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631Y1 - 떡시루 - Google Patents
떡시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3631Y1 KR200353631Y1 KR20-2004-0007984U KR20040007984U KR200353631Y1 KR 200353631 Y1 KR200353631 Y1 KR 200353631Y1 KR 20040007984 U KR20040007984 U KR 20040007984U KR 200353631 Y1 KR200353631 Y1 KR 20035363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ide plate
- rice cake
- coupling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떡시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양단에 웅형결합부(31')를 구비하는 목재인 제1측판(31)과 상기 웅형결합부(31')가 삽입되는 자형결합부(32')가 단부측 일측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목재인 제2측판(32)에 의해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안착공간(30')을 형성하는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의 안착공간(30') 내부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적어도 2개가 구비되어 떡재료를 지지하는 지지대(38)와, 상기 프레임(30)의 하면을 둘러 구비되고 실리콘 재질로 전체가 일체로 구성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30)과의 사이에 밀봉역할을 하는 패킹(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떡시루가 보다 위생적으로 되고, 제조되는 떡의 품질이 좋아진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떡시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료를 증기로 쪄서 떡을 만드는 떡시루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떡시루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의 떡시루는 상하로 관통된 4각 형상의 프레임(10)이 2개의 제1측판(11)과 2개의 제2측판(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떡으로 될 재료가 위치되는 안착공간(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측판(31)과 제2측판(32)은 목재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상기 제1측판(11)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2측판(12)의 자형결합부(12')에 삽입되는 웅형결합부(11')가 구비된다. 상기 웅형결합부(11')의 선단에는 결합돌기(11t)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1t)는 적어도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기(11t)는 상기 제2측판(12)을 관통하여 외부로 까지 돌출된다.
상기 제2측판(12)은 상기 제1측판(11)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측판(12)의 양단에 인접한 측면에는 각각 자형결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자형결합부(12')에는 상기 제1측판(31)의 웅형결합부(11')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자형결합부(12')에는 상기 결합돌기(11t)가 관통하는 결합통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제1측판(11)과 제2측판(12)은 상기 웅형결합부(11')와 자형결합부(12')의 결합 외에 별도의 쐐기(13)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쐐기(13)는 상기 제2측판(12)을 관통하여 나온 상기 결합돌기(11t)와 상기 제2측판(12)의 대응되는부분 사이에 끼워진다.
한편, 상기 제2측판(12)은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측판(11)과 결합된 부분에서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이 부분은 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돌출부(15)가 한다.
상기 프레임(10)의 안착공간(10') 내부에는 지지대(18)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8)는 상기 안착공간(10')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8)는 떡이 될 재료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대(18)는 단면이 사각형인 막대 형상이다.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는 아래에 위치되는 다른 떡시루의 프레임(10)과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패킹(20)이 구비된다. 상기 패킹(20)은 스펀지나 고무 등을 사용하고, 상기 프레임(10)에 장착하기 위해 접착제나 못 등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떡시루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프레임(10)의 외면에는 결합돌기(11t), 쐐기(13) 및 돌출부(15)가 돌출되어 있어 그 틈새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제대로 청소가 되지 않아 남아 있던 것들이 오랜 시간이 지나면 부패하는 등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프레임의 재료가 나무인 경우에는 제대로 청소되지 않은 찌꺼기등이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쉽게 부패되어 위생상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재료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단면이 4각형인 막대 형태로 되어 있어, 하부에서 올라오는 증기의 유로를 막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에는 많은 물방울이 맺히고, 이 물방울이 낙하되어 하부에 있는 떡시루로 떨어져 해당 부분의 수분이 너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떡시루에서는 각각의 떡시루를 취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손잡이가 없고, 상기 돌출부(15)를 손잡이로 사용하나, 상기 돌출부(15)는 상기 측판(11,12)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고 있어 작업자가 손으로 잡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종래의 떡시루에서는 떡시루 사이의 밀봉을 위한 패킹(40)으로 스폰지나 고무를 접착제나 못등을 사용하여 부착한다. 하지만,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떡의 제조를 위한 환경은 고온다습하므로 접착제의 유해성분이 떡으로 전달될 수 있고, 못을 사용하는 경우, 패킹(20)의 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떡시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품질 좋은 떡을 만들 수 있는 떡시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취급이 용이한 떡시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떡시루 사이의 밀봉이 확실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떡시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떡시루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프레임 30': 안착공간
31: 제1측판 31': 웅형결합부
31t: 결합돌기 32: 제2측판
32': 자형결합부 32g: 결합요홈
33: 체결나사 35: 돌출부
36: 요입홈 38: 지지대
39: 장착홈 40: 패킹
42: 실링몸체 43: 장착돌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양단에 웅형결합부를 구비하는 목재인 제1측판과 상기 웅형결합부가 삽입되는 자형결합부가 단부측 일측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목재인 제2측판에 의해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안착공간 내부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적어도 2개가 구비되어 떡재료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프레임의 하면을 둘러 구비되고 실리콘 재질로 전체가 일체로 구성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의 사이에 밀봉역할을 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웅형결합부에는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자형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대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결합요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요홈은 상기 제2측판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다수개의 체결나사가 상기 제2측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측판의 웅형결합부에 체결된다.
상기 패킹은 서로 적층되는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는 실링몸체와, 상기 실링몸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는 장착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홈은 그 입구에 비해 내부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장착돌기의 탈거를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떡시루가 보다 위생적으로 되고, 제조되는 떡의 품질이 상대적으로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떡시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떡시루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레임(30)은 상하가 관통된 사각형상이다. 상기 프레임(30)은 2개의 제1측판(31)과 2개의 제2측판(32)이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30)의 내부에는 떡으로 될 재료가 위치되는 안착공간(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측판(31)과 제2측판(32)은 목재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상기 제1측판(31)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2측판(32)의 자형결합부(32')에 삽입되는 웅형결합부(31')가 구비된다. 상기 웅형결합부(31')를 쉽게 알아 볼 수 있도록, 도 3에서는 웅형결합부(31')에 해당되는 부분의 경계를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상기 웅형결합부(31')의 선단에는 결합돌기(31t)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31t)는 적어도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측판(32)은 상기 제1측판(31)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측판(32)의 양단에 인접한 측면에는 각각 자형결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자형결합부(32')에는 상기 제1측판(31)의 웅형결합부(31')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자형결합부(32')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돌기(31t)가 삽입되는 결합요홈(32g)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홈(32g)은 상기 제2측판(32)을 관통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측판(31)과 제2측판(32)은 상기 웅형결합부(31')와 자형결합부(32')의 결합 외에 별도의 체결나사(33)에 의해 체결된다. 즉, 상기 제1측판(31)의 웅형결합부(31')에 상기 제2측판(32)의 자형결합부(32')가 삽입된 상태에서 다수개의 체결나사(33)에 의해 체결된다. 즉,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체결나사(33)가 상기 제2측판(32)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측판(31)의 웅형결합부(31')에 체결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의 상면방향에서 상기 체결나사(33)가 상기 제2측판(32)의 상면에서 상기 제1측판(31)의 웅형결합부(31')에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측판(32)은 상기 제1측판(31)보다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다. 따라서, 상기 제2측판(32)의 양단은 상기 제1측판(31)의 양단부 측에 직교하게 외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이 부분은 프레임(30)의 외면에 돌출된 부분으로 돌출부(35)라 한다. 상기 돌출부(35)는 작업자가 떡시루를 취급할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부(35)에는 대략 반원형으로 요입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입홈(36)은 상기 제2측판(32)의 선단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제2측판(32)의 돌출부(35)의 선단 양측에는 각각 모따기부(36')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0)의 안착공간(30') 내부에는 지지대(38)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38)는 상기 안착공간(30')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38)는 떡이 될 재료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대(38)는 단면이 원형인 봉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38)를 봉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하부의 떡시루를 통해 전달되는 김이 지지대(38)에 접촉하여 응축되면서 물방울로 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30)의 하면,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측판(31)과 제2측판(32)의 하면을 따라서 장착홈(39)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홈(39)의 전체 형상은 상기 프레임(30)을 하면에서 볼 때, 사각형으로 된다. 상기 장착홈(39)은 그 입구보다는 내부가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30)의 하면을 따라서는 상기 프레임(30)의 평면형상과 대응되는 패킹(40)이 구비된다. 상기 패킹(40)은 그 재질이 실리콘이다. 상기 패킹(40)은 전체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패킹(40)은 실링몸체(42)와 장착돌기(43)로 구성된다. 상기 실링몸체(42)는 그 폭이 적어도 상기 측판(31,32)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몸체(42)는 본 실시예에서 그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되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실링몸체(42)에는 장착돌기(43)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돌기(43)는 상기 장착홈(39)의 내부에 삽입되어 패킹(40)이 상기 프레임(30)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돌기(43)는 상기 실링몸체(42)의 상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떡시루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떡시루의 프레임(30) 내부에는 떡을 만들기 위한 재료가 안착되고, 각각 재료가 안착된 떡시루는 다수개가 적층된다. 상기 적층된 떡시루의 하부에서는고온의 수증기가 공급되고, 상기 수증기에 의해 재료가 쪄져서 떡이 만들어진다.
이때, 적층된 떡시루의 사이는 상기 패킹(40)에 의해 밀봉된다. 즉, 상기 프레임(30)의 하면에 있는 패킹(40)이 상부에 있는 떡시루와 재료의 하중에 의해 눌러져 서로 적층되는 떡시루 사이를 통한 수증기의 손실이 없게 한다.
특히, 상기 패킹(40)은 전체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체결나사나 못을 사용하지 않고 장착돌기(43)가 장착홈(39)에 삽입되도록 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패킹(40)은 서로 적층되는 떡시루의 프레임(30) 사이를 확실하게 밀봉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떡시루를 취급함에 있어 상기 돌출부(35)를 손잡이와 같이 잡는다. 예를 들면, 떡을 찌기 위해 다수개의 떡시루를 적층한다든지, 찐 후에 각각의 떡시루를 들어내어 떡을 꺼낼 때 그러하다. 이때, 상기 돌출부(35)에는 요입홈(36)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보다 견고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고, 떡시루와 떡의 하중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제1측판(31)과 제2측판(32)을 결합함에 있어서, 그 양단부에 웅형결합부(31')와 자형결합부(32')를 형성하고, 이들을 서로 결합한다. 특히, 상기 웅형결합부(31')의 결합돌기(31t)는 자형결합부(32')의 결합요홈(32g)내에 삽입되고 제2측판(32)의 외부로까지 돌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프레임(30)의 외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되고, 좁은 틈새가 전혀 없도록 만들어진다. 따라서, 떡시루를 사용한 작업중에 떡이나 그 재료 등이 틈새에 끼지 않게 되고, 떡이나 그 재료 등이 프레임(30)에 묻더라도 쉽게 청소해 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제1측판(31)과 제2측판(32)은 상기 웅형결합부(31')와 자형결합부(32')사이의 결합 이외에 체결나사(33)에 의해서 체결되므로, 그 조립강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0)의 안착공간(30') 내에 있는 지지대(38)는 봉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증기가 떡시루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될 때 상기 지지대(38)에 물방울로 맺히는 것이 최소화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떡의 제조중에 물방울이 하부의 떡시루의 떡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30)은 목재로 구성되어 있어 어느 정도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을 지니므로, 지나치게 많은 수분이 안착공간(30') 내에 있을 경우, 이를 흡수하여 제조되는 떡의 수분이 적절하게 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떡시루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측판이 제2측판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므로 프레임의 외면 구성이 상대적으로 단순화된다. 따라서, 프레임의 외면의 청소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되어 위생적으로 떡시루를 관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목재로 된 프레임을 사용하고, 프레임 내부의 안착공간에서 떡재료를 봉형상의 지지대가 지지하므로, 떡을 찌기 위한 수증기가 응축된 물방울이 떡으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되어 떡의 품질이 보다 좋아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제2측판의 일부가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하고, 이를 손잡이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떡시루를 구성하는 부품이 간소화되고 프레임의 외관이 간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서는 프레임의 하면에 실리콘 재질의 패킹을 설치하는데, 상기 패킹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임의 장착홈에 장착돌기가 삽입됨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떡시루 사이의 밀봉이 보다 확실하고 내구성 있게 되고 위생적으로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 양단에 웅형결합부를 구비하는 목재인 제1측판과 상기 웅형결합부가 삽입되는 자형결합부가 단부측 일측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목재인 제2측판에 의해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과,상기 프레임의 안착공간 내부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적어도 2개가 구비되어 떡재료를 지지하는 지지대와,상기 프레임의 하면을 둘러 구비되고 실리콘 재질로 전체가 일체로 구성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의 사이에 밀봉역할을 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떡시루.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웅형결합부에는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자형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상대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결합요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요홈은 상기 제2측판의 외측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떡시루.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다수개의 체결나사가 상기 제2측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1측판의 웅형결합부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떡시루.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서로 적층되는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는 실링몸체와, 상기 실링몸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는 장착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홈은 그 입구에 비해 내부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장착돌기의 탈거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떡시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7984U KR200353631Y1 (ko) | 2004-03-23 | 2004-03-23 | 떡시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07984U KR200353631Y1 (ko) | 2004-03-23 | 2004-03-23 | 떡시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3631Y1 true KR200353631Y1 (ko) | 2004-06-29 |
Family
ID=49432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7984U KR200353631Y1 (ko) | 2004-03-23 | 2004-03-23 | 떡시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363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1854U (ko) * | 2020-02-07 | 2021-08-18 | 장은주 | 요리용 찜기 |
KR102436822B1 (ko) * | 2021-09-27 | 2022-08-25 | 박용휘 | 목재 찜기 |
-
2004
- 2004-03-23 KR KR20-2004-0007984U patent/KR20035363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1854U (ko) * | 2020-02-07 | 2021-08-18 | 장은주 | 요리용 찜기 |
KR200494570Y1 (ko) | 2020-02-07 | 2021-11-05 | 장은주 | 요리용 찜기 |
KR102436822B1 (ko) * | 2021-09-27 | 2022-08-25 | 박용휘 | 목재 찜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O120561B1 (ro) | Plintă de pardoseală, cu elemente de finisaj | |
EP0121915A2 (en) | A panel structure comprising boards and for instance serving as a floor or a panel | |
KR960023553A (ko) | 탄성 바닥장식 요소 | |
RU2002126565A (ru) | Механическое соединение панелей | |
JPH08252151A (ja) | 規則的パターンで配置された多数のばね要素を有するクッションエレメント | |
US4299064A (en) | Tub surround kit and method of assembly | |
KR100382595B1 (ko) | 풋그릴 | |
KR200353631Y1 (ko) | 떡시루 | |
KR930007822Y1 (ko) | 기타네크의 조정철심 지지대 | |
FR2964136A1 (fr) | Embase de tapee d'isolation rapportee sur une piece de liaison entre un seuil et un dormant monobloc d'ouvrant tel qu'une porte, porte-fenetre ou similaire | |
JP3660968B2 (ja) | 木製桶の構造 | |
JP2008248621A (ja) | 引戸用走行レール装置 | |
EP0504126A1 (fr) | Embout destiné à assujettir les extrémités des lattes de bois appartenant à un sommier à lattes | |
KR200439509Y1 (ko) | 씽크대용 볼 조립용 받침구 | |
KR100686618B1 (ko) | 케이블 트레이 | |
KR101143582B1 (ko) | 칸막이 조립체 | |
KR101153279B1 (ko) | 납골함 안치 유니트 | |
JPH019913Y2 (ko) | ||
US787614A (en) | Vegetable-cutter. | |
JPS636390Y2 (ko) | ||
KR200312105Y1 (ko) | 창호틀 조립체 | |
JPH0524794Y2 (ko) | ||
KR200313012Y1 (ko) | 실리콘 패킹 결합구조를 갖는 떡시루 | |
US20050166512A1 (en) | Floor element | |
KR200181213Y1 (ko) | 음식용구의 손잡이 조립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