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872Y1 - 육류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육류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872Y1
KR200492872Y1 KR2020190004260U KR20190004260U KR200492872Y1 KR 200492872 Y1 KR200492872 Y1 KR 200492872Y1 KR 2020190004260 U KR2020190004260 U KR 2020190004260U KR 20190004260 U KR20190004260 U KR 20190004260U KR 200492872 Y1 KR200492872 Y1 KR 200492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urface
sliding guide
width direction
guide groove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옥
Original Assignee
박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옥 filed Critical 박현옥
Priority to KR2020190004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8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8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Abstract

본 고안은 육류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재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재치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뚜껑부를 갖는 육류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좌뚜껑부와 우뚜껑부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좌뚜껑부는 띠형태의 상위좌덮개면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위좌스커트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위좌분리방지면이 형성된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상위좌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상위좌계단부와, 띠형태의 하위좌덮개면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하위좌스커트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하위좌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좌가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가 상기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고 상기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가 상기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하위좌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뚜껑부는 띠형태의 상위우덮개면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위우스커트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위우분리방지면이 형성된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상위우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상위좌계단부에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상위우계단부와, 띠형태의 하위우덮개면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하위우스커트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하위우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우가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가 상기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고 상기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가 상기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하위우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재치부재의 상측공간에 대한 개방정도를 선택할 수 있고, 지지부 주변에 뚜껑부를 놓을 공간이 필요없고, 육류가 빨리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관과 휴대가 편리해진다.

Description

육류구이장치{Meat Roaster}
본 고안은 육류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야외에서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육류를 구워먹을 때 사용되는 육류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야외에서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육류에 열을 가해 구워먹는 경우가 많이 있다.
육류의 가열은 공기를 통해 직접 열이 육류에 전달되도록 하거나(직접가열방식), 육류를 육류재치부재에 올려 놓은 다음 재치부재(재치부재, 석쇠 등)를 통해 열이 육류에 전달되도록 하는 간접가열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접가열방식의 경우 연탄, 숯불, 장작 등과 같이 불꽃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 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고, 간접가열방식의 경우 불꽃을 일으킬 수 있는 것에 더하여 가스나 전기를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12는 종래 육류구이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3은 종래 육류구이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종래의 육류구이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에 지지되도록 지지부(110)의 상단에 설치된 재치부재(171) 및 뚜껑부(120)와, 뚜껑부(120)의 상단에 결합된 손잡이(172)를 갖고 있다.
지지부(110)는 요형(凹形)으로 형성되고, 내표면 상단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단턱(11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110)는 바닥면 중앙에 열기유입공(110b)이 형성되어 있다.
재치부재(171)는 접시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영역에는 열기가이드(171a)와 열기배출공(17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재치부재(171)는 저면이 단턱(110a)에 지지되도록 지지부(110)에 설치된다.
뚜껑부(120)는 요형(凹形)으로 형성되고, 손잡이(172)의 종단과의 사이에 증기배출공(12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뚜껑부(120)는 저면이 재치부재(171)를 통해 단턱(110a)에 지지되도록 지지부(110)에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육류구이장치를 사용하여 육류를 굽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기유입공(110b)의 정렬되도록 지지부(110)를 열원(가스버너, 숯불, 인덕션 등)의 상측에 설치한다.
다음에 재치부재(171)에 지지부(110)에 설치한 다음 재치부재(171)에 육류를 올려놓는다.
다음에 뚜껑부(120)를 지지부(110)에 설치된다.
다음에 열원을 가동시켜 재치부재(171)를 가열한다.
다음에 재치부재(171)의 상측공간 전부가 개방되도록 뚜껑부(120)를 지지부(110)에서 분리하여 지지부(110) 주변에 놓는다.
다음에 구워진 육류를 먹는다.
그런데 종래의 육류구이장치에 따르면, 뚜껑부(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재치부재(171)의 상측공간 전부를 덮거나 개방하는 방법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재치부재(171)의 상측공간에 대한 개방정도를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재치부재(171)의 상측공간을 개방할 때 뚜껑부(120)를 지지부(110)로부터 완전히 분리시켜야 하기 때문에 지지부(110)의 주변에 뚜껑부(120)를 놓을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워진 육류를 먹을 때 재치부재(171)의 상측공간 전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구워진 육류가 빨리 식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뚜껑부(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보관과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53838호(등록일자: 2014년 10월 16일, 발명의 명칭: 직화구이용 조리용기)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육류구이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재치부재의 상측공간에 대한 개방정도를 선택할 수 있고, 지지부의 주변에 뚜껑부를 놓을 공간이 필요없고, 육류가 빨리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육류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재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재치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뚜껑부를 갖는 육류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좌뚜껑부와 우뚜껑부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좌뚜껑부는 띠형태의 상위좌덮개면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위좌스커트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위좌분리방지면이 형성된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상위좌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상위좌계단부와, 띠형태의 하위좌덮개면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하위좌스커트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하위좌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좌가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가 상기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고 상기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가 상기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하위좌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뚜껑부는 띠형태의 상위우덮개면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위우스커트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위우분리방지면이 형성된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상위우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상위좌계단부에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상위우계단부와, 띠형태의 하위우덮개면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하위우스커트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하위우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우가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가 상기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고 상기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가 상기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하위우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장치 또는 띠형태의 중위좌덮개면부와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중위좌스커트부와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중위좌분리방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는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중위좌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가지고 상기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가 상기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고 상기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가 상기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에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가 진입하고 상기 중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가 상기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중위좌계단부와, 띠형태의 중위우덮개면부와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중위우스커트부와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중위우분리방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는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중위우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가지고 상기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가 상기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고 상기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가 상기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에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가 진입하고 상기 중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가 상기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중위우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뚜껑부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는 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는 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바닥면부와, 상기 지지부바닥면부에서 연장형성된 지지부운두부와, 상기 지지부운두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플랜지와, 상기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 상기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 상기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 상기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 및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에 진입하도록 상기 지지부플랜지에 형성된 이탈방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재치부재에 전달되는 열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요형(凹形)의 집유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유홈의 둘레영역에는 집유부열전달돔이 융기 형성되어 있는 집유부바닥면부와 상기 집유부바닥면부에서 연장형성된 집유부운두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집유부바닥면부가 상기 재치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집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치부재에 전달되는 열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집유부열전달돔은 상단에 열기전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치부재에 전달되는 열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바닥면부와, 상기 지지부바닥면부에서 연장형성된 지지부운두부와, 상기 지지부바닥면부에서 융기 형성된 지지부열전달돔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뚜껑부를 좌뚜껑부와 우뚜껑부로 분할하고, 띠형태의 상위좌덮개면부와 한 쌍의 상위좌스커트부를 구비한 상위좌계단부에 띠형태의 하위좌덮개면부와 한 쌍의 하위좌스커트부와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좌가림벽부를 구비한 하위좌계단부를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좌뚜껑부를 형성하고, 띠형태의 상위우덮개면부와 한 쌍의 상위우스커트부를 구비한 상위우계단부에 띠형태의 하위우덮개면부와 한 쌍의 하위우스커트부와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우가림벽부를 구비한 하위우계단부를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우뚜껑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위좌계단부와 하위좌계단부에 더하여 띠형태의 중위좌덮개면부와 한 쌍의 중위좌스커트부를 구비하고 상위좌계단부와 하위좌계단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중위좌계단부를 더 포함하도록 좌뚜껑부를 구성하고 상위우계단부와 하위우계단부에 더하여 띠형태의 중위우덮개면부와 한 쌍의 중위우스커트부를 구비하고 상위우계단부와 하위우계단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중위우계단부를 더 포함하도록 우뚜껑부를 구성함으로써, 재치부재의 상측공간에 대한 개방정도를 선택할 수 있고, 지지부의 주변에 뚜껑부를 놓을 공간이 필요없고, 육류가 빨리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관과 휴대가 편리해 진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구이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2 및 도3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4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유부와 재치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유부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좌뚜껑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좌뚜껑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뚜껑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10은 도1의 B-B'선 단면도,
도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구이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종래 육류구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13은 종래 육류구이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상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구이장치의 요부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유부와 재치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집유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좌뚜껑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좌뚜껑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뚜껑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도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10은 도1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구이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와, 지지부(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집유부(60), 재치부재(71) 및 뚜껑부(20)를 갖고 있다.
지지부(10)는 지지부바닥면부(11)와, 지지부바닥면부(11)에서 연장형성된 지지부운두부(12)와, 지지부운두부(1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플랜지(13)와, 지지부플랜지(13)에 형성된 이탈방지돌부(14)와, 지지부플랜지(13)에 형성된 이탈방지벽부(15)와, 지지부바닥면부(11)에 형성된 지지부열전달돔(16)과, 지지부운두부(12)에 형성된 요형(凹形)단면의 지지부안내유로부(17)를 갖고 있다.
지지부바닥면부(11)는 저면에 안착홈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안착홈부(11a)의 바닥면에는 열전달홈(11b)이 형성된다.
지지부플랜지(13)는 후술하는 하위좌계단부(40') 쪽 영역에 지지부좌구속공(13a)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하위우계단부(40") 쪽 영역에 지지부우구속공(13b)이 형성된다.
이탈방지돌부(14)는 후술하는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34'a),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55'a),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44'),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34"a),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55"a) 및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44")에 진입하도록 형성된다.
이탈방지벽부(15)는 지지부좌구속공(13a)과 지지부우구속공(13b)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열전달돔(16)에 의해 열전달면적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재치부재(0)에 전달되는 열량이 증가된다
지지부(10)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열전도성이 양호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집유부(60)는 집유부바닥면부(61)와, 집유부바닥면부(61)에서 연장형성된 집유부운두부(62)와, 집유부운두부(6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집유부플랜지(63)와, 집유부운두부(62)에 형성된 요형(凹形)단면의 집유부안내유로부(64)를 갖고 있다.
집유부바닥면부(61)에는 요형(凹形)단면의 집유홈(61a)가 형성되어 있고, 집유홈(61a)의 둘레영역에는 집유부열전달돔(61b)이 융기 형성되어 있다.
집유부열전달돔(61b)은 상단에 열기전달공(61c)이 형성되어 있다.
집유부열전달돔(61b)에 의해 열전달면적이 증가되고 열기전달공(61c)에 의해 열전달속도가 증가되어 재치부재(71)에 전달되는 열량이 증가된다.
집유부운두부(62)에는 재치부재안착면부(62a)가 형성되어 있다.
집유부안내유로부(64)는 집유홈(61a)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집유부플랜지(63)에는 지지부좌구속공(13a)에 대응하는 집유부좌구속공(63a)과 지지부우구속공(13b)에 대응하는 집유부우구속공(6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집유부(60)는 집유부바닥면부(61)가 재치부재(71)의 하측에 배치되고, 집유부좌구속공(63a)에 후술하는 좌구속리브(46')가 통과하고 집유부우구속공(63b)에 후술하는 우구속리브(46")가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집유부(60)는 집유부안내유로부(64)가 지지부안내유로부(17)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집유부(60)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재치부재(71)는 다공판 형태 이외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재치부재(71)는 재치부재안착면부(62a)를 통해 지지부(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뚜껑부(20)는 좌뚜껑부(20')와 우뚜껑부(20")로 분할되어 있고, 스테인레스 스틸 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좌뚜껑부(20')는 상위좌계단부(30')와, 상위좌계단부(30')와 이격되도록 설치된 하위좌계단부(40')와, 상위좌계단부(30')와 하위좌계단부(40') 사이에 설치된 3개의 중위좌계단부(50')를 갖고 있다.
상위좌계단부(30')는 띠형태의 상위좌덮개면부(31')와, 상위좌덮개면부(31')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위좌스커트부(32')와, 상위좌덮개면부(31')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33')와, 상위좌덮개면부(31')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34'a)을 갖도록 상위좌스커트부(32')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34')와, 상위좌덮개면부(31')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좌맞댐플랜지(35')를 갖고 있다.
상위좌덮개면부(31')는 중앙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34'a)은 홈내표면에 상위좌덮개면부(31')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위좌분리방지면(34'b)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위좌계단부(30')는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34')를 통해 지지부(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하위좌계단부(40')는 띠형태의 하위좌덮개면부(41')와, 하위좌덮개면부(41')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하위좌스커트부(42')와, 하위좌덮개면부(41')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43')와, 하위좌덮개면부(41')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되도록 하위좌스커트부(42')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44')와, 하위좌덮개면부(41')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좌가림벽부(45')와, 지지부좌구속공(13a)에 대응하도록 좌가림벽부(45')의 종단에 형성된 좌구속리브(46')를 갖고 있다.
하위좌덮개면부(41')는 중앙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44')는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43')를 넘어 돌출되고 홈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위좌계단부(40')는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44')를 통해 지지부(10)에 지지되고, 좌구속리브(46')가 지지부좌구속공(13a)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각 중위좌계단부(50')는 띠형태의 중위좌덮개면부(51')와, 중위좌덮개면부(51')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중위좌스커트부(52')와, 중위좌덮개면부(51')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53')와, 중위좌덮개면부(51')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54')와, 중위좌덮개면부(51')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55'a)을 갖도록 중위좌스커트부(52')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55')를 갖고 있다.
중위좌덮개면부(51')는 중앙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55'a)은 홈내표면에 중위좌덮개면부(51')와 나란하게 배치된 중위좌분리방지면(55'b)을 가지고, 중위좌덮개면부(51')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시작하여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53')를 넘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중위좌계단부(50')는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55')를 통해 지지부(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중위좌계단부(50') 중 일방(상위좌계단부 쪽)은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55')가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34'a)에 진입하고,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53')가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33')와 걸림작용을 하도록(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가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를 넘어가도록) 설치된다.
중위좌계단부(50') 중 다른 일방(하위좌계단부 쪽)은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55'a)에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44')가 진입하고, 중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54')가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43')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설치된다.
중위좌계단부(50') 상호간은 중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54')와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53')가 걸림작용을 하고,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55')가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55'a)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우뚜껑부(20")는 상위우계단부(30")와, 상위우계단부(30")와 이격되도록 설치된 하위우계단부(40")와, 상위우계단부(30")와 하위우계단부(40") 사이에 설치된 3개의 중위우계단부(50")를 갖고 있다.
상위우계단부(30")는 띠형태의 상위우덮개면부(31")와, 상위우덮개면부(31")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위우스커트부(32")와, 상위우덮개면부(31")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33")와, 상위우덮개면부(31")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34"a)을 갖도록 상위우스커트부(32")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34")와, 상위우덮개면부(31")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우맞댐플랜지(35")를 갖고 있다.
상위우덮개면부(31")는 중앙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34"a)은 홈내표면에 상위우덮개면부(31")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위우분리방지면(34"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위우계단부(30")는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34")를 통해 지지부(10)에 지지되고, 상위좌계단부(30')에 정렬되도록(상위우덮개면부와 상위좌덮개면부가 동일 높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하위우계단부(40")는 띠형태의 하위우덮개면부(41")와, 하위우덮개면부(41")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하위우스커트부(42")와, 하위우덮개면부(41")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43")와, 하위우덮개면부(41")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하위우스커트부(42")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44")와, 하위우덮개면부(41")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우가림벽부(45")와, 지지부우구속공(13b)에 대응하도록 우가림벽부(45")의 종단에 형성된 우구속리브(46")를 갖고 있다.
하위우덮개면부(41")는 중앙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44")는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43")를 넘어 돌출되고 홈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위우계단부(40")는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44")를 통해 지지부(10)에 지지되고, 우구속리브(46")가 지지부우구속공(13b)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각 중위우계단부(50")는 띠형태의 중위우덮개면부(51")와, 중위우덮개면부(51")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중위우스커트부(52")와, 중위우덮개면부(51")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53")와, 중위우덮개면부(51")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54")와, 중위우덮개면부(51")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된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55"a)을 갖도록 중위우스커트부(52")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55")를 갖고 있다.
중위우덮개면부(51")는 중앙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55"a)은 홈내표면에 중위우덮개면부(51")와 나란하게 배치된 중위우분리방지면(55"b)을 가지고, 중위우덮개면부(51")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시작하여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53")를 넘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중위우계단부(50")는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55")를 통해 지지부(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중위우계단부(50") 중 일방은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55")가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34"a)에 진입하고,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53")가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33")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설치된다.
중위우계단부(50") 중 다른 일방은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55"a)에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44")가 진입하고, 중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54")가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43")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설치된다.
중위우계단부(50") 상호간은 중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54")와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53")가 걸림작용을 하고,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55")가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55"a)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육류구이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위좌계단부(30'), 하위좌계단부(40') 및 중위좌계단부(50')를 조립하여 좌뚜껑부(20')를 형성하고, 상위우계단부(30"), 하위우계단부(40") 및 중위우계단부(50")를 조립하여 우뚜껑부(20")를 형성한다.
다음에 지지부(10)에 집유부(60)를 설치한다.
다음에 재치부재(71)를 재치부재안착면부(62a)에 설치한다.
다음에 좌뚜껑부(20')와 우뚜껑부(20")를 지지부(10)에 설치한다.
다음에 지지부(10)를 열원(가스버너, 인덕션 등)의 상측에 설치한다.
열원이 인덕션인 경우 전자유도작용에 의한 열발생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안착홈부(11a)에 자성체재질의 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유부(60)를 생략하는 경우 지지부(10)의 내부에 숯불 등을 넣어 직접가열방식으로 육류를 익힐 수 있다.
다음에 재치부재(71)에 육류를 올려놓는다.
다음에 열원을 가동시킨다. 열원에서 발생한 열은 열전달홈(11b), 지지부열전달돔(16), 집유부열전달돔(61b), 열기전달공(61c) 등을 통해 재치부재(71)에 전달된다.
그리고 육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은 집유홈(61a)으로 안내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중위좌계단부(50')를 포함하도록 좌뚜껑부(20')를 구성하고 중위우계단부(50")를 포함하도록 우뚜껑부(20")를 구성하고 있으나, 중위좌계단부(50')와 중위우계단부(50")를 생략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중위좌계단부(50')와 중위우계단부(50")를 생략하여 본 고안을 실시하는 경우 하위좌계단부(40')와 하위우계단부(40")는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하위좌계단부(40')는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44')가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34'a)에 진입하고,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43')가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33')와 걸림작용을 하고,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44')를 통해 지지부(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하위우계단부(40")는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44")가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34"a)에 진입하고,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43")가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33")와 걸림작용을 하고,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44")를 통해 지지부(1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중위좌계단부(50')와 중위우계단부(50")를 복수개로 구성하고 있으나, 중위좌계단부(50')와 중위우계단부(50")를 1개로 구성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부(20)를 좌뚜껑부(20')와 우뚜껑부(20")로 분할하고, 띠형태의 상위좌덮개면부(31')와 한 쌍의 상위좌스커트부(32')를 구비한 상위좌계단부(30')에 띠형태의 하위좌덮개면부(41')와 한 쌍의 하위좌스커트부(42')와 하위좌덮개면부(41')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좌가림벽부(45')를 구비한 하위좌계단부(40')를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좌뚜껑부(20')를 형성하고, 띠형태의 상위우덮개면부(31")와 한 쌍의 상위우스커트부(32")를 구비한 상위우계단부(30")에 띠형태의 하위우덮개면부(41")와 한 쌍의 하위우스커트부(42")와 하위우덮개면부(41")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우가림벽부(45")를 구비한 하위우계단부(40")를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우뚜껑부(20")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위좌계단부(30')와 하위좌계단부(40')에 더하여 띠형태의 중위좌덮개면부(51')와 한 쌍의 중위좌스커트부(52')를 구비하고 상위좌계단부(30')와 하위좌계단부(40')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중위좌계단부(50')를 더 포함하도록 좌뚜껑부(20')를 구성하고 상위우계단부(30")와 하위우계단부(40")에 더하여 띠형태의 중위우덮개면부(51")와 한 쌍의 중위우스커트부(52")를 구비하고 상위우계단부(30")와 하위우계단부(40")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중위우계단부(50")를 더 포함하도록 우뚜껑부(20")를 구성함으로써, 재치부재(71)의 상측공간에 대한 개방정도를 선택할 수 있고, 지지부(11)의 주변에 뚜껑부(20)를 놓을 공간이 필요없고, 육류가 빨리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관과 휴대가 편리해 진다.
또한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34'a),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55'a),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44'),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34"a),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55"a) 및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44")에 진입하도록 지지부플랜지(13)에 이탈방지돌부(14)를 형성함으로써, 뚜껑부(20)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집유부(60)에 집유부열전달돔(61b)을 형성함으로써, 재치부재(71)에 전달되는 열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집유부열전달돔(61b)의 상단에 열기전달공(61c)을 형성함으로써, 재치부재(71)에 전달되는 열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바닥면부(11)에 융기되도록 지지부열전달돔(16)을 형성함으로써, 재치부재(71)에 전달되는 열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10: 지지부 20, 120: 뚜껑부
20': 좌뚜껑부 20": 우뚜껑부
30': 상위좌계단부 30": 상위우계단부
40': 하위좌계단부 40": 하위우계단부
50': 중위좌계단부 50": 중위우계단부
60: 집유부

Claims (7)

  1.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재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재치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뚜껑부를 갖는 육류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좌뚜껑부와 우뚜껑부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좌뚜껑부는 띠형태의 상위좌덮개면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위좌스커트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위좌분리방지면이 형성된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상위좌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상위좌계단부와, 띠형태의 하위좌덮개면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하위좌스커트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하위좌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좌가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가 상기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고 상기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가 상기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하위좌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뚜껑부는 띠형태의 상위우덮개면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위우스커트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위우분리방지면이 형성된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상위우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상위좌계단부에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상위우계단부와, 띠형태의 하위우덮개면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하위우스커트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하위우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우가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가 상기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고 상기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가 상기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하위우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장치.
  2.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재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재치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뚜껑부를 갖는육류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좌뚜껑부와 우뚜껑부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좌뚜껑부는 띠형태의 상위좌덮개면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위좌스커트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위좌분리방지면이 형성된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상위좌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상위좌계단부와, 띠형태의 하위좌덮개면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하위좌스커트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하위좌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좌가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좌계단부와 이격되고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하위좌계단부와, 띠형태의 중위좌덮개면부와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중위좌스커트부와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중위좌분리방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는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중위좌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가지고 상기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가 상기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고 상기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가 상기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에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가 진입하고 상기 중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가 상기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중위좌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뚜껑부는 띠형태의 상위우덮개면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위우스커트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위우분리방지면이 형성된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상위우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상위좌계단부에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상위우계단부와, 띠형태의 하위우덮개면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하위우스커트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하위우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우가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우계단부와 이격되고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하위우계단부와, 띠형태의 중위우덮개면부와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중위우스커트부와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중위우분리방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는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중위우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가지고 상기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가 상기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고 상기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가 상기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에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가 진입하고 상기 중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가 상기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중위우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장치.
  3.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재치부재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재치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뚜껑부를 갖는육류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좌뚜껑부와 우뚜껑부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좌뚜껑부는 띠형태의 상위좌덮개면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위좌스커트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상위좌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위좌분리방지면이 형성된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상위좌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상위좌계단부와, 띠형태의 하위좌덮개면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하위좌스커트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하위좌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와 상기 하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좌가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좌계단부와 이격되고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하위좌계단부와, 띠형태의 중위좌덮개면부와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중위좌스커트부와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중위좌분리방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위좌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는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중위좌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일방은 상기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가 상기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고 상기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가 상기 상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일방은 상기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에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가 진입하고 상기 중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가 상기 하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설치되고 상호간은 상기 중위하방향좌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상방향좌걸림플랜지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부가 상기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중위좌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우뚜껑부는 띠형태의 상위우덮개면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상위우스커트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상위우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위우분리방지면이 형성된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상위우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상위좌계단부에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상위우계단부와, 띠형태의 하위우덮개면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하위우스커트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도록 상기 하위우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와 상기 하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우가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위우계단부와 이격되고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하위우계단부와, 띠형태의 중위우덮개면부와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길이방향 양 종단에서 같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중위우스커트부와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좌측 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중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홈내표면에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된 중위우분리방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위우덮개면부의 폭방향 우측 연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를 넘어 돌출되는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을 갖도록 상기 중위우스커트부에서 연장형성된 한 쌍의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일방은 상기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가 상기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고 상기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가 상기 상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일방은 상기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에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가 진입하고 상기 중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가 상기 하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설치되고 상호간은 상기 중위하방향우걸림플랜지와 상기 중위상방향우걸림플랜지가 걸림작용을 하고 상기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부가 상기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에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중위우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는 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는 홈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바닥면부와, 상기 지지부바닥면부에서 연장형성된 지지부운두부와, 상기 지지부운두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플랜지와, 상기 상위좌슬라이딩안내홈, 상기 중위좌슬라이딩안내홈, 상기 하위좌슬라이딩레일부, 상기 상위우슬라이딩안내홈, 상기 중위우슬라이딩안내홈 및 상기 하위우슬라이딩레일부에 진입하도록 상기 지지부플랜지에 형성된 이탈방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형(凹形)의 집유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유홈의 둘레영역에는 집유부열전달돔이 융기 형성되어 있는 집유부바닥면부와 상기 집유부바닥면부에서 연장형성된 집유부운두부를 가지고,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집유부바닥면부가 상기 재치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집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유부열전달돔은 상단에 열기전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바닥면부와, 상기 지지부바닥면부에서 연장형성된 지지부운두부와, 상기 지지부바닥면부에서 융기 형성된 지지부열전달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구이장치.
KR2020190004260U 2019-10-22 2019-10-22 육류구이장치 KR200492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260U KR200492872Y1 (ko) 2019-10-22 2019-10-22 육류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260U KR200492872Y1 (ko) 2019-10-22 2019-10-22 육류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872Y1 true KR200492872Y1 (ko) 2020-12-24

Family

ID=7408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260U KR200492872Y1 (ko) 2019-10-22 2019-10-22 육류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872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38B1 (ko) * 2013-07-26 2014-10-23 유상길 직화구이용 조리용기
US20160029839A1 (en) * 2008-09-24 2016-02-04 Susan M. Wohld Turkey Flipper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KR101623600B1 (ko) * 2010-03-31 201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야외용 조리기기
KR20170050203A (ko) * 2015-10-30 2017-05-11 현대위아 주식회사 슬라이드 커버장치
JP2018039071A (ja) * 2016-09-07 2018-03-1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テレスコピックカバーおよびテレスコピックカバーの位置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9839A1 (en) * 2008-09-24 2016-02-04 Susan M. Wohld Turkey Flipper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KR101623600B1 (ko) * 2010-03-31 201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야외용 조리기기
KR101453838B1 (ko) * 2013-07-26 2014-10-23 유상길 직화구이용 조리용기
KR20170050203A (ko) * 2015-10-30 2017-05-11 현대위아 주식회사 슬라이드 커버장치
JP2018039071A (ja) * 2016-09-07 2018-03-1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テレスコピックカバーおよびテレスコピックカバーの位置調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2335B (zh) 具有外部滴油盘模块的垂直烤架
JP6375336B2 (ja) 加熱調理器
JP2014171857A (ja) 電気焼き器
EP2849618A1 (en) Flame resistant cooking grate and cooking apparatus
US3348471A (en) Charcoal broiler
KR200492872Y1 (ko) 육류구이장치
KR101839024B1 (ko)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경사형 석쇠
US5126534A (en) Toaster with cool exterior
US3237552A (en) Cooking utensils
JP5973488B2 (ja) グリル
US5579680A (en) Smokeless grill for indoor use
JP5906212B2 (ja) 加熱調理容器
EP1444938B1 (en)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US7227105B2 (en) Cooking apparatus
KR200196698Y1 (ko) 숯불구이용 로스터
JP2019033957A (ja) 加熱調理器
JP6935091B2 (ja) 加熱調理器
KR102347762B1 (ko) 직화구이 및 간접구이 겸용 구이용 불판
KR200365251Y1 (ko) 고기구이판
CN216317200U (zh) 烤盘和烹饪系统
JP4048324B2 (ja) 調理器
US20230225556A1 (en) Portable oven configured for multiple different fuel types
JP6967771B2 (ja) 加熱調理器
KR200494895Y1 (ko) 에어프라이어 튀김 바스켓용 구획판 및 그 어셈블리
JP2019035552A (ja) 受け台及び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