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570Y1 - 요리용 찜기 - Google Patents

요리용 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570Y1
KR200494570Y1 KR2020200000454U KR20200000454U KR200494570Y1 KR 200494570 Y1 KR200494570 Y1 KR 200494570Y1 KR 2020200000454 U KR2020200000454 U KR 2020200000454U KR 20200000454 U KR20200000454 U KR 20200000454U KR 200494570 Y1 KR200494570 Y1 KR 200494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teamer
cooking
insertion groov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854U (ko
Inventor
장은주
Original Assignee
장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주 filed Critical 장은주
Priority to KR2020200000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57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요리용 찜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와 하부가 열려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덮는 뚜껑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복수 개의 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 내부에 결합되는 채반부;를 포함하며, 음식물은 상기 몸체부의 결합되는 상기 채반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요리용 찜기 {Steamer for cooking}
본 고안은 요리용 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채반부를 결합하고 몸체부 하부에 받침부를 구비함에 따라 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될 때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받침부에 저장할 수 있는 요리용 찜기에 관한 것이다.
찜 요리는 물이나 불에 음식이 직접 닿지 않고 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법으로, 음식물이 물이나 불에 직접 닿지 않음에 따라 영양소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재료 고유의 맛을 간직할 수 있는 요리 방법이다.
찜 요리를 위해서는 찜기가 사용되며, 찜 요리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찜기가 사용되고 있다. 찜기는 알루미늄 찜기부터, 스테인리스 찜기, 실리콘 찜기 등의 찜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찜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찜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찜기는 물을 끓여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를 통해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데, 고온의 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쪄지면서 액체가 발생하게 된다.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는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재료 고유의 맛을 간직함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찜기는 이와 같이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을 사용하고 있지 않음에 따라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가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목재 찜기의 경우 고온의 증기에 의해 뒤틀림 및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종래의 찜기에는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구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채반부를 결합하고 몸체부 하부에 받침부를 구비함에 따라 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될 때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받침부에 저장할 수 있는 요리용 찜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와 하부가 열려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덮는 뚜껑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복수 개의 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 내부에 결합되는 채반부;를 포함하며, 음식물은 상기 몸체부의 결합되는 상기 채반부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는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증기에 의해 상기 음식물이 조리될 때, 상기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는, 상기 채반부의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받침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의 상기 몸체부 내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면을 따라 상기 채반부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의 상기 결합홈의 홈의 깊이는 2 내지 4mm 이며, 상기 결합홈의 폭은 0.5mm 내지 1.5mm 이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몸체부의 최하단에서 2.5 내지 3.5mm 만큼 이격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의 상기 받침부는 원형의 냄비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채반부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 일변의 길이는 상기 받침부의 직경보다 50 내지 70mm 크게 형성되며, 상기 채반부 일변의 길이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일변의 길이보다 3 내지 6mm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내부 일변의 길이와 상기 결합홈의 깊이의 2배 길이를 합한 길이는, 상기 채반부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의 상기 받침부는 원형의 냄비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반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은, 상기 채반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의 상기 채반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 중 최외곽에 배치된 관통공들의 끝단은 제1원과 인접하며, 상기 제1원의 직경은, 상기 받침부의 직경보다 8mm 내지 12mm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의 상기 뚜껑부는,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진 제1요철부를 포함하는 제1두껑부와,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진 제2요철부를 포함하는 제2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요철부와 상기 제2요철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의 상기 제1뚜껑부에는 상기 제1요철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뚜껑부에는 상기 제2요철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부가 구비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에 동시에 끼워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의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의 상기 몸체부는 편백 나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반부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의 상기 채반부는 초음파 세척 처리된 이후에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요리용 찜기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채반부를 결합하고, 몸체부 하부에 받침부를 구비함에 따라 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될 때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받침부에 저장하여, 상기 액체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받침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일반 편수냄비가 사용됨에 따라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의 활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몸체부 내부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에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 채반부를 결합함에 따라 고온의 증기에 의해 몸체부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뚜껑부, 제2뚜껑부, 손잡이를 통해 뚜껑부를 제작함에 따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뚜겅부를 제작할 수 있으며,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일체로 제작하거나 녹이 발생하지 않는 스텐피스로 프레임을 결합함에 따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요리용 찜기를 제작함에 따라 접착제에 의한 음식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의 분리 사시도 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의 평면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몸체부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A-A 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채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뚜껑부와 제2두껑부로 이루어진 뚜껑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뚜껑부에 손잡이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뚜껑부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고안(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는, 몸체부(110), 채반부(120), 뚜껑부(140)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와 하부가 열려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110)는 편백 나무와 같은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몸체부(110)의 재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에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복수 개의 관통공(121)이 구비되는 채반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채반부(120)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판으로, 상기 채반부(120)에는 증기 또는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가 이동될 수 있는 상기 관통공(12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채반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채반부(120)를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부(110)에는 결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홈(111)은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홈(111)은 상기 몸체부(110)의 내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11)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채반부(120)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다. 상기 몸체부(110)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10) 내부도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홈(111)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부(110) 내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는 편백나무와 같은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목재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부(110)는 고온의 증기에 의해 뒤틀리게 되면서 상기 몸체부(11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몸체부(110)의 내면 하부에 상기 결합홈(11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11)에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 상기 채반부(120)를 결합하면, 상기 채반부(120)가 상기 몸체부(110)를 지지함에 따라 상기 몸체부(1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는 음식물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채반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채반부(120)가 결합되는 상기 결합홈(111)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홈(111)은 상기 몸체부(110)의 최하단에서 2.5 내지 3.5mm 만큼 이격된 곳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가 좋다. 상기 결합홈(111)이 상기 몸체부(110)의 최하단에 너무 가깝게 형성되면, 상기 채반부(120)가 상기 몸체부(110)를 지지하지 못하게 되며, 상기 결합홈(111)이 상기 몸체부(110)의 최하단에서 너무 멀리 형성되면, 음식물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111)은 상기 몸체부(110)의 최하단에서 2.5 내지 3.5mm 만큼 이격된 곳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가 좋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홈(111)의 깊이는 2 내지 4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mm 가 좋다. 상기 결합홈(111)의 폭은 0.5 내지 1.5mm 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mm 가 좋다.
상기 채반부(120)의 일변의 길이는 상기 몸체부(110) 내부 일변의 길이 보다 3 내지 6mm 정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mm 긴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 내부 일변의 길이와 상기 결합홈(111)의 깊이의 2배 값을 합한 길이는, 상기 채반부(120)의 일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반부(120)와 상기 몸체부(110)는 고온의 증기에 의해 열팽창 될 수 있는데,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 상기 채반부(120)와 목재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부(110)의 열팽창 계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열팽창 되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된다.
상기 채반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열팽창 길이가 다르게 됨에 따라 상기 채반부(120)의 팽창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가 손상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채반부(120)가 팽창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110) 내부 일변의 길이와 상기 결합홈(111)의 깊이의 2배 값을 합한 길이는, 상기 채반부(120)의 일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채반부(120)가 상기 결합홈(111)에 끼워졌을 때, 상기 채반부(120)의 일측 끝단에서 상기 결합홈(111)의 끝단 사이는 0.5 내지 1.5mm 정도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mm 정도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홈(111)의 폭은 상기 채반부(120)의 폭과 동일하거나 조금 크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결합홈(111)의 폭은 0.5 내지 1.5mm 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mm 가 좋다.
상기 결합홈(111)의 폭 또한 상기 채반부(120)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채반부(120)의 두께는 0.5mm 내지 1mm 일 수 있으며, 0.7mm가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홈(111)의 두께는 1mm로 형성하고, 상기 채반부(120)의 두께를 0.7mm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결합홈(111)과 상기 채반부(120)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몸체부(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11)의 깊이는 3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결합홈(111)은 외부와 연통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10)의 내면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면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111)은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110)의 내면을 따라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상기 결합홈(111) 중 서로 마주보는 한 변은 외부와 연통되고, 서로 마주보는 다른 한 변은 3mm 깊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홈(111) 중 일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면, 외부와 연통되어 있는 상기 결합홈(111)을 통해 상기 채반부(12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111) 중 일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면, 상기 채반부(120)가 팽창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채반부(120)의 팽창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는 받침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부(130)는 액체를 받칠 수 있는 냄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받침부(130)는, 증기에 의해 상기 음식물이 조리될 때 상기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으로,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는 상기 채반부(120)의 상기 관통공(121)을 통과하여 상기 받침부(130)로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10)의 상기 채반부(120) 상부에는 음식물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채반부(120)의 하부에서는 상기 관통공(121)을 통해 증기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는 냄비 등으로 이루어진 상기 받침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증기에 의해 상기 채반부(120) 상부의 음식물이 쪄지면서 음식물에서 액체가 발생하면, 상기 액체는 상기 채반부(120)의 상기 관통공(121)을 통과하여 상기 받침부(130)로 저장된다. 상기 받침부(130)로 저장된 액체는 칼국수의 육수, 샤브샤브의 육수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부(130)는 음식물에서 발생한 액체가 저장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냄비가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받침부(13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편수냄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130)는 16cm, 18cm, 20cm 등의 직경을 가지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편수냄비일 수 있으며, 일측에 긴 손잡이를 가지는 편수냄비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받침부(130)의 직경 사이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종래의 찜기는 하부 물솥이 증기를 공급하는 용도로만 사용됨에 따라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저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는 상기 몸체부(110) 하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편수냄비로 이루어진 상기 받침부(130)를 배치함에 따라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저장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130)는 원형의 냄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의 일변의 길이는 상기 받침부(130)의 직경보다 50 내지 70mm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mm가 좋다.
상기 몸체부(110)의 일변의 길이를 상기 받침부(130)의 직경보다 50 내지 70mm(또는 60mm) 크게 함에 따라 상기 받침부(130)를 상기 몸체부(110) 하부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원형의 편수냄비로 이루어진 상기 받침부(130)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채반부(1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121)을 원형(방사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30)는 원형의 편수냄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외부로 누출시키지 않고 상기 받침부(130)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상기 채반부(1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121)을 상기 받침부(130)에 대응되는 형상인 원형(방사형)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121)은 상기 채반부(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121)은 상기 채반부(120)의 중심에서 원형 형상(방사형)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121) 중 최외곽에 배치된 관통공들의 끝단은 제1원(122)에 인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원(122)은 가상의 제1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채반부(1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121)을 방사형으로 형성시키면, 음식물로 증기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상기 받침부(130)에 고르게 분산시키면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원(122)의 직경은 150 내지 190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원(122)의 직경은 상기 받침부(130)의 직경보다 8 내지 12mm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mm 작은 것이 좋다.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121)이 형성하는 상기 제1원(122)의 직경이, 상기 받침부(130)의 직경보다 크면,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가 외부로 누출될 위험이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121)이 형성하는 상기 제1원(122)의 직경이, 상기 받침부(130)의 직경보다 너무 작으면,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가 상기 받침부(130)로 용이하게 모이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받침부(130)로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용이하게 모으기 위해, 상기 제1원(122)의 직경은, 상기 받침부(130)의 직경보다 8mm 내지 12mm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mm 작은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130)의 편수냄비 직경이 16cm 인 경우에 상기 제1원(122)의 직경은 15c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편수냄비 직경이 18cm 인 경우에는 상기 제1원(122)의 직경이 17cm, 편수냄비 직경이 20cm 인 경우에는 상기 제1원(122)의 직경이 19cm 일 수 있다.
상기 채반부(120)는 스테인리스 단일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스 및 연마작업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채반부(120)는 연마되면서 초음파로 세척 처리된 이후에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반부(120)를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시키면, 상기 채반부(120)의 세척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채반부(120)는 초음파로 세척 처리된 이후에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뚜껑부(14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를 덮는 것이다. 상기 뚜껑부(140)는 상기 몸체부(110)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 증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면 상기 뚜껑부(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뚜껑부(140)는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진 제1요철부(151)를 포함하는 제1뚜껑부(150)와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요철부(161)를 포함하는 제2뚜껑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뚜껑부(150)의 상기 제1요철부(151)는 상기 제2뚜껑부(160)의 상기 제2요철부(161)에 접촉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요철부(151)와 상기 제2요철부(161)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요철부(151)의 돌기 부분은 상기 제2요철부(161)의 홈 부분에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요철부(151)의 홈 부분은 상기 제2요철부(161)의 돌기 부분에 끼워지면서 상기 제1요철부(151)와 상기 제2요철부(161)가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요철부(151)와 상기 제2요철부(161)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면, 상기 제1요철부(151)와 상기 제2요철부(161)의 돌기와 홈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뚜껑부(150)에는 상기 제1요철부(151)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삽입홈(15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뚜껑부(160)에는 상기 제2요철부(161)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삽입홈(16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152)은 상기 제1요철부(151)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상기 제2삽입홈(162)은 상기 제2요철부(161)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뚜껑부(140)는, 상기 제1삽입홈(152)과 상기 제2삽입홈(162)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1삽입홈(152)과 상기 제2삽입홈(162)의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부(171)가 구비된 손잡이(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170)는 상기 제1삽입홈(152)과 상기 제2삽입홈(162)에 동시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170)를 상기 제1삽입홈(152)과 상기 제2삽입홈(162)에 동시에 끼움으로써 상기 제1뚜껑부(150)와 상기 제2뚜껑부(160)가 분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152)과 상기 제2삽입홈(16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170)의 상기 돌기부(171)도 상기 제1삽입홈(152)과 상기 제2삽입홈(162)에 끼워지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0)의 상기 돌기부(171)는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삽입홈(152)과 상기 제2삽입홈(162)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1삽입홈(152)과 상기 제2삽입홈(162)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제1뚜껑부(150)와 상기 제2뚜껑부(160)를 상기 제1요철부(151)와 상기 제2요철부(161)를 통해 요철 짜맞춤하여 결착력을 유지시키고, 상기 제1요철부(151)와 상기 제2요철부(161)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삽입홈(152)과 상기 제2삽입홈(162)을 형성하여,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돌기부(171)가 구비된 상기 손잡이(170)를 통해 상기 뚜껑부(14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뚜껑부(150), 상기 제2뚜껑부(160), 상기 손잡이(170)를 통해 상기 뚜껑부(140)를 제작하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뚜껑부(140)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접착제는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음식물 조리 과정 중에 고온의 증기에 의해 접착제가 음식물로 유입되면서 음식물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제1뚜껑부(150), 상기 제2뚜껑부(160), 상기 손잡이(170)를 통해 상기 뚜껑부(140)를 제작하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뚜껑부(140)를 제작할 수 있음에 따라 접착제에 의한 음식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뚜껑부(140)를 제작하면, 제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증기에 의해 목재에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는, 상기 손잡이(170)를 상기 뚜껑부(140)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녹이 발생하지 않는 스텐피스를 통해 상기 손잡이(170)를 상기 뚜껑부(14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170)와 상기 뚜껑부(140)의 뚜껑면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상기 스텐피스를 삽입함에 따라 상기 손잡이(170)를 상기 뚜껑부(14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스텐피스를 통해 상기 제1뚜껑부(150)와 상기 제2뚜껑부(160)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텐피스가 삽입된 지점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제2원형 커버(172)가 씌워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원형 커버(172)를 통해 스텐피스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스텐피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원형 커버(172)를 통해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의 상기 뚜껑부(140)의 하부에는, 상기 뚜껑부(140)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 끼워질 때, 상기 뚜껑부(14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 프레임(14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프레임(141)은 상기 뚜껑부(140)와 일체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141)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로 끼워 맞춤 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10) 내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부(110) 내부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141)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141)은 상기 몸체부(110) 내부 단면형상의 치수(사각형 형상의 치수)와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거나 조금 작은 치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141)이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 끼워맞춤 됨에 따라 상기 뚜껑부(14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141)은 상기 뚜껑부(14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부(140)의 하부를 양각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141)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140)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141)의 형성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을 깎음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141)을 돌출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141)이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는 편백나무 찜기로,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뚜껑부(140)는 편백나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채반부(120)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는 상기 받침부(130)가 배치됨에 따라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10)는 일변의 길이가 220mm 로 이루어진 정사각형 단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높이는 88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 내부 프레임의 두께는 20mm 일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10) 내부의 일변의 길이는 180mm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 내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111)은 깊이가 3mm 일 수 있으며, 폭은 1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홈(111)은 상기 몸체부(110)의 최하단에서 3mm 떨어진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녹이 발생하지 않는 스텐피스를 통해 복수 개의 프레임이 결합 되면서 상기 몸체부(110)가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스텐피스를 2개의 프레임에 동시에 삽입하여 프레임을 연결시키면서 상기 몸체부(110)가 제작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스텐피스가 삽입된 지점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제1원형 커버(112)가 씌워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원형 커버(112)를 통해 스텐피스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스텐피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원형 커버(112)를 통해 미관상 보기 좋게 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채반부(120)는 일변의 길이가 184mm로 이루어진 정사각형 판으로, 두께가 0.7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채반부(120)에는 상기 채반부(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121)이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 및 상기 채반부(120)의 치수는 편백나무의 강도를 감안하여 상기 채반부(120)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상기 채반부(120)가 상기 몸체부(110)를 지지할 수 있는 최적화된 치수이며, 상술한 치수를 통해 상기 몸체부(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는, 상기 몸체부(110)에 상기 관통공(121)이 구비된 상기 채반부(120)를 결합하고, 상기 몸체부(110) 하부에 상기 받침부(130)를 구비함에 따라 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될 때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상기 받침부(130)에 저장하여, 상기 액체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받침부(130)는 일반 편수냄비가 사용됨에 따라 일반적인 가정에서 본 고안의 요리용 찜기의 활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채반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에 끼워지면서 상기 몸체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채반부(120)를 상기 몸체부(110)에 끼움에 따라 고온의 증기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몸체부(110)의 뒤틀림 및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온의 증기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채반부(120)의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121)을 상기 채반부(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함에 따라 증기를 효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상기 받침부(130)로 고르게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채반부(120)의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121)을 원형 냄비로 이루어진 상기 받침부(130)에 대응되는 형상인 원형(방사형)으로 방사형으로 배치함에 따라 음식물로 증기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를 외부로 누출시키지 않고 상기 받침부(130)에 고르게 분산시키면서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요리용 찜기는 제1뚜껑부(150), 제2뚜껑부(160), 손잡이(170)를 통해 뚜껑부(140)를 제작함에 따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뚜겅부(140)를 제작할 수 있으며, 사각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10)를 일체로 제작하거나 녹이 발생하지 않는 스텐피스로 프레임을 결합함에 따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요리용 찜기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접착제에 의한 음식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몸체부 111...결합홈
112...제1원형 커버 120...채반부
121...관통공 122...제1원
130...받침부 140...뚜껑부
141...하부 프레임 150...제1뚜껑부
151...제1요철부 152...제1삽입홈
160...제2뚜껑부 161...제2요철부
162...제2삽입홈 170...손잡이
171...돌기부 172...제2원형 커버

Claims (12)

  1. 증기를 통해 내부의 음식으로 조리하는 찜기에 있어서,
    내부가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와 하부가 열려 있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덮는 뚜껑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복수 개의 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 내부에 결합되는 채반부;를 포함하며,
    음식물은 상기 몸체부의 결합되는 상기 채반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뚜껑부는,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진 제1요철부를 포함하는 제1뚜껑부와,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진 제2요철부를 포함하는 제2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요철부와 상기 제2요철부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증기에 의해 상기 음식물이 조리될 때, 상기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는, 상기 채반부의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받침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내부에는,
    상기 몸체부의 내면을 따라 상기 채반부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홈의 깊이는 2 내지 4mm 이며, 상기 결합홈의 폭은 0.5mm 내지 1.5mm 이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몸체부의 최하단에서 2.5 내지 3.5mm 만큼 이격된 곳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원형의 냄비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채반부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 일변의 길이는 상기 받침부의 직경보다 50 내지 70mm 크게 형성되며,
    상기 채반부 일변의 길이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일변의 길이보다 3 내지 6mm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내부 일변의 길이와 상기 결합홈의 깊이의 2배 길이를 합한 길이는, 상기 채반부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원형의 냄비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반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은,
    상기 채반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상기 관통공 중 최외곽에 배치된 관통공들의 끝단은 제1원과 인접하며,
    상기 제1원의 직경은, 상기 받침부의 직경보다 8mm 내지 12mm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요리용 찜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뚜껑부에는 상기 제1요철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2뚜껑부에는 상기 제2요철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부가 구비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에 동시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홈과 상기 제2삽입홈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편백 나무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반부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부는 초음파 세척 처리된 이후에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리용 찜기.
KR2020200000454U 2020-02-07 2020-02-07 요리용 찜기 KR200494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54U KR200494570Y1 (ko) 2020-02-07 2020-02-07 요리용 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54U KR200494570Y1 (ko) 2020-02-07 2020-02-07 요리용 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54U KR20210001854U (ko) 2021-08-18
KR200494570Y1 true KR200494570Y1 (ko) 2021-11-05

Family

ID=7749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454U KR200494570Y1 (ko) 2020-02-07 2020-02-07 요리용 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5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691A (ko) 2022-08-31 2024-03-07 키친앤키친 주식회사 자석을 이용한 분해조립 가능한 나무 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6822B1 (ko) 2021-09-27 2022-08-25 박용휘 목재 찜기
KR200497869Y1 (ko) * 2021-11-18 2024-03-20 주식회사 소셜빈 요리용 찜기
WO2023090561A1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소셜빈 요리용 찜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287B2 (ja) * 1993-12-21 2000-05-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多軸工作機械の自動工具交換装置
JP2002084994A (ja) 2000-09-07 2002-03-26 Aguratei:Kk せいろ蒸し弁当の製造方法
KR200353631Y1 (ko) 2004-03-23 2004-06-29 노미경 떡시루
JP2012183282A (ja) * 2011-03-04 2012-09-27 Kozue Yamamoto 折りたたみ式蒸し容器と専用鍋兼フライパンとの組み合わせからなる蒸し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287U (ja) * 1997-04-08 1997-10-14 昌男 松尾 ひとえぐさ加工食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2287B2 (ja) * 1993-12-21 2000-05-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多軸工作機械の自動工具交換装置
JP2002084994A (ja) 2000-09-07 2002-03-26 Aguratei:Kk せいろ蒸し弁当の製造方法
KR200353631Y1 (ko) 2004-03-23 2004-06-29 노미경 떡시루
JP2012183282A (ja) * 2011-03-04 2012-09-27 Kozue Yamamoto 折りたたみ式蒸し容器と専用鍋兼フライパンとの組み合わせからなる蒸し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691A (ko) 2022-08-31 2024-03-07 키친앤키친 주식회사 자석을 이용한 분해조립 가능한 나무 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54U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570Y1 (ko) 요리용 찜기
RU2638865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посуда
US20030167932A1 (en) Stackable and configurable colander apparatus
FR2786082A1 (fr) Recipient de cuisson pour cuiseur a la vapeur
WO2009126237A2 (en) Food steamer
KR102263362B1 (ko) 전골 및 구이용 팬이 마련된 가정용 불판
US7025312B1 (en) Lid holder stand
US7025216B2 (en) Cap for household appliances
CA2168183A1 (en) Stackable skillet with extendable side and adjustability features
KR100663088B1 (ko)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US20080072768A1 (en) Food steamer
KR200472362Y1 (ko) 다용도 조리기
KR102722967B1 (ko) 멀티 냄비
KR200222161Y1 (ko) 오븐 겸용 구이기
KR200406422Y1 (ko) 조리 기구
KR102125481B1 (ko) 무쇠팬 조리 기구
CN214104180U (zh) 一种易清洁的蒸盘及安装该蒸盘的烹饪电器
KR200404674Y1 (ko)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CN216876028U (zh) 容器座组件和容器组件
KR102058736B1 (ko) 커피머신용 미니세척기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KR102651880B1 (ko) 가정용 조리기구
KR102436822B1 (ko) 목재 찜기
KR200182318Y1 (ko) 다용도 음식물 조리기구
KR101131780B1 (ko) 다기능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