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11Y1 -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11Y1
KR200493311Y1 KR2020190002931U KR20190002931U KR200493311Y1 KR 200493311 Y1 KR200493311 Y1 KR 200493311Y1 KR 2020190002931 U KR2020190002931 U KR 2020190002931U KR 20190002931 U KR20190002931 U KR 20190002931U KR 200493311 Y1 KR200493311 Y1 KR 200493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coupled
joint pipe
coupling member
combu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163U (ko
Inventor
정오성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롬스
정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롬스, 정오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롬스
Priority to KR2020190002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1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4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from below through an opening in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0Under-feed arrangements
    • F23K3/12Under-feed arrangements feeding by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고형연료 이송장치는 조인트 파이프와, 상기 조인트 파이프의 측면에 결합되어 고형연료를 조인트 파이프로 이송하기 위한 제1연료이송부와, 상기 조인트 파이프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인트 파이프로 이송된 고형연료를 연소기로 공급하기 위한 제2연료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파이프의 측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료이송부는 상기 조인트 파이프의 측면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고 상부에는 고형연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압축프레임과, 상기 압축프레임에 결합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압축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로부터 인출되는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연결되어 고형연료를 밀어주는 푸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Device for transferring solid fuel for a combus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DF, RPF, 바이오매스 등의 고형연료를 연소기에 공급하기 위한 고형연료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온수, 스팀 또는 고온의 가스를 필요로 하는 산업시설에서는 열에너지를 얻기 위해 연소통 내부에서 연료를 점화,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소장치가 이용되고 있고, 또한 이러한 연소장치에 사용되는 연료로서 생활폐기물을 연료화한 RDF 또는 폐플라스틱을 연료화한 RPF, 바이오매스(우드팰릿, 우드칩, 팜 부산물 팰릿, 왕겨 팰릿 등) 등의 고형연료(SRF, Solid Refuge Fuel)가 경제성과 자원재활용 측면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형연료를 연소장치에 공급하여 연소시키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한 기존의 고형연료 이송장치(200)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고형연료 이송장치(200)에서는 먼저 고형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호퍼(미도시)로부터 수평이송스크류(미도시)에 의해 연료투입볼(210)로 고형연료가 투입된다. 연료투입볼(210)에 투입된 고형연료는 연료투입볼(210)의 정면에 배치되는 제1연료이송부(230)의 유압실린더(231)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로드(232)가 유압실린더(231)로부터 인출되고 실린더로드(232)에 결합된 결합부재(235)의 단부에 구비되는 푸쉬부재(233)가 연료투입볼(210)에 투입된 고형연료를 조인트 파이프(240)의 내부로 밀어주게 된다.
이 때 유압실린더(231)의 작동은 유압실린더(231)의 좌우 양쪽에 배치되어 결합부재(235)에 결합된 환봉(234)이 결합부재(235)와 함께 전후 이동하게 되는데 이 환봉(234)의 전후 위치를 감지센서(미도시)가 감지하여 유압실린더(231)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 다음 제2연료이송부(220)의 유압실린더(221)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로드(222)가 유압실린더(221)로부터 인출되고 실린더로드(222)에 결합된 결합부재(225)의 단부에 구비되는 푸쉬부재(223)가 조인트 파이프(240) 내부의 고형연료를 연결파이프(250)를 거쳐 연료공급관(210)에 연결된 연료이송관(190)으로 밀어 주게 된다.
이 때 유압실린더(221)의 작동은 제1연료이송부(230)와 마찬가지로 유압실린더(221)의 좌우 양쪽에 배치되어 결합부재(225)에 결합된 환봉(224)이 결합부재(225)와 함께 전후 이동하면서 이 환봉(224)의 전후 위치를 감지센서(미도시)가 감지하여 유압실린더(221)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1연료이송부(230)와 제2연료이송부(220)의 반복적 작동에 의해 일정량의 고형연료가 계속적으로 연료이송관(190)과 연료공급관(130)을 거쳐 연소실(110) 내로 공급된다.
연소실(110) 내로 공급된 고형연료는 연소기(100) 내부의 화격자(170)로 이동되며, 연소기(100)의 연소통 내부의 내벽(120)으로 둘러싸인 연소실(110) 내에서 외부로부터 연소공기가 공급되어 연소된다.
종래에는 연료공급관(130)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설치되어 이송스크류에 의해 연소실(110) 내로 고형연료가 계속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연료공급관(130)이 막히거나 또는 이송스크류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도시된 장치에서는 연료공급관 내에 이송스크류없이 제1, 2연료이송부(220, 230)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부터 고형연료가 연료공급관(210)을 거쳐 연소실(110) 내로 공급됨으로써 고형연료의 종류나 형태에 관계없이 연료공급관이 막히지 않고 고형연료를 원활하게 연소실(110) 내에 공급할 수 있고, 기존 이송스크류에 비해 마모성이 적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비성형 연료를 정량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이송장치(200)에서는 제2연료이송부(220)의 가동시 누적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물질로 인해 트립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제1연료이송부(230)의 경우에는 작동시 이물질이 많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물질의 배출과 잦은 트립을 방지하고 고형연료를 연소실내로 원활하게 투입할 수 있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는 조인트 파이프와, 상기 조인트 파이프의 측면에 결합되어 고형연료를 조인트 파이프로 이송하기 위한 제1연료이송부와, 상기 조인트 파이프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인트 파이프로 이송된 고형연료를 연소기로 공급하기 위한 제2연료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파이프의 측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료이송부는 상기 조인트 파이프의 측면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고 상부에는 고형연료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압축프레임(336)과, 상기 압축프레임에 결합되는 유압실린더(331)와, 상기 압축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331)로부터 인출되는 실린더로드(332)의 단부에 연결되어 고형연료를 밀어주는 푸쉬부재(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 단부에는 결합부재(335)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에 상기 푸쉬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전진하면서 상기 압축프레임의 투입구를 막는 상부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마모시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결합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마모시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의 후방 내주면에는 상기 투입구의 내주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그 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후진할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 위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방지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프레임에는 상기 투입구의 후방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후진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전방 감지센서와 후방 감지센서가 결합되어 상기 전, 후방 감지센서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전후진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의 전후진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투입구의 전방에 상부 프레임(315a)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315a)의 내부 공간(315)은 압축프레임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푸쉬부재 전진시 트립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연료이송부는 상기 조인트 파이프의 후방에 결합되는 이송프레임(326)과, 상기 이송프레임에 결합되는 유압실린더(321)와, 상기 유압실린더(321)로부터 인출되는 실린더로드(322)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조인트 파이프 내부의 고형연료를 밀어주는 푸쉬부재(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 단부에는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에 상기 푸쉬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전후진을 각각 감지하는 전방 감지센서와 후방 감지센서가 결합되고, 상기 이송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전후방 감지센서의 하방에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전후방 감지센서가 상기 이송프레임 내부에서 이동되는 결합부재의 전후진을 감지함으로써 유압실린더의 전후진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프레임과 조인트 파이프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환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환형부재의 내주면이 상기 결합부재에 접촉하여 결합부재가 전후진시 결합부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 파이프에는 원형 상부에 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 공간부가 확장 형성되어 푸쉬부재 전진시 트립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 파이프에는 원형 하부에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하부 공간부가 확장 형성되어 푸쉬부재 전진시 트립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물질의 배출과 잦은 트립을 방지하여 고형연료를 연소기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도1은 종래 연소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도1에서 고형연료를 연소기 내부로 공급하는 연료 이송장치의 평면도이며,
도3은 도2의 연료 이송장치의 측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고형연료 이송장치의 평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고형연료 이송장치의 측면도이고,
도6은 도5에서 일부 상세도이며,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고형연료 이송장치에서 제1연료이송부의 정면도이고,
도8은 도7의 평면도이며,
도9는 도8에서 일부 상세도이고,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고형연료 이송장치에서 조인트 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고형연료 이송장치의 평면도이며,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고형연료 이송장치의 측면도이고, 도6은 도5에서 일부 상세도이며,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고형연료 이송장치에서 제1연료이송부의 정면도이고, 도8은 도7의 평면도이며, 도9는 도8에서 일부 상세도이고,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고형연료 이송장치에서 조인트 파이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는 외부로부터 고형연료를 연소기(100)의 연료공급관(190)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파이프(340)와, 고형연료를 조인트 파이프(340)로 이송하기 위한 제1연료이송부(330)와, 조인트 파이프(340)로 이송된 고형연료를 연소기(100)의 연료공급관(130)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연료이송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인트 파이프(340)는 연소기(100)의 연료공급관(130)에 연결되는 엘보우 형태의 연료이송관(190)에 연결파이프(350)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조인트 파이프(340)의 측면에는 제1연료이송부(330)가 결합되고, 조인트 파이프(340)의 후단측에는 제2연료이송부(320)가 결합된다.
제1연료이송부(330)가 결합되는 조인트 파이프(340)의 측면에는 개구부(343)가 형성되어 제1연료이송부(330)에 의해 압축이송되는 고형연료가 개구부(343)를 통해 조인트 파이프(340) 내부로 이송된다.
또한, 조인트 파이프(340)의 선단측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연결파이프(350)가 연결되고, 연결파이프(350)는 엘보우 형태로 만곡된 연료이송관(190)이 연결되며, 이 연료이송관(190)에 연소기(100)의 연료공급관(130)이 연결된다.
따라서, 조인트 파이프(340) 내부의 고형연료를 조인트 파이프(340) 후단측에 결합된 제2연료이송부(320)가 밀어 연결파이프(350), 연료이송관(190)을 거쳐 연료공급관(130)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조인트 파이프(34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지지만, 상부에는 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 공간부(344)가 확장되고, 하부에는 사각 단면을 가지는 하부 공간부(345)가 확장 형성되어 이물질로 인해 트립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1연료이송부(330)는 고형연료를 압축하여 조인트 파이프(340) 내부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파이프(340)의 측면에 결합되는 압축프레임(336)과, 유압실린더(331)와, 유압실린더(331)로부터 인출되는 실린더로드(332)의 단부에 연결되어 고형연료를 밀어주는 푸쉬부재(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압축프레임(336)은 조인트 파이프(340)의 측면 개구부(343)에 결합되는 것으로 압축프레임(336)의 전방이 개구되어 조인트 파이프(340)의 측면 개구부(343)와 연통되고, 압축프레임(336)의 상부에는 고형연료가 투입되는 투입구(310)가 형성되며, 압축프레임(336)의 내부에는 유압실린더(331) 및 푸쉬부재(333)가 결합된다.
압축프레임(336)의 상부에 형성되는 투입구(310)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고형연료가 투입되고, 투입구(310)의 후방 내주면에는 배출방지 플레이트(311)가 설치된다. 배출방지 플레이트(311)는 고형연료 및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투입구(310)의 내주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그 단부가 푸쉬부재(333)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337)에 접촉하여 푸쉬부재(333)와 함께 상부 플레이트(337)가 후진할 때 배출방지 플레이트(311)가 상부 플레이트(337) 위의 고형연료 및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압축프레임(336)에서 투입구(310)의 후방에는 전방 감지센서(334)와 후방 감지센서(334)가 결합된다. 전, 후방 감지센서(334)는 유압실린더(331)의 전후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재(335)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플레이트(337)의 전후진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유압실린더(331)의 전후진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종래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로드(232)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35)에 환봉(234)이 유압실린더(231)의 양쪽에서 결합되고 결합부재(235)와 함께 전후진하는 환봉(234)의 이동을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유압실린더(231)의 작동을 제어하였는데 유압실린더(231)의 작동에 따라 환봉(234)이 계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로드(232)와 결합부재(235)간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환봉(234)이 휘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고 환봉(234)의 유압실린더(231)와의 연결부 또는 환봉(234)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가이드 베어링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환봉 및 이러한 문제점 없이 상부 플레이트(337)의 전후진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유압실린더(331)의 전후진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유압실린더(331)는 압축프레임(336) 내부에 결합되어 푸쉬부재(333)를 전방으로 밀기 위한 것으로 유압실린더(331)의 실린더로드(332) 단부에 결합부재(335)가 결합되고, 이 결합부재(335)의 단부에 푸쉬부재(333)가 결합된다. 푸쉬부재(333)는 단면이 원호 형태로 조인트 파이프(340)의 개구부(343)의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데 결합부재(335)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종래에는 푸쉬부재(233)가 결합부재(235)와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푸쉬부재(333)가 결합부재(33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정 마모가 진행된 경우 푸쉬부재(333)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부재(335)의 상부에는 상부 플레이트(337)가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상부 플레이트(337)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그 전단이 푸쉬부재(333)의 상단과 일치되고 상부 플레이트(337)의 후방은 유압실린더(331) 쪽으로 연장되어 후단이 유압실린더(331) 위쪽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337)는 결합부재(335)의 상부에 결합되어 결합부재(335)가 전진하면서 함께 전진하여 투입구(310)를 막게 된다.
따라서, 투입구(310)를 통해 고형연료가 압축프레임(336)의 내부로 유입되면 유압실린더(331)의 실린더로드(332)가 인출되면서 결합부재(335) 및 푸쉬부재(333)가 전진하게 되고, 푸쉬부재(333)는 조인트 파이프(340)의 개구부(343)를 폐쇄하는 위치까지 전진하여 고형연료를 압축하면서 조인트 파이프(340) 내부로 이송하게 된다.
또한, 압축프레임(336)의 상부에는 투입구(310)의 전방에 상부 프레임(315a)이 구비된다. 상부 프레임(315a)은 전단이 압축프레임(336)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부 프레임(315a)의 후단은 투입구(310)를 형성하는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부 프레임(315a)의 내부 공간(315)은 압축프레임(336)의 내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종래 도3에서는 푸쉬부재(233)가 전진할 때 압축프레임의 상부에 딱딱한 이물질이 끼여 트립이 자주 발생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부 프레임(315a)의 내부 공간이 압축프레임(336)과 연통되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상기 제2연료이송부(320)는 조인트 파이프(340)의 후방에 결합되어 조인트 파이프(340)로 이송된 고형연료를 연료공급관(130)으로 이송해주기 위한 것으로,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파이프(340)의 후방에 결합되는 이송프레임(326)과, 유압실린더(321)와, 유압실린더(321)로부터 인출되는 실린더로드(322)의 단부에 연결되어 고형연료를 밀어주는 푸쉬부재(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연료이송부(320)의 이송프레임(326)은 조인트 파이프(340)의 후방에 일직선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이송프레임(326)의 내부에는 유압실린더(321)의 실린더로드(322)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325)가 배치되어 이송프레임(326) 내부에서 유압실린더(321)의 작동에 따라 결합부재(325)가 전후진 하게 된다.
또한, 이송프레임(326)의 상면의 전,후방에는 전방 감지센서(324)와 후방 감지센서(324)가 각각 결합된다. 전, 후방 감지센서(334)는 유압실린더(321)의 전후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프레임(326)의 상부에는 전,후방 감지센서(324)의 하방에 각각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을 통해 전,후방 감지센서(324)가 이송프레임(326) 내부에서 이동되는 결합부재(325)의 전후진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유압실린더(321)의 전후진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종래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로드(222)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25)에 환봉(224)이 유압실린더(221)의 양쪽에서 결합되고 결합부재(225)와 함께 전후진하는 환봉(224)의 이동을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유압실린더(221)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유압실린더(221)의 작동에 따라 환봉(224)이 계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로드(222)와 결합부재(225)간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환봉(224)이 휘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고 환봉(224)의 유압실린더(221)와의 연결부 또는 환봉(224)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가이드 베어링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송프레임(326)의 상부에 결합된 전, 후방 감지센서(324)가 각각의 통공을 통해 결합부재(325)의 전후진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환봉 없이 유압실린더(321)의 전후진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프레임(326)과 조인트 파이프(34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환형부재(342)가 결합된다. 환형부재(342)는 결합부재(325)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장치에서는 유압실린더(221)의 계속적인 작동에 따라 이물질로 인해 트립이 자주 발생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이송프레임(326)과 조인트 파이프(340)가 결합되는 플랜지(341) 사이에 환형부재(342)가 결합되고 환형부재(342)의 내주면이 결합부재(325)에 접촉하여 결합부재(325)가 전후진시 결합부재(325)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트립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유압실린더(321)는 이송프레임(326)의 후방에 결합되어 푸쉬부재(323)를 전방으로 밀기 위한 것으로 유압실린더(321)의 실린더로드(322) 단부에 결합부재(325)가 결합되고, 이 결합부재(325)의 단부에 푸쉬부재(323)가 결합된다. 푸쉬부재(323)는 중앙이 오목한 원판 형태로 결합부재(325)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종래에는 도2에서와 같이 푸쉬부재(223)가 결합부재(225)와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푸쉬부재(323)가 결합부재(32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마모가 진행된 경우 푸쉬부재(323)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연료이송부(330)에 의해 고형연료가 조인트 파이프(340)의 내부로 유입되면 제2연료이송부(320)에서 유압실린더(321)의 실린더로드(322)가 인출되면서 결합부재(325) 및 푸쉬부재(323)가 전진하게 되고(도8 참조), 푸쉬부재(323)가 연결파이프(340)의 내부까지 전진하여 고형연료를 연료이송관(190) 및 연료공급관(130)으로 계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푸쉬부재(323)가 전진하여 고형연료를 연료이송관(190)으로 이송한 다음, 다시 실린더로드(322)가 유압실린더(321)로 인입되면서 푸쉬부재(323)는 후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연료이송부(330)와 제2연료이송부(320)의 반복적 작동에 의해 일정량의 고형연료가 계속적으로 연료이송관(190)과 연료공급관(130)을 거쳐 연소실(110) 내로 공급되고, 연소실(110) 내로 공급된 고형연료는 연소기(100) 내부의 화격자(170) 상부에서 연소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연소기 110 : 연소실
120 : 내벽 130 : 연료공급관
190 : 연료이송관 200 : 연료 이송장치
310 : 투입구 320 : 제2연료이송부
321 : 유압실린더 322 : 실린더로드
323 : 푸쉬부재 330 : 제1연료이송부
331 : 유압실린더 332 : 실린더로드
333 : 푸쉬부재 340 : 조인트 파이프

Claims (14)

  1. 외부로부터 고형연료를 연소기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고형연료 이송장치에 있어서,
    조인트 파이프(340)와,
    상기 조인트 파이프(340)의 측면에 결합되어 고형연료를 조인트 파이프(340)로 이송하기 위한 제1연료이송부(330)와,
    상기 조인트 파이프(340)의 후단에 결합되어 상기 조인트 파이프(340)로 이송된 고형연료를 연소기로 공급하기 위한 제2연료이송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파이프(340)의 측면에는 개구부(343)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료이송부(330)는
    상기 조인트 파이프(340)의 측면 개구부(343)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343)와 연통되고 상부에는 고형연료가 투입되는 투입구(310)가 형성되는 압축프레임(336)과,
    상기 압축프레임(336)에 결합되는 유압실린더(331)와,
    상기 압축프레임(336)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331)로부터 인출되는 실린더로드(332)의 단부에 연결되어 고형연료를 밀어주는 푸쉬부재(333)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프레임(336)의 상부에는 상기 투입구(310)의 전방에 상부 프레임(315a)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315a)의 내부 공간(315)은 압축프레임(336)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푸쉬부재(333) 전진시 트립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31)의 실린더로드(332) 단부에는 결합부재(335)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335)의 단부에 상기 푸쉬부재(333)가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335)의 상부에는 상기 결합부재(335)가 전진하면서 상기 압축프레임(336)의 투입구(310)를 막는 상부 플레이트(337)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333)는 상기 결합부재(335)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마모시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37)는 상기 결합부재(335)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마모시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310)의 후방 내주면에는 상기 투입구(310)의 내주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그 단부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337)에 접촉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337)가 후진할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337) 위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배출방지 플레이트(31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프레임(336)에는 상기 투입구(310)의 후방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337)의 전후진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전방 감지센서(334)와 후방 감지센서(334)가 결합되어 상기 전, 후방 감지센서(334)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337)의 전후진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유압실린더(331)의 전후진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료이송부(320)는
    상기 조인트 파이프(340)의 후방에 결합되는 이송프레임(326)과,
    상기 이송프레임(326)에 결합되는 유압실린더(321)와,
    상기 유압실린더(321)로부터 인출되는 실린더로드(322)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조인트 파이프(340) 내부의 고형연료를 밀어주는 푸쉬부재(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321)의 실린더로드(322) 단부에는 결합부재(325)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325)의 단부에 상기 푸쉬부재(323)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323)는 상기 결합부재(325)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마모시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프레임(326)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부재(325)의 전후진을 각각 감지하는 전, 후방 감지센서(324)가 결합되고, 상기 이송프레임(326)의 상부에는 상기 전, 후방 감지센서(324)의 하방에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전, 후방 감지센서(324)가 상기 이송프레임(326) 내부에서 이동되는 결합부재(325)의 전후진을 감지함으로써 유압실린더(321)의 전후진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프레임(326)과 조인트 파이프(340)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환형부재(342)가 결합되고, 상기 환형부재(342)의 내주면이 상기 결합부재(325)에 접촉하여 결합부재(325)가 전후진시 결합부재(325)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파이프(340)에는 원형 상부에 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 공간부(344)가 확장 형성되어 상기 푸쉬부재(333) 전진시 트립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파이프(340)에는 원형 하부에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하부 공간부(345)가 확장 형성되어 상기 푸쉬부재(333) 전진시 트립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KR2020190002931U 2019-07-11 2019-07-11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KR200493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931U KR200493311Y1 (ko) 2019-07-11 2019-07-11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931U KR200493311Y1 (ko) 2019-07-11 2019-07-11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63U KR20210000163U (ko) 2021-01-20
KR200493311Y1 true KR200493311Y1 (ko) 2021-03-10

Family

ID=7423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931U KR200493311Y1 (ko) 2019-07-11 2019-07-11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11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950B1 (ko) * 2003-10-01 2005-11-08 최광남 소각로용 쓰레기 공급장치
KR101503298B1 (ko) * 2013-08-27 2015-03-18 김상권 연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63U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5166B1 (en) Garbage supply device
KR200493311Y1 (ko) 연소기용 고형연료 이송장치
JP3963925B2 (ja) 焼却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二次燃焼方法及び装置
KR100936743B1 (ko) 고형연료 소각장치
KR101503298B1 (ko) 연소장치
KR101413033B1 (ko) 고체연료를 이용한 폐열회수용 고효율 보일러
JP2015534025A (ja) 取り外し可能な火格子を備えたペレットボイラ
KR200439700Y1 (ko) 폐플라스틱고형연료 보일러
KR101399977B1 (ko) 클링커 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장치
JP7156166B2 (ja) 廃棄物焼却炉及び廃棄物焼却炉の給塵装置の制御方法
JP6970250B1 (ja) 焼却装置
KR101019059B1 (ko) 와류가 형성되는 소각장치
CN212644614U (zh) 一种垃圾焚烧炉燃烧装置
KR102618690B1 (ko)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 바닥재 막힘제거 장치
US20190195490A1 (en) Boiler apparatus for waste incineration
KR101352773B1 (ko) 펠렛 기화기 버너
JP7057028B1 (ja) 固形状燃焼物の燃焼システム
JP4120104B2 (ja) 焼却炉の逆火防止装置
KR200452693Y1 (ko) 소각로용 에어노즐 라이너
JP7326857B2 (ja) 廃棄物焼却炉及び廃棄物焼却炉の給塵装置の制御方法
CN218936371U (zh) 一种用于垃圾焚烧电厂出渣斜板的防板结装置
KR101175296B1 (ko) 폐기물 소각장치
IT202100016304A1 (it) “caldaia perfezionata a biomasse per l’impiego in impianti domestici di riscaldamento e simili”
KR101629900B1 (ko) 소각로 일체형 열매체보일러
KR101390418B1 (ko)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점화방법, 그 점화시스템을 갖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