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418B1 -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점화방법, 그 점화시스템을 갖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 Google Patents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점화방법, 그 점화시스템을 갖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418B1
KR101390418B1 KR1020120129479A KR20120129479A KR101390418B1 KR 101390418 B1 KR101390418 B1 KR 101390418B1 KR 1020120129479 A KR1020120129479 A KR 1020120129479A KR 20120129479 A KR20120129479 A KR 20120129479A KR 101390418 B1 KR101390418 B1 KR 101390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fuel
grate
igni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새별
김종진
최규성
김혁주
박병식
박화춘
심봉석
오홍영
문중식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5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 F23B50/1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is fed into or through the combustion zone by gravity, e.g. from a fuel storage situated above the combustion zone the fuel being fed to the combustion zone by free fall or by sliding along inclined surfaces, e.g. from a conveyor terminating above the fuel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0Under-feed arrangements
    • F23K3/14Under-feed arrangements feeding by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5Igniting devices; Fire-ignit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5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20Feeding/conveying devices
    • F23K2203/202Feeding/conveying devices using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점화방법, 그 점화시스템을 갖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고체연료가 저장되는 연료저장부; 연료저장부에 저장된 고체연료를 이송시키는 연료이송부; 연료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고체연료가 유입되며, 특정경사를 갖고 연소챔버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된 연료를 연소챔버 내에 구비된 화격자로 투입시키는 경사관; 화격자의 유입단 측으로 투입된 상기 고체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 및 경사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격자로 투입되는 상기 고체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점화방법, 그 점화시스템을 갖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Ingnition system and ingnition method for solid fuel boiler}
본 발명은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점화방법, 그 점화시스템을 갖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점화모드시에 초기 점화가 효율적으로 개시될 수 있는 위치와 공급량으로 고체연료를 투입하여 점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점화방법, 그 점화시스템을 갖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석유 고갈로 인한 에너지 위기와 탄소 배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 등으로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한다. 펠릿(pellet)은 자연친화적인 연료로 석유 등의 대체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 펠릿은 목재 부산물을 작은 입자로 분쇄, 건조, 압축 성형한 작은 원통 모양으로 주로 난방연료로 사용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24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841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62486호 등에서는 펠릿을 난방 연료로 사용하는 펠릿연소 시스템, 고체연료용 보일러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연료투입부 측의 고체연료용 보일러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연료용 보일러는 내부에서 고체연료(4)가 연소되는 공간을 구비한 연소챔버(2), 연료저장부에 저장된 고체연료(4)를 연소챔버 (2)내로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부, 연소챔버(2) 내에 구비되어 계단구조로 상부로 공급된 고체연료(4)를 단계적으로 유입단(3)측에서 배출단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식 화격자(1), 이동식 화격자(1)의 상부에 놓여진 고체연료(4)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동식 화격자(1)의 구조는 다수의 이동단으로 구비되면 구동장치에 의해 왕복구동되는 이동단 어셈블리와 이동단의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단으로 구비되는 고정단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종래의 고체연료용 보일러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공급부는 연소챔버(2)와 특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관(2) 형태로 구비되어 연료이송관(11)을 통해 연료저장부로부터 이송된 고체연료(4)가 경사관(20)으로 유입되게 됨을 알 수 있다. 경사관(20)으로 유입된 고체연료(4)는 일률적으로 화격자로 투입되게 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고체연료용 보일러의 경우 경사관(20)을 통해 투입된 고체연료(4)가 점화장치(40)에 의해 점화가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위치에 투입되기 힘들고, 점화모드에서 투입되는 고체연료(4)의 양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즉, 고체연료용 보일러의 경우 점화, 연소시에 고체연료(4)가 경사관(20)의 끝단과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운전되어야 경사관(20)을 통한 고체연료(4)의 공급 라인이 막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연료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초기에 점화를 할 경우에 고체연료(4)의 위치에 따라 초기 점화시간의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초기 점화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고체연료(4)가 점화장치와 최대한 가까이 위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점화모드시에, 점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점화장치와 최대한 가까이 고체연료(4)를 투입시키면서 동시에, 연료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24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841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6248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체연료의 공급라인인 경사관 내부에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낙하속도로 인해 고체연료가 점화장치와 멀리 떨어져 투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점화장치와 가까이 고체연료를 공급할 수 있어 초기 점화속도를 빠르게 하고, 동시에 화염이 역화될 때 역화 방지의 기능도 가질 수 있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점화방법, 그 점화시스템을 갖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내부에 고체연료가 저장되는 연료저장부; 연료저장부에 저장된 고체연료를 이송시키는 연료이송부; 연료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고체연료가 유입되며, 특정경사를 갖고 연소챔버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된 연료를 연소챔버 내에 구비된 화격자로 투입시키는 경사관; 화격자의 유입단 측으로 투입된 고체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 및 경사관 내부에 구비되어 화격자로 투입되는 고체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개폐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연소챔버 내에 구비되어 고체연료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점화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점화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동부를 제어하여 개폐수단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연소챔버 내에 구비되어 고체연료가 화격자의 유입단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연소챔버 내에 구비되어 화격자의 유입단에 위치하는 고체연료의 양을 감지하는 질량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점화모드에서 구동부를 제어하여 개폐수단을 개방함으로써 고체연료를 화격자의 유입단 측으로 투입시키고, 위치감지센서와 질량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입단에 투입된 고체연료의 양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는 경우, 개폐수단을 닫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점화감지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점화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연소모드로 전환하여 구동부를 제어하여 개폐수단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경사관에 구비되어 경사관 내로 역화되는 화염을 감지하는 역화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역화감지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경사관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구성된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연료이송부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 및 고체연료가 연료이송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내부에서 고체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챔버; 앞서 언급한 점화 시스템; 연소챔버 내에 구비된 이동식 화격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및 고체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해 연소챔버 내로 연소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연료저장부에 저장된 고체연료가 연료이송부를 통해 경사관 내부로 투입되는 단계; 경사관 내부로 투입된 고체연료 일부가 경사관 내부에 구비된 개폐수단이 개방되면서 연소챔버 내에 구비된 화격자의 유입단 측으로 유입되는 단계; 개폐수단이 닫히고, 연소챔버 내에 구비된 점화장치에 의해 화격자의 유입단 측에 유입된 고체연료가 점화되는 단계; 및 점화감지기에 의해 점화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개폐수단이 개방되어 고체연료가 연소챔버 내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연료저장부에 저장된 고체연료가 연료이송부를 통해 경사관 내부로 투입되는 단계; 제어부가 구동부를 구동시켜 경사관 내부에 구비된 개폐수단을 개방시켜 연소챔버 내에 구비된 화격자의 유입단 측으로 고체연료 일부를 유입시키는 단계;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고체연료가 화격자의 유입단으로 유입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질량측정센서가 화격자의 유입단 측으로 유입된 고체연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제어부가 위치감지센서와 질량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격자의 유입단으로 유입된 고체연료의 양이 기 설정된 양에 도달하는 경우 구동부를 구동시켜 개폐수단을 닫는 단계; 연소챔버 내에 구비된 점화장치에 의해 화격자의 유입단 측에 유입된 고체연료를 점화시키는 단계; 및 점화감지기에 의해 점화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가 구동부를 구동시켜 개폐수단을 개방하여 고체연료를 연소챔버 내로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제어부가 구동부를 구동시켜 개폐수단의 개폐정도를 제어하여 연소챔버 내로 유입되는 고체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경사관 내에 구비된 역화감지센서에 의해 경사관 내에 화염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는 구동부를 구동시켜 개폐수단을 닫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에 의해 경사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체연료의 공급라인인 경사관 내부에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낙하속도로 인해 고체연료가 점화장치와 멀리 떨어져 투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점화장치와 가까이 고체연료를 공급할 수 있어 초기 점화속도를 빠르게 하고, 동시에 화염이 역화될 때 역화 방지의 기능도 가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고체연료용 보일러의 부분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사관 내로 고체연료가 유입된 상태의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의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이 개방되어 고체연료 일부가 화격자의 유입단(3)으로 투입되는 상태의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의 단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점화모드에서의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연료용 보일러의 점화시스템(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관(20) 내로 고체연료(4)가 유입된 상태의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단(50)이 개방되어 고체연료(4) 일부가 화격자(1)의 유입단(3)으로 투입되는 상태의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화모드에서의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화시스템(100)은 연료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된 고체연료(4)가 유입되며, 특정경사를 갖고 연소챔버(2)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된 연료를 연소챔버(2) 내에 구비된 화격자(1)로 투입시키는 경사관(20), 화격자(1)의 유입단(3) 측으로 투입된 상기 고체연료(4)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40); 및 경사관(2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격자(1)로 투입되는 상기 고체연료(4)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수단(50)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의 고체연료(4)는 펠릿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화시스템(100)은 개폐수단(5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51)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구동부(51)에 의해 개폐수단(50)이 구동되며, 개폐수단(50)이 개방되는 경우 경사관(20)에 저장된 고체연료(4)가 화격자(1)의 유입단(3) 측으로 투입되게 되고, 개폐수단(50)을 닫게 되는 경우 고체연료(4)가 화격자(1)의 유입단(3)으로 투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개폐수단(50)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화격자(1)로 유입되는 고체연료(4)의 양과 투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화시스템(100)의 점화방법 및 연소방법은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저장부에 저장된 고체연료(4)가 연료저장부와 경사관(20)을 연결하는 연료이송부(10)에 의해 경사관(20)으로 유입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료이송부(10)는 연료이송관(11)을 포함하고, 연료이송관(11) 내부에 이송스크류(12)를 구비하고 고체연료(4)가 연료 이송관(11)를 따라 이동되도록 이송스크류(1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1)에 의해 개폐수단(50)을 개방하여 경사관(20) 내부에 저장된 고체연료(4) 일부를 화격자(1)의 유입단(3) 측으로 투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점화가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고체연료(4)의 양이 화격자(1)의 유입단(3)으로 투입되게 되면, 다시 구동부(51)를 구동시켜 개폐수단(50)을 닫게 된다.
그리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장치(40)를 작동시켜 화격자(1)의 유입단(3)에 위치한 고체연료(4)를 점화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점화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시 개폐수단(50)을 개방함으로써 고체연료(4)를 지속적으로 화격자(1)에 투입시켜 연소모드를 진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화시스템(100)은 연소챔버(2) 내에 구비되어 고체연료(4)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점화감지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화감지기(41)에 의해 화격자(1)의 유입단(3) 측으로 유입된 고체연료(4)의 점화가 완료되었는지를 제어부(60)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제어부(60)는 점화감지기(41)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개폐수단(50)의 개폐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화시스템(100)은 연소챔버(2) 내에 구비되어 고체연료(4)가 화격자(1)의 유입단(3)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소챔버(2) 내에 구비되어 화격자(1)의 유입단(3)에 위치하는 고체연료(4)의 양을 감지하는 질량측정센서(6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모드에서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개폐수단(50)을 개방함으로써 고체연료(4)를 상기 화격자(1)의 유입단(3) 측으로 투입시키고, 위치감지센서(61)와 질량측정센서(62)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격자(1)의 유입단(3)에 투입된 고체연료(4)의 양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는 경우, 개폐수단(50)을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기설정된 고체연료(4)의 양이란 점화가 신속하고 잘 일어날 수 있는 고체연료(4)의 설정된 양으로 이러한 설정된 양과 실제 투입된 고체연료(4)의 양이 일치하게 되는 경우 제어부(60)는 구동부(51)를 구동시켜 개폐수단(50)을 닫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60)는 점화감지기(41)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점화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연소모드로 전환하고,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개폐수단(50)을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화시스템(100)은 역화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역화감지센서는 경사관(20)에 구비되어 경사관(20) 내로 역화되는 화염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체연료(4)가 지속적으로 투입되는 연소모드에서 제어부(60)는 역화감지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역화가 발생되었다고 감지하게 되면 구동부(51)를 제어하여 개폐수단(50)을 닫도록 하여 역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화시스템(100)은 각조조절부(70)를 포함하여, 경사관(20)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고체연료(4)의 투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점화방법은 앞서 언급한 점화시스템(100)을 이용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연료저장부에 저장된 고체연료(4)가 연료이송부(10)를 통해 경사관(20) 내부로 투입되게 된다(S10). 그리고, 제어부(60)는 구동부(51)를 구동시켜 경사관(20) 내부에 구비된 개폐수단(50)을 개방시켜 연소챔버(2) 내에 구비된 화격자(1)의 유입단(3) 측으로 고체연료(4) 일부를 유입시키게 된다(S20).
그리고, 위치감지센서(61)에 의해 고체연료(4)가 화격자(1)의 유입단(3)으로 유입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질량측정센서(62)가 화격자(1)의 유입단(3) 측으로 유입된 고체연료(4)의 양을 측정하게 된다(S30).
그리고, 제어부(60)는 위치감지센서(61)와 질량측정센서(62)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화격자(1)의 유입단(3)으로 유입된 고체연료(4)의 양이 기 설정된 양에 도달하는 경우(S40) 구동부(51)를 구동시켜 개폐수단(50)을 닫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연소챔버(2) 내에 구비된 점화장치(40)에 의해 화격자(1)의 유입단(3) 측에 유입된 고체연료(4)를 점화시키게 된다(S50).
그리고 점화감지기(41)에 의해 점화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S60), 제어부(60)가 구동부(51)를 구동시켜 개폐수단(50)을 개방하여 고체연료(4)를 연소챔버(2) 내로 유입시키게 된다(S70). 또한, 고체연료(4)가 투입되는 동안, 제어부(60)는 구동부(51)를 구동시켜 개폐수단(50)의 개폐정도를 제어하여 연소챔버(2) 내로 유입되는 고체연료(4)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소모드 중에, 경사관(20) 내에 구비된 역화감지센서에 의해 경사관(20) 내에 화염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60)는 구동부(51)를 구동시켜 개폐수단(50)을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각조조절부(70)에 의해 경사관(20)의 경사각을 변경하여 투입되는 고체연료(4)의 양과 투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1:화격자
2:연소챔버
3:유입단
4:고체연료
10:연료이송부
11:연료이송관
12:이송스크류
20:경사관
40:점화장치
41:점화감지기
50:개폐수단
51:구동부
60:제어부
61:위치감지센서
62:질량측정센서
70:각도조절부
100:점화시스템

Claims (18)

  1. 내부에 고체연료가 저장되는 연료저장부;
    상기 연료저장부에 저장된 고체연료를 이송시키는 연료이송부;
    상기 연료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고체연료가 유입되며, 특정경사를 갖고 연소챔버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된 연료를 연소챔버 내에 구비된 화격자로 투입시키는 경사관;
    상기 화격자의 유입단 측으로 투입된 상기 고체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
    상기 경사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격자로 투입되는 상기 고체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경사관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구성된 각도조절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챔버 내에 구비되어 상기 고체연료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점화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챔버 내에 구비되어 상기 고체연료가 상기 화격자의 유입단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챔버 내에 구비되어 상기 화격자의 유입단에 위치하는 상기 고체연료의 양을 감지하는 질량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점화모드에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수단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고체연료를 상기 화격자의 유입단 측으로 투입시키고,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질량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유입단에 투입된 상기 고체연료의 양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개폐수단을 닫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점화감지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점화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연소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개폐수단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관에 구비되어 경사관 내로 역화되는 화염을 감지하는 역화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화감지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이송부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 및 상기 고체연료가 상기 연료이송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13. 내부에서 고체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챔버;
    제 1항 내지 제 10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화 시스템;
    연소챔버 내에 구비된 이동식 화격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및
    상기 고체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연소챔버 내로 연소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14. 삭제
  15. 연료저장부에 저장된 고체연료가 연료이송부를 통해 경사관 내부로 투입되는 단계;
    제어부가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경사관 내부에 구비된 개폐수단을 개방시켜 연소챔버 내에 구비된 화격자의 유입단 측으로 상기 고체연료 일부를 유입시키는 단계;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고체연료가 상기 화격자의 유입단으로 유입되었는지를 감지하고, 질량측정센서가 상기 화격자의 유입단 측으로 유입된 상기 고체연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질량측정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화격자의 유입단으로 유입된 상기 고체연료의 양이 기 설정된 양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개폐수단을 닫는 단계;
    상기 연소챔버 내에 구비된 점화장치에 의해 상기 화격자의 유입단 측에 유입된 상기 고체연료를 점화시키는 단계; 및
    점화감지기에 의해 점화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개폐수단을 개방하여 상기 고체연료를 상기 연소챔버 내로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연소챔버 내로 유입되는 상기 고체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관 내에 구비된 역화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경사관 내에 화염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개폐수단을 닫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각도조절부에 의해 상기 경사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방법.
KR1020120129479A 2012-11-15 2012-11-15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점화방법, 그 점화시스템을 갖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KR101390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479A KR101390418B1 (ko) 2012-11-15 2012-11-15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점화방법, 그 점화시스템을 갖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479A KR101390418B1 (ko) 2012-11-15 2012-11-15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점화방법, 그 점화시스템을 갖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418B1 true KR101390418B1 (ko) 2014-05-07

Family

ID=5089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479A KR101390418B1 (ko) 2012-11-15 2012-11-15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점화방법, 그 점화시스템을 갖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1375A1 (it) * 2021-05-04 2022-11-04 Magikal S R L Gruppo caldaia a pell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1375A1 (it) * 2021-05-04 2022-11-04 Magikal S R L Gruppo caldaia a pel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540Y1 (ko) 펠릿 난로
KR20120007036U (ko) 펠렛보일러
KR101390418B1 (ko) 고체 연료용 보일러의 점화 시스템, 점화방법, 그 점화시스템을 갖는 고체 연료용 보일러
US20090266278A1 (en) Auto-igniter for biomass furnace
KR101221421B1 (ko) 온수보일러의 연소장치
KR101428735B1 (ko) 단계적 연소가 가능한 고체 연료 보일러용 공기 공급장치, 공급방법, 그 공기 공급장치를 갖는 보일러
KR20180016129A (ko) 고체 연료 보일러
KR101313429B1 (ko) 가스자동점화방식 수평형 펠렛버너
KR101735179B1 (ko) 착화감지 및 역화감지 기능이 구비된 고압세척기
KR101080552B1 (ko) 톱밥 펠렛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KR20140071589A (ko)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101224631B1 (ko) 펠릿보일러
KR20100106645A (ko) 우드펠렛 난방기
KR101521856B1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연료량 감지장치, 감지방법 및 그 연료량 감지장치를 갖는 고체연료용 보일러
KR101382582B1 (ko)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
KR20130082322A (ko) 고체 연료용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연소 방법
KR101346870B1 (ko) 펠릿 보일러용 건 타입 버너
KR101597122B1 (ko) 기름 점화용 펠릿 보일러
JP5335062B2 (ja) 燃焼装置
JP5603126B2 (ja) ガス化発電システム
KR101636713B1 (ko) 펠릿을 이용한 난방장치
KR200262016Y1 (ko) 자동 코크스 보일러.
JP5611424B2 (ja) 燃焼装置
KR200273910Y1 (ko) 기름겸용 코크스 보일러
KR101051655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된 무연 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목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