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555Y1 -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 Google Patents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555Y1
KR200495555Y1 KR2020200000430U KR20200000430U KR200495555Y1 KR 200495555 Y1 KR200495555 Y1 KR 200495555Y1 KR 2020200000430 U KR2020200000430 U KR 2020200000430U KR 20200000430 U KR20200000430 U KR 20200000430U KR 200495555 Y1 KR200495555 Y1 KR 2004955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edium
mushroom
perforated
guid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839U (ko
Inventor
황재석
Original Assignee
황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석 filed Critical 황재석
Priority to KR2020200000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555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8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8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5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5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는, 타공을 위한 버섯배지의 투입과 배출을 자동으로 실행되게 하고, 또한 버섯배지의 사면(四面)에 타공을 하는 경우에도 버섯배지 자체의 위치 변동 없이 사면 모두에 동시에 타공을 실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Automatic Punching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Badges}
본 고안은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로는 타공을 위한 입봉(入封)버섯배지(이하 '버섯배지'라 칭한다)의 투입과 배출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게 하면서, 버섯배지의 타공작업은 버섯배지의 사면(四面)모두에서 동시에 실행할 수 있게 구성하여, 버섯배지에 대한 타공 작업 속도를 보다 신속히 진행될 수 있게한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 재배의 생산성 향상 및 경제성 제고를 위해, 버섯 종균의 배양과 이 배양을 통한 재배를 공정 단위로 자동화하기 위한 연구가 할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버섯재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작업의 하나로 버섯배지에 접종된 버섯종균의 원활한 배양을 하기위한 목적에서 버섯배지에 구멍을 설치하는 타공 작업을 자동화하고 있는데, 이 버섯배지의 타공에 대한 자동화 기술이 하기 특허문헌들에 공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표 된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버섯배지를 타공위치로 이송하는 버섯배지 이송부;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버섯배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상태의 버섯발이용 구멍들을 타공하며, 상기 버섯배지의 크기에 따라 제1타공침들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 제1타공부; 상기 기체상에서 상기 제1타공부와 인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타공부에 의해 제1차 타공작업이 완료되어 이송된 버섯배지를 승강 이동되게 지지하여 수평상태로 타공되는 제2차 타공 작업을 실시하는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 상기 버섯배지 승강 이동부에 의해 소정 높이로 이동 지지된 상기 버섯배지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상태로 버섯발이용 제2차 타공작업을 하며, 상기 제1타공침들과 같이 버섯배지의 크기에 따라 개수 조절이 가능한 제2타공침들을 갖는 제2타공부를 포함하여,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사각형상의 버섯배지에도 적용될수 있게 한 범용성과, 또한 버섯배지에 타공되는 구멍갯수와 구멍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 편리성과, 그리고 사각 버섯배지의 사면(四面) 모두에 타공을 할수 있게 한 경제성을 갖게 하였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문헌 2 역시 '버섯재배용 배지 자동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 열 및 행을 이루어 재배병이 수납된 수납박스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장치가 연결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작업대 상측에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재배병에 수용된 배지를 선택적으로 타공하는 복수개의 타공봉이 구비된 타공부; 상기 타공부에 연결된 연동로드에 의해 상측으로 소정의 이격길이를 가지고 구속되어 연결되며, 상기 재배병에 수용된 배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선택적인 가압을 위한 프로파일을 갖도록 외주가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타공부와 승강로드를 통하여 힌지 연결되며 구동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캠부; 및 상기 캠부의 일면측에 배치되되, 상기 캠부의 외주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베어링이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부의 하측에는 상기 재배병의 어깨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어깨고정부가 구비되되, 상기 어깨고정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가압스프링으로 연결되며, 상기 어깨고정부는 상기 가압부와 연장로드에 의해 상측으로 소정의 유격길이를 가지고 구속되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 배지 자동 타공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 3 또한 '버섯 재배용 배지를 배지봉투에 자동으로 투입하고, 종균 접종구를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어 일련의 과정이 보다 효율적이고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버섯배지 자동 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교반부재와, 교반부재를 회전시키기위한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호퍼와;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방향의 중심축과, 중심축을 스텝회동시키는 중심축 회전구동부와, 중심축 하부에 연결되어 중심축과 같이 회전되는 받침판과, 중심축에 연결되어 중심축과 같이 회전되고 받침판과 마주보도록 받침판 상부에 받침판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과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관통홀 가이드면을 구비한 주입판을 포함하는 회전유닛과; 주입판 하부 일측에 관통홀마다 설치되고, 받침판에 의해 지지되며 관통홀에 삽입되는 배지봉투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부와; 메인프레임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주입판 상부에 위치하고, 가압액추에이터와, 가압액추에이터 하부에 연결되는 배지봉투에 투입된 배지를 다지고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다수의 타공봉, 가압액추에이터와 타공봉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타공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타공부와; 호퍼용 회전구동부와 중심축 회전구동부와 가압액추에이터와 타공봉용 회전구동부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중 특허문헌1에 개시된 버섯배지 타공장치의 경우, 버섯배지의 투입과 배출이 수작업으로 진행되게한 구성으로 인한 타공 작업속도의 저하로 타공 작업성을 떨어지게 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버섯배지의 사면(四面)에 타공을 실행함에 있어서도, 버섯배지를 타공침과 대면하는 위치로 바꿔야 만 되므로 인한 타공 작업 속도의 저하 요인이 되게 함은 물론 타공기의 구성 또한 복잡하게 하는 요인으로 제작 단가의 상승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나머지 특허문헌2,3의 선행기술에서도 여전히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타공을 하기 위한 버섯배지의 투입과 배출을 자동으로 실행되게 함은 물론 버섯배지의 사면(四面)에 타공을 하는 경우에도 동시에 타공을 실시할 수 있게 하는 버섯배지 타공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공개번호 제10-2018-0020378호 KR 등록번호 제10-1068819호 KR 공개번호 재10-2016-0063752호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타공을 위한 버섯배지의 투입과 배출을 자동으로 실행되게 하고, 또한 버섯배지의 사면(四面)에 타공을 하는 경우에도 버섯배지 자체의 위치 변동 없이 사면 모두에 동시에 타공을 실시하는 신속한 타공으로 버섯배지의 타공 작업성과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킨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는, 바닥으로부터 입설(立設)되는 기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입봉(入封)상태의 버섯배지의 사면(四面) 모두에 소정 크기의 버섯발이용 구멍들을 동시에 타공하도록 된 버섯배지 타공부; 상기 타공부의 양측에서 상기 기체로부터 접이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타공부에 타공용 버섯배지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측 안내로와 타공된 버섯배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측 안내로를 각각 제공하는 버섯배지 안내판부; 상기 버섯배지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타공부의 상,하부 위치에 상기 공급측 안내로와 배출측 안내로를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길게 배치하여 상기 버섯배지를 상기 타공부측으로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버섯배지 가이드부;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부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전진이동시에는 상기 공급측 안내로에 놓여지는 상기 버섯배지를 상기 공급측 안내로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를 통하여 상기 타공부의 타공위치로 이송 시키고, 상기 버섯배지의 타공시에는 원래 위치로 후진이동하여 새롭게 놓여진 상기 버섯배지를 상기 타공부로 이송하면서 앞서 타공된 버섯배지를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밀어서 상기 배출측 안내로를 통해 배출할 수 있게 하는 버섯배지 이송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버섯배지 타공부는, 상기 기체의 상,하부와 좌,우측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판체에 상.하,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 한쌍씩의 가동바와, 상기 가동바의 어느 일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동바들과 같이 이동되게 한 가동판들과, 이 가동판들에 각각 탈부착되게 체결되어 상기 공급측 안내로로부터 이송된 상기 버섯 배지의 상,하면 및 좌,우측면 모두에 원하는 개수의 버섯 발이용 구멍들을 동시에 타공할 수 있게 한 다수개의 타공침들과, 상기 가동바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판체에 각각 고정하되 가동 로드는 상기 가동판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타공침이 상기 버섯배지를 타공할 수 있는 가압력을 상기 가동판에 부여하는 타공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부는, 상기 기체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게 위치되어 내측으로 요입된 상기 공급측 안내로와 배출측 안내로를 제공하는 안내판들과, 상기 기체의 양측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실린더부는 상기 기체측에 회동되게 결합된 반면 로드는 상기 안내판들의 저부측으로 각각 회동되게 결합되어 상기 안내판들을 각각 접거나 혹은 펼칠수 있는 동력을 부여하는 접이용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는, 상기 기체의 어느 일측에서 상기 공급측 안내로와 나란 하게 설치된 버섯배지 이송실린더와, 상기 버섯배지 이송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공급측 안내판의 상부에서 공급측 안내판을 따라서 자유롭게 전.후진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측 안내판에 놓이는 상기 버섯배지를 밀어서 상기 타공부로 이송하는 ㄱ자형 가압편, 및 상기 가압편의 상기 버섯배지와 접촉면부에 착탈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에 완충용 쿳션력을 부여하는 쿳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버섯배지 가이드부는, 상기 버섯배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타공하기 위해 상기 버섯배지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타공침들과 대면하는 상,하부 위치에 안내판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길게 배치하여 기체에 지지되게 한 안내바들, 및 상기 기체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바들을 지지하면서 상기 버섯배지들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안내바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절공을 갖는 조절편과 이 조절편의 장공을 통하여 상기 기체에 체결된 조절볼트로 이루어진 안내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타공침들은 상기 버섯배지의 크기에 따라 개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타공을 위한 버섯배지의 투입과 배출의 자동화로 타공작업 속도를 향상시킨 효과를 부여하고, 또한 버섯배지의 위치 변동 없이도 버섯배지의 사면(四面) 모두에 타공의 실행으로 타공 속도와 타공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킨 효과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에서 버섯배지 안내판부의 작동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주요(主要)부인 타공부위 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I - I선 방향에서 보아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것으로, 타공침의 사이에 위치한 버섯배지의 사면이 타공침에 의하여 동시에 타공되는 상태를 표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 표시의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의 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100)는, 상기한 도 1 내지 도 4의 표시와 같이, 바닥으로부터 입설(立設)되는 기체(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입봉(入封)상태의 버섯배지(10)의 사면(四面) 모두에 소정 크기의 버섯발이용 구멍들(12)들을 동시에 타공하도록 된 버섯배지 타공부(110); 상기 버섯배지 타공부(110)의 양측에서 상기 기체(101)로부터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접이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 타공부(110)에 타공용 버섯배지(10)를 공급하는 공급측 안내로(121)와 타공된 버섯배지를 배출하는 배출측 안내로(122)를 각각 제공하는 버섯배지 안내판부(120); 상기 버섯배지(10)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타공부(110)의 상,하부 위치에 상기 안내로들(121,122)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길게 배치하여 상기 버섯배지(10)를 상기 타공부(110)측으로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버섯배지 가이드부(140);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부(120)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전진 이동시에는 상기 공급측 안내로(121)에 놓여지는 상기 버섯배지(10)를 밀어 상기 타공부(110)의 타공위치로 이송 시키고, 상기 버섯배지(10)의 타공시에는 원래 위치로 후진이동하여 새롭게 놓여진 상기 버섯배지(10)를 타공위치로 이송하면서 앞서 타공된 버섯배지(10a)(도 2참조)를 밀어서 상기 배출측 안내로(122)를 통해 외부로 신속히 배출할 수 있게 하는 버섯배지 이송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타공부(110)는, 상기 기체(101)의 상,하부 및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고정판체(111-1,111-2)(112-1,112-2)에 상.하, 전.후로 이동되게 설치된 한쌍씩의 가동바(113-1,113-2)(114-1,114-2)와, 상기 가동바(113-1,113-2)(114-1,114-2)의 어느 일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동바들(113-1,113-2)(114-1,114-2)과 같이 상.하, 좌.우로 이동되게 한 가동판들(115-1,115-2)(116-1,116-2)과, 이 가동판들(115-1,115-2)(116-1,116-2)에 각각 탈부착되게 체결되어 상기 공급측 안내로(121)를 따라서 이송된 상기 버섯 배지의 상,하부 및 좌,우측면 모두에 원하는 개수의 버섯 발이용 구멍들(12)을 동시에 타공할 수 있게 한 다수개의 타공침들(117-1,117-2)(118-1,118-2)과, 상기 가동바(113-1,113-2)(114-1,114-2)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판체(111-1,111-2)(112-1,112-2)에 각각 고정하되 가동 로드부분은 상기 가동판(115-1,115-2)(116-1,116-2)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타공침(117-1,117-2)(118-1,118-2)이 상기 버섯배지(10)를 타공할 수 있는 가압력을 상기 가동판(115-1,115-2)(116-1,116-2)의 각각에 부여하는 타공 실린더들(119-1,119-2)119-3,119-4)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타공침들(117-1,117-2)(118-1,118-2)은 상기 버섯배지(10)의 크기에 따라 개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타공침들(117-1,117-2)(118-1,118-2)의 개수 조절은 상기 가동판들(115-1,115-2)(116-1,116-2)에 탈부착되게 체결된 상기 타공침들(117-1,117-2)(118-1,118-2)의 분리 혹은 결합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면(도 4참조)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가이드부(140)는 상기 버섯배지 타공부(110)에 이송된 상기 버섯배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타공하기 위해 상기 버섯배지(10)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타공침들(117-1,117-2)(118-1,118-2)과 대면하는 상,하부에 상기 안내로(121,122)를 연결하는 상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길게 배치하여 기체(101)에 지지되게 한 안내바들(141)과 상기 기체(101)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바들(141)을 지지하면서 상기 버섯배지(10)들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안내바들(141)의 간격(d)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절용 장공(142)을 갖는 조절편(144)과 이 조절편(144)의 조절용 장공(142)을 통하여 상기 기체(101)에 체결된 조절볼트(145)로 이루어진 안내바 조절부(146)를 포함한다.
도면(도 5a 참조)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부(120)는, 상기 기체(101)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게 위치되어 내측으로 요입된 상기 안내로들(121,122)을 제공하는 안내판들(123,124)과, 상기 기체(101)의 양측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실린더부는 상기 기체(101)측에 회동되게 결합된 반면 로드는 상기 안내판들(123,124)의 각 저부측으로 각각 회동되게 결합되어 상기 안내판들(123,124)을 각각 접거나 혹은 펼칠수 있는 동력을 부여하는 접이용 실린더들(125-1,125-2)을 포함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30)는, 상기 기체(101)의 어느 일측에서 상기 안내로(121)와 나란 하게 설치된 버섯배지 이송실린더(132)와, 상기 이송실린더(132)의 로드 단부에 상기 안내판(123)의 상부에서 상기 안내판(123)을 따라서 자유롭게 전,후진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안내판(123)에 놓이는 상기 버섯배지(10)를 밀어서 상기 타공부(110)측으로 이송하는 ㄱ자형 가압편(134), 및 상기 가압편(134)의 상기 버섯배지(10)와 접촉면부에 착탈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10)에 완충용 쿳션력을 부여하는 쿳션(136)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100)의 작용일예를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버섯종균이 접종되어 있고 전체가 비닐봉투에 랩핑 상태로 입봉되어 대략 직육면체의 사각형을 이루는 버섯배지(10)가 공급측의 안내판(123)의 상부로 놓이게 되면, 버섯배지 타공부(110)의 타공 실린더들(119-1,119-2)(119-3,119-4)(도 1내지 도 4참조)은 도 5a의 표시와 같이 수축 작동된 상태이어서 타공침들(117-1,117-2)(118-1,118-2)역시 수축된 후진 상태를 이루게 하여, 상기 버섯배지(10)가 상기 타공침들(117-1,117-2)(118-1,118-2)(도 1내지 도4참조)의 사이로 자유롭게 이송할 수 있게 한다.
이와 아울러 버섯배지 이송부(130)또한 이송실린더(132)가 신장된 상태를 이루어 공급측 안내판(123)의 공급측 안내로(121)에 버섯배지(10)를 자유롭게 놓을 수 있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130)의 버섯배지 이송실린더(132)의 수축 작동이 개시되면, 상기 버섯배지 이송실린더(132)는 수축 작동과 함께 상기 안내판(123)에 놓인 상기 버섯배지(10)를 가압편(134)이 밀어서 상기 타공부(110)측의 버섯배지 가이드부(140)를 이루는 안내바들(141)(도 1내지 도4참조)의 사이로 이송되게 한다. 상기 버섯배지(10)는 상기 안내바들(141)에 의해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타공부(110)의 상기 타공침들(117-1,117-2)(118-1,118-2)(도 1내지 도4참조)의 사이로 상기 타공침들(117-1,117-2)(118-1,118-2)(도 1내지 도4참조)과 대면하는 상태를 이루며 안정적으로 위치한다.
상기 버섯배지 이송실린더(132)의 수축 이동거리는 상기 버섯배지(10)를 상기 타공침들(117-1,117-2)(118-1,118-2)(도 1내지 도4참조)에 대면하여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한 거리로 설정되어 있어, 상기 버섯배지(10)를 상기 타공침들(117-1,117-2)(118-1,118-2)(도 1내지 도4참조)과 대면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킬수 있다. 상기 버섯배지(10)를 타공부(110)측으로 위치 시킨 상기 버섯배지 이송 실린더(132)는 원래 위치로 즉시 복귀되어 상기 공급측 안내판(123)에 놓이게 되는 상기 버섯배지(10)를 다시 상기 타공부(110)로 이송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하고, 그 사이에 상기 타공부(110)는 상기 버섯배지(10)에 타공을 실시한다.
상기 타공부(110)는 상기 버섯배지(10)의 이송이 확인되면, 상기 타공 실린더들(119-1,119-2)(119-3,119-4)(도 1내지 도 4참조)의 전진 작동이 개시된다. 상기 타공 실린더들(119-1,119-2)(119-3,119-4)(도 1내지 도 4참조)의 전진 작동은 가동판들(115-1,115-2)(116-1,116-2)의 타공침들(117-1,117-2)(118-1,118-2)(도 1내지 도 4참조)이 상기 버섯배지(10)의 상.하, 좌.우측 모두에서 동시에 상기 버섯배지(10)의 내부로 깊숙하게 들어가는 상태를 이루면서 버섯종균 발이용 숨구멍을 형성 하여, 종래(선행기술 포함)의 일일히 버섯배지를 이동하는 시간 지연 없이 즉각적으로 타공 작업을 실시하는 이익을 부여한다.
상기 타공 실린더들(119-1,119-2)(119-3,119-4)역시 전진 이동 거리가 기 설정되어 있어서, 설정된 전진 이동 후에는 즉시 원래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이송실린더(132)에 의하여 이송되는 또 다른 버섯배지(10)에 타공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버섯배지(10)는 상기 안내바들(14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여 타공작업이 실시되므로, 상기 타공침들(117-1,117-2)(118-1,118-2)(도 1내지 도 4참조)이 상기 버섯배지(10)의 상.하 및 좌.우측 모두에서 상기 버섯배지(10)의 내부로 깊숙하게 들어가는 상태를 이루더라도 상기 버섯배지(10)는 상기 안내바들(141)에 걸리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타공침들(117-1,117-2)(118-1,118-2)은 상기 버섯배지(10)로부터 신속히 이탈하여 후진이동하면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타공부(110)에 의한 타공 작업이 완료된 타공된 버섯배지(10a)는 도 5c의 표시와 같이, 상기 이송실린더(132)에 의하여 새롭게 이송되는 또 다른 버섯배지(10)에 의하여 밀리면서 상기 타공부(110)로부터 안내바(141)의 안내를 받으면서 배출측 안내판(124)을 따라서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시킨다.
이러한 타공 작업은 타공할 버섯배지(10)가 공급되는 한 반복하여 실행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버섯 배지의 자동 타공장치(100)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연속 작동되게 자동화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화 구성은 다양한 변경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 만을 특정하여 설명하는 것은 생략하였다.
한편, 상기 버섯배지 안내부(120)의 안내판들(123,124)은, 보통시에는 접이용 실린더들(125-1,125-2)을 작동하여 도 2의 표시와 같이 접힌 상태를 자유롭게 유지함에 의해, 좁은 공간에서도 운반 혹은 보관이 가능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게 하는 이익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버섯배지 타공부(110)의 안내바 조절부(140)는 상기 타공부(110)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버섯배지(10)의 크기에 맞게 상기 안내바(141)의 간격(d)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 조절은 상기 안내바들(141)을 지지하는 조절편(144)의 조절용 장공(142)에 체결된 조절볼트(145)를 해체하여 상기 조절용 장공(142)을 따라 이동함에 의해, 상기 안내바들(141)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버섯배지(10)가 위치되는 내부공간을 상기 버섯배지(10)의 부피에 맞게 좁게 하거나 혹은 넓게 변경할 수 있는 이익을 부여한다.
상기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가 아니라,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개시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 된다.
100 :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110 : 버섯배지 타공부
113-1,113-2,114-1,114-2 : 가동바
115-1,115-2, 116-1,116-2 : 가동판
117-1,117-2, 118-1,118-2 : 타공침
119-1,119-2, 119-3,119-4 : 타공 실린더
120 : 버섯배지 안내판부
121,122 : 안내로
123,124 : 안내판
125-1,125-2 : 접이용 실린더
130 : 버섯배지 이송부
132 : 이송실린더
134 : 가압편
136 : 쿳션
140 : 버섯배지 가이드부
141 : 안내바
142 : 조절용 장공
144 : 조절편
145 : 조절볼트
146 : 안내바 조절부
10 : 버섯배지

Claims (6)

  1. 바닥으로부터 입설(立設)되는 기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입봉(入封)상태의 버섯배지의 사면(四面) 모두에 소정 크기의 버섯발이용 구멍들을 동시에 타공하도록 된 버섯배지 타공부;
    상기 타공부의 양측에서 상기 기체로부터 접이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타공부에 타공용 버섯배지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측 안내로와 타공된 버섯배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측 안내로를 각각 제공하는 버섯배지 안내판부;
    상기 버섯배지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타공부의 상,하부 위치에 상기 공급측 안내로와 배출측 안내로를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길게 배치하여 상기 버섯배지를 상기 타공부측으로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버섯배지 가이드부; 및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부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전진이동시에는 상기 공급측 안내로에 놓여지는 상기 버섯배지를 상기 공급측 안내로로부터 상기 가이드부를 통하여 상기 타공부의 타공위치로 이송 시키고, 상기 버섯배지의 타공시에는 원래 위치로 후진이동하여 새롭게 놓여진 상기 버섯배지를 상기 타공부로 이송하면서 앞서 타공된 버섯배지를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밀어서 상기 배출측 안내로를 통해 배출할 수 있게 하는 버섯배지 이송부;를 포함하는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 타공부는, 상기 기체의 상,하부와 좌,우측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판체에 상.하,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 한쌍씩의 가동바와, 상기 가동바의 어느 일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동바들과 같이 이동되게 한 가동판들과, 이 가동판들에 각각 탈부착되게 체결되어 상기 공급측 안내로로부터 이송된 상기 버섯 배지의 상,하면 및 좌,우측면 모두에 원하는 개수의 버섯 발이용 구멍들을 동시에 타공할 수 있게 한 다수개의 타공침들과, 상기 가동바의 사이에서 상기 고정판체에 각각 고정하되 가동 로드는 상기 가동판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타공침이 상기 버섯배지를 타공할 수 있는 가압력을 상기 가동판에 부여하는 타공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 안내판부는, 상기 기체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게 위치되어 내측으로 요입된 상기 공급측 안내로와 배출측 안내로를 제공하는 안내판들과, 상기 기체의 양측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실린더부는 상기 기체측에 회동되게 결합된 반면 로드는 상기 안내판들의 저부측으로 각각 회동되게 결합되어 상기 안내판들을 각각 접거나 혹은 펼칠수 있는 동력을 부여하는 접이용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 이송부는, 상기 기체의 어느 일측에서 상기 공급측 안내로와 나란 하게 설치된 버섯배지 이송실린더와, 상기 버섯배지 이송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공급측 안내판의 상부에서 공급측 안내판을 따라서 자유롭게 전.후진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측 안내판에 놓이는 상기 버섯배지를 밀어서 상기 타공부로 이송하는 ㄱ자형 가압편, 및 상기 가압편의 상기 버섯배지와 접촉면부에 착탈하게 설치되어 상기 버섯배지에 완충용 쿳션력을 부여하는 쿳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배지 가이드부는, 상기 버섯배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타공하기 위해 상기 버섯배지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상기 타공침들과 대면하는 상,하부 위치에 안내판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길게 배치하여 기체에 지지되게 한 안내바들, 및 상기 기체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바들을 지지하면서 상기 버섯배지들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안내바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조절공을 갖는 조절편과 이 조절편의 장공을 통하여 상기 기체에 체결된 조절볼트로 이루어진 안내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침들은 상기 버섯배지의 크기에 따라 개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KR2020200000430U 2020-02-05 2020-02-05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KR2004955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30U KR200495555Y1 (ko) 2020-02-05 2020-02-05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30U KR200495555Y1 (ko) 2020-02-05 2020-02-05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39U KR20210001839U (ko) 2021-08-13
KR200495555Y1 true KR200495555Y1 (ko) 2022-06-22

Family

ID=77314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430U KR200495555Y1 (ko) 2020-02-05 2020-02-05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55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81B1 (ko) 2010-09-13 2011-06-09 신근영 버섯 배지 탈병장치
KR101290414B1 (ko) 2012-06-07 2013-07-26 김영애 버섯 재배용 포트병의 배지 타공 장치
KR101604603B1 (ko) 2015-07-13 2016-03-18 (주)미래멀티텍 버섯배양 자동화장치
KR101693552B1 (ko) 2014-10-02 2017-01-17 김경화 버섯 재배봉지용 배지 충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19B1 (ko) 2011-05-02 2011-10-04 디엠에스코리아(주) 버섯재배용 배지 자동 타공장치
KR101750924B1 (ko) 2014-11-27 2017-06-26 유진균 버섯배지 자동 타공장치
KR20160129960A (ko) * 2015-04-30 2016-11-10 주식회사 병선테크 버섯재배용 배지 입봉장치
KR20180020378A (ko) 2016-08-18 2018-02-28 황재석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81B1 (ko) 2010-09-13 2011-06-09 신근영 버섯 배지 탈병장치
KR101290414B1 (ko) 2012-06-07 2013-07-26 김영애 버섯 재배용 포트병의 배지 타공 장치
KR101693552B1 (ko) 2014-10-02 2017-01-17 김경화 버섯 재배봉지용 배지 충진장치
KR101604603B1 (ko) 2015-07-13 2016-03-18 (주)미래멀티텍 버섯배양 자동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39U (ko)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4863B1 (ko) 누에고치의 번데기 취출장치
DE1965422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n Flachmaterial
KR20180020378A (ko) 버섯 배지용 타공장치
JPH02124295A (ja) 多軸穿孔装置
KR101068819B1 (ko) 버섯재배용 배지 자동 타공장치
KR200495555Y1 (ko) 버섯배지의 자동 타공장치
KR20120051911A (ko) 원목용 천공장치
CN107432194A (zh) 一种全自动食用菌菌棒打孔装置
CN107864724B (zh) 一种定植槽移栽机
JP4598101B2 (ja) きのこ種菌接種装置
CN210059877U (zh) 一种电机圆周侧面打孔装置
JP2002171840A (ja) 水耕苗の定植装置
KR101839698B1 (ko) 버섯 재배용 배지의 수분 배출을 위한 타공장치
CN212393202U (zh) 一种烤烟移栽定距打孔装置
CN107825529A (zh) 一种多位置木板打孔装置
KR100526325B1 (ko) 아이스크림 용기 공급장치
CN205169846U (zh) 一种物料自动堆叠输送装置
KR101101764B1 (ko) 펀칭장치
KR20210002097U (ko) 버섯 재배용 배지 입봉 장치
CN220146105U (zh) 一种服装设备自动裁床的打孔装置
CN116098020A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气控菌袋均匀打眼机
CN204748781U (zh) 一种自动钉孔机
CN206201721U (zh) 一种线装书的打孔设备
CN205969258U (zh) 一种清废机中顶针的控制机构及含有该机构的清废机
CN206030326U (zh) 一种自动拆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