)의 접지선에 접속시킨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고무 심지(14)는 제1 제지 구조(1410)(도 3을 참조)을 더 포함하고, 케이스(12)는 제2 제지 구조(1210)(도 2(a)를 참조)를 더 포함하고, 제1 제지 구조(1410)가 제2 제지 구조(1210)와 결합되는 것에 의해, 고무 심지(14)는 케이스(12)의 제1 수용 공간(FSP)에 고정되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제지 구조(1410)는 오목홈이고, 제2 제지 구조(1210)는 탄성 부재이다. 탄성 부재가 오목홈에 걸리는 것에 의해, 고무 심지(14)는 케이스(12)의 제1 수용 공간(FSP)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커넥터와 플랫 도선의 접속을 도시하는 상면도인 도 7을 함께 참조한다. 도 7에서, 단면선 A-A, B-B 및 C-C가 도시되어 있고, 이들에 대해서는 각각 도 8(a), 도 8(b) 및와 도 8(c)를 참조할 수 있다.
도 8(a)는 본 고안의 도 7의 커넥터와 플랫 도선의 접속을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8(a)에서, 케이스(12)의 케이스 접지(128)를 회로판(4)의 접지선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금속 재질의 케이스(12) 전체를 접지시키고, 또한, 플랫 도선(2)이 고무 심지(14)에 꽂아넣어진(삽입된) 후, 플랫 도선(2)의 제1 접지층(24)은 제1 탄성 부재(122)와 접촉하고, 플랫 도선(2)의 제2 접지층(26)은 제2 탄성 부재(124)와 접촉함으로써, 플랫 도선(2)의 제1 접지층(24)과 제2 접지층(26)을, 케이스(12)의 케이스 접지(128)를 거쳐서 회로판(4)의 접지선에 접속시킨다.
도 8(b)는 본 고안의 도 7의 커넥터와 플랫 도선의 접속을 도시하는 B-B 단면도이다. 도 8(b)에서, 플랫 도선(2)이 고무 심지(14)에 삽입한 후에, 제1 탄성 부재(122)는 플랫 도선(2)의 제1 접지층(24)과 접촉하고, 제1 탄성 부재(12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플랫 도선(2)을 하향으로 제2 수용 공간(SSP)에 부딪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탄성 부재(122)를 플랫 도선(2)의 제1 접지층(24)에 안정되게 접속할 수도 있다.
도 8(c)는 본 고안의 도 7의 커넥터와 플랫 도선의 접속을 도시하는 C-C 단면도이다. 도 8(c)에서, 플랫 도선(2)이 고무 심지(14)에 삽입된 후에, 제2 탄성 부재(124)는 플랫 도선(2)의 제2 접지층(26)과 접촉하고, 제2 탄성 부재(124)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플랫 도선(2)을 상향으로 제2 수용 공간(SSP)에 부딪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탄성 부재(124)를 플랫 도선(2)의 제2 접지층(26)에 안정되게 접속할 수도 있다.
2 : 플랫 도선 4 : 회로판
22 : 도전층 24 : 제1 접지층
26 : 제2 접지층 28 : 절연층
10 :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12 : 케이스 122 : 제1 탄성 부재
124 : 제2 탄성 부재 126 : 삽입구
128 : 케이스 접지 1210 : 제2 제지 구조
14 : 고무 심지 142 : 제1 걸림 부재
144 : 홈체 146 : 제1 절결
148 : 제2 절결 1410 : 제1 제지 구조
16 : 뚜껑체 162 : 축 돌기부
164 : 제2 걸림 부재 166 : 개구
18 : 잠금 고정 조립 부재 182 : 고정부
184 : 탄성 암 186 : 잠금 고정 돌기부
20 : 단자 FSP : 제1 수용 공간
SSP : 제2 수용 공간 θ : 각도

Claims (5)

  1. 플랫 도선과 회로판을 접속하기 위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로서,
    상기 플랫 도선은 적어도 제1 접지층과, 제2 접지층과, 상기 제1 접지층과 상기 제2 접지층 사이에 설치되는 도전층과, 상기 도전층, 상기 제1 접지층 및 상기 제2 접지층을 감싸덮는 절연층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플랫 도선의 앞가장자리에 선두단이 형성되고, 상기 선두단의 양측에 절결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선두단으로부터 상기 제1 접지층과 상기 제2 접지층이 노출되어 있고,
    상기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는 케이스와, 고무 심지와, 뚜껑체와, 잠금 고정 조립 부재와,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제1 수용 공간과,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와, 삽입구와, 케이스 접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 공간은 상기 삽입구에 연통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접지층과 접촉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접지층과 접촉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케이스 접지는 상기 회로판의 접지선과 접속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고무 심지에는 상기 삽입구에 연통해서 상기 선두단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2 수용 공간과, 제1 걸림(係止) 부재와, 홈체와, 상기 제2 탄성 부재에 대응해서 설치되는 제1 절결과, 상기 제1 걸림 부재에 근접해 있는 제2 절결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체는 상기 홈체에 대응해서 설치되는 축 돌기부와, 개구와, 상기 제1 걸림 부재에 대응해서 설치되는 제2 걸림 부재를 가지고,
    상기 뚜껑체에 설치되는 상기 잠금 고정 조립 부재는 고정부와, 탄성 암과, 잠금 고정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개구에 대응해서 설치되는 상기 탄성 암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잠금 고정 돌기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 고정 돌기부는 상기 선두단의 상기 절결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뚜껑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단자는 상기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축 돌기부는 상기 홈체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뚜껑체와 상기 고무 심지에 의해 각도 θ를 사이에 형성하게 하고, 상기 각도 θ가 0도에 가까워질 때, 상기 제1 걸림 부재와 상기 제2 걸림 부재를 상호 걸어맞추고, 상기 플랫 도선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진입한 후에,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접지층과 접촉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2 접지층과 접촉하기 위해 제공됨으로써, 상기 제1 접지층을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케이스 접지를 거쳐서 상기 회로판의 상기 접지선에 접속시키고, 상기 제2 접지층을 상기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케이스 접지를 거쳐서 상기 회로판의 상기 접지선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도선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진입한 후에, 상기 선두단은 상기 잠금 고정 조립 부재에 또한 작용함으로써, 상기 잠금 고정 돌기부가 상기 절결에 걸릴 때까지 상기 탄성 암에 변형을 발생시키고, 또한, 상기 탄성 암을 위치 복귀시킨 후에, 상기 잠금 고정 돌기부는 상기 플랫 도선을 상기 제2 수용 공간에 잠금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와 상기 고무 심지에 의해 협지되는 상기 각도 θ가 소정 각도보다 클 때, 상기 제1 걸림 부재와 상기 제2 걸림 부재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플랫 도선을 상기 삽입구를 통해 물러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체와 상기 축 돌기부의 적어도 한쪽으로 간섭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간섭 구조에 의해 상기 각도 θ의 회동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자유단과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자유단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제2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하고, 상기 고무 심지는 제1 제지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제2 제지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지 구조가 상기 제2 제지 구조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무 심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1 수용 공간에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KR2020210000213U 2020-08-17 2021-01-21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KR20049678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9210733U TWM605670U (zh) 2020-08-17 2020-08-17 具有自動鎖扣結構的高頻連接器
TW109210733 2020-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457U true KR20220000457U (ko) 2022-02-24
KR200496784Y1 KR200496784Y1 (ko) 2023-04-25

Family

ID=7467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213U KR200496784Y1 (ko) 2020-08-17 2021-01-21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31202U (ko)
KR (1) KR200496784Y1 (ko)
CN (1) CN213425334U (ko)
TW (1) TWM60567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8747B (zh) * 2021-03-03 2022-06-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超薄型易鎖易解鎖連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50B1 (ko) * 2009-12-04 2011-04-04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전기 커넥터
JP2011198687A (ja) * 2010-03-23 2011-10-06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ラットケーブル
JP2019067717A (ja) * 2017-10-05 2019-04-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平型導体用コネクタ
JP3226011U (ja) * 2019-07-03 2020-04-23 禾昌興業股▲フン▼有限公司P−Two Industries Inc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650B1 (ko) * 2009-12-04 2011-04-04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전기 커넥터
JP2011198687A (ja) * 2010-03-23 2011-10-06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ラットケーブル
JP2019067717A (ja) * 2017-10-05 2019-04-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平型導体用コネクタ
JP3226011U (ja) * 2019-07-03 2020-04-23 禾昌興業股▲フン▼有限公司P−Two Industries Inc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605670U (zh) 2020-12-21
KR200496784Y1 (ko) 2023-04-25
JP3231202U (ja) 2021-03-18
CN213425334U (zh)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8342B2 (ja) シールド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そのコネクタ本体及びこの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0326492B1 (ko)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KR200497323Y1 (ko) 누름식 잠금 해제 구조를 구비하는 간편 잠금 커넥터
EP3751672A1 (en) Compact coaxial cable connector for transmitting super high frequency signals
KR101958096B1 (ko) 클램핑력을 인가하고 임피던스 불연속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두 세트의 클램핑 판을 구비하는 케이블 커넥터
TWI818365B (zh) 連接器組件
EP3783752A1 (en) Connector, circuit board,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210002848U (ko)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CN113348595B (zh) 多极连接器组件
US7210943B1 (en) Connector
KR100752082B1 (ko) 동축 커넥터,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및 커넥터
KR20220000457U (ko)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고주파 커넥터
US7134913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mating guide surfaces
US10978832B1 (en) Protection member to protect resilient arms of a contact assembly from stubbing
KR20210000899U (ko) 박형화 커넥터
JPH11176499A (ja) プリント回路基板と平型柔軟ケーブルの接続用 電気コネクタ
US11769966B2 (en) Anti-attenuation apparatus and plug
US20210399467A1 (en) Lock structure of connector assembly
JP4172696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22092636A (ja) コネクタ
TWI753537B (zh) 具有自動鎖扣結構的高頻連接器
JP6847016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4139797A (ja) メス型シールドコネクタ
JPS6244457Y2 (ko)
JP2007234491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