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864Y1 -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 Google Patents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864Y1
KR200494864Y1 KR2020200003164U KR20200003164U KR200494864Y1 KR 200494864 Y1 KR200494864 Y1 KR 200494864Y1 KR 2020200003164 U KR2020200003164 U KR 2020200003164U KR 20200003164 U KR20200003164 U KR 20200003164U KR 200494864 Y1 KR200494864 Y1 KR 200494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onnector
tip
connector assembly
separation tool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송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카하니핀 커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카하니핀 커넥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카하니핀 커넥터
Priority to KR2020200003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는, 힌지부, 힌지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머리부 및 힌지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몸체; 몸체의 머리부의 선단으로부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U자형 홈이 형성되는 제1 팁부; 및 몸체의 머리부의 일측면 상으로부터 돌출되며, U자형 홈이 형성되는 제2 팁부를 포함하며, 손잡이부의 조작에 의해 머리부가 벌림 및 오므라짐 동작을 수행하며, U자형 홈의 내주면은 후크의 끝단부의 외주면과 접촉 결합되면서 맞물리며, 이에 의해 제1 팁부 또는 제2 팁부가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된 바디 및 어댑터를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SEPARATING TOOL FOR HYDRAULIC CONNECTOR ASSEMBLY}
본 고안은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U자형 홈이 형성된 복수의 팁부를 구비하며,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디와 어댑터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분리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장비나 기기 등의 유체 접속을 위하여 유압 커넥터가 사용된다. 유압 커넥터는 유체의 이송 통로를 연결하며 공기, 물, 오일 등과 같은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이러한 유압 커넥터는 일체형(단일체) 또는 어셈블리(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는 기존의 규격품(예를 들어, 바디, 어댑터 등)의 조합을 통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일체형보다 제작 단가가 싸다는 장점이 있어 작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1)는 기본적으로 바디(2) 및 어댑터(3)의 결합(조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댑터(3)를 포트부에 먼저 조립한 후, 그에 맞는 바디(2)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와 어댑터(3)가 조립된 후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2)에는 어댑터(3)를 고정시키는 후크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3)에는 상기 후크부(4)와 대응하는 걸림부(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면, 상기 바디(2)의 후크부(4)는 바디의 내측으로(즉, 어댑터를 향해) 계속 힘을 가하려는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디(2)와 어댑터(3)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후크부(4)를 외측으로 벌려주는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공구(예를 들어, 플라이어(pliers))(10)를 이용하여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1)의 결합된 바디(2)와 어댑터(3)를 분리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분리 공구(10)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힘을 조절하기 쉽지 않으며, 힘 조절에 실패하는 경우 후크부(4)를 과하게 벌리게 되면서 후크부(4)의 하단부(4d)가 영구 변형되어 탄성력을 상실하거나 또는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공구(10)는 어댑터(3)와 후크부(4) 사이의 공간(S)에 삽입되어 후크부(4)를 외측으로 벌려주는 것인데 상기 공구(10)의 머리부(12)가 지지되지 않으므로, 후크부(4)가 충분히 벌려지지 않았음에도 상기 머리부(12)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1)는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의 규격품(예를 들어, 바디, 어댑터 등)들의 조합으로 완성되므로,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다양한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에 맞는 공구들을 여러 개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아울러, 작업 현장이 좁거나 작업자가 초보자인 경우, 분리 작업 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공구(10)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1)의 바디(2)와 어댑터(3)를 분리하기 위한 용도로서 제작된 것이 아니므로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리 작업 시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의 전용 분리 공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후크부의 파손 또는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바디와 어댑터를 분리하며, 팁부가 후크부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분리 작업이 용이한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크부가 형성된 바디 및 상기 후크부와 대응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어댑터를 구비하며 상기 바디와 어댑터가 상호 결합되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를 위한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머리부 및 상기 힌지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머리부의 선단으로부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U자형 홈이 형성되는 제1 팁부; 및 상기 몸체의 머리부의 일측면 상으로부터 돌출되며, U자형 홈이 형성되는 제2 팁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머리부가 벌림 및 오므라짐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U자형 홈의 내주면은 상기 후크의 끝단부의 외주면과 접촉 결합되면서 맞물리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팁부 또는 제2 팁부가 상기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된 바디 및 어댑터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에서, 상기 제1 팁부의 U자형 홈 및 상기 제2 팁부의 U자형 홈의 폭은 개방된 선단측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에서, 상기 제1 팁부의 U자형 홈 및 상기 제2 팁부의 U자형 홈의 내주면은 널링(knurling)가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에서, 상기 바디 및 어댑터의 분리 시, 상기 U자형 홈은, 상기 후크부의 끝단부의 상단면 및 내측면과 접촉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후크부의 끝단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과 접촉 결합되면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에서, 상기 제2 팁부는 상기 몸체의 머리부의 일측면 상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에서, 상기 제2 팁부는 상기 몸체의 머리부의 일측면 상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에서, 상기 제1 팁부 및 제2 팁부는 각각 회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에서, 상기 제1 팁부 및 제2 팁부는 각각 교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는 후크부를 안정적으로 벌리면서 분리 작업을 수행하므로 후크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팁부에 형성된 U자형 홈이 후크부와 맞물리면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므로, 팁부가 후크부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는 작업자의 숙련도 및/또는 작업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팁부는 교체 및/또는 회전이 가능하며, 작업자는 여러 개의 공구들을 휴대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디 및 어댑터의 결합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분리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분리 공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분리 공구를 사용한 경우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디 및 어댑터의 결합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를 사용한 경우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디 및 어댑터의 결합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팁부의 U자형 홈과 후크부의 결합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팁부의 U자형 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팁부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팁부의 교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팁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6의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제1 팁부를 이용한 분리 작업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6의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제2 팁부를 이용한 분리 작업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4의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제1 팁부를 이용한 분리 작업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는 몸체(110), 제1 팁부(120) 및 제2 팁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는 후크부(4)가 형성된 바디(2)와 후크부와 대응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어댑터(3)가 상호 결합되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1)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결합된 바디(2) 및 어댑터(3)를 분리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의 몸체(110)는, 힌지부(111), 머리부(112) 및 손잡이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112)는 상기 힌지부(11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손잡이부(113)는 상기 힌지부(111)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13)의 조작에 의해 상기 머리부(112)가 벌림 및 오므라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머리부(112)는 힌지부(111)를 중심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라들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는, 상기 손잡이부(113)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팁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의 선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팁부(120)는 한 쌍의 팁(121, 12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팁(121, 122)은 각각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의 선단으로부터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팁부(즉, 한 쌍의 팁(121, 122) 각각)는 U자형 홈(120g)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팁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의 일측면(112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팁부(130)는 한 쌍의 팁(131, 13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팁(131, 132)은 각각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의 일측면(112a) 상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팁부(즉, 한 쌍의 팁(131, 132) 각각)는 U자형 홈(130g)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는 상기 제2 팁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 현장에 구애받지 않고 분리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1)가 설치된 공간이 넓거나 개방된 경우에는, 도 8의 (a)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 공구(100)를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1)가 설치된 공간이 매우 협소하거나 밀폐된 경우, 또는 분리 공구(100)를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할 때 다른 부품(장비)와 간섭되는 경우에는, 도 8의 (b),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리 공구(100)를 제2 팁부(130)의 돌출 방향으로 삽입하여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머리부(112)의 일측면(112a) 상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팁부(130)를 이용함으로써,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바디 및 어댑터의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팁부(120) 또는 상기 제2 팁부(130)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1)의 바디(2)와 어댑터(3)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며, 상기 제1 팁부(120)의 U자형 홈(120g) 또는 상기 제2 팁부(130)의 U자형 홈(130g)은 바디(2)의 후크부(4)와 결합하여 맞물릴 수 있다. 이때, 상기 U자형 홈(120g, 130g)이 상기 후크부(4)와 맞물린 상태에서, 머리부(112)의 벌림 동작에 의해 후크부(4)는 외측으로 벌려지게 되며, 결합된 바디(2)와 어댑터(3)가 분리될 수 있다.
종래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공구(예를 들어, 플라이어(pliers))(10)를 이용하여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1)의 바디(2)와 어댑터(3)를 분리하였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작업 시, 기존의 공구(10)의 머리부(12)가 바디(2)의 후크부(4)의 내측면과 어댑터(3)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S)에 삽입되어 후크부(4)를 외측으로 벌리는 과정에서, 과한 힘이 작용하는 경우 후크부(4)의 하단부(4d)가 영구 변형되어 탄성력을 상실하거나 또는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르면, 공구(10)의 머리부(12)는 상기 후크부(4)의 내측면(4b)과만 접촉하면서 외측으로 힘을 가하고 상기 힘을 분산하는 구성이 없으므로, 후크부(4)의 하단부(4d)에 힘이 집중됨에 따라 후크부(4)의 하단부가 손상되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공구(10)의 머리부(12)는 후크부(4)와 결합하면서 지지되는 구성이 아니므로, 분리 작업 도중에 이탈될 위험이 있었다. 즉, 후크부(4)가 충분히 벌려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공구(10)의 머리부(12)가 바디(2)의 후크부(4)의 내측면과 어댑터(3)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S)으로부터 빠져나와 이탈되어, 분리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는, 후크부(4)의 하단부(4d)의 파손 및/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1)의 바디(2) 및 어댑터(3) 분리 시, 상기 제1 팁부(120) 또는 제2 팁부(130)에 형성된 U자형 홈(120g, 130g)의 내주면은 상기 후크부(4)의 끝단부(4e)의 외주면과 접촉 결합되어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자형 홈(120g, 130g)은, 상기 후크부(4)의 끝단부(4e)의 상단면(4a) 및 내측면(4b)과 접촉 결합되거나(도 10의 (a) 참조), 또는 상기 후크부(4)의 끝단부(4e)의 내측면(4b) 및 외측면(4c)과 접촉 결합되면서 맞물릴 수 있다(도 10의 (b) 참조). 즉, 상기 U자형 홈(120g, 130g)은 후크부(4)의 끝단부(4e)의 적어도 2개의 부분과 접촉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4)를 외측으로 벌려주는 구성으로서, 상기 후크부(4)에는 분산된 힘이 가해지며, 이에 따라 후크부(4)의 하단부(4d)의 파손 또는 손상이 최대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U자형 홈(120g, 130g)은 상기 후크부(4)의 끝단부(4e)와 맞물리는 구성으로서, 분리 작업 도중에 상기 팁부(120, 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에 따르면, 분리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팁부(120)의 U자형 홈(120g) 및 상기 제2 팁부(130)의 U자형 홈(130g)의 폭은, 개방된 선단측(120a, 130a)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홈(120g, 130g)의 개방된 선단측(120a, 130a)에서의 폭(d1)과 상기 선단측(120a, 130a)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지점들의 폭들(d2, d3)을 비교할 때, 개방된 선단측에서의 폭(d1)이 가장 넓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상기 U자형 홈(120g, 130g)은 후크부(4)의 끝단부(4e)와 보다 꽉 끼게 맞물릴 수 있으며, 상기 제1 팁부(120) 또는 상기 제2 팁부(130)가 후크부(4)와 결합이 풀리면서 분리 작업 도중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팁부(120)의 U자형 홈(120g) 및 상기 제2 팁부(130)의 U자형 홈(130g)의 내주면은 널링(knurling) 가공될 수 있다. 널링 가공을 통해, 상기 U자형 홈(120g, 130g)과 상기 후크부(4)가 맞닿는 표면에서 미끄럼이 방지되고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팁부(120, 130)는 후크부(4)와 안정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의 제2 팁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의 일측면(112a) 상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의 제2 팁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의 일측면(112a) 상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팁부(130)는 상기 머리부(112)의 일측면(112a)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α)를 가질 수 있다.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1)는 다양한 형상 및/또는 크기의 규격품(바디, 어댑터)의 조합으로 완성되는 것으로서, 작업자 등은 현장에 설치된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의 종류, 규격 등에 맞게 적절한 돌출 형상의 제2 팁부(130)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의 제1 팁부(120) 및 제2 팁부(130)는 각각 회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팁부(13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팁부(120) 역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의 다양한 형상 및/또는 크기, 실제 작업 현장, 공구의 삽입 공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팁부(120) 및/또는 상기 제2 팁부(130)를 적절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분리 공구(100)의 팁부(120, 130)가 삽입되는 공간을 고려하여 상기 팁부(120, 130)를 회전시킴에 따라,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팁부가 후크부(4)의 끝단부(4e)의 상단면(4a) 및 내측면(4b)과 접촉 결합되도록 하거나,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팁부가 후크부(4)의 끝단부(4e)의 내측면(4b) 및 외측면(4c)과 접촉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분리 공구(100)가 후크부(4)와 맞물리도록 사용자는 팁부의 회전 범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의 제1 팁부(120) 및 제2 팁부(130)는 각각 교체 가능하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팁부(130)는 탈부착 가능하며 다양한 형상 및/또는 크기의 다른 팁부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제2 팁부(130)에는 결합 돌기(133)가 형성되며, 분리 공구(100)의 머리부(112)의 일측면(112a) 상에는 상기 결합 돌기(133)와 대응되는 결합 홈(1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133)와 상기 결합 홈(1120)의 결합 및/또는 결합 해제에 의해, 팁부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 돌기(133)의 외주면과 상기 결합 홈(112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팁부(130)를 상기 머리부(112)의 일측면(112a)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공지의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팁부(1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팁부(120)도 탈부착 및 다른 팁부로의 교체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의 다양한 형상 및/또는 크기, 실제 작업 현장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 팁부(120) 및/또는 상기 제2 팁부(130)를 적절하게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의 제1 팁부(120) 및/또는 제2 팁부(130)는 여러가지 형상의 팁부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팁부(120, 130)는 니퍼, 플라이어, 펜치 등의 공지의 형상을 갖는 팁부로 교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팁부(130)는 서로 다른 크기의 폭을 가지는 제1 홈(134a) 및 제2 홈(134b)이 형성된 팁부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134a)의 폭이 제2 홈(134b)의 폭보다 좁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홈(134b)의 폭이 제1 홈의(134a)의 폭보다 좁을 수도 있다. 또한,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팁부(130)는 송곳 형상의 팁부(135)로 교체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팁부(120, 130)의 교체로 인해, 본 고안의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100)는 바디(2) 및 어댑터(3)의 분리 작업뿐만 아니라, 절단, 굽힘, 조립 등의 여러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등은 여러가지 공구들을 휴대하지 않아도 되며, 공구의 교체 없이 하나의 분리 공구(100)만으로도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
2 : 바디
3 : 어댑터
4 : 후크부
5 : 걸림부
100 :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110 : 몸체
111 : 힌지부
112 : 머리부
113 : 손잡이부
114 : 스프링
120 : 제1 팁부
130 : 제2 팁부
120g, 130g : U자형 홈

Claims (8)

  1. 후크부(4)가 형성된 바디(2) 및 상기 후크부와 대응하는 걸림부(5)가 형성된 어댑터(3)를 구비하며, 상기 바디(2)와 어댑터(3)가 상호 결합되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1)를 위한 분리 공구에 있어서,
    힌지부(111), 상기 힌지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머리부(112) 및 상기 힌지부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113)를 포함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의 선단으로부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며, U자형 홈(120g)이 형성되는 제1 팁부(120); 및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의 일측면(112a) 상으로부터 돌출되며, U자형 홈(130g)이 형성되는 제2 팁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113)의 조작에 의해 상기 머리부(112)가 벌림 및 오므라짐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U자형 홈(120g, 130g)의 내주면은 상기 후크부(4)의 끝단부(4e)의 외주면과 접촉 결합되면서 맞물리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팁부(120) 또는 제2 팁부(130)가 상기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1)의 결합된 바디(2) 및 어댑터(3)를 분리할 수 있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부(120)의 U자형 홈(120g) 및 상기 제2 팁부(130)의 U자형 홈(130g)의 폭은 개방된 선단측(120a)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부(120)의 U자형 홈(120g) 및 상기 제2 팁부(130)의 U자형 홈(130g)의 내주면은 널링(knurling)가공되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 및 어댑터(3)의 분리 시,
    상기 U자형 홈(120g, 130g)은, 상기 후크부(4)의 끝단부(4e)의 상단면(4a) 및 내측면(4b)과 접촉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후크부(4)의 끝단부(4e)의 내측면(4b) 및 외측면(4c)과 접촉 결합되면서 맞물리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의 일측면(112a) 상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부(130)는 상기 몸체(110)의 머리부(112)의 일측면(112a) 상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는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부(120) 및 제2 팁부(130)는 각각 회전 가능한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부(120) 및 제2 팁부(130)는 각각 교체 가능한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KR2020200003164U 2020-08-31 2020-08-31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KR200494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64U KR200494864Y1 (ko) 2020-08-31 2020-08-31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64U KR200494864Y1 (ko) 2020-08-31 2020-08-31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64Y1 true KR200494864Y1 (ko) 2022-01-13

Family

ID=79341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164U KR200494864Y1 (ko) 2020-08-31 2020-08-31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64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873U (ja) * 1992-02-28 1993-09-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分離工具
JPH0664391U (ja) * 1993-02-18 1994-09-09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多対心線接続コネクタ用分離工具
JPH07116970A (ja) * 1993-08-30 1995-05-09 Betsuseru Kogyo:Kk チューブ抜き工具
JP2013011330A (ja) * 2011-06-30 2013-01-17 Mirai Ind Co Ltd 接続解除具
KR101418209B1 (ko) * 2013-02-22 2014-07-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터치형 튜브피팅 분리공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873U (ja) * 1992-02-28 1993-09-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分離工具
JPH0664391U (ja) * 1993-02-18 1994-09-09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多対心線接続コネクタ用分離工具
JPH07116970A (ja) * 1993-08-30 1995-05-09 Betsuseru Kogyo:Kk チューブ抜き工具
JP2013011330A (ja) * 2011-06-30 2013-01-17 Mirai Ind Co Ltd 接続解除具
KR101418209B1 (ko) * 2013-02-22 2014-07-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터치형 튜브피팅 분리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1769B2 (ja) 回転工具およびこのような回転工具用の切削ヘッド
AU2018101262A4 (en) Quick-Disassembly Nipple Connector Structure
US20200041056A1 (en) Quick-disassembly nipple connector structure
JP6607856B2 (ja) 切削工具組立体及びシャンク
TWI648133B (zh) 可移爪換位的撬棒工具
DE10127983A1 (de) Verbindungsstück
KR200494864Y1 (ko) 유압 커넥터 어셈블리용 분리 공구
JP2017168727A (ja) ニードル着脱補助装置
US20180292614A1 (en) Non-Ferrule Damaging Field Removable Guide Pin
KR19980051759A (ko) 반도체 가스실린더 교체용 공구
WO2017018422A1 (ja) 切削工具用交換部材および切削工具用ボデー
JP2010098841A (ja) パッキン取付治具
US6592590B2 (en) Device for inserting and removing a bone nail
US8898911B2 (en) Tool accommodating replaceable blade
US20210164599A1 (en) Method Of Masking A Hole In A Part
US11075495B2 (en) Connector installation tool
JP6174284B1 (ja) 連結ピン挿入ジグ
GB2417917A (en) Bit for removing damaged screws
KR101748385B1 (ko) 확장형 스크류 드라이버
US9555483B2 (en) Tool accommodating replaceable blade
CN110099770B (zh) 用于机床的工具架
KR102125701B1 (ko) 풀스터드용 체결기구
US20170057078A1 (en) Tool Box
KR100977520B1 (ko) 부시 삽입장치
KR101911406B1 (ko) 파손 복구가 용이한 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