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870Y1 -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 - Google Patents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870Y1
KR200494870Y1 KR2020210000312U KR20210000312U KR200494870Y1 KR 200494870 Y1 KR200494870 Y1 KR 200494870Y1 KR 2020210000312 U KR2020210000312 U KR 2020210000312U KR 20210000312 U KR20210000312 U KR 20210000312U KR 200494870 Y1 KR200494870 Y1 KR 200494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drum
girder
uni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338U (ko
Inventor
김이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2806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120891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엘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엘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210000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7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5Straddle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거더와 권상유니트로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은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지지다리와; 중앙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거더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 거더와;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거더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권취구간을 갖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외곽드럼과, 상기 한 쌍의 외곽드럼을 지지하면서 상호 연결하는 외곽드럼프레임과, 상기 각 외곽드럼의 권취구간에 다중권취되며 상기 각 거더의 외측으로 하향 연장되는 외곽와이어와, 상기 외곽드럼을 회전구동하는 외곽드럼구동부를 포함하는 외곽권상유니트와;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에 수평가로방향의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거더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권취구간을 갖도록 설치되는 중앙드럼과, 상기 중앙드럼을 지지하는 중앙드럼프레임과, 상기 중앙드럼의 권취구간에 다중권취되며 상기 중앙슬릿을 통해 하향 연장되는 중앙와이어와, 상기 중앙드럼을 회전구동하는 중앙드럼구동부를 포함하는 중앙권상유니트와; 상기 외곽드럼구동부와 상기 중앙드럼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GANTRY CRANE FOR LIFTING HEAVY OBJECTS}
본 고안은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겐트리 크레인은 대형 중량의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한 쌍의 지지다리와, 한 쌍의 지지다리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 거더와, 거더에 설치되는 권상유니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겐트리 크레인은 리프팅 대상이 되는 물체의 크기와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지다리와 거더 및 권상유니트의 크기가 따라서 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하기 위해 거더와 권상유니트의 크기가 커지면 거더에 가해지는 자체 중량이 높아져 실질적으로 10,000톤 이상의 물체를 리프팅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거더와 권상유니트로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은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지지다리와; 중앙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거더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 거더부와;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거더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권취구간을 갖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외곽드럼과, 상기 한 쌍의 거더 상부를 가로질러 상기 한 쌍의 외곽드럼을 지지하면서 상호 연결하는 외곽드럼프레임과, 상기 각 외곽드럼의 권취구간에 다중권취되며 상기 각 거더의 외측으로 각 외곽드럼 직하방으로 하향 연장되어 리프트 대상물을 거는 후크와 연결되는 외곽와이어와, 상기 외곽드럼을 회전구동하는 외곽드럼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더부의 상면 외측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외곽권상유니트와;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에 수평가로방향의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거더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권취구간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거더부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외곽드럼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드럼과, 상기 중앙드럼을 지지하는 중앙드럼프레임과, 상기 중앙드럼의 권취구간에 다중권취되며 상기 중앙슬릿을 통해 하향 연장되어 리프트 대상물을 거는 후크와 연결되는 중앙와이어와, 상기 중앙드럼을 회전구동하는 중앙드럼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더부의 상면 내측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중앙권상유니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다리의 이동을 위한 트레블링부와; 상기 외곽드럼구동부와 상기 중앙드럼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드럼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앙 영역에 상기 중앙권상유니트의 최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상향하여 함몰된 상향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 영역의 양측 외곽 영역에 상기 상향함몰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중앙권상유니트의 최상부로다 낮게 하향 단차져서 상기 중앙권상유니트의 측면과 이격된 하향단차부를 형성하여 상기 중앙권상유니트와 상기 외곽권상유니트가 서로 간섭없이 교차주행을 허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외곽권상유니트와 상기 중앙권상유니트는 복수 개이며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더는 상기 각 거더의 외곽에서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외곽권상유니트 이동레일과, 상기 각 거더의 내측에서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앙권상유니트 이동레일을 가지며, 상기 외곽드럼프레임은 상기 외곽권상유니트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외곽프레임롤러부를 가지며, 상기 중앙드럼프레임은 상기 중앙권상유니트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중앙프레임롤러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더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중앙드럼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는 상기 중앙드럼의 권취구간의 30배 이상을 갖고, 상기 중앙와이어는 상기 중앙권상유니트의 가동시브유니트로부터 상기 중앙드럼에까지 상기 중앙드럼의 권취구간 길이의 30배 이상을 갖도록 걸쳐져서 상기 중앙드럼의 권취구간 길이에 다중권취될 때에 상기 중앙드럼의 권취구간 내에서 셀프리턴 구조를 갖는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은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거더와 권상유니트로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곽권상유니트와 중앙권상유니트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외곽권상유니트와 중앙권상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4는 외곽권상유니트와 중앙권상유니트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외곽권상유니트의 측면도이며,
도 6은 제어블록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은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지지다리(110, 120)와, 한 쌍의 지지다리(110, 120)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 거더부(3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다리(110, 120)는 각각 제1지지다리(110)와 제2지지다리(120)로 구분된다. 제1지지다리(110)는 거더부(300)의 일단부와 일체로 결합한다. 제2지지다리(120)는 거더부(300)의 타단부의 상대적 수평 변위를 허용하기 위한 받침베이링(121)을 가지고 거더부(300)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각 지지다리(110, 120)는 지면에 설치된 지면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복수의 롤러를 갖는 트레블링부(113, 123)를 갖는다.
거더부(300)는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된 중앙슬릿(310)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거더(330)를 갖는다. 한 쌍의 거더(330)는 양단부에 설치되는 거더이음부(35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각 거더(330)의 단면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윗변과 아랫변을 가지며 윗변이 길고 아랫변이 짧은 마름모 형태로 구비된다. 거더부(300)의 일단부는 제1지지다리(110)의 상단부와 일체로 결합하고, 거더부(300)의 타단부는 제2지지다리(120)의 상단부에 설치된 받침베어링(121)에 지지된다. 거더부(300)의 상부에는 복수의 외곽권상유니트(500)와 복수의 중앙권상유니트(600)가 거더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외곽권상유니트(500)는 각 거더(330)의 외측으로 하향 연장되는 외곽와이어(570)를 갖는다. 중앙권상유니트(600)는 중앙슬릿(310)을 통해 하향 연장되는 중앙와이어(670)를 갖는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곽권상유니트(500)와 중앙권상유니트(60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거더부(300)는 각 거더(330)의 외곽에서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외곽권상유니트 이동레일(333)과 각 거더(330)의 내측에서 거더(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앙권상유니트 이동레일(331)을 갖는다.
도 3은 외곽권상유니트(500)와 중앙권상유니트(6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곽드럼(510)은 회전축선이 거더(33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고, 중앙드럼(610)은 회전축선이 거더(330)의 길이방향에 수평가로방향을 향한다. 즉, 외곽드럼(510)의 회전축선은 중앙드럼(610)의 회전축선에 대해 수평 수직 관계이다.
외곽드럼(510)과 중앙드럼(610)은 각각 권취구간을 2개씩 갖는다. 권취구간은 2개 이상일 수 있다. 즉, 하나의 드럼(510, 610)에 와이어(570, 670)가 감기는 권취구간이 복수 개인 것이다. 각 권취구간에는 와이어(570, 670)가 다중으로 권취된다. 즉, 각 권취구간에 와이어(570, 670)가 여러 층으로 겹쳐서 권취된다. 이렇게 다중권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 드럼(510, 610)의 길이가 다중권취가 불가능한 드럼에 비해 짧게 마련될 수 있다. 각 드럼(510, 610)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드럼(510, 610)의 자체 중량을 줄일 수 있고, 거더(330)의 크기도 줄일 수 있다. 각 드럼(510, 610)의 자체중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거더(330)에 걸리는 무게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각 드럼(510, 610)에 와이어가 다중권취되도록 하기 위해,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중앙드럼(6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가 중앙드럼(610)의 일 권취구간 길이의 30배 이상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외곽드럼(510)의 일 권취구간이 아닌 중앙드럼(610)의 일 권취구간인 이유는 중앙드럼(610)이 외곽드럼(510)보다 낮은 높이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중앙드럼(6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가 중앙드럼(610)의 일 권취구간 길이의 40배 이상이 되도록 한다. 거더(330)의 하단부는 리프트 대상이 되는 물체에 거는 후크(661)가 올라갈 수 있는 최대 높이다. 이렇게 거더(330)의 하단부로부터 중앙드럼(610)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가 중앙드럼(610)의 일 권취구간 길이의 30배 이상이 되면, 드럼(510, 610)의 각 권취구간에 권취되는 와이어(570, 670)가 각 권취구간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권취되었다가 다시 타단에서 일단으로 다중 권취되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도 4는 외곽권상유니트(500)와 중앙권상유니트(60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를 도 3과 함께 참조하여 보면, 중앙권상유니트(600)는 거더부(300)의 길이방향에 수평가로방향의 회전축선을 가지고 한 쌍의 거더(330)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드럼(610)과, 중앙드럼(610)을 지지하는 중앙드럼프레임(630)을 갖는다.
중앙드럼프레임(630)은 중앙슬릿(310)의 상측에서 한 쌍의 거더(330)에 지지된다. 중앙드럼프레임(630)은 중앙권상유니트 이동레일(333)을 따라 이동 가능한 중앙프레임 롤러부(635)를 갖는다. 중앙권상유니트(600)는 중앙드럼프레임(630)의 하부에 설치되는 중앙고정시브유니트(640)를 갖는다. 중앙고정시브유니트(640)는 중앙드럼(610)과 평행한 축선을 가지며 이 축선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중앙시브를 갖는다.
중앙권상유니트(600)는 중앙고정시브유니트(640)의 하측에 배치되며 중앙드럼(610)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중앙가동시브유니트(650)를 갖는다. 중앙가동시브유니트(650)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661)를 갖는 중앙승강블록(660)과 결합된다. 중앙권상유니트(600)는 중앙드럼(610) 중앙고정시브유니트(640) 및 중앙가동시브유니트(650)를 따라 권취되는 중앙와이어(670)를 갖는다. 중앙와이어(670)는 중앙슬릿(310)을 통해 하향 연장된다. 중앙권상유니트(600)는 중앙드럼(610)을 회전구동하는 중앙드럼 구동부(611)와, 중앙프레임 롤러부(635)를 구동하는 중앙프레임 롤러부 구동부(636)를 갖는다.
도 5는 외곽권상유니트(500)의 측면도이다. 도 5를 도 3 및 도 4와 함께 참조하여 보면, 외곽권상유니트(500)는 거더부(3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한 쌍의 거더(330) 각각의 상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외곽드럼(510)과, 한 쌍의 외곽드럼(510)을 지지하면서 상호 연결하는 외곽드럼프레임(530)을 갖는다.
외곽드럼프레임(530)은 각 외곽드럼(510)을 지지하는 한 쌍의 드럼지지부(531)와, 한 쌍의 드럼지지부(531)를 서로 연결하면서 한 쌍의 외곽드럼(510)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권상유니트(600)의 교차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향함몰된 상향함몰부(533)와, 각 드럼지지부(531)의 일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향함몰부(533)와의 연결 영역에 해당하는 하향단차부(537)를 갖는다. 상향함몰부(533)는 외곽드럼프레임(530)의 길이방향 중앙 영역에서 중앙권상유니트(600)의 최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상향하여 함몰되어 있다. 또한 외곽드럼프레임(530)의 중앙 영역 양측의 외곽 영역에는 상향함몰부(533)의 양단으로부터 중앙권상유니트(600)의 최상부보다 낮게 하향으로 단차져 있고 중앙권상유니트(600)의 양 측면과 이격되어 각 드럼지지부(531)로 이어지는 하향단차부(53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중앙권상유니트(600)는 높이방향을 따라 상향 함몰된 상향함몰부(533) 및 양측의 하향단차부(537)가 형성하는 수용 공간을 통해 외곽권상유니트(500)와 교차 이동될 수 있다. 외곽드럼프레임(530)은 각 드럼지지부(531)의 하부에 설치된 외곽프레임 롤러부(535)를 갖는다. 외곽프레임 롤러부(535)는 거더부(300)에 설치되는 외곽권상유니트 이동레일(3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드럼지지부(531)의 하부에는 외곽고정시브유니트(540)가 설치된다. 외곽고정시브유니트(540)는 외곽드럼(510)의 축선방향과 동일한 축선을 가지며 이 축선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시브를 갖는다. 외곽권상유니트(500)는 외곽고정시브유니트(540)의 하측에 배치되어 외곽드럼(510)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외곽가동시브유니트(550)를 갖는다. 외곽가동시브유니트(550)는 외곽드럼(510)의 축선방향과 동일한 축선을 가지며 이 축선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시브를 갖는다.
외곽가동시브유니트(550)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561)를 갖는 외곽승강블록(560)과 결합된다. 외곽권상유니트(500)는 외곽드럼(510)과 외곽고정시브유니트(540) 및 외곽가동시브유니트(550)를 따라 권취되는 외곽와이어(570)를 갖는다. 외곽와이어(570)는 외곽드럼(510)으로부터 거더부(300)의 외측으로 하향 연장된다. 외곽권상유니트(500)는 외곽드럼(510)을 회전구동하는 외곽드럼 구동부(511)와, 외곽프레임 롤러부(535)를 구동하는 외곽프레임 롤러부 구동부(536)를 갖는다.
도 6은 제어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은 외곽드럼 구동부(511)와 중앙드럼 구동부(611)와 외곽프레임 롤러부 구동부(536)와 중앙프레임 롤러부 구동부(636)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은 복수의 외곽권상유니트(500)와 복수의 중앙권상유니트(600)의 교차 주행을 허용하고 서로 수평수직관계인 외곽드럼(510)과 중앙드럼(610)을 가짐으로서, 각 외곽권상유니트(500)와 중앙권상유니트(600)의 후크가 닿을 수 있는 범위를 크게 확장할 수 있다. 즉, 각 와이어(570, 670)가 각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에서 회동가능하기 때문에 후크(561, 661)를 걸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조선소 등에서 필요한 비교적 너비가 큰 물체의 다양한 지점에 후크(561, 661)를 걸 수 있다.
그리고 외곽권상유니트(500)와 중앙권상유니트(600)를 컴팩트한 구조로 거더부(300)에 설치하여, 거더부(300)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켜 비교적 중량이 큰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다.
또한 외곽드럼(510)과 중앙드럼(610)에 외곽와이어(570)와 중앙와이어(670)가 다중권취되도록 하는 경우, 외곽권상유니트(500) 및 중앙권상유니트(600)의 크기와 중량을 감소시켜 거더부(300)에 가해지는 부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겐트리 크레인은 더욱 중량이 큰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다.
110: 제1지지다리 111: 결합부
113: 트레블링부 120: 제2지지다리
121: 받침베어링 123: 트레블링부
300: 거더부 310: 중앙슬릿
330: 거더 331: 외곽권상유니트 이동레일
333: 중앙권상유니트 이동레일 350: 거더이음부
500: 외곽권상유니트 510: 외곽드럼
515: 하우징 530: 외곽드럼프레임
531: 드럼지지부 533: 상향함몰부
535: 외곽프레임 롤러부 537: 하향단차부
540: 외곽권상유니트 고정시브유니트 550: 외곽권상유니트 가동시브유니트 560: 외곽승강블록 570: 외곽 와이어 600: 중앙권상유니트 610: 중앙드럼 615: 하우징 630: 중앙드럼프레임 635: 중앙프레임 롤러부 640: 중앙권상유니트 고정시브유니트 650: 중앙권상유니트 가동시브유니트 660: 중앙승강블록 670: 중앙와이어 700: 제어부

Claims (4)

  1. 겐트리 크레인에 있어서,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지지다리와;
    중앙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거더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 거더부와;
    상기 거더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거더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권취구간을 갖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외곽드럼과, 상기 한 쌍의 거더 상부를 가로질러 상기 한 쌍의 외곽드럼을 지지하면서 상호 연결하는 외곽드럼프레임과, 상기 각 외곽드럼의 권취구간에 다중권취되며 상기 각 거더의 외측으로 각 외곽드럼 직하방으로 하향 연장되어 리프트 대상물을 거는 후크와 연결되는 외곽와이어와, 상기 외곽드럼을 회전구동하는 외곽드럼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더부의 상면 외측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외곽권상유니트와;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에 수평가로방향의 회전축선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거더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권취구간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거더부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외곽드럼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드럼과, 상기 중앙드럼을 지지하는 중앙드럼프레임과, 상기 중앙드럼의 권취구간에 다중권취되며 상기 중앙슬릿을 통해 하향 연장되어 리프트 대상물을 거는 후크와 연결되는 중앙와이어와, 상기 중앙드럼을 회전구동하는 중앙드럼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더부의 상면 내측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중앙권상유니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다리의 이동을 위한 트레블링부와;
    상기 외곽드럼구동부와 상기 중앙드럼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드럼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앙 영역에 상기 중앙권상유니트의 최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상향하여 함몰된 상향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 영역의 양측 외곽 영역에 상기 상향함몰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중앙권상유니트의 최상부보다 낮게 하향 단차져서 상기 중앙권상유니트의 측면과 이격된 하향단차부를 형성하여 상기 중앙권상유니트와 상기 외곽권상유니트가 서로 간섭없이 교차주행을 허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권상유니트와 상기 중앙권상유니트는 복수 개이며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부는,
    상기 각 거더의 외곽에서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외곽권상유니트 이동레일과, 상기 각 거더의 내측에서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앙권상유니트 이동레일을 가지며,
    상기 외곽드럼프레임은 상기 외곽권상유니트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외곽프레임롤러부를 가지며, 상기 중앙드럼프레임은 상기 중앙권상유니트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중앙프레임롤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더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중앙드럼의 회전축선까지의 길이는 상기 중앙드럼의 권취구간의 30배 이상을 갖고,
    상기 중앙와이어는 상기 중앙권상유니트의 가동시브유니트로부터 상기 중앙드럼에까지 상기 중앙드럼의 권취구간 길이의 30배 이상을 갖도록 걸쳐져서 상기 중앙드럼의 권취구간 길이에 다중권취될 때에 상기 중앙드럼의 권취구간 내에서 셀프리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
KR2020210000312U 2020-10-05 2021-01-29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 KR200494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312U KR200494870Y1 (ko) 2020-10-05 2021-01-29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62A KR20200120891A (ko) 2020-10-05 2020-10-05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
KR2020210000312U KR200494870Y1 (ko) 2020-10-05 2021-01-29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062A Division KR20200120891A (ko) 2020-10-05 2020-10-05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38U KR20210000338U (ko) 2021-02-10
KR200494870Y1 true KR200494870Y1 (ko) 2022-01-17

Family

ID=8004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312U KR200494870Y1 (ko) 2020-10-05 2021-01-29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7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7961A (ja) * 2015-10-22 2017-04-27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橋形クレー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7961A (ja) * 2015-10-22 2017-04-27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橋形クレー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38U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41336B (zh) 电梯配置和方法
JP2017077961A (ja) 橋形クレーン
KR200494870Y1 (ko)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
KR20200120890A (ko) 지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갖는 겐트리 크레인
JP6477255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KR20200120891A (ko)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
JP3744764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20200120889A (ko) 와이어의 다중권취가 가능한 권상유니트를 갖는 겐트리 크레인
CN205709649U (zh) 一种简易悬臂吊
KR200494868Y1 (ko) 와이어의 다중권취가 가능한 권상유니트를 갖는 겐트리 크레인
EP3097042B1 (en) Low-construction trolley for wire rope hoist
JP6193170B2 (ja) 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
KR200494869Y1 (ko) 지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갖는 겐트리 크레인
KR20200044234A (ko) 대형 중량의 물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겐트리 크레인
JP6393954B2 (ja) 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及びクレーンの製造方法
JPH0812262A (ja) 天井クレーンの設置方法及びその装置
JP6223888B2 (ja) 橋形クレーン
KR20200070452A (ko) 와이어의 다중권취가 가능한 권상유니트를 갖는 겐트리 크레인
JP3939237B2 (ja) 大梁間架構の構築方法
JP2018016415A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制御方法
JPWO200507780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458385B2 (ja) クレーン
JPH11268888A (ja) 法面における施工設備
JP45454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200070453A (ko) 지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를 갖는 겐트리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