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527Y1 -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 - Google Patents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527Y1
KR200495527Y1 KR2020220000355U KR20220000355U KR200495527Y1 KR 200495527 Y1 KR200495527 Y1 KR 200495527Y1 KR 2020220000355 U KR2020220000355 U KR 2020220000355U KR 20220000355 U KR20220000355 U KR 20220000355U KR 200495527 Y1 KR200495527 Y1 KR 200495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ip
stone
present
t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성
Original Assignee
최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성 filed Critical 최태성
Priority to KR2020220000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5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5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12Saw-blades or saw-disc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tone
    • B28D1/121Circular saw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에 관한 것으로 두 종류의 두께가 다른 다이아몬드 팁이 부착된 회전톱을 사용하여 석재를 가공 및 절삭하게 되면 다이아몬드 팁의 제조시 원가절감과 양질의 가공된 석재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A rotating saw for stone processing and cutting}
본 고안은 석재 가공 및 절삭용으로 사용되는 회전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다이아몬드 톱날을 교차 용접한 회전톱으로서 석재 가공의 효율 및 원가 절감에 효과가 좋은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 가공 또는 절삭용 톱은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원주면의 둘레에 톱날을 형성하게 되는데 회전톱 본체의 재질과 톱날의 재질을 달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연질의 회전톱 본체에 내마모성이 우수한 다이아몬드 분말을 포함하는 톱날 또는 절삭팁을 용접 및 부착하여 회전톱이 제조된다.
한편, 종래의 절삭팁이 부착된 회전톱은 원형 판재로 되는 회전톱 본체의 둘레에 U자형의 다수의 방열홈을 형성하고 다수의 방열홈이 형성되는 사이의 원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절삭팁을 용접하여 회전톱을 형성하게 되며, 회전방향에 위치하는 절삭팁의 모서리부가 절삭날이 되는 것이다.
상기 절삭팁은 다이아몬드 분말과 금속 분말을 혼합하여 소정의 가공절차를 거쳐 만들어지며, 여기서 금속분말은 절삭팁 내에서 다이아몬드 분말을 붙잡아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다이아몬드 함유 절삭팁을 고안하여 석재를 절삭한 최초 시점부터 현재까지 수십 년 동안 변함없이 사용한 유일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절삭팁을 사용하여 석재를 절삭하는 경우, 규격이 동일한 직육면체의 절삭팁을 사용함으로 인해 가공 또는 절삭 중 절삭팁 옆면과 피삭체인 석재의 마찰되는 힘으로 인해 절삭 공구에 과부하가 발생하게 되고, 석재에 수직 벌어짐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양질의 건축재 생산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등록실용신안 제20-0326632호에서는 절삭 성능이저하되지 않는 석재절단용 회전팁이 개시되어 있으나, 절삭팁의 형상이 복잡하여 제조가 쉽지 않고, 절삭팁 옆면과 석재와의 마찰로 인한 문제 해결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가 없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6632호(2003.09.17.)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다이아몬드 절삭팁으로 석재를 절삭 시에 동일 규격의 절삭팁을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절삭 공구에 대한 과부하 발생과 수직 벌어짐으로 인한 양질의 건축재 또는 제품의 생산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은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다이아몬드 팁이 교대로 원형 본체의 쏘우(saw)에 용접되어 부착되는 회전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종류의 팁은 둘 사이의 두께 차이가 0.7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종류의 팁은 두께가 두꺼운 팁과 두께가 얇은 팁의 비율이 1:1 이상의 비율로 두꺼운 팁 보다 얇은 팁이 더 많이 용접되어 부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회전톱에 따르면, 석재와 절삭팁 간의 마찰 감소로 인해 사용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되고, 절삭팁 제조에 있어 원자재 사용량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수직으로 양호하게 절삭되어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절삭팁을 옆에서 바라본 사진이다.
본 고안은 아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아래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인 “다이아몬드 팁”은 다이아몬드를 함유하며 기타 필요한 성분이 혼합된 팁을 의미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두께가 다른 절삭팁을 옆에서 바라 본 사진이다.
본 고안의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은 원형의 본체에 형성된 같은 규격의 소우(saw)에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다이아몬드를 함유한 특수팁 또는 절삭팁을 용접하여 만들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회전톱(10)의 본체(11)는 통상적으로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중앙에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는 원형 홈이 있다. 상기 회전톱(10)의 본체(11)에 부착되는 특수팁(20, 30)은 다이아몬드와 금속분말 및 첨가제를 혼합 및 소결하여 제조된다.
이때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특수팁의 성분비는 둘 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각각의 팁의 두께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두 종류의 특수팁의 두께 차이(D1-D2)는 0.7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두꺼운 특수팁이 얇은 특수팁보다 두께가 0.7mm 이상 커야 한다.
이때 D1은 두께가 두꺼운 특수팁의 두께이며 D2는 두께가 얇은 특수팁의 두께로서, 사용되는 회전톱의 크기에 따라 부착된 두 종류의 특수팁의 최소 두께는 달라질 수 있으나 두께 차이는 0.7mm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이와 같은 두 종류의 특수팁이 부착된 회전톱을 이용하여 석재를 가공 또는 절삭하게 되면, 두께가 얇은 쪽(D2)의 특수팁의 옆면과 석재 간의 마찰을 줄이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 때, 양 팁의 두께 차이가 0.7mm 보다 작은 경우에는 마찰을 줄이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적게 발휘된다.
석재 가공 중에 발생하는 상기 마찰로 인해 절삭 공구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절삭 공구의 수명이 단축되며, 또한 수직 벌어짐 현상이 발생함으로 인해 양질의 석판재를 얻기가 어렵고, 때에 따라서는 추가적인 연마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회전톱을 사용하게 되면 특수팁 또는 절삭팁과 석재간의 마찰 감소로 인해 종래의 회전톱이 갖고 있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두께가 얇은 절삭팁 옆면과 석재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발산하거나, 절삭된 석재분말이 빠져나오기 쉬운 추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두께가 얇은 쪽의 특수팁(30)을 제조하는 경우, 두꺼운 두께의 특수팁(20)을 제조할 때와는 달리 특수팁의 성분비를 달리함으로써 다이아몬드 팁의 특성과 관련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상기 두 종류의 특수팁은 일반적인 용접방법에 의하여 소우(4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접착제의 추가 사용 등 그 방법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처럼 상기 두 종류의 특수팁이 부착된 회전톱(10)을 이용하여 석재를 가공 및 절삭한 결과, 절삭성이나 수명에 있어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특수팁을 도 1 또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교대로, 즉, 1:1의 비율로 용접하여 회전톱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두께가 두꺼운 팁(20)과 두께가 얇은 팁(30)의 비율을 1:1 이상의 비율로 교차 용접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두께가 두꺼운 팁(20) 보다 두께가 얇은 팁(30)의 숫자를 더 많이 부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2, 1:3, 1:4 등의 비율로 용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톱의 절삭 효율 증대 및 원가절감에 더 효과가 좋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회전톱
11 : 본체
20 : 두께가 두꺼운 절삭팁
30 : 두께가 얇은 절삭팁
40 : 쏘우(saw)

Claims (3)

  1.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에 있어서,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다이아몬드 팁이 교대로 원형 본체의 쏘우(saw)에 용접되어 부착되고,
    상기 두 종류의 팁은 둘 사이의 두께 차이가 0.7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종류의 팁은 두께가 두꺼운 팁과 얇은 팁의 부착 비율이 1:1 이상으로 두꺼운 팁 보다 얇은 팁이 더 많이 용접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
KR2020220000355U 2022-02-04 2022-02-04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 KR200495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55U KR200495527Y1 (ko) 2022-02-04 2022-02-04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355U KR200495527Y1 (ko) 2022-02-04 2022-02-04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527Y1 true KR200495527Y1 (ko) 2022-06-14

Family

ID=8197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355U KR200495527Y1 (ko) 2022-02-04 2022-02-04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5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642B1 (ko) 2022-10-27 2023-02-13 조동일 절삭용 톱 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632Y1 (ko) 2003-06-18 2003-09-17 주식회사 삼아다이아톱 석재절단용 회전톱의 절삭팁
KR20100012443A (ko) * 2008-07-29 2010-02-08 오태근 비철금속절단용 원형커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632Y1 (ko) 2003-06-18 2003-09-17 주식회사 삼아다이아톱 석재절단용 회전톱의 절삭팁
KR20100012443A (ko) * 2008-07-29 2010-02-08 오태근 비철금속절단용 원형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642B1 (ko) 2022-10-27 2023-02-13 조동일 절삭용 톱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5527Y1 (ko) 석재 가공 및 절삭용 회전톱
JP6325182B2 (ja) 切断用ブレードの製造方法、及び切断用ブレード
JP2012086353A (ja) 回転工具
JP6744988B2 (ja) 電動工具用回転鋸
JP6641590B2 (ja) 切断用ブレードの製造方法
CN213351061U (zh) 一种具备切割面抛光的多片式复合锯片
KR20150096542A (ko) 다결정 다이아몬드 컴팩트 및 그 제조방법
CN210525162U (zh) 切割锯
JP6045960B2 (ja) バンドソー
JP5397251B2 (ja) チップソー及びそれを備えた電動工具
CN110026610A (zh) 轻型减薄复合磨料钎焊锯片及其生产方法
CN210498594U (zh) 一种不锈钢切割专用锯片
JP2004188506A (ja) カッター刃
JP6132748B2 (ja) 切断用ブレード
CN213919011U (zh) 一种金刚石开槽片
JPH11309711A (ja) ダイヤモンドソーブレード及びそれに用いるダイヤモンド砥石の製造方法
CN214136736U (zh) 一种全面钎焊金刚石锯片
JP2011093092A (ja) 金属切断用丸鋸
JP7450864B1 (ja) 側刃付きメタルソーと側刃付きメタルソーの製造方法及び加工方法
CN217729226U (zh) 一种易于散热的金刚石锯片
JP6410241B2 (ja) 切断用ブレード
JPS5810461A (ja) 石材等切断用ダイヤモンドソ−
JP5676324B2 (ja) 樹脂ボンド砥石
JPH0623375Y2 (ja) エンドミル
JP2008012625A (ja) ソー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