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296Y1 -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296Y1
KR200495296Y1 KR2020220000400U KR20220000400U KR200495296Y1 KR 200495296 Y1 KR200495296 Y1 KR 200495296Y1 KR 2020220000400 U KR2020220000400 U KR 2020220000400U KR 20220000400 U KR20220000400 U KR 20220000400U KR 200495296 Y1 KR200495296 Y1 KR 200495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fixed
axis direction
walking
installa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철
정은자
Original Assignee
황인철
정은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철, 정은자 filed Critical 황인철
Priority to KR2020220000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2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2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가 제공된다.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보조장치, 및 이동보조장치에 고정되어 보행보조부재가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거치대는, 이동보조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부착부재와, 부착부재에 고정되는 설치안내부재와,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단부에 구비되어 보행보조부재의 하단부를 받쳐 지지하는 하부 받침부, 및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방향 상단부에 구비되어 보행보조부재의 상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걸려 고정되는 상부 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A mobile assistant equipped with a cradle}
본 고안은 이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휠체어, 전동휠체어 또는 전동스쿠터와 같은 이동보조장치에 목발 또는 지팡이와 같은 보행보조부재를 견고하게 거치하고, 이동보조장치의 이동에 따른 보행보호부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 전동휠체어 또는 전동스쿠터와 같은 이동보조장치는 몸이 불편한 장애우나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등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이다. 특히, 질병 등으로 인해 긴 거리의 보행이 어렵고 짧은 거리에서의 보행만 가능하거나, 병원에서 수술이나 시술 때문에 일시적으로 보행이 금지된 경우에 휠체어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부분적인 보행이 가능하지만 휠체어와 같은 이동보조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보행보조부재인 목발 또는 지팡이를 필요로 하나, 기존 이동보조장치에는 목발 또는 지팡이와 같은 보행보조부재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수단이 별도로 설치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9602호에 목발 및 지팡이 거치가 가능한 발받이를 구비한 휠체어가 등록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한 쌍의 발받이를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받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발받이에는 목발 또는 지팡이가 탄력적으로 삽탈 가능한 고정수단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휠체어의 발받이에 목발 또는 지팡이의 하단부만 결합되므로 상단부는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휠체어 사용자가 목발 또는 지팡이의 하단부가 결합된 목발 또는 지팡이의 상단부를 잡아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휠체어의 이동에 따라 목발 또는 지팡이가 유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9602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휠체어, 전동휠체어 또는 전동스쿠터와 같은 이동보조장치에 목발 또는 지팡이와 같은 보행보조부재를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동보조장치의 이동에 따른 보행보호부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보조장치, 및 상기 이동보조장치에 고정되어 보행보조부재가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이동보조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부착부재와, 상기 부착부재에 고정되는 설치안내부재와, 상기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단부에 구비되어 보행보조부재의 하단부를 받쳐 지지하는 하부 받침부, 및 상기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방향 상단부에 구비되어 보행보조부재의 상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걸려 고정되는 상부 걸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재는, 'ㄱ'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받침부는, 상기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단부에 고정되어 보행보조부재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보행보조부재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림부는, 상기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방향 상단부에서 X축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방향 상단부에서 Y축 방향이면서 Z축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재와 제2 걸림부재는 상기 보행보조부재의 직경을 수용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부재는, 상기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방향 상단부에서 X축 방향으로 반원형으로 만곡되게 형성하고, 이를 Z축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다시 X축 반대방향으로 반원형으로 만곡되게 형성함으로써 적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림부는, 상기 제1 걸림부재와 제2 걸림부재에 구비되어 보행보조부재와의 마찰을 방지하고, 상기 보행보조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의 발생을 차단하는 소음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림부는, 일측이 상기 제1 걸림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 걸림부재에 돌출된 돌기에 묶어 고정되어 보행보조부재를 탄력있게 지지하는 탄력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에 의하면, 휠체어, 전동휠체어 또는 전동스쿠터와 같은 이동보조장치에 목발 또는 지팡이와 같은 보행보조부재를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이동보조장치의 이동에 따른 보행보호부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동보조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의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의 거치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의 거치대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의 상부 걸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의 상부 걸림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가 이동보조장치의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보행보조부재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의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의 거치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의 거치대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100)는, 이동보조장치(110), 거치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보조장치(110)는 몸이 불편한 장애우나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등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보조장치(110)는 휠체어, 전동휠체어 또는 전동스쿠터를 포함하고, 의자를 프레임(111)에 고정하는 통상의 장치일 수 있다.
거치대(120)는 이동보조장치(110)의 프레임(111)에 고정되어 보행보조부재(200)가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보행보조부재(200)는 몸이 불편한 장애우나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도구로, 목발 또는 지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거치대(120)는 부착부재(130), 설치안내부재(140), 하부 받침부(150), 상부 걸림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재(130)는 이동보조장치(110)의 프레임(111)에 고정될 수 있다. 부착부재(130)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착부재(130)는 이동보조장치(110)의 프레임(111)에 밀착되는 부착편(131)과, 부착편(131)의 측면에 직교되게 돌출된 간격유지편(13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착편(131)은 설치안내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치안내공간은 부착편(131)에 관통된 통공 또는 절단되어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설치안내공간은 부착편(131)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요입된 수평공간과, 수평공간의 단부로부터 상부로 요입된 수직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안내공간은 부착편(131)의 측면 일측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안내공간을 통해 고정부재가 이동보조장치(110)의 프레임(111)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부재는 부착부재(130)를 프레임(111)에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볼트 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착부재(130)는 이동보조장치(110)의 프레임(111)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간격유지편(132)에 이동보조장치(110)와 하기에서 설명하는 하부 받침부(150) 및 상부 걸림부(16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므로 하부 받침부(150)에 안착되면서 상부 걸림부(160)에 걸리는 보행보조부재(200)의 손잡이가 이동보조장치(110)에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설치안내부재(140)는 부착부재(130)에 고정되는 봉일 수 있다. 설치안내부재(140)는 부착부재(130)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설치안내부재(140)는 부착부재(130)의 간격유지편(132)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안내부재(140)는 간격유지편(132)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부 받침부(150)는 설치안내부재(140)의 Z축 반대방향 하단부에 구비되어 보행보조부재(200)의 하단부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받침부(150)는 수용부재(151), 받침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재(151)는 설치안내부재(140)의 Z축 반대방향 하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부재(151)는 내부가 관통되어 보행보조부재(200)의 Z축 반대방향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용부재(151)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행보조부재(200)의 하단부가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받침부재(152)는 수용부재(151)의 Z축 반대방향 하단부에 고정되어 보행보조부재(200)의 하단부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52)는 수용부재(151)의 Z축 반대방향 하단부를 감싸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52)는 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공은 받침부재(152) 내부에 관통형성되어 Z축 반대방향으로 유입된 물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다.
상부 걸림부(160)는 설치안내부재(140)의 Z축 방향 상단부에 구비되어 보행보조부재(200)의 상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걸림부(160)는 제1 걸림부재(161), 제2 걸림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161)는 설치안내부재(140)의 Z축 방향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걸림부재(161)는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걸림부재(161)는 설치안내부재(140)의 Z축 방향 상단부에서 X축 방향으로 반원형으로 만곡되게 형성하고, 이를 Z축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다시 X축 반대방향으로 반원형으로 만곡되게 형성함으로써 적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162)는 설치안내부재(140)의 Z축 방향 상단부에서 Z축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걸림부재(162)는 설치안내부재(140)의 Z축 방향 상단부에서 Y축과 X축 방향이면서 Z축 방향으로 반원형의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걸림부재(162)는 제1 걸림부재(161)의 단부에서 Y축 방향이면서 Z축 방향으로 반원형의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걸림부재(161)와 제2 걸림부재(162)는 보행보조부재(200)의 직경을 수용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안내부재(140)와 상부 걸림부(16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걸림부(160)는 소음방지부재(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음방지부재(163)는 제1 걸림부재(161) 및 제2 걸림부재(162)에 구비되어 보행보조부재(200)와 걸림부재의 마찰을 차단함으로써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음방지부재(163)는 보행보조부재(2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음방지부재(163)는 걸림부재에 코팅 및 결합되거나 감겨진 고무재 또는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걸림부(160)는 탄력지지부재(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력지지부재(164)는 고무밴드로 구성되고, 일측은 제1 걸림부재(161)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 걸림부재(162)에 돌출된 돌기(164a)에 묶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탄력지지부재(164)의 일측은 제1 걸림부재(161)에 묶어 고정되거나 설치안내부재(140)에 밀착되도록 제1 걸림부재(161)에 걸려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탄력지지부재(164)와 제2 걸림부재(162) 사이에 일정 간격이 유지됨은 물론 상부 걸림부(160)에 거치되는 보행보조부재(200)를 탄력지지부재(164)의 자체 탄력으로 밀어 제1 걸림부재(161) 내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보행보조부재(2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100)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이동보조장치(110)의 프레임(111)에 부착부재(130)의 부착편(131)을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 또는 용접하여 거치대(120)를 고정하고, 상기 거치대(120)에 보행보조부재(200)를 거치할 수 있다.
이때,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보행보조부재(200)는 비스듬히 경사지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보행보조부재(200)의 상단부를 제1 걸림부재(161)와 제2 걸림부재(162) 사이로 결합한 후, 제1 걸림부재(161)와 제2 걸림부재(162)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보행보조부재(200)를 Z축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보행보조부재(200)의 Z축 반대방향 하단부는 하부 받침부(150)의 수용부재(151)에 결합되면서 받침부재(152)에 안착됨으로써 보행보조부재(200)의 거치가 완료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보행보조부재(200)가 거치대(120)에 거치되면, 보행보조부재(200) 사용자는 이동보조장치(110)의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이동보조장치(110)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고, 상기의 과정을 역순하여 보행보조부재(200)를 거치대(120)에서 이탈시킨 후, 보행보조부재(2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보조장치(110)의 이동시, 상기 거치대(120)에 거치된 보행보조부재(200)는 제1 걸림부재(161) 및 제2 걸림부재(162)에 구비된 소음방지부재(163)에 부딪히면서 보행보조부재(2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소음방지부재(163)에서 흡수하므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걸림부재(161)와 제2 걸림부재(162) 내부에 위치한 보행보조부재(200)는 탄력지지부재(164)의 탄력으로 제1 걸림부재(161)와 제2 걸림부재(162)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동보조장치(110)의 이동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110: 이동보조장치
111: 프레임
120: 거치대
130: 부착부재
131: 부착편
132: 간격유지편
140: 설치안내부재
150: 하부 받침부
151: 수용부재
152: 받침부재
160: 상부 걸림부
161: 제1 걸림부재
162: 제2 걸림부재
163: 소음방지부재
164: 탄력지지부재
200: 보행보조부재

Claims (8)

  1.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동보조장치; 및
    상기 이동보조장치에 고정되어 보행보조부재가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이동보조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부착부재;
    상기 부착부재에 고정되는 설치안내부재;
    상기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단부에 구비되어 보행보조부재의 하단부를 받쳐 지지하는 하부 받침부; 및
    상기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방향 상단부에 구비되어 보행보조부재의 상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걸려 고정되는 상부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걸림부는,
    상기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방향 상단부에서 X축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방향 상단부에서 Y축 방향이면서 Z축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는,
    'ㄱ'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부는,
    상기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반대방향 하단부에 고정되어 보행보조부재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보행보조부재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재와 제2 걸림부재는 상기 보행보조부재의 직경을 수용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재는,
    상기 설치안내부재의 Z축 방향 상단부에서 X축 방향으로 반원형으로 만곡되게 형성하고, 이를 Z축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다시 X축 반대방향으로 반원형으로 만곡되게 형성함으로써 적층되게 형성하는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림부는,
    상기 제1 걸림부재와 제2 걸림부재에 구비되어 보행보조부재와의 마찰을 방지하고, 상기 보행보조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의 발생을 차단하는 소음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림부는,
    일측이 상기 제1 걸림부재에 고정되고, 타측은 제2 걸림부재에 돌출된 돌기에 묶어 고정되어 보행보조부재를 탄력있게 지지하는 탄력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KR2020220000400U 2022-02-09 2022-02-09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KR200495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400U KR200495296Y1 (ko) 2022-02-09 2022-02-09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400U KR200495296Y1 (ko) 2022-02-09 2022-02-09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296Y1 true KR200495296Y1 (ko) 2022-04-19

Family

ID=8138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400U KR200495296Y1 (ko) 2022-02-09 2022-02-09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296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2315A (ja) * 1994-10-14 1996-05-07 Suzuki Motor Corp 車いすの杖保持装置
JP3102745U (ja) * 2004-01-09 2004-07-15 伸哉 森瀬 車椅子へのステッキの保持装置
JP3132749U (ja) * 2007-03-28 2007-06-21 満 黒木 杖ホルダー
KR101339602B1 (ko) 2012-11-05 2013-12-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발 및 지팡이 거치가 가능한 발받이를 구비한 휠체어
JP2014050633A (ja) * 2012-09-10 2014-03-20 Tomoki Kakimoto 車椅子用杖保持装置
KR102182201B1 (ko) * 2019-06-17 2020-11-2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발 거치수단이 구비된 휠체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2315A (ja) * 1994-10-14 1996-05-07 Suzuki Motor Corp 車いすの杖保持装置
JP3102745U (ja) * 2004-01-09 2004-07-15 伸哉 森瀬 車椅子へのステッキの保持装置
JP3132749U (ja) * 2007-03-28 2007-06-21 満 黒木 杖ホルダー
JP2014050633A (ja) * 2012-09-10 2014-03-20 Tomoki Kakimoto 車椅子用杖保持装置
KR101339602B1 (ko) 2012-11-05 2013-12-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발 및 지팡이 거치가 가능한 발받이를 구비한 휠체어
KR102182201B1 (ko) * 2019-06-17 2020-11-2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목발 거치수단이 구비된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1142B1 (en) Seated walker
US20160184167A1 (en) Multiple use ambulatory device
KR200495296Y1 (ko) 거치대가 구비된 이동보조장치
US5445174A (en) Rising brace and method for an invalid walker
KR101249964B1 (ko) 목발 및 목발용 완충부재
KR101278720B1 (ko)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KR101146177B1 (ko) 장애인 차량의 로워 플로어 체결구조
JP6186034B2 (ja) 連結治具
KR102182201B1 (ko) 목발 거치수단이 구비된 휠체어
US7396031B2 (en) Mobility device
KR101339602B1 (ko) 목발 및 지팡이 거치가 가능한 발받이를 구비한 휠체어
JP2005007184A (ja) 改善した脚保持手段を備えた車椅子
KR101197738B1 (ko) 설치가 용이한 좌변기용 각도조절 시트장치
KR102658601B1 (ko) 다기능 보행보조기
US20210085546A1 (en) SympliSafer Wheelchair Footrest Cover
KR101994461B1 (ko) 커버 간편 장착 휠체어
JP2000116958A (ja) 折り畳み式ブランコ
CN211157124U (zh) 一种老年医学用辅助行走装置
KR100690336B1 (ko) 휠체어
JP2005124740A (ja) 歩行器
CN215607416U (zh) 医用助行装置
CN215875362U (zh) 一体式配药机位移平台
CN220666738U (zh) 一种舒适耐用的医用扶手
KR102580738B1 (ko)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한 화장실 안전 손잡이 장치
KR101130772B1 (ko) 의자형 보행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