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918Y1 -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 - Google Patents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918Y1
KR200493918Y1 KR2020190001847U KR20190001847U KR200493918Y1 KR 200493918 Y1 KR200493918 Y1 KR 200493918Y1 KR 2020190001847 U KR2020190001847 U KR 2020190001847U KR 20190001847 U KR20190001847 U KR 20190001847U KR 200493918 Y1 KR200493918 Y1 KR 200493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inoculation
unit
mushroom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8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490U (ko
Inventor
황재석
Original Assignee
황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석 filed Critical 황재석
Priority to KR20201900018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91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9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에 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는,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게 한 접종관에 의하여 버섯종균을 상시 정량으로 접종할 수 있게 하였고, 또한 종균 접종공들의 크기에 따라 접종관을 변형 실시할 수 있게 하여, 종균 배양이 잘 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Mushroom Fungus Automatic Inoculator}
본 고안은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버섯종균을 종균 접종관에 의하여 버섯배지에 항시 적량으로 접종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종균 접종관은 버섯배지의 종균 접종공에 상응하는 크기와 개수로 교체 사용할 수 있게한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버섯 종류로는 양송이,표고,풀버섯,목이,느타리, 팽나무버섯, 및 맛버섯 등이 있다.
이중에서 표고버섯은 주로 동양요리에 이용되고 있으며, 재배방식을 보면 표고는 원목재배(原木栽培), 양송이, 및 풀버섯은 볏짚의 균상재배(菌床栽培)로 실행하고 있으나, 근래에는 대체적으로 재배사(栽培舍) 안에서 톱밥을 주원료로 한 상자 또는 병재배(甁栽培) 방식으로 재배되고 있다.
재배사와 같은 시설 재배에서는 통상적으로 톱밥으로 만든 고체배지에 종균을 배양하여 고품질의 버섯을 생산하고 있는데, 종래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던 종균 접종 작업을 근자에는 유해균으로부터 안전하고 또한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버섯 종균을 자동으로 접종하고 있다. 이러한 버섯종균 자동 접종장치의 일예들이 하기 특허문헌들에 공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의 '배지에 종균을 접종하기 위한 버섯 종균 접종 장치'는 '기둥 형상으로 성형되며 비닐지로 피복된 배지를 투입하는 배지 투입부; 체인을 통해 올려진 배지를 이송시키는 배지 이송부; 알콜을 분사하여 배지 표면을 살균하는 배지 살균부; 종균 배지를 분쇄하는 종균 분쇄부; 중공관 형상을 취하며 수직 하강되어 하단부가 배지의 외측 표면을 파고 들어가는 접종관체; 상기 종균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종균 분말을 밀어서 상기 접종관체 내로 낙하시키는 종균 이송 스크류; 상기 접종관체내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종균 분말을 배지에 가압시켜 밀어넣는 가압 피스톤을 가져서 된 종균 접종부; 종균 분말이 침투된 배지 표면에 비닐지를 도포하는 종균 실링부(8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2의 '버섯 종균 접종 장치'는 '여러 배지등을 혼합하여 섞음과 동시에 배지를 발효시키기 위한 배지 교반 및 발효기; 상기 배지 교반 및 발효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지 교반 및 발효기의 내부 측으로 데워진 수분을 공급하여 발효 및 살균을 시키는 수분 공급기; 상기 배지 교반 및 발효기에서 배출되는 배지를 이송하는 이송기; 그리고 상기 이송기에서 배지를 공급받아 버섯 종균과 함께 배지를 별도의 용기에 투입하는 접종 및 입봉기를 포함하여, 배지 교반 및 발효기에서 상온에서 발효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자동으로 버섯의 종균 접종 및 입봉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전체적인 작업 시간을 줄여 버섯 재배의 생산성을 높이고, 작업 공수를 줄여 생산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3의 '버섯종균 접종장치'는 '덮개와 용기본체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재배용기가 종횡으로 정렬되어 수용된 컨테이너를 간헐적으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반송수단 상의 복수 개의 재배용기의 덮개 를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시켜서 용기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개폐수단과, 상승 자세의 덮개와 용기본체 사이의 공간으로 측방에서 수평으로 진입하여, 복수개의 용기본체 내에 종균을 접종하는 접종수단을 구비하여, 종균시 일시적으로 개구시킨 캡이 접종 동작에 방해되지 않고, 다수 개의 재배용기에 동시에 접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버섯종균을 가압 피스톤에 의해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인한 버섯종균의 정량(定量) 접종이 실행되지 못하게 되어, 버섯종균이 고르게 배양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고, 또 종균 접종관은 항시 고정된 상태이어서 종균 접종공들의 크기에 따라 변형 실시함이 어렵게 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버섯종균을 상시 정량으로 접종하여 배양을 잘 되게 함과 아울로 종균 접종공들의 크기에 따라 접종관을 변형 실시할 수 있게 하는 버섯 종균의 접종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특허등록번호 제10-1246238호 KR 특허등록번호 제10-0585912호 KR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112602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린더에 의해 상하 전후로 작동되게 하면서 정량 버섯종균을 수용할 수 있게 한 접종관에 의하여 버섯배지의 종균 접종공에 상시 정량의 버섯종균을 접종할 수 있게 하였고, 또한 버섯배지의 종균 접종공들의 크기나 개수에 따라 접종관을 교체하면서 종균 접종을 실시할 수 있게 하여, 종균 배양이 잘 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는, 버섯배지 이송부를 구비한 기체(機體)에 이동하게 지지되어, 상기 버섯배지의 이송 여부 확인에 따라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버섯 배지의 종균 접종공들의 내부로 일정량의 버섯종균을 접종할 수 있게 하는, 상기 버섯배지의 종균 접종공들에 상응하는 개수를 이루어 상기 기체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단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종균을 수용할 수 있게 하단이 외부로 개방된 상태를 이루며 내부가 빈 접종관을 갖는 접종관체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종관체는 상기 종균 접종공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교체 설치할 수 있게 한 종균 접종부; 상기 종균 접종부와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종균 접종부에 의해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로 이송하기 위한 종균을 수용하는 소정 넓이의 종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종균 수용함을 구비하고, 상기 종균 수용함에 설치되어 상기 종균 수용함에 수용된 종균이 뭉치지 않게 교반하는, 상기 기체에 수평으로 나란하게 고정 지지된 고정바들과 상기 고정바들에 이동하게 결합되어 상기 종균 수용함을 고정지지하는 소정 넓이의 지지판과 상기 기체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1교반실린더로 이루어진 제1교반부와 상기 지지판에 회전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수용함의 바닥부를 통하여 상기 종균 수용공간의 내부로 소정간격을 두고 입설된 다수개의 교반축 및 이 교반축의 상단에 각각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종균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버섯 종균을 뭉치지 않게 교반하는 교반날개 상기 지지판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교반축에 일체로 설치된 피니언 기어에 상기 지지판의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게 한 랙 기어를 치합 작동하게 결합하여 상기 교반축들과 같이 상기 교반날개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2교반실린더로 이루어진 제2교반부를 포함하는 종균 교반부; 상기 종균 접종부에 의한 종균 접종 이동을 위하여 상기 종균 접종부를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와 상기 종균 수용함을 향해 전, 후진 및 상,하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상기 기체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로 부터 상기 종균 수용함을 향하여 나란하게 연장 설치된 수평가이드바와 상기 수평가이드바들에 직립된 상태를 이루며 이동하게 결합한 수평이동프레임과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상기 기체에 고정 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하면서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에 연결하여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을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와 상기 종균 수용함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1구동 실린더부로 이루어진 종균접종 구동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의하면, 버섯배지에 대한 종균의 접종을 접종관에 수용되는 상시 정량의 종균 접종에 의하여 종균의 배양이 잘 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는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종균 접종관을 종균 접종공들의 크기나 개수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편리한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A'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1에서 'B'부분 만을 발췌하여 일부 생략하고 확대 표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을 위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1의 'C'부분 만을 발췌하여 일부 생략하고 확대 표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6을 위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A'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100)의 구성을 대별(大別)하면 종균 접종부(120), 종균 수용부(140), 종균 교반부(160), 및 종균접종 구동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종균 접종부(120)는, 버섯배지 이송부(110)를 구비한 기체(機體)(112)에 상기 기체(機體)(112)를 횡절(橫切)하는 상태로 이동하게 지지하여, 버섯배지(10)의 이송 여부 확인에 따라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측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버섯 배지(10)에 기 천공한 다수개의 종균 접종공들(12)의 내부로 상시(常時) 균일한 일정량의 버섯종균을 접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종균접종 구동부(180)는 상기 종균 접종부(120)에 의한 종균 접종 이동을 위하여 상기 종균 접종부(120)를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와 상기 종균 수용부(140)를 향해 전,후진 및 상,하 이동시킨다. 상기 종균 접종부(120)와 구동부(180)의 상세 구성은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종균 수용부(140)는 상기 종균 접종부(120)와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종균 접종부(120)에 의해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로 이송하기 위한 종균을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종균 교반부(160)는 상기 종균 수용부(140)에 설치하여, 상기 종균 수용부(140)에 수용된 종균이 덩어리 상태로 뭉치지 않도록 교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종균 수용부(140)와 상기 종균 교반부(160)의 상세 구성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미 설명부호인 도면부호 30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100)의 종균 접종부(120), 종균 수용부(140), 종균 교반부(160), 및 구동부(180)와 그리고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를 제어할 수 있게 조절하는 제어함을 표시한 것이다.
도 3은 도1의 'B'부분 만을 발췌하여 일부 생략하고 확대 표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을 위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종균 접종부(120)는, 상기 버섯배지(10)(도 1 및 도 5참조)의 종균 접종공들(12)(도1 참조)에 상응하는 개수를 이루어 상기 기체(112)에 지지된 후술하는 수직이동 프레임(182)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단부가 외부로 개방되어 내부로 종균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부가 빈(空) 접종관(124)을 갖는 접종관체(1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접종관체(122)는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182)으로부터 탈착되게 설치하여, 상기 접종관(124)을 상기 버섯배지(10)의 종균 접종공(12)(도 1참조)의 직경 크기나 상기 종균 접종공(12)의 개수에 따라서 교체 혹은 조절하여 사용 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버섯배지(10)에 천공된 종균 접종공(12)(도1참조)의 갯수에 따라서 상기 접종관체(122)를 4개 설치한 것을 일예로 들어 표시하였으나, 상기 접종관체(122)의 개수는 상기 버섯배지(10)의 종균 접종공(12)(도 1참조)의 개수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종균접종 구동부(180)는 상기 종균 접종부(120)를 도 1에서보아 화살표a, b방향인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구성하였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종균접종 구동부(180)는 상기 기체(112)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도 1참조)로 부터 상기 종균 수용부(140)를 향하여 나란하게 연장 설치된 수평가이드바(181a,181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평가이드바들(181a,181b)에는 대략 ㄷ자형의 수평이동프레임(182)을 직립된 상태를 이루며 양단을 결합하여 상기 수평이동프레임(182)으로 하여금 상기 수평가이드바들(181a,181b)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수평이동프레임(182)의 어느 일측 즉, 도1, 도 3 내지 도4에서 보아 좌측에는, 상기 기체(112)에 고정 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하면서 상기 수평이동프레임(182)에 연결하여 상기 수평이동프레임(182)을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와 상기 종균 수용부(140)(도 1참조)사이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1구동 실린더(184)(도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프레임(182)의 어느 일측 즉, 도3에서 보아 앞쪽에는 상기 상기 접종관체들(122)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부(187)를 제공하는 수직이동프레임(186)을 구비하여, 상기 수평이동프레임(182)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이동되게 설치된 수직이동바(184a,184b)의 하단에 상기 수직이동프레임(186)을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접종관체들(122)이 설치된 상기 수직이동프레임(186)이 상기 수직이동바(184a,184b)와 같이 수직이동프레임(186)으로부터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수직이동프레임(186)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이동프레임(182)에는 제2구동 실린더(188)를 설치하였다. 상기 제2구동 실린더(188)는 상기 수직이동바(184a,184b)의 사이에 위치하게 상기 수평이동프레임(182)에 수직으로 고정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하되, 상기 제2구동 실린더(188)의 하단을 상기 수직이동바(184a,184b)와 같이 상기 수직이동프레임(186)과 일체로 결합함에 의해, 상기 접종관체들(122)이 설치된 상기 수직이동프레임(186)을 상기 수평이동프레임(182)의 이동 위치에 따라서 상기 종균 수용부(140) 혹은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도 1참조)로부터 상,하로 이동 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할 수 있게 하였다.
도 6은 도1의 'C'부분 만을 발췌하여 일부 생략하고 확대 표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6을 위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종균 수용부(140)는 상기 기체(112)에 지지되어 소정 넓이의 종균 수용공간(144)을 형성하는 종균 수용함(142)이며, 상기 종균 수용함(142)에는 버섯 종균을 상기 접종관체(122)에 의하여 상기 버섯배지(10)(도 1 및 도 5참조)에 접종함에 있어, 상기 접종관(122)내로 수용되는 버섯종균이 상기 접종관(122)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어 상기 종균 접종공(12)(도 1 참조)내로 자연스럽게 접종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버섯종균이 덩어리 상태로 뭉치는 일이 없도록 교반하기 위한 종균 교반부(1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종균 교반부(160)는 제1교반부(162)와 제2교반부(164)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교반부(162)는 상기 기체(112)에 수평으로 나란하게 고정 지지된 고정바들(162-1a,162-1b)과 상기 고정바들(162-1a,162-1b)에 이동하게 결합되어 상기 종균 수용함(142)을 고정지지하는 소정 넓이의 지지판(162-2)과 상기 기체(112)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지지판(162-2)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162-2)을 전,후로 흔들리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1교반실린더(16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교반부(164)는 상기 지지판(162-2)에 회전되게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종균 수용함(142)의 바닥부를 통하여 상기 종균 수용공간(144)의 내부로 소정간격을 두고 입설된 교반축(164-1) 및 이 교반축(164-1)의 상단에 각각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종균 수용공간(144)에 수용되는 버섯 종균을 덩어리 상태로 뭉치지 않게 교반하는 교반날개(164-2)와 상기 지지판(162-2)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교반축(164-1)에 일체로 설치된 피니언 기어(164-4)에 상기 지지판(162-2)에 설치된 안내레일(164-6) 을 따라 이동되게 한 랙 기어(164-5)를 치합작동되게 결합하여 상기 교반축들(164-1)과 같이 상기 교반날개(164-2)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2교반실린더(164-3)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100)의 작용일예를 다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2의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100)는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로부터 이송되는 버섯 배지(10)에 기 천공된 종균 접종공(12)의 내부로 항시 일정량의 버섯 종균을 자동으로 접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는 상기 제어함(30)에 기 설정한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 작동할 수 있게 하여,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다수개의 종균 접종공(12)을 갖는 장방형상의 버섯배지(10)를 본 고안에 따른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100)에 일시적으로 머물렀다가 이송할 수 있게 하였는데,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버섯배지(10)의 종균 접종공(12)에 본 고안에 따른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100)에 의해 버섯 종균을 접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는 통상적인 구성이어서 본 실시예에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버섯배지(10)가 본 고안에 따른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100)의 종균 접종부(120)에 이송됨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종균 접종부(120)에 의한 종균 접종이 개시된다.
즉, 상기 버섯배지(10)가 상기 종균 접종부(120)에 이송되면, 상기 제어함(30)은 상기 종균접종 구동부(180)의 상기 제2구동 실린더(187)의 하강 작동을 개시하여, 상기 제2구동 실린더(187)의 하단에 상기 수직이동바(184a,184b)와 같이 일체로 결합한 상기 수직이동프레임(186)을 상기 버섯배지(10)를 향하여 이동한다. 상기 수직이동프레임(186)의 하강 이동은 상기 수직이동프레임(186)에 상기 버섯배지(10)의 종균 접종공(12)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기 설치되어 있던 상기 접종관체(122)의 접종관(124)들이 상기 버섯배지(10)의 종균 접종공(12)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게 하여, 상기 접종관(12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버섯 종균을 상기 종균 접종공(12)내로 접종한다. 종균 접종에 이은 상기 제2구동 실린더(187)의 신속한 상승 작동은 상기 수직이동바(184a,184b)와 상기 수직이동프레임(186)과 같이 상기 접종관체(122)를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어 그 다음 이송되는 버섯 배지(10)에 종균을 접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구동 실린더(187)는 도 5의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10)의 종균 접종공(12)의 깊이에 상응하는 위치 까지 하강후 속히 원래 위치로 상승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접종관체(122)의 접종관(122)에 수용하고 있던 버섯 종균들은 상기 접종관(122)의 단부가 상기 버섯배지(10)의 종균 접종공(12)의 내 저부에 접하면서 충돌하는 순간 상기 접종관(122)에 수용되어 있던 버섯 종균은 상기 종균 접종공(12)의 내부로 그대로 쏟아져 내리면서 접종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버섯 종균은 톱밥과 같이 약간의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혼합된 것이어서 상기 접종관(12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수용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버섯종균의 접종이 완료 된 상기 버섯배지(10)는 상기 버섯배지이송부(110)의 작동에 의해 다음 과정으로 이송됨과 아울러 새로운 버섯 배지(10)가 버섯 종균 접종을 위해 상기 종균 접종부(120)와 대면하는 상태로 도달하게 된다.
상기 제2구동 실린더(188)에 의하여 상승 이동된 상기 접종관체(122)는 새로운 버섯배지가 상기 종균 접종부(120)로 이동하기에 앞서, 상기 접종관체(122)의 접종관(122)에 버섯 종균 충전을 위하여 종균이 수용되어 있는 상기 종균 수용부(140)측으로 신속하게 이동한다. 상기 종균 접종부(120)의 상기 종균 수용부(140)측으로의 신속 이동은 상기 구동부(180)의 제1구동실린더(184)에 의하여 실행된다. 도 1 및 도3의 표시와 같이, 상기 제1구동실린더(184)의 수축 작동은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로 부터 상기 종균 수용부(140)를 향하여 나란하게 연장 설치된 수평가이드바(181a,181b)를 따라 수평이동프레임(182)을 상기 종균 수용부(140)측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수평이동프레임(182)에 일체로 결합된 상기 수직이동프레임(186)에 설치된 상기 접종관체(122)의 접종관(122)들이 종균 수용공간(144)을 형성하는 상기 종균 수용함(142)의 상부로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접종관체(122)의 접종관(122)들이 상기 수용함(14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구동 실린더(187)의 하강 작동을 개시하게 되면, 상기 접종관체(122)의 접종관(122)이 상기 종균 수용함(142)내로 진입되게 하여, 상기 접종관체(122)의 접종관(122)이 상기 종균 수용함(142)내에 수용되어 있던 버섯 종균원료들의 속으로 파고 들어가는 침입 상태를 이루게 하면, 하단이 개방된 상기 접종관(122)의 각각의 내부로는 상기 종균 수용함(142)에 있던 버섯 종균이 들어가어 수용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접종관(122)의 각각의 내부로 수용되는 버섯 종균의 수용량은 상기 접종관(122)이 버섯종균의 내부로 침입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량이다.
상기 종균 수용함(142)내로 진입되는 상기 접종관체(122)의 접종관(122)의 깊이는 상기 제2구동 실린더(187)에 가해지는 공압 혹은 유압 세기 조절에 따른 상기 제2구동 실린더(187)의 하강 작동 거리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고, 상기 접종관체(122)의 접종관(122)이 버섯 종균속으로 들어가는 깊이 조정에 따라서 상기 접종관체(122)의 접종관(122)의 내부로 수용되는 버섯 종균의 양 또한 항시 일정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을 위 실시예로부터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종균 접종에 사용할 수 있는 상기 접종관체(122)는 도3의 표시와 같이 탈착되게 결합할 수 있게 한 구성이어서 상기 버섯배지(10)의 종균 접종공(12)의 크기에 대응하여 언저라도 교체 사용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고, 또 상기 종균 접종공(12)에 대응하는 개수에도 맞추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 실린더(187)의 하강 작동에 이은 상승 작동은 상기 수직이동바(184a,184b)와 같이 일체로 결합한 상기 수직이동프레임(186)을 상승 시킴에 의해, 상기 수직이동프레임(186)에 결합된 상기 종균 접종부(120)의 접종관체(122)를 버섯 종균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종균 수용부(140)의 상기 종균 수용함(142)으로부터 신속히 벗어나게 할수 있고, 그 후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상기 제1구동 실린더(184)의 신장 작동은 상기 종균 수용부(140)를 상기 종균 수용함(142)으로부터 다시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측으로 이동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2구동 실린더(187)의 하강 작동이 개시되게 하여 기 이송된 상기 버섯 배지(10)의 접종공(12)에 상기 접종관체(122)의 접종관(122)에 수용하고 있던 버섯 종균의 접종을 시행 할수 있게 한다.
상기 종균 접종부(120)에 의한 종균 접종은 상기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에 의한 상기 버섯배지(10)의 공급이 계속되는 동안, 상기 종균 접종부(120)의 상기 제어함(30)의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작동하는 제1, 제2구동실린더(184,188)에 의해 상기와 같은 상,하 및 전,후 왕복 작동이 반복 실시되면서 버섯 종균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종균 교반부(160)는 톱밥에 혼합되는 버섯종균이 덩어리 형태로 뭉치는 일이 없도록 항시 교반을 실시 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교반 작업은 상기 제1교반부(162)의 제1교반실린더(162-3)의 왕복 작동에 의한 상기 고정바들(162-1a,162-1b)에 이동하게 결합된 상기 지지판(162-2)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구동력 부여로 상기 지지판(162-2)에 지지된 상기 종균 수용함(142)을 전,후로 흔드는 힘을 부여하여 상기 수용함(142)에 수용된 버섯 종균의 교반이 실행되게 한다.
이어서 상기 제2교반부(164)에 의한 상기 제2교반실린더(164-3)의 왕복 작동은 상기 안내레일(164-6)을 따라 왕복 작동되는 상기 랙 기어(164-5)와 피니언 기어(164-4)의 치합 작동에 의한 상기 교반축들(164-1)의 회전으로 상기 교반날개(164-2)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는 상기 제1교반부(162)에 의한 전후 이동과 같이 합세되어 상기 수용함(142)에 수용된 버섯 종균을 덩어리 상태로 딱딱하게 뭉치는 일 없이 항시 균일하게 풀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상기 버섯 종균은 완전 건조 상태가 아이고 미량의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혼합된 상태를 이루고 있어서, 상기 종균 접종부 (120)의 접종관체(122)의 접종관(122)내부로 수용된 상태로 이동 도중에 접종관(122)의 하부로 이탈되는 일은 없다. 상기 종균 교반부(160)의 상기 제1교반부(162)의 제1교반실린더(162-3)와 상기 제2교반부(164)의 상기 제2교반실린더(164-3)의 왕복 작동 역시, 상기 종균 접종부(120)와 같이 상기 제어함(30)의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반복하여 작동하고, 도 6의 표시와 같이 상기 종균 교반부(160)는 상기 수용함(142)의 어느 일측에 편위된 상태로 설치되어 교반작업을 실시하게 한 구성에 의해, 교반 작업 중이라고 상기 종균 접종부(120)에 의한 버섯 종균 수집 작업에는 전혀 장해 요인으로 되는 일은 없게 하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해를 돕기위해 종균 접종 및 교반작용을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실행된다.
상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가 아니라,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개시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버섯 종균 접종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유용성이 있다.
10 : 버섯 배지
12 : 종균 접종공
100 :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
110 : 버섯배지 이송부
120 : 종균 접종부
122 : 접종관체
124 : 접종관
140 : 종균 수용부
142 : 종균 수용함
144 : 종균 수용공간
160 : 종균 교반부
162 : 제1교반부
162-1a,162-1b : 고정바
162-2 : 지지판
162-3 : 제1교반실린더
164 : 제2교반부
164-1 : 교반축
164-2 : 교반날개
164-3 : 제2교반실린더
164-4 : 피니언 기어
164-5 : 랙 기어
164-6 : 안내레일
180 : 종균접종 구동부
181a,181b : 수평가이드바
182 : 수평이동프레임
184 : 제1구동 실린더
186 : 수직이동프레임
184a,184b : 수직이동바
188 : 제2구동 실린더

Claims (5)

  1. 버섯배지 이송부를 구비한 기체(機體)에 이동하게 지지되어, 상기 버섯배지의 이송 여부 확인에 따라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버섯 배지의 종균 접종공들의 내부로 일정량의 버섯종균을 접종할 수 있게 하는, 상기 버섯배지의 종균 접종공들에 상응하는 개수를 이루어 상기 기체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단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종균을 수용할 수 있게 하단이 외부로 개방된 상태를 이루며 내부가 빈 접종관을 갖는 접종관체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종관체는 상기 종균 접종공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교체 설치할 수 있게 한 종균 접종부;
    상기 종균 접종부와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종균 접종부에 의해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로 이송하기 위한 종균을 수용하는 소정 넓이의 종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종균 수용함을 구비하고, 상기 종균 수용함에 설치되어 상기 종균 수용함에 수용된 종균이 뭉치지 않게 교반하는, 상기 기체에 수평으로 나란하게 고정 지지된 고정바들과 상기 고정바들에 이동하게 결합되어 상기 종균 수용함을 고정지지하는 소정 넓이의 지지판과 상기 기체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1교반실린더로 이루어진 제1교반부와 상기 지지판에 회전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종균 수용함의 바닥부를 통하여 상기 종균 수용공간의 내부로 소정간격을 두고 입설된 다수개의 교반축과 이 교반축의 상단에 각각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종균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버섯 종균을 뭉치지 않게 교반하는 교반날개와 상기 지지판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교반축에 일체로 설치된 피니언 기어에 상기 지지판의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게 한 랙 기어를 치합 작동하게 결합하여 상기 교반축들과 같이 상기 교반날개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2교반실린더로 이루어진 제2교반부를 포함하는 종균 교반부; 및
    상기 종균 접종부에 의한 종균 접종 이동을 위하여 상기 종균 접종부를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와 상기 종균 수용함을 향해 전, 후진 및 상,하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상기 기체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로 부터 상기 종균 수용함을 향하여 나란하게 연장 설치된 수평가이드바와 상기 수평가이드바들에 직립된 상태를 이루며 이동하게 결합한 수평이동프레임과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상기 기체에 고정 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하면서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에 연결하여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을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와 상기 종균 수용함의 사이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1구동 실린더부와,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의 앞쪽에 상기 접종관체들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부를 제공하는 수직이동프레임과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이동되게 상기 수직이동프레임에 결합한 수직이동바와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이동바와 같이 상기 수직이동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2구동 실린더로 구성된 종균접종 구동부;를 포함하는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1847U 2019-05-07 2019-05-07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 KR200493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47U KR200493918Y1 (ko) 2019-05-07 2019-05-07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47U KR200493918Y1 (ko) 2019-05-07 2019-05-07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90U KR20200002490U (ko) 2020-11-17
KR200493918Y1 true KR200493918Y1 (ko) 2021-06-28

Family

ID=7357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47U KR200493918Y1 (ko) 2019-05-07 2019-05-07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9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9950B (zh) * 2021-04-21 2022-09-27 池州市德丰菌业有限责任公司 一种杏鲍菇种植用往复式上料装置
CN114431079B (zh) * 2022-03-07 2023-06-30 河北省机电一体化中试基地有限公司 一种整筐式黑木耳固体菌种接种机
CN114868600B (zh) * 2022-04-27 2024-03-26 连云港国鑫食用菌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适用于菌棒接种的固体菌种接种机及接种方法
CN116158309B (zh) * 2022-11-09 2023-06-23 安徽槐耳生物工程技术中心(有限合伙) 一种槐耳接种种植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38B1 (ko) * 2011-11-29 2013-03-21 안용호 버섯 종균 접종 장치 및 그 방법
KR101789471B1 (ko) * 2017-06-07 2017-10-23 최경진 종균이 배양된 버섯재배용 배지의 제조장치
KR101822289B1 (ko) 2016-07-21 2018-03-08 황재석 버섯 배지용 종균 자동접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951B1 (ko) * 1995-06-08 1998-06-01 곽원천 버섯종균 자동접종장치
KR100585912B1 (ko) 2004-08-31 2006-06-01 김경환 버섯의 배지 제조 및 종균 접종을 위한 장치
KR20090054668A (ko) * 2007-11-27 2009-06-01 세계정밀 주식회사 버섯재배용 배지 자동 투입장치
JP4598101B2 (ja) 2008-04-24 2010-12-15 敏昭 春山 きのこ種菌接種装置
KR20180020378A (ko) * 2016-08-18 2018-02-28 황재석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38B1 (ko) * 2011-11-29 2013-03-21 안용호 버섯 종균 접종 장치 및 그 방법
KR101822289B1 (ko) 2016-07-21 2018-03-08 황재석 버섯 배지용 종균 자동접종 장치
KR101789471B1 (ko) * 2017-06-07 2017-10-23 최경진 종균이 배양된 버섯재배용 배지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90U (ko)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918Y1 (ko)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
KR102226540B1 (ko) 버섯재배의 배지용 톱밥 입봉장치
KR20160129960A (ko) 버섯재배용 배지 입봉장치
KR20090054671A (ko) 버섯재배용 배지 자동 투입장치
CN105393836A (zh) 一种农作物秸秆营养种坨成型工艺及设备
CN109895432A (zh) 一种全自动秸秆秧盘成型机
CN110972942B (zh) 一种智能化种苗繁育方法
KR0167046B1 (ko) 버섯 재배용 용기의 톱밥 주입장치
CN104956949A (zh) 育苗杯成型机
CN202016213U (zh) 生物质育苗营养钵成型机
CN217012318U (zh) 一种新型海参育苗培育器
CN215957498U (zh) 一种提高鲜菌草栽培料装料量和均匀度的自动装瓶机
CN211532248U (zh) 一种智能化种苗繁育系统
CN213506876U (zh) 一种用于微生物的环境模拟培养装置
CN212128013U (zh) 一种微生物菌肥发酵设备
CN212425905U (zh) 一种农作物种植用有机肥发酵装置
CN212324855U (zh) 一种林业育苗容器装置
CN107694446A (zh) 一种生物肥料精致型切割搅拌发酵包装机构
CN203761910U (zh) 虫草盒栽培的半自动装料加液装置
CN201709159U (zh) 一种用于加工培养基的落料箱
CN209832696U (zh) 一种全自动秸秆秧盘成型机
CN110800614A (zh) 一种智能化种苗繁育系统
CN209359119U (zh) 一种便于起苗的园艺用育苗箱
CN105725238A (zh) 一种具有高效搅拌杀菌且自动送料的畜牧业饲料搅拌器
CN213214310U (zh) 一种水稻种肥同播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