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378A -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 Google Patents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378A
KR20180020378A KR1020160104598A KR20160104598A KR20180020378A KR 20180020378 A KR20180020378 A KR 20180020378A KR 1020160104598 A KR1020160104598 A KR 1020160104598A KR 20160104598 A KR20160104598 A KR 20160104598A KR 20180020378 A KR20180020378 A KR 20180020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culture
culture medium
mushroom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석
Original Assignee
황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석 filed Critical 황재석
Priority to KR1020160104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0378A/ko
Publication of KR2018002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버섯배지를 타공위치로 이송하는 버섯배지 이송부;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버섯배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상태의 버섯발이용 구멍들을 타공하며, 상기 버섯배지의 크기에 따라 제1타공침들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 제1타공부; 상기 기체상에서 상기 제1타공부와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타공부에 의해 제1차 타공작업이 완료되어 이송된 버섯배지를 승강 이동되게 지지하여 수평상태로 타공되는 제2차 타공 작업을 실시하는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 상기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에 의해 소정 높이로 이동 지지된 상기 버섯배지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상태로 버섯발이용 제2차 타공작업을 하며, 상기 제1타공침들과 같이 버섯배지의 크기에 따라 개수 조절이 가능한 제2타공침들을 갖는 제2타공부를 포함하여,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사각형상의 버섯배지에도 적용될수 있게 한 범용성과, 또한 버섯배지에 타공되는 구멍갯수와 구멍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 편리성과, 그리고 사각 버섯배지의 사면(四面) 모두에 타공을 할수 있게 한 경제성을 갖게 하였다.

Description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Punching Appartus for Mushroom Culture Medium}
본 발명은 버섯배지에 버섯발이용 구멍을 설치하는데 사용하는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섯배지의 타공에 제공되는 타공침들에 대한 교체를 가능하게 하여 타공갯수와 타공크기의 조절을 임의로 할 수 있고, 또한 버섯배지의 사면(四面)모두에 타공을 할수 있게 한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영양소 공급원으로서 단백질, 당, 지질, 필수 미량원소, 비타민과 같은 영양소를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어 우수한 영양식품으로 각광받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버섯 재배를 위해서는 버섯 생육을 위한 환경 구축과 아울러 세심한 배양작업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작업들이 오히려 버섯 재배의 생산성 및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게 되고 있다.
따라서 근자에는 버섯 종균의 배양과 이 배양을 통한 재배를 공정 단위로 자동화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버섯재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작업의 하나로 버섯배지에 접종된 버섯종균의 원활한 배양을 위한 목적에서 버섯배지에 구멍을 설치하는 타공작업을 자동화하고 있는데, 이 버섯배지의 타공에 대한 자동화 일예가 특허문헌1에 공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원통형 버섯배지 외면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요 구성을 보면, 좌우 양측에 설치하는 롤러축에 설치하는 롤러에 걸쳐 설치되며, 외표면에는 요철면을 형성하여 순환선회 이동하는 순환벨트와, 이 순환벨트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면에는 천공핀이 형성되는 천공판과, 상기 롤러축을 회전시키는 풀리 및 벨트에 전동력을 부여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천공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며 자동화가 가능하고, 또한 천공 위치가 일정하여 천공 이후 여러 작업 면에서 다른 작업이 용이하고, 가볍고 적은 공간을 차지하며, 이동성이 좋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천공 작업을 위한 천공판의 교체가 가능하여, 다양한 구조의 천공이 가능하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원통형 버섯배지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문제와 아울러 버섯배지의 크기에 따라 구멍개수와 구멍직경을 임의로 조절할 수 없다고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버섯 배지의 형태나 크기에 불문하고 원하는 개수의 구멍을 설치할수 있으면서 구멍의 직경 또한 조절이 가능하고, 버섯 배지의 사면에 구멍을 낼수 있는 타공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등록특허 제10-120678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예컨데 사각형상의 버섯배지에도 적용될수 있게 한 범용성과, 또한 버섯배지에 타공되는 구멍갯수와 구멍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 편리성과, 그리고 사각 버섯배지의 사면(四面) 모두에 타공을 할수 있게 한 경제성을 모두 겸비한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버섯배지용 타공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버섯배지용 타공장치는, 기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버섯배지를 타공위치로 이송하는 버섯배지 이송부;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버섯배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상태의 버섯발이용 구멍들을 타공하며, 상기 버섯배지의 크기에 따라 제1타공침들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 제1타공부; 상기 기체상에서 상기 제1타공부와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타공부에 의해 제1차 타공작업이 완료되어 이송된 버섯배지를 승강 이동되게 지지하여 수평상태로 타공되는 제2차 타공 작업을 실시하는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 및 상기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에 의해 소정 높이로 이동 지지된 상기 버섯배지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상태로 버섯발이용 제2차 타공작업을 하며, 상기 제1타공침들과 같이 버섯배지의 크기에 따라 개수 조절이 가능한 제2타공침들을 갖는 제2타공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는, 소정의 폭을 갖고 상기 기체의 상부에서 전 길이에 걸쳐 수평적으로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기다란 안내홈들을 갖는 버섯배지 안내판; 상기 기체의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의 저부에 장착된 한쌍의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1가동판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안내홈들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설치된 한쌍의 고정식 버섯배지 이송대와 상기 안내홈 내부에서 상기 버섯배지 이송대와 버섯배지를 수용할수 있는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가동판과 일체로 연결된 제2가동판으로부터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이동식 버섯배지 이송대와 상기 이동식 버섯배지 이송대의 일측에서 기체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식 버섯배지 이송대와 고정식 버섯배지 이송대를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왕복이동 하기 위한 신축작동을 하는 제1이송 실린더,및 상기 제1실린더와는 별개로 되어 상기 이동식 버섯배지 이송대를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신축작동을 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이송 실린더의 신축작동시 상기 고정식 버섯배지 이송대와 이동식 버섯배지와 같이 이동되면서 상기 버섯배지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2실린더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타공부는, 상기 기체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틀체의 고정대에 상,하로 이동되게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바들과, 이 가이드 바들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바들과 같이 상,하로 이동되게 한 가압판과, 이 가압판의 하부에 탈착되게 결합된 고정판을 구비하고 이 고정판과 가압판의 양단에 형성된 안내공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지지바들과, 상기 지지바들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버섯 배지를 유동됨이 없이 누르도록 한 고정 지지판과, 상단부들은 상기 고정판의 체결공들에 대하여 체결용 너트로 탈착되게 결합되는 반면 하부는 상기 고정 지지판의 각 안내공들의 내부로 상,하이동되게 이동되게 위치되어 상기 고정 지지판에 의해 눌려지는 상기 버섯 배지에 대하여 원하는 개수의 버섯 발이용 구멍들을 타공하는 봉형상의 다수개의 타공침들과,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어 상기 가압판에 피스톤 로드의 가압력이 부여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타공침들로 하여금 버섯 배지에 타공을 할수 있게 하면서 상기 고정지지판으로 하여금 상기 버섯배지의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지지하는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된 가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는, 상기 제1타공부와 인접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타공부에 의해 제1차 타공된 후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버섯배지의 제2차 타공을 위하여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으로부터 버섯배지의 저부를 지지하여 소정 높이로 상승 이동시키었다가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 상면으로 하강시키는 버섯배지 지지공간을 제공하는 사각틀 형상의 버섯배지승강대와, 상기 버섯배지승강대의 양단으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지지틀체의 고정대에 이동되게 결합된 가이드바와, 상기 버섯배지승강대의 어느 일측에서 상기 버섯배지승강대의 상승된 높이와 대응위치의 지지틀체에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승강대에 수용지지된 버섯배지가 일측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통공들을 갖는 상기 버섯배지 멈춤용 지지대와, 그리고 상기 고정대의 상부 중앙에 장착되어 상기 버섯배지승강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버섯배지승강대를 승,하강 시키는 신축작동을 하는 버섯배지 승하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타공부는, 상기 지지틀체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에 상,하로 이동되게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바들과, 이 가이드 바들의 선단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바들과 같이 전,후로 이동되게 한 가압판과, 이 가압판의 일측에 탈착되게 결합된 고정판을 구비하고 이 고정판과 가압판의 양단에 형성된 안내공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지지바들과, 이 지지바들의 선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상기 버섯배지승강대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기 버섯 배지를 상기 버섯배지 멈춤용 지지대에 대하여 유동됨이 없도록 고정지지하는 고정 지지판과, 일측단부들은 상기 고정판판의 체결공들에 대하여 체결용 너트로 탈착되게 결합되는 반면 타측단부는 상기 고정 지지판의 각 안내공들의 내부로 전후 이동되게 위치되어 상기 고정 지지판에 의하여 버섯배지 멈춤용 지지대 측으로 눌려지는 상기 버섯 배지의 측면으로 원하는 개수의 버섯 발이용 구멍들을 설치하기 위한 제2차 타공을 실시하는 봉형상의 다수개의 타공침들과, 상기 고정대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판에 피스톤 로드의 가압력이 부여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천공침들로 하여금 버섯 배지에 타공을 할수 있게 하면서 상기 고정지지판으로 하여금 상기 버섯배지의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지지하는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된 가압 실린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각형상의 버섯배지에도 적용될수 있는 범용적인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버섯배지에 타공되는 구멍갯수와 구멍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편리한 효과를 부여하며, 또 사각 버섯배지의 사면(四面)으로 타공을 할수 있게 하는 타공작업성 효과도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주요부 만을 발췌하여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2의 "A"부분 만을 발췌하여 표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2의 "B"부분만을 발췌하여 표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작동 상태를 일측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고,
도 6(a) 내지 6(c)는 도 5의 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100)에 적용되는 버섯배지(10)는,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내부로는 버섯종균이 접종됨과 아울러 외부 전체는 비닐지에 의해 세균 침투가 안되도록 랩핑된 것으로, 이러한 버섯배지(10)에 타공작업을 실시하는 이유는 기 접종된 버섯종균들의 버섯 발이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100)는 그 구성을 대별(大別)하면, 버섯배지 이송부(110), 제1타공부(130),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150), 및 제2타공부(17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는 버섯배지(10)의 타공작업실 바닥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기체(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속하여 공급되는 버섯배지(10)를 상기 제1타공부(130) 및 제2타공부(150)로 이송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을 하는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는, 소정의 폭을 갖고 상기 기체(101)의 상부에서 전(全) 길이에 걸쳐 수평으로 설치되어 타공하기 위한 버섯배지(10)를 안정적으로 올려 놓고 이송시킬수 있게 한 버섯배지 안내판(111)을 갖고 있으며, 이 버섯배지 안내판(111)으로는 안내판(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기다란 안내홈들(111-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버섯배지 안내판(111)에는, 안내판(111)의 상면으로 놓여지는 버섯배지(10)를 상기 제1타공부(130와 제2타공부(150)를 향해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버섯배지 이송장치(112)가 설치되어 있는데, 버섯배지 이송장치(112)에 대한 것은 도2 및 도3에 자세하게 표시하였다.
즉, 도 2 및 도3의 표시와 같이, 버섯배지 이송장치(112)는,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111)과 대응하여 안내판(111)의 저부측으로 나란히 위치되게 하여 상기 기체(101)에 고정 설치한 한쌍의 가이드바(112-1)를 구비하고 있고, 이 가이드바(112-1)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1가동판(112-2)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기다란 안내홈들(111-1)(도1참조)을 각각 관통하면서 안내판(111)의 상부로 돌출설치된 포크 형상의 한쌍의 고정식 버섯배지 이송대(112-3)와, 상기 고정식 버섯배지 이송대(112-3)와 버섯배지(10)를 수용할수 있는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하되 상기 가이드바(112-1)를 따라 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가동판(112-2)과 연결바(112-4)에 의하여 연결된 제2가동판(112-5)과, 이 제2가동판(112-5)의 일측에서 기체(101)에 장착되어 선단부가 제2가동판(112-5)과 연결됨에 따라서 고정식 버섯배지 이송대(112-3)와 같이 제1가동판(112-2) 및 제2가동판(112-5)을 상기 가이드바(112-1)를 따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신축작동을 하는 제1이송실린더(112-7)와, 상기 고정식 버섯배지 이송대(112-3)와 버섯배지(10)를 수용할 수 있는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하되 상기 제2가동판(112-5)의 내측에 면한 상태에서 상기 안내홈들(111-1)을 각각 관통하면서 안내판(111)의 상부로 돌출 설치된 포크 형상의 한쌍의 이동식 버섯배지 이송대(112-6)와, 그리고 상기 제1이송실린더(112-7)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실린더의 선단부가 제2가동판(112-5)의 걸림공(112-9)을 통하여 상기 이동식 버섯배지 이송대(112-6)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식 버섯배지 이송대(112-6)를 상기 제2가동판(112-5)을 따라서 안내판(111)의 저부로 하강 혹은 상승이동 시키기 위한 신축작동 함과 아울러 상기 제1이송실린더(112-7)의 신축 작동시에는 상기 고정식 버섯배지 이송대(112-3)와 같이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식 버섯배지 이송대(112-3)와의 사이에 놓이게 되는 버섯배지(10)를 이동할 수 있게 된 제2이송실린더(112-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타공부(130)는, 도1,2 및 도 4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 표시와 같이, 제1타공부(130)는 버섯배지 이송부(1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버섯배지(1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상태의 버섯발이용 구멍(12)들을 타공하는데, 상기 제1타공부(130)에서 버섯배지(10)의 타공에 제공되는 후술하는 제1타공침들의 개수는 버섯배지(10)의 크기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 구성이다. 즉,
상기 제1타공부(130)는, 상기 기체(101)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틀체(102)의 고정대(103)에 상,하로 이동되게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바들(131)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 바들(131)의 하단에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바들(131)과 같이 상,하로 이동되게 한 가압판(132)이 위치되어 있고, 이 가압판(132)의 하부에 탈착되게 결합된 고정판(133)이 구비되며, 이 고정판(133)과 가압판(132)의 양단에는 형성된 안내공(134)에는 지지바(135)가 각각 안내부싱(135-1)을 개재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반면 이 지지바들(135)의 하단에는 고정지지판(136)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된 상기 버섯 배지(10)를 유동됨이 없도록 누르도록 하였다. 또한 봉형상을 이루며 선단부가 예리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타공침들(137)은 그 상단부가 상기 고정판(133)의 체결공들(133-1)에 대하여 체결용 너트(133-2)로 탈착되게 결합되는 반면 하부는 상기 고정 지지판(136)의 각 안내공들(136-1)을 통하여 상,하이동되게 위치되어 상기 고정 지지판(136)에 의해 눌려지는 상기 버섯 배지(10)에 대하여 원하는 개수의 버섯 발이용 구멍들(12)을 타공할수 있게 하였다. 상기 타공침들(137)은 상기 고정판(133)에 탈착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타공되는 버섯배지(10)의 크기에 따라서 작업자들은 사전에 타공침들(137)의 개수 조절을 할수 가 있다. 봉형상의 다수개의 타공침들(137)이 설치되는 가압판(132)으로는 상기 고정대(103)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가압실린더(138)의 실린더 로드가 결합되어 가압력이 부여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타공침들(137)로 하여금 버섯 배지(10)에 대하여 원하는 크기와 개수의 타공작업을 할수 있게 하면서 상기 고정지지판(136)으로 하여금 타공되는 버섯배지(10)의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지지하는 가압력을 부여한다. 상기 지지바(135)의 각각에는 고정지지판(136)에 대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3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150)는 도1 및 도 2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150)는, 상기 지지틀체(102)에서 상기 제1타공부(130)와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타공부(130)에 의해 제1차 타공작업 완료된 후 이송된 제1차 타공작업이 완료된 버섯배지(10)를 지지하여 그 버섯배지(10)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상태의 버섯발이용 제2차 타공작업을 실행할수 있게 제1차 타공이 실행된 버섯배지(10)의 위치를 이동 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150)는, 상기 제1타공부(130)와 인접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타공부(130)에 의해 제1차 타공된 후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버섯배지(10)의 측면으로 실행되는 제2차 타공을 위하여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111)으로부터 버섯배지(10)의 저부를 지지하여 소정 높이로 들어올렸다가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111)의 상면으로 다시 하강시키는 버섯배지승강대(15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버섯배지승강대(152)는 도2 및 도6에서보아, 좌우 양측부만이 개방되고 타부위는 모두 막힌 사각형상의 지지공간(152-1)을 형성하는 사각틀 형태를 이루고 있어, 지지공간(152-1)의 내부로 버섯배지(10)를 수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버섯배지승강대(152)의 바닥부는 버섯배지 안내판(111)과 거의 턱을 이룸이 없이 밀착되는 상태로 접하게 설치되어 지지공간(152-1)내부로 버섯배지(10)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며, 버섯배지승강대(152)의 폭은 버섯배지(10)의 폭에 상응하는 넓이를 이루고 있어 버섯배지승강대(152)의 지지공간(152-1)내부로 버섯배지(10)를 안정적으로 수용되게 하여 승강이동 시킬수 있다. 상기 버섯배지승강대(152)의 승,하강 이동은 상기 지지틀체(102)의 상부를 가로지르게 설치된 고정대(103)에 장착되어 버섯배지승강대(152)의 상부에 결합된 버섯배지 승하강 실린더(154)에 의하여 실행되며, 버섯배지승강대(152)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위하여 버섯배지승강대(152)의 양단은 가이드바(155)를 개재하여 상기 고정대(103)의 양단에 이동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섯배지승강대(152)의 일측 도1,2에서 보아 좌측에는, 제1차 타공작업이 완료된 버섯배지(10)의 측면으로 후술하는 제2타공부(170)에 의해 제2차 타공작업을 실행할시 버섯배지승강대(152)에 의해 들어 올려진 상태로 지지된 버섯배지(10)가 뒤로 밀려나가는 일이 없이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버섯배지 멈춤용 지지대(15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버섯배지 멈춤용 지지대(156)는 버섯배지승강대(152)의 전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이루어 상기 지지틀체(102)를 건너지르는 상태로 설치하되, 상기 지지틀체(102)에서 상기 버섯배지승강대(152)가 상승 완료되는 높이와 상응 위치에 설치되어, 상승된 제1차 타공작업이 완료된 버섯배지(10)의 유동이 없도록 지지한다. 또한 버섯배지 멈춤용 지지대(156)에는 후술하는 제2타공부(170)의 타공침들(177)이 관통되게 한 관통공(157)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1,2의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150)의 우측으로는 상기 버섯배지승강대(152)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수직방향으로 1차 타공작업이 완료된 버섯배지(10)에 대하여 옆측에서 타공되는 2차 타공작업을 하기 위한 제2타공부(1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타공부(170)는 상기 제1타공부(130)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2타공부(170)의 타공침들(177)들 역시 제1타공부(130)의 타공침들(137)과 마찬가지로 버섯배지(10)의 크기에 따라서 개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만, 제2타공부(170)는 제1타공부(130)가 버섯배지(10)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타공을 실시하는 것과는 달리 수평방향으로 타공을 실시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버섯배지(10)에 더 많은 버섯발이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제2타공부(170)는, 상기 지지틀체(102)의 일측에 지지틀체(102)를 가로지르게 설치된 고정대(103)에 상,하로 이동되게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바들(171)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 바들(171)의 선단에는 가압판(172)이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바들(171)과 같이 전,후로 이동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압판(172)에는 고정판(173)이 탈착되게 결합되어 있고, 이 고정판(173)과 가압판(172)의 양단에 형성된 안내공(도면번호 미부여)으로는 한쌍의 지지바들(175)이 스프링들을 개재하여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이 지지바들(175)의 선단에는 고정 지지판(176)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상기 버섯배지승강대(152)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기 버섯 배지(10)를 상기 버섯배지 멈춤용 지지대(156)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고정지지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봉형상의 타공침들(177)의 일측단부들은 상기 고정판(173)판의 체결공들(도면번호 미부여)에 대하여 체결용 너트(173-1)로 탈착되게 결합되는 반면, 타공침들(177)의 예리한 선단부는 상기 고정 지지판(176)의 각 안내공들(176-1)(도 6A,6B,및 6C 참조)의 내부로 전후 이동되게 위치되어 상기 고정 지지판(176)에 의하여 버섯배지 멈춤용 지지대(156)측으로 눌려지는 상기 버섯 배지(10)의 측면으로 원하는 개수의 버섯 발이용 구멍들을 설치하기 위한 제2차 타공을 실시한다. 봉형상의 다수개의 타공침들(177)이 결합된 고정판(173)과 일체화 된 가압판(172)으로는 상기 지지틀체(102)에 고정 설치된 고정대(103)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판(172)에 피스톤 로드의 가압력을 부여되게 하는 가압 실린더(174)가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타공침(177)들로 하여금 상기 버섯배지승강대(152)에 지지된 버섯 배지(10)의 측면으로 에 제2차 타공작업을 할수 있는 힘을 부여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미설명된 도면 부호(20)은 전원 온/오프 및 이를 제어하는 구성품들이 설치된 콘트롤 박스이다.
도 5는 도 2의 작동 상태를 일측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고,도 6(a) 내지 도6(c)는 도 5의 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버섯종균이 접종되어 있고 전체가 비닐지로 랩핑된 버섯배지(10)이 처음에 안내판(111)의 상부로 놓이게 되는 경우에는, 버섯배지이송부(110)의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와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가 안내판(111)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 버섯배지(10)는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와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의 사이로 놓여지게 공급되어 제1타공부(130)로 이송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태는 도 5의 표시와 같이 제1이송실린더(112-7)가 신장되어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와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를 도1에서 안내판(111)의 좌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이고, 또한 이 상태에서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는 제2이송실린더(112-8)의 신장으로 상부로 밀어 올려져서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와 대향상태로 있게 하여 그 사이에 타공에 제공되는 버섯배지(10)를 놓을 수 있게 한다.
이 상태에서 제1이송실린더(112-7)의 수축작동을 개시되게 하면, 제1가동판(112-2)과 제2가동판(112-5)의 이동에 따라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와 제2이송실린더(112-8)가 장착된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가 안내판(111)의 안내홈(111-1)(도1참조)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와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의 사이에 놓인 버섯배지(10)는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에 의해 밀어지면서 제1타공부(130)의 하방으로 이송되게 한다. 제1이송실린더(112-8)의 이동 스트로크는 버섯배지(10)가 제1타공부(130)의 하방으로 이송되게 하는 만큼 설정되어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10)는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와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의 사이에서 헐겁게 협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도5의 표시와 같이 제1타공부(130)의 하방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피 타공물인 상기 버섯 배지(10)가 제1타공부(130)의 하방에 위치됨이 확인되면, 상기 제1타공부(130)의 가압 실린더(138)의 작동을 개시한다. 가압 실린더(138)의 작동은, 도 6a의 표시와 같이, 실린더의 신장으로 하방의 고정지지판(136)이 버섯배지(10)의 상면을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 지지함과 아울러 고정지지판(136)의 안내공(136-1)을 통하여 타공침(137)이 버섯배지(10)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버섯배지(10)의 수직방향으로 버섯발이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멍들(12)을 타공하게 되고, 타공 후에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도 6a 참조). 상기 버섯배지(10)에 타공되는 구멍들의 개수는 버섯배지(10)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데, 타공 개수의 조절은 사전에 탈착되게 설치한 타공침(137)의 설치 개수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타공부(130)에 의한 제1타공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버섯배지이송부(110)의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와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는 다시 새로운 버섯배지(10)의 이송을 위하여 도1의 표시와 같이 안내판(111)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동은 그동안 도5의 표시와 같이 수축상태로 되어 있던, 제1이송실린더(112-7)의 신장 작동으로 실행된다. 제1이송실린더(112-7)의 신장 작동은 도3의 표시와 같이, 연결바(112-4)로 일체로 연결된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와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가 결합된 제1,제2가동판들(112-2, 112-5)이 가이드 바(112-1)를 따라서 안내홈(111-1)을 통해 안내판(111)의 전방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시에는 제2이송실린더(112-8)를 도5의 표시와 같이,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가 실선 위치로 내려오록 제2이송 실린더(112-8)를 신축되게 작동한다. 제2이송 실린더(112-8)의 신축작동은, 상기 제1이송 실린더(112-7)의 신장 작동으로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가 전진 이동시 제1차 타공된 버섯배지(10)를 밀고 나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이송실린더(112-7)의 신장 작동으로 안내판(111)의 전방으로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와 같이 이동된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는 제2이송 실린더(112-8)를 다시 신장 작동시키어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를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와 같은 높이로 안내판(111)의 안내홈(111-1)으로부터 돌출되게 하여,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와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의 사이로는 다시 새로운 버섯배지(10)를 공급 받을 수 있게 하고, 고정식 배지 이송대(112-3)와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의 사이로 다시 새로운 버섯배지(10)의 공급이 개시됨이 확인되면, 다시 제1이송실린더(112-7)의 수축작동을 개시하여 제1타공부(130)의 하방으로 새로운 버섯배지(10)의 이송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데, 제1타공부(130)측으로 버섯배지(10)의 이송은 상기와 동일하게 실행된다.
이와 같은 새로운 버섯배지(10)의 이송 작업의 진행은, 먼저 타공작업이 완료되어 제1타공부(130)의 하방으로 놓여 있던 버섯배지(10)는 이동식 배지 이송대(112-6)에 의해 자연스럽게 밀려서 상기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150)로 이송되게 하여 제2타공 작업이 실행될수 있게 하고, 새로운 버섯배지(10)는 제1타공부(130)의 하방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와 동일 방법으로 제1타공작업이 실행되게 한다. 이러한 과정은 버섯배지(10)가 공급되는한 반복하여 실시된다.
제1차 타공작업이 실시된 버섯배지(10)가 상기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150)로 이송되면, 이송되는 과정에서 버섯배지(10)는 도6(a),(b)의 표시와 같이, 안내판(111)과 밀착되어 위치된 사각틀 형상의 버섯배지 승강이동대(152)의 지지공간(152-1)내부로 자연스럽게 수용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승하강 실린더(154)의 상승 작동을 개시하면 기 설정된 스트로크 만큼 상승된다. 승하강 실린더(154)의 기 설정된 스트로크 높이는 버섯배지 승강이동대(152)에 수용된 버섯배지(10)가 멈춤용지지대(156)에 대응하는 높이다(도6c 참조). 제1차 타공작업이 실시된 버섯배지(10)를 상기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150)에 의하여 상승 이동하는 이유는 수직방향으로 제1차 타공 실시된 버섯배지(10)에 대하여 제2차로 수평으로 타공되는 작업을 실시하기 위함이며, 버섯배지(10)에 대해여 서로 다른 방향에서 1,2차 타공을 하는 이유는 더 많은 버섯발이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6c와 같은 상태로 버섯배지(10)이 상승이 확인되면, 제2차타공부(170)의 가압 실린더(174)의 작동을 개시한다. 가압 실린더(174)의 작동은 실린더의 신장으로 전방의 고정지지판(176)이 버섯배지(10)의 측면을 가압하여 버섯배지(10)가 멈춤용지지대(156)에 지지되면서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 지지되게 하면서 고정지지판(176)의 안내공(176-1)을 통하여 타공침(177)이 제1차 타공된 버섯배지(10)의 수직방향과 직교되는 수평방향으로 버섯발이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멍들(12)을 타공하게 되고, 타공 후에는 신속히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도 6c 참조).
아울러 제2차 타공작업이 완료된 버섯배지(10)를 지지하고 있는 버섯배지 승강 이동대(152)역시 상기 제2타공부(170)의 복귀 완료가 확인되면, 승하강실린더(154)를 원래 위치로 복귀되게 하강 시키어, 연속하여 이송되는 제1차 타공이 완료된 버섯배지(10)를 수용지지하여 상승 이동시킬수 있는 상태로 있게 한다.
상기 제2타공부(170)에 의해 버섯배지(10)에 타공되는 구멍들의 개수 역시 제1타공부(130)와 동일하게 버섯배지(10)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데, 이러한 타공 개수의 조절은 사전에 탈착되게 설치한 타공침(177)의 설치 개수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다. 이방법 또한 상기 제1타공부(130)와 동일 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100)의 버섯배지 이송부(110), 제1타공부(130),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150), 및 제2타공부(170)에 대하여 이해를 돕기 위해 단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연속 작동되게 자동화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화 구성은 다양한 변경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 만을 특정하여 설명하는 것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의 제작이나 타공작업에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10 : 버섯배지
12 : 버섯발이용 구멍
100 : 버섯배지용 타공장치
110 : 버섯배지 이송부
112 : 버섯배지 이송장치
130 : 제1타공부
137 : 봉형상 타공침
138 : 가압실린더
150 : 버섯배지 승강이동부
153 : 버섯배지 승강대
154 : 버섯배지 승하강 실린더
170 : 제2타공부
174 : 가압실린더
177: 봉형상 타공침

Claims (5)

  1. 기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버섯배지를 타공위치로 이송하는 버섯배지 이송부;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버섯배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상태의 버섯발이용 구멍들을 타공하며, 상기 버섯배지의 크기에 따라 제1타공침들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 제1타공부;
    상기 기체상에서 상기 제1타공부와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타공부에 의해 제1차 타공작업이 완료되어 이송된 버섯배지를 승강 이동되게 지지하여 수평상태로 타공되는 제2차 타공 작업을 실시하는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 및
    상기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에 의해 소정 높이로 이동 지지된 상기 버섯배지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상태로 버섯발이용 제2차 타공작업을 하며, 상기 제1타공침들과 같이 버섯배지의 크기에 따라 개수 조절이 가능한 제2타공침들을 갖는 제2타공부;를 포함하는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는, 소정의 폭을 갖고 상기 기체의 상부에서 전 길이에 걸쳐 수평적으로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기다란 안내홈들을 갖는 버섯배지 안내판; 및
    상기 기체의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의 저부에 장착된 한쌍의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제1가동판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안내홈들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설치된 한쌍의 고정식 버섯배지 이송대와 상기 안내홈 내부에서 상기 버섯배지 이송대와 버섯배지를 수용할수 있는 거리를 두고 대향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가동판과 일체로 연결된 제2가동판으로부터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이동식 버섯배지 이송대와 상기 이동식 버섯배지 이송대의 일측에서 기체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식 버섯배지 이송대와 고정식 버섯배지 이송대를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왕복이동 하기 위한 신축작동을 하는 제1이송 실린더,및 상기 제1실린더와는 별개로 되어 상기 이동식 버섯배지 이송대를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신축작동을 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이송 실린더의 신축작동시 상기 고정식 버섯배지 이송대와 이동식 버섯배지와 같이 이동되면서 상기 버섯배지의 이동을 허용하는 제2실린더로 이루어진 버섯배지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1타공부는, 상기 기체의 상부에 구비된 지지틀체의 고정대에 상,하로 이동되게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바들과, 이 가이드 바들의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바들과 같이 상,하로 이동되게 한 가압판과, 이 가압판의 하부에 탈착되게 결합된 고정판을 구비하고 이 고정판과 가압판의 양단에 형성된 안내공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지지바들과, 상기 지지바들의 하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버섯 배지를 유동됨이 없이 누르도록 한 고정 지지판과, 상단부들은 상기 고정판의 체결공들에 대하여 체결용 너트로 탈착되게 결합되는 반면 하부는 상기 고정 지지판의 각 안내공들의 내부로 상,하이동되게 이동되게 위치되어 상기 고정 지지판에 의해 눌려지는 상기 버섯 배지에 대하여 원하는 개수의 버섯 발이용 구멍들을 타공하는 봉형상의 다수개의 타공침들과,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어 상기 가압판에 피스톤 로드의 가압력이 부여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타공침들로 하여금 버섯 배지에 타공을 할수 있게 하면서 상기 고정지지판으로 하여금 상기 버섯배지의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지지하는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된 가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는, 상기 제1타공부와 인접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타공부에 의해 제1차 타공된 후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버섯배지의 제2차 타공을 위하여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으로부터 버섯배지의 저부를 지지하여 소정 높이로 상승 이동시키었다가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 상면으로 하강시키는 버섯배지 지지공간을 제공하는 사각틀 형상의 버섯배지승강대와, 상기 버섯배지승강대의 양단으로부터 입설되어 상기 지지틀체의 고정대에 이동되게 결합된 가이드바와, 상기 버섯배지승강대의 어느 일측에서 상기 버섯배지승강대의 상승된 높이와 대응위치의 지지틀체에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승강대에 수용지지된 버섯배지가 일측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지지하는 다수개의 통공들을 갖는 상기 버섯배지 멈춤용 지지대와, 그리고 상기 고정대의 상부 중앙에 장착되어 상기 버섯배지승강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버섯배지승강대를 승,하강 시키는 신축작동을 하는 버섯배지 승하강실린더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제2타공부는, 상기 지지틀체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대에 상,하로 이동되게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바들과, 이 가이드 바들의 선단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바들과 같이 전,후로 이동되게 한 가압판과, 이 가압판의 일측에 탈착되게 결합된 고정판을 구비하고 이 고정판과 가압판의 양단에 형성된 안내공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지지바들과, 이 지지바들의 선단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상기 버섯배지승강대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기 버섯 배지를 상기 버섯배지 멈춤용 지지대에 대하여 유동됨이 없도록 고정지지하는 고정 지지판과, 일측단부들은 상기 고정판판의 체결공들에 대하여 체결용 너트로 탈착되게 결합되는 반면 타측단부는 상기 고정 지지판의 각 안내공들의 내부로 전후 이동되게 위치되어 상기 고정 지지판에 의하여 버섯배지 멈춤용 지지대 측으로 눌려지는 상기 버섯 배지의 측면으로 원하는 개수의 버섯 발이용 구멍들을 설치하기 위한 제2차 타공을 실시하는 봉형상의 다수개의 타공침들과, 상기 고정대에 장착되어 상기 가압판에 피스톤 로드의 가압력이 부여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다수개의 천공침들로 하여금 버섯 배지에 타공을 할수 있게 하면서 상기 고정지지판으로 하여금 상기 버섯배지의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지지하는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된 가압 실린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KR1020160104598A 2016-08-18 2016-08-18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KR20180020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98A KR20180020378A (ko) 2016-08-18 2016-08-18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98A KR20180020378A (ko) 2016-08-18 2016-08-18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378A true KR20180020378A (ko) 2018-02-28

Family

ID=6140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598A KR20180020378A (ko) 2016-08-18 2016-08-18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037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4307A (zh) * 2020-04-02 2020-06-12 台州市莱恩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圆柱形菌袋刺孔机
CN111264308A (zh) * 2020-04-02 2020-06-12 台州市莱恩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菌袋刺孔机的穿刺机构
CN111670756A (zh) * 2020-06-29 2020-09-18 郑世芳 一种菌棒便捷打孔装置
KR20200002490U (ko) * 2019-05-07 2020-11-17 황재석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
KR20210001839U (ko) 2020-02-05 2021-08-13 황재석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90U (ko) * 2019-05-07 2020-11-17 황재석 버섯종균 자동 접종기
KR20210001839U (ko) 2020-02-05 2021-08-13 황재석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CN111264307A (zh) * 2020-04-02 2020-06-12 台州市莱恩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圆柱形菌袋刺孔机
CN111264308A (zh) * 2020-04-02 2020-06-12 台州市莱恩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菌袋刺孔机的穿刺机构
CN111670756A (zh) * 2020-06-29 2020-09-18 郑世芳 一种菌棒便捷打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0378A (ko)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KR101290414B1 (ko) 버섯 재배용 포트병의 배지 타공 장치
CN203936249U (zh) 钣金冲孔头装置
CN103736908B (zh) 一种用于铆压带上下附件的链条的铆压机
CN108812081A (zh) 一种食用菌菌包打孔装置
CN108274291A (zh) 一种具有多工位的全自动打孔机的传送装置
CN109454925B (zh) 一种瓦楞纸加工用打孔装置
CN104509372A (zh) 菌袋自动打孔机
CN104816345A (zh) 鞋底冲切打料输送装置
CN108081368A (zh) 一种可调节自动打孔机
CN215913128U (zh) 一种云吞皮生产用自动切片装置
CN207669492U (zh) 一种具有陶瓷坯料打孔功能的切割装置
CN207206788U (zh) 一种钢化玻璃用打孔设备
US2595305A (en) Rolling, stamping, and cutting machine for dough
CN206551251U (zh) 一种压痕机
CN106271596B (zh) 一种沙发自动化装配生产线
US4216566A (en) Tenderizer
CN210066125U (zh) 一种绗缝机的压料装置
CN104162591A (zh) 钣金冲孔头装置
KR101596851B1 (ko) 구근류의 외피 제거장치
CN104942875A (zh) 一种自动钉孔机
CN103892521B (zh) 一种高跟鞋中底与腰铁的自动铆接设备
KR200495555Y1 (ko)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CN108157066B (zh) 一种食用菌接种装置
CN204748781U (zh) 一种自动钉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