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772B1 - 의자형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의자형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772B1
KR101130772B1 KR1020100019507A KR20100019507A KR101130772B1 KR 101130772 B1 KR101130772 B1 KR 101130772B1 KR 1020100019507 A KR1020100019507 A KR 1020100019507A KR 20100019507 A KR20100019507 A KR 20100019507A KR 101130772 B1 KR101130772 B1 KR 10113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ail
chair
guid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483A (ko
Inventor
권오삼
Original Assignee
권오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삼 filed Critical 권오삼
Priority to KR102010001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77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형상의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중간부위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 상기 지지체의 하측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바퀴; 상기 지지체의 상측부위에 구비되어 이용자나 보호자가 손으로 짚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를 밀거나 당기도록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시트 일측의 지지체가 산책로에 구비된 안내용 레일에 결착 지지되도록 하여 레일을 따라 지지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의자형 보행보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의자형 보행보조기{A chair typed walking support equipment}
본 발명은 의자형 보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약자나 환자 등이 사용하는 의자형 보행보조기가 공원 등의 산책로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용 레일에 결착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는 의자형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보조기는 다리가 자유롭지 못하거나 혼자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가 손잡이 등을 손으로 짚은 상태에서 바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체를 밀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수단이다.
상기와 같은 보행보조기는 각종 안전장치 및 부수적인 기구들이 부착되어 있어 일반 대중들에게는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쉽게 이용하기가 힘든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병원에 다녀야할 정도로 질병이 있는 것도 아니며 다만 거동에 불편을 느끼는 노약자의 경우에는 저렴한 비용으로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되는 부속들만을 부착한 보행보조기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 주로 개시된 바 있는 보행보조기는, 의자형상을 가지는 지지체에 이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체의 하단부에는 회전용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체의 상단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보행보조기는 환자나 노약자가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보호자가 상기 손잡이를 통하여 상기 지지체를 밀거나 또는, 환자나 노약자가 직접 상기 손잡이를 짚은 상태에서 지지체를 앞으로 밀어 바퀴의 회전을 통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행보조기는, 단순히 의자형상의 지지체에 이용자의 착석을 위한 시트와 이동을 위한 회전용 바퀴만이 구비되기 때문에, 공원 등의 산책로와 같이 구불구불한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고자 할 때는 방향전환이 용이하지 않아 해당 이동로를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산책로에 언덕이나 비탈이 있을 경우 거동이 불편한 이용자가 상기 보행보조기의 이동 방향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약자나 환자 등이 사용하는 의자형 보행보조기가 공원의 산책로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용 레일에 결착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의자형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형상의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의 중간부위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 상기 지지체의 하측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바퀴; 상기 지지체의 상측부위에 구비되어 이용자나 보호자가 손으로 짚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를 밀거나 당기도록 하는 손잡이; 및 상기 시트 일측의 지지체가 산책로에 구비된 안내용 레일에 결착 지지되도록 하여 레일을 따라 지지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의자형 보행보조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바퀴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360도 방향 회전이 가능한 회전용 캐스터와; 상기 회전용 캐스터들의 일측에 상기 캐스터들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단부는 일측에만 2개의 다리부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레일의 외측 일부분을 제외한 전부위를 감싸는 가이드고리; 상기 가이드고리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체의 이동시 레일을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가이드고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시트 일측의 지지체까지 연장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단부가 끼워지며 상기 시트 일측의 지지체에 설치되는 'T'자 형상의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고리는, 상기 레일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 상기 이동클램프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클램프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절바가 삽입되도록 하는 통공을 가지는 조임구; 및 상기 조임구의 통공 하측에 상기 조임구에 관통된 조절바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조절바의 나사산과의 치합을 통하여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의 내측면이 레일에 결착되거나 결착 해제되도록 하는 조절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조임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시트 일측의 지지체까지 연장되는 연결바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관과 상기 시트 일측의 지지체에 관통되는 관통관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에 삽입된 연결바의 단부가 삽입관과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가 삽입관과 연결바에 형성된 통공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공원의 산책로에 설치된 레일에 의자형 지지체가 가이드부재를 통해 결착 지지된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산책로가 구불구불하거나 언덕이나 비탈을 가지더라도 보행이 불편한 이용자의 보행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유도하여 편리한 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보행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의자형 보행보조기가 안내레일에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의자형 보행보조기가 안내레일에 결착된 상태에서 이용자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의자형 보행보조기를 안내레일에 결착시키는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5는 도 4의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보행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자형 보행보조기가 안내레일에 결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의자형 보행보조기가 안내레일에 결착된 상태에서 이용자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의자형 보행보조기를 안내레일에 결착시키는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보행보조기는, 의자형상의 지지체(110), 상기 지지체(110)의 중간부위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120), 상기 지지체(110)의 하측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110)가 원활히 이동되도록 하는 회전바퀴(130), 이용자의 거동을 보조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지지체(110)의 상측부위에 구비되어 이용자나 보호자가 손으로 짚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110)를 밀거나 당기도록 하는 손잡이(140) 및 상기 시트(120) 일측의 지지체(110)가 산책로에 구비된 안내용 레일(R)에 결착 지지되도록 하여 레일(R)을 따라 지지체(110)가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110)는 지지프레임(111)이 전체적으로 의자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시트(120)는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중간부위에 이용자가 보행 중 착석을 할 수 있도록 쿠션부재(121)가 지지부재(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회전바퀴(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하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360도 방향 회전이 가능한 회전용 캐스터(131)와, 상기 회전용 캐스터(131)들의 일측에 상기 캐스터(131)들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공지의 브레이크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하측단부는 일반적인 의자형상에 대응되도록 4개의 다리부위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일측에만 2개의 다리부위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140)는, 상기 시트(120)로부터 성인의 허리 부위에 대응되는 높이에 이용자나 보호자가 손으로 짚을 수 있도록 'ㄷ'자로 절곡 형성된 유니버셜 디자인의 지지프레임(111)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부위에 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쿠션을 제공하는 쿠션부재(141)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상기 시트(120) 일측의 지지체(110)가 공원이나 산책로에 구비된 안내용 레일(R)에 결착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체(110)가 안전하게 레일(R)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레일(R)의 외측 일부분을 제외한 전부위를 감싸는 가이드고리(151), 상기 가이드고리(15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R)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체(110)의 이동시 레일(R)을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롤러(152), 상기 가이드고리(151)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시트(120) 일측의 지지체(110)까지 연장되는 연결바(153) 및 상기 연결바(153)의 단부가 끼워지며 상기 시트(120) 일측의 지지체(110)에 설치되는 'T'자 형상의 연결구(1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용 레일(R)은 공원 등의 산책로에 잔디밭이나 화단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람들의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펜스 등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자형 보행보조기의 가이드부재(150)에 의해 선택적으로 파지되어 상기 보행보조기가 레일(R)을 따라 이동되도록 다수개의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고리(151)는, 상기 레일(R)의 가이드봉의 외측을 감싸기 위한 것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가이드봉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정클램프(151a)와 이동클램프(151b), 상기 이동클램프(151b)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클램프(151a)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절바(151c)가 삽입되도록 하는 통공을 가지는 조임구(151d) 및 상기 조임구(151d)의 통공 하측에 상기 조임구(151d)에 관통된 조절바(151c)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조절바(151c)의 나사산과의 치합을 통하여 고정클램프(151a)와 이동클램프(151b)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클램프(151a)와 이동클램프(151b)의 내측면이 레일(R)에 결착되거나 결착 해제되도록 하는 조절노브(151e)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클램프(151a)와 이동클램프(151b)는 상기 가이드봉의 단면에 대응되는 내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고리(151)에 의하면, 상기 고정클램프(151a)를 레일(R)의 일측 즉, 하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조절노브(151e)를 통하여 이동클램프(151b)의 조절바(151c)의 조임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이동클램프(151b)가 레일(R)의 타측 즉, 상면에 밀착되는 동작을 통하여 레일(R)에 결착될 수 있고, 반대 동작을 통하여 레일(R)에 결착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152)는, 상기 가이드고리(151)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레일(R)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체(110)의 이동시 레일(R)을 따라 회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클램프(151a)와 이동클램프(151b)의 내측에 레일(R)의 외측과 밀착되는 부위에 위치되어 레일(R)의 외면을 따라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152)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고리(151)가 레일(R)의 외측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체(110)가 이동하게 되는 경우 레일(R)과 지지체(110)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회전바퀴(130)의 이동에 대응되는 속도로 지지체(11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154)는, 상기 조임구(151d)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시트(120) 일측의 지지체(110)까지 연장되는 연결바(153)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관(154a)과 상기 시트(120) 일측의 지지체(110)에 관통되는 관통관(154b)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154a)에 삽입된 연결바(153)의 단부가 삽입관(154a)과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154c)가 삽입관(154a)과 연결바(153)에 형성된 통공(미부호)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154)와 연결바(153)의 결합은 다양한 공지의 방법들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154)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고리(15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바(153)의 단부가 시트(120) 일측의 지지체(11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레일(R)과 지지체(110)의 결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154)는, 상기 가이드고리(151)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복수개가 상기 지지체(110)로부터 상기 레일(R)에 결착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체(110)가 보다 안정적으로 레일(R)에 결착된 상태를 가지면서 레일(R)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50)가 결착되는 레일(R)의 높이와 상기 시트(120)의 일측의 지지체(110)의 높이가 수평하지 않을 경우, 상기 가이드부재(150)를 통한 레일(R)과 지지체(110)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 상기 의자형상의 지지프레임(111) 중 다리부위에 해당되는 지지프레임(111)이 선택적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신장되는 복수개의 신축붐으로 구성되어 상기 신축붐의 신장이나 신축을 통하여 상기 레일(R)의 높이와 시트(120)의 일측의 지지체(110)의 높이를 수평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보행보조기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형 보행보조기는, 공원이나 산책로 등에 설치된 안내용 레일(R)에 결착 지지되어 레일(R)을 따라 의자형 지지체(110)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상기 레일(R)의 외측에 가이드부재(150)의 가이드고리(151)가 결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고리(151)와 레일(R)의 결착은, 가이드고리(151)의 고정클램프(151a)가 레일(R)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조절노브(151e)에 의해 이동클램프(151b)의 조절바(151c)의 조임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이동클램프(151b)가 레일(R)의 타측에 밀착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고리(151)와 레일(R)의 결착시, 상기 고정클램프(151a)와 이동클램프(151b)의 내측에 위치된 가이드롤러(152)는 상기 레일(R)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접촉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후, 상기 가이드고리(151)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시트(120) 일측의 지지체(110)까지 연장되는 연결바(153)가 상기 지지체(110)에 관통관(154b)을 통해 관통된 연결구(154)의 삽입관(154a)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바(153)의 단부가 삽입관(154a)과 고정되도록 고정구(154c)가 삽입관(154a)과 연결바(153)에 형성된 통공(미부호)에 끼워진다.
이후, 상기와 같이 레일(R)에 의자형 지지체(110)가 결착된 상태에서, 이용자나 보호자가 상기 지지체(110)의 상측부에 구비된 손잡이(140)를 밀거나 당기게 되면, 이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지지체(110)의 하측부에 구비된 회전바퀴(130)가 회전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레일(R)에 접촉된 가이드롤러(152)가 레일(R)을 따라 회전 하게 되어 상기 의자형 지지체(110)가 레일(R)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형 보행보조기에 의하면, 공원 등의 산책로로에 설치된 레일에 의자형 지지체가 가이드부재를 통해 결착 지지된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산책로가 구불구불하거나 언덕이나 비탈을 가지더라도 보행이 불편한 이용자의 보행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유도하여 편리한 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의자형상의 지지프레임(111)으로 구성되는 지지체(110);
    상기 지지체(110)의 중간부위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시트(120);
    상기 지지체(110)의 하측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11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바퀴(130);
    상기 지지체(110)의 상측부위에 구비되어 이용자나 보호자가 손으로 짚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110)를 밀거나 당기도록 하는 손잡이(140); 및
    상기 시트(120) 일측의 지지체(110)가 산책로에 구비된 안내용 레일(R)에 결착 지지되도록 하여 레일(R)을 따라 지지체(110)가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바퀴(130)는,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하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360도 방향 회전이 가능한 회전용 캐스터(131)와;
    상기 회전용 캐스터(131)들의 일측에 상기 캐스터(131)들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보행보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하측단부는 일측에만 2개의 다리부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보행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50)는,
    상기 레일(R)의 외측 일부분을 제외한 전부위를 감싸는 가이드고리(151);
    상기 가이드고리(15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R)에 접촉되어 상기 지지체(110)의 이동시 레일(R)을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롤러(152);
    상기 가이드고리(151)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시트(120) 일측의 지지체(110)까지 연장되는 연결바(153); 및
    상기 연결바(153)의 단부가 끼워지며 상기 시트(120) 일측의 지지체(110)에 설치되는 'T'자 형상의 연결구(1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보행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R)은,
    상기 가이드부재(150)의 가이드고리(151)에 의해 선택적으로 파지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보행보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고리(151)는,
    상기 레일(R)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정클램프(151a)와 이동클램프(151b);
    상기 이동클램프(151b)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클램프(151a)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절바(151c)가 삽입되도록 하는 통공을 가지는 조임구(151d); 및
    상기 조임구(151d)의 통공 하측에 상기 조임구(151d)에 관통된 조절바(151c)의 일부가 끼워지도록 위치되고 상기 조절바(151c)의 나사산과의 치합을 통하여 고정클램프(151a)와 이동클램프(151b)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클램프(151a)와 이동클램프(151b)의 내측면이 레일(R)에 결착되거나 결착 해제되도록 하는 조절노브(151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보행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54)는,
    상기 조임구(151d)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시트(120) 일측의 지지체(110)까지 연장되는 연결바(153)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관(154a)과 상기 시트(120) 일측의 지지체(110)에 관통되는 관통관(154b)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154a)에 삽입된 연결바(153)의 단부가 삽입관(154a)과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154c)가 삽입관(154a)과 연결바(153)에 형성된 통공(미부호)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형 보행보조기.
KR1020100019507A 2010-03-04 2010-03-04 의자형 보행보조기 KR101130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507A KR101130772B1 (ko) 2010-03-04 2010-03-04 의자형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507A KR101130772B1 (ko) 2010-03-04 2010-03-04 의자형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483A KR20110100483A (ko) 2011-09-14
KR101130772B1 true KR101130772B1 (ko) 2012-03-28

Family

ID=4495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507A KR101130772B1 (ko) 2010-03-04 2010-03-04 의자형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3323A (zh) * 2020-06-30 2020-09-11 江苏大学附属医院 一种限制性安全助行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671U (ko) * 1989-10-31 1991-06-26
JP3065671U (ja) 1999-05-26 2000-02-08 利秀 鈴木 エレベ―タ―のない集合住宅居住者の階段昇降運搬機
JP2001199656A (ja) * 2000-01-17 2001-07-24 Daido Kogyo Co Ltd 階段昇降機
KR200366683Y1 (ko) 2004-08-02 2004-11-09 이진우 카트형 보행보조기
KR20090119652A (ko) * 2008-05-16 2009-11-19 김해옥 노약자 보행용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5671U (ko) * 1989-10-31 1991-06-26
JP3065671U (ja) 1999-05-26 2000-02-08 利秀 鈴木 エレベ―タ―のない集合住宅居住者の階段昇降運搬機
JP2001199656A (ja) * 2000-01-17 2001-07-24 Daido Kogyo Co Ltd 階段昇降機
KR200366683Y1 (ko) 2004-08-02 2004-11-09 이진우 카트형 보행보조기
KR20090119652A (ko) * 2008-05-16 2009-11-19 김해옥 노약자 보행용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483A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6369B2 (ja) 介護補助装置
KR20160024757A (ko) 듀얼 구동 휠체어
KR101839501B1 (ko) 보행 교정기
US20160184164A1 (en) Physical Therapy and Patient Movement System
CN105263456A (zh) 行动不便者用浴椅
KR101654843B1 (ko)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US6899660B1 (en) Walker for rehabilitant
JP2014079364A (ja) 歩行訓練補助器
KR101439955B1 (ko) 보행기 및 의자로도 사용되는 트랜스포머 지팡이
KR101130772B1 (ko) 의자형 보행보조기
US89855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users of conventional stand alone walkers
JP5344399B2 (ja) 歩行補助装置
WO2014029998A1 (en) Wheeled walking aid with sit to stand help
JP4098823B2 (ja) 歩行器
JP4597846B2 (ja) 運動器具
CN208319511U (zh) 新型多功能助行器
JP2722186B2 (ja) 歩行器
JP2015150218A (ja) 歩行補助具
JP6950949B2 (ja) 移動補助椅子
KR101283373B1 (ko) 보행기
JP3188074U (ja) 歩行車の制動機構
KR100796781B1 (ko) 보행보조기
KR200418697Y1 (ko) 휠체어 시스템
KR101632824B1 (ko) 휠체어의 휠퍼
KR102106829B1 (ko) 보행 보조 목발 보행 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